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무공 李舜臣의 삶에 나타난 天道觀 고찰

        이찬구(Lee Chan goo)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5 이순신연구논총 Vol.- No.5

        1592년에 일어난 조선과 일본의 전쟁을 그동안 우리는 임진왜란이라 불렀고, 일본은 文慶의 役이라 불렀다. 이이화는 두 이름이 모두 세계사적인 관점에서 보편타당성이 없기 때문에 ‘朝日戰爭’이라 부른다고 했다. 우리는 이 조일전쟁을 대할 때, 가장 궁금한 것이 당시 조정은 무엇을 했는가 하는 점이다. 조일전쟁 발발 9년 전에, 이율곡은 이미 10만 양병설을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태평성대에 군사를 양성한다는 것은 화를 불러 온다는 반대에 부딪히고 말았다. 물론 선조는 일본의 정세를 사전에 알아보도록 통신사를 보낸 바가 있다. 황윤길은 틀림없이 전쟁이 있을 것이라 했고, 김성일은 그렇지 않다고 보고했다. 그러면 조정의 태도는 무엇인가? 전쟁자체를 아예 함구해버렸고, 이 때문에 조정에서 감히 전쟁이 일어난다는 말을 꺼내지 못했다. 전쟁이 발발하기 직전에 조정에서는 이런 대화가 오가고 있었다. 아찔한 일이다. 그나마 다행스런 일이다. 사간원: 전라 좌수사(左水使) 이순신은 현감과 군수들이 아직 부임도 하지 않았는데, 순서를 뛰어넘어 수사로 임명되었습니다. 설사 인재가 없는 때문이라 해도...교체시켜주시기 바랍니다. 조정의 대답: 인재가 없는 것만큼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사람은 넉넉히 그 임무를 감당할만 하니 벼슬이 높고 낮은 것을 따질 필요가 없다. 다시 더 주장하지 말라. 1592년 4월13일 부선에 상륙한 왜군은 20일도 안되어 서울을 함락시켰고, 조정은 의주까지 몽진을 하였다. 급기야 명나라에서는 구원병이 내려오고, 전국에서 의병이 일어나 관군과 연합전을 벌였다. 특히 남해일대에서의 수군의 승리는 전세의 판도를 크게 바꾸었다. 필자는 조선이 낳은 수군의 지휘자 충무공 이순신(1545-1598)의 생애에 주목할 필요를 느꼈다. 과연 忠武公(또는 公이라 칭함)은 어떤 사람인가? 최근 TV드라마는 어릴 때 불렀던 충무공의 노래(민족의 태양이요, 역사의 면류관이라...)가 다시 살아나는 듯했다. 무엇이 공을 우리가 성웅이라 부르게 하였는가에 대한 답을 천도적 관점에서 찾고 싶었다. 충무공이 전장터에서 초지일관한 철칙을 필자는 국토사랑 즉 ‘우리 땅, 우리 백성 지키기’라는 말로 요약하고 싶다. 그리고 그것을 가능케 한 그의 변함없는 천도관은 삶의 태도에 있어서는 미래를 대비하는 憂患(우환)의식, “必死則生, 必生則死”, 하늘에 대하여는 “順天者 存, 逆天者 亡”이라는 한 말로 집약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동안 충무공의 天사상에 관하여는 안종운이 공의 誓天(서천)사상을 유학적 천명사상과 천인일체사상으로 해석하였으며, 최두환은 공의 생사초월의 사생관을 천도적 삶으로 이해하였다. 필자가 보기에 이러한 시도들은 공의 삶에 대한 일부분의 관찰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아, 유학적 천도관을 기본으로 하되, 우리의 고유한 전통적 가치관도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고 생각된다. 그리하여 필자는 16세기 퇴율의 천사상을 조명해보고, 이어 화랑 풍류도와 고유한 선비정신도 검토해 보았다. 금장태는 역사는 변화하는 현실세계 속에서 불변하는 법칙이 드러나는 현장이며, 그 불변의 법칙은 바로 天道요 天理하고 하고, 그 천도가 드러나는 양상에 하나는 자연의 변화질서로서 구현되는 것과, 다른 하나는 도덕적 가치의식으로 구현된다고 보았다. 그 구체적인 예가 천도의 원형이정이 도덕적 규범으로는 인의예지로 나타나는 것이다. 필자는 이 둘의 관계처럼 천도와 규범을 오가며 충무공의 삶을 천도적 관점에서 항목별로 알아보고자한다. I analyzed the contents of Confucianism and Native spirits of Sun-bi, which Yi Sun Sin ( Chung Mu Gong 忠武公), in order to study on the concept of Cheondo (the Heavenly way;天道). Master Kong(孔子) said, If one does not know the decree of Heaven(天命), one has no way of becoming a noble man; if one does not know the rituals(禮), one has no way of establishing oneself. Thus, the self- awakening of the decree of Heaven is that of impartial self concerning humanity and it corresponds to that of the Heavenly way. Chung Mu Gong s ideas was owing much to assimilate spiritual food by name of the Confucianism. But Cheondo of Chung Mu Gong has specific difference from fucianism, and this difference formed the peculiar concept of Cheondo of Chung Mu Gong. Especially, we can find the St. here Chung Mu Gong within the Native spirits of Sunbi(선비, 仙郞) -as a Hwarang(花郞). Their standard of value went far beyond the individual to include the nation. And training was apparent in their practical love of country. The thoughts of the Hwarang had been reorganized Han thought. In other words, it precede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 Hwarang spirit had influence on Chung Mu Gong patriotism.(愛國心) Cheondo of Chung Mu Gong can be categorized into the indomitable spirits of Sun-bi, Choong Hyo(loyalty and filial duty忠孝) spirit, Consciousness of Anxiety(憂患意識), the Keeping of Country Land(國土守護), Transcendence of Life and Death(生死超脫), and Sincerity moves Heaven(至誠感天). Specially, responsibility and a sense of duty for reality were reflected in the Consciousness of Anxiety. And long ago, even before Confucian rites were introduced, Koreans practiced ancestor worship. It is something that arises from this view of life and death as a unified whole.(生死一如)

      • 인도의 상례문화

        권기현 ( Kwon Gi-hyun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5 密敎學報 Vol.16 No.-

        인도는 어느 문화권보다 역사적으로 긴 시간을 갖고 있고, 더불어 지리적으로도 다른 나라에 비교할 수 없는 넓은 공간을 가진 나라이다. 인도문화를 설명할 때 가장 먼저 등장하는 말이 多樣性이다. 여기에 調和라는 말을 붙여 ‘다양성의 조화’라는 개념이 인도라는 문화체를 설명하는 알파와 오메가이다. 인도에도 많은 통과의례가 있다. 단순히 ‘많다’라는 표현만으로는 불충분하다. 각각의 사상이나 종교마다 다르고, 시대와 지역적으로 도 다르다. 따라서 여기서는 인도의 대표종교인 힌두교와 대표지역인 북인도로 제한한다. 인도의 통과의례 중에서 최후의 통과의례에 해당하는 장례의례에 관해 그 절차와 의미를 구분해 살펴보았다. 힌두교도들의 통과 의례 중에서 가장 마지막에 해당하는 장례식을 그 절차와 내용에 따라 贖罪儀式, 火葬儀式, 拾骨儀式, 遷度儀式 구분해 그 절차와 의미를 분석했다. 힌두교도들은 죽음과 죽음 이후의 삶은 현생과의 영원한 단절이 아니라 한 생에서 다른 생으로 옮겨 가는 전이 과정과도 같다. 삶과 죽음이 끊임없이 연결되는 순환으로 받아들인다. 존재는 五大으로 구성되어 있는 육신과 윤회의 매체가 되는 微細身 그리고 영원성을 지니는 변화하지 않는 영혼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인간을 구성하는 이 요소들 가운데 물질이 아닌 영혼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것들이 변형된다. 사후의 삶이란 영혼이 거치는 중간 정거장일 뿐이다. 따라서 죽음 이후의 육신에서는 무의미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힌두교도들은 상례는 고대부터 내려오는 업과 윤회에 근거한 종교적 믿음에서 나온 장례절차임을 확인했다. 火葬은 그들이 종교적으로 영원히 사는 또 하나의 방법이며 희생제의 일종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India has a long history than other cultural areas and is very wide geographically. An word first appeared to explain Indian culture is diversity. Here, the word harmony is added so that concept called ‘harmony of diversity,would be alpha and omega to explain Indian culture. Like other countries, there are many Rites of Passage (samskara) in India. Expression that says simply ‘much’ is not enough. India is complex cultural area where even though same name is used, its content is outstandingly different. Rites of Passage are same case. Rites of Passage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oughts or religion. They are also different according to era and region. Accordingly, here, representative religion and region are restricted to Hinduism and Northern India respectively. Among Rites of Passage in India, this writing reviewed procedure and meaning of funeral ceremony which is last Rites of Passage. The author investigated funeral ceremony of Hindus dividing its procedure and content into Atonement(贖罪儀式), Cremation(火葬儀式), Bones Collection(拾骨儀式), Trophonius(遷度儀式). To Hindus, death and life after death is not eternal separation from present life but it is only transition process from this life to another life. Life and death is accepted as an endless cycle. They think that existence is composed of physical body made by Five matters(五大), suksmasarlra(微細身) which is medium of samsara, and unchangeable spirit with eternity. Everything besides spirit among the elements composing of human changes. When human dies and is cremated, human body returns to Five matters and is reborn to variable living beings according to karma. So to Hindus who believe in karma and samsara, death is not complete extinction but state of non-physical existence and is a way to another life. Life after death is only intermediate station where a spirit passes by. Accordingly, body after death has no meaning. It was identified as funeral procedure come from religious bdief based on karma and samsara originated from ancient times. Cremation is another method with which they have eternal life in rdigious way.

      • KCI등재

        사마천 천도관(天道觀)의 논리와 구현양상 분석 -「백이열전」에 보이는 삼단논법과 인과응보관을 중심으로 -

        김일환 ( Kim Il-hwan ),박연우 ( Park Yeon-w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4 儒學硏究 Vol.66 No.-

        본고의 목적은, 사마천이 굳이 백이를 ‘선인자’라고 한 것에 의문을 가진 데에서 시작하여 그것이 결국 사마천의 삼단논법적 천도관 때문이었음을 구명하는 데에 있다. 본고는, 사마천이 「백이열전」에서 채미가(採薇歌)를 근거로 “백이숙제가 마침내 수양산에서 굶어 죽었으니 이것을 보면 원망한 것이 아니겠는가? 혹자가 말하기를 ‘하늘의 도는 친함이 없어 항상 선인과 함께한다.’라고 하는데, 백이숙제와 같다면 ‘선인’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은가?”라고 문제를 제기한 것에 대한 분석에서 출발한다. 논자는 사마천이 ‘원망’을 말하다가 논리를 전환하여 ‘선’을 끌어낸 데에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고 본다. 사마천이 세운 두 가지 명제는 ‘하늘은 착한 사람과 함께한다.’와 ‘백이숙제는 착하다.’이다. 그러므로 사마천의 주장대로라면, ‘하늘은 백이숙제에게 보시(報施)를 베풀어야 한다.’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사마천의 이러한 삼단논법적천도관(天道觀)은 하늘을 권선징악과 시비지심의 결정권자로 본 것이며, 인간을 천도에 따른 인과응보를 받는 존재로 여긴 것이다. 사마천은 천도와 선의 인과응보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백이숙제의 죽음을 원망과 보시의 역설로 만들었다. 그 이유는 인과응보를 ‘의’의 관점으로 제시하고자 한 사마천의 포폄(褒貶)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므로 사마천은, 궁극적으로 백이숙제를 원망과 연결 지었으며 공자와 안연을 부귀명성과 대비시켜 놓았고, 천도를 인과응보와 연결 지어 『열전』 전체의 맥락으로 삼을 정도로 그 전개방법과 구성체계에 있어서 치밀함을 보여주고 있었다. 한편, 사마천이 공자의 말을 인용하여 “좋아하는 것을 따르겠다.”고 한 것은, 자신에게 주어진 천명 즉 『사기』를 완성하는 작업을 타고난 운명과 사명감으로 인식하고 세상에 천명(闡明)한 것이다. 또한 백이숙제를 굳이 ‘선인’이라고 단정하여 하늘에 보상을 갈구한 것은, 공자와 같은 성현의 뜻을 이어 『사기』를 저술하는 작업이 헛되지 않기를 천도에 의존하여 드러낸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사마천은 이와 같은 의도로 천도관을 드러내기 위해 백이숙제를 ‘선인’이라고 규정한 것이다. In his records, Boyi and Shuqi eventually starved to death in Mt. Suyang. Would it have been their resentment? Some people said, The truth of Heaven has no affinity and is always with a virtuous man. Can one be called a 'virtuous man' if he is like Boyi and Shuqi?, Sima Qian suddenly brings up virtue in the middle of talking about resentment. Believing that he had a reason for it,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why Sima Qian rather called Boyi a virtuous man by bringing in Sima Qian's syllogistic idea of the Heavenly Dao. Sima Qian's major premise is Heaven is with a good man, and his minor premise is Boyi and Shuqi are good. The conclusion then will be Heaven should give alms to Boyi and Shuqi. Sima Qian's syllogistic idea of the Heavenly Order sees Heaven as the judge to encourage good and punish evil and tell right from wrong and man as a being subjected to retributive justice according to the Heavenly Dao. Sima Qian found a paradox of resentment and alms in the death of Boyi and Shuqi based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Heavenly Dao and virtuous men. It was his intention to propose retributive justice from the perspective of justice. His intention made him connect Boyi and Shuqi to resentment, contrast Confucius and Yan Hui against wealth and fame, and use the Heavenly Dao as the overall context of his Biographies by connecting it to retributive justice. Borrowing the words of Confucius, Sima Qian pledged to follow what his heart wanted. He compared his mandate from Heaven or the writing of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to his innate duty. He concluded Boyi and Shuqi as virtuous men and asked for compensation from Heaven because he prayed to the Heavenly Dao that his writing of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by following the will of sages such as Confucius would go in vain. He called Boyi and Shuqi virtuous men because he wanted to reveal the Heavenly Dao for this intention.

      • KCI등재

        쌍영총(雙楹塚) 의식행렬도(儀式行列圖) 벽화(壁畵)의 도상(圖像)과 성격(性格)

        김정희 ( Jung Hee Kim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3 강좌미술사 Vol.41 No.-

        5 세기 중, 후반경에 축조된 고구려의 벽화고분인 쌍영총 안에는 묘주부부 초상화를 비롯하여 생활풍속도와 사신도, 불교적 성격의 행렬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벽화가 그려져 있다. 이 글에서는 쌍영총의 구조와 벽화에 관해 고찰한 후, 현실 동벽에 그려진 행렬도를 중국의 벽화고분 석굴사원의 행렬도와 비교하여 그 도상적 특징을 살펴보고, 당시 고구려의 불교사상 및 신앙과의 관계 속에서 의식행렬도의 성격에 관해 추정해보았다. 쌍영총의 벽화 가운데 머리에 향로를 인 인물을 선두로 하여 여러 인물들이 걸어가는 모습을 그린 현실 동벽의 행렬도는 장천리 1 호분의 佛像禮拜圖, 무용총의 接客圖와 함께 고구려 벽화고분속의 불교적 요소로서 일찍이 주목을 받아왔다. 9 명으로 이루어진 행렬도에 대해서는 절에 공양이나 명복을 빌러가는 佛事 또는 피장자부인이 승려에 인도되어 천상으로 승천하는 모습을 표현한 것, 단순히 공양인물도를 묘사한 것,136) 佛供을 드리러 가는 것이라는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처럼 현실 동벽의 행렬도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지만 이 행렬도가 불교와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대체로 같은 의견이라 할 수 있다. 쌍영총이 조성되던 시기에 중국에서는 佛敎的 葬送儀禮가 널리 행해졌으며, 4 세기 道安에 의해 강경법회 때 향을 나누어 주는 行香이 규범화된 후 亡者의 忌日에 향로를 높이 들고 행향하는 의식이 성행했던 점을 볼 때, 향로를 머리에 이고 가는 소녀와 그를 따라 가는 일행을 그린 쌍영총의 인물행렬도 역시 사망한 남편을 위해 행향하는 모습을 그렸을 가능성이 있다. 또는 소녀가 머리에 인器物이 향로보다는 燈에 가까우며, 쌍영총 조성 당시 燈供養의 공덕에 관해 언급한《법화경》,《화엄경》, 《대반열반경》등이 고구려에 알려져 있었던 점, 백제, 신라에서 등불을 밝혀 亡者를 追善供養하는 불사가 행해졌던 점 등을 고려해본다면, 쌍영총 인물행렬도는 부인이 승려 및 세 아들과 함께 燈을 앞세우고 남편의 極樂往生을 위한 薦度儀式을 행하는 장면으로도 볼 수 있다. 쌍영총 현실 동벽의 행렬도는 5 세기 중, 후반 고구려의 불교에 관한 자료가 많지 않아서 행향의식을 표현한 것인지 아니면 망자를 추선공양하는 등공양의 천도의식을 표현한 것인지는 확실히알 수 없지만, 피장자의 명복을 비는 의식을 그렸다는 점에서 고구려인들의 불교적 내세관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In Ssangyeongchong Tomb which is a Goguryeo mural tomb constructed mid to late 5th century, there are various mural paintings including portraits of tomb owner couple, customs paintings, and Buddhist Parade paintings. This article reviews the structure of the tomb and mural paintings in it in general terms, compares the parade painting on the east wall of burial chamber with that in mural tombs and cave temples in China to identify the ico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stimates the characteristics of ritual parade painting in the relationship of Buddhism and Religion in Goguryeo. Out of mural paintings in Ssangyeongchong Tomb, the parade painting on the east wall of burial chamber showing people walking following a figure who holds incense burner over the head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from early times because of its Buddhist element with Statue of the Buddha Worshiping Painting (佛像禮拜圖) in the first tomb in Jangcheonri and Guest Reception Painting (接客圖) in Muyongchong Tomb. Regarding the parade painting showing 9 people in the parade, there were many interpretations such as to perform Buddhist service going to temple for worship or pray, to ascend to heaven guided by a monk, or to describe presentation of an offering to Buddha. Although there are many different interpretation on the parade paining on the east wall of burial chamber, it is common agreement that this parade is somewhat related with Buddhism. In the time of construction of Ssangyeongchong Tomb, Buddhist funeral rituals were widely performed. Additionally, considering that the ritual of incense distribution (行香) became popular after it became a norm after Taoan (道安) distributed incense in the Ceremony of Reading a Buddhist Scriptures (講經法會) in the 4th century and the ritual of incense holding incense burner high at the anniversary of the deceased was prevalent, the parade painting in Ssangyeongchong Tomb showing a girl holding an incense burner high and monks and woman following her may describe incense ritual for the deceased husband. Additionally, considering that what the girl holding high over her head is closer to lamp than an incense burner, that scriptures describing virtues of presentation an offering to Buddha such as the Lotus Sutra(法華經), the Avatamska Sutra(華嚴經), and the Mahayana Mahaparinirvanasutra(大 般涅槃經) were widely known in Goguryeo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Ssangyeongchong Tomb, and that the Buddhist masses for the soul of the departed by lightening lamps was performed in Baekje and Shilla, the parade painting in Ssangyeongchong Tomb can be interpreted as the scene of a widow`s Buddhist ritual to pray for an easy passage into eternity of the deceased husband with a monk and three sons so to speak Cheondo Ritual(薦度齋). Although it is not clear if the parade painting on Ssangyeongchong Tomb describes incense burning ritual or lamp offering as a ceremony as a memorial to a deceased person because there are not many materials on Buddhism in Goguryeo in the mid and late 5th century, it may show the Goguryeo people`s Buddhist view of afterlife in that it shows the ritual praying for the repose of the deceased.

      • KCI등재

        이승휴의 역사관

        정구복(Chung Ku-bok) 한국사학사학회 2010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1

        This article reviews the previous national, orthodox, confucius, and Sini神異史觀 historiographic view points on Jewangwoongi 'The Epic of Emperors and Kings' by Yi Syung Hyu (1224-1300) in 1287 and presents Choendosagwan(天道史觀) 'historical perspective emphasizing the might of Heaven' as his main historiography. Choendosagwan(天道史觀) reflects the ancient Korean thoughts and religion of sky or heaven. Its philosophy didn't develop logically. However Koreans believed in the ancient myth of 天帝 Emperor of Heaven and his son. Many small states in ancient Korea performed the sacrificial ceremony for the sky in gratitude to giving birth of human founders of states by consummation between Heaven God and Earth God. Choendosagwan(天道史觀) supported each state in maintaining its longevity without losing its identity through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Yi wrote Jewangwoongi to instill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continuity to King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a state, there existed Heaven's will along with Earth's and human efforts. Choendosagwan(天道史觀) survives in Donghak, Cheondogyo, and Dangun belief. It encompasses other religions and set the tradition of harmonious coexistence of religions without conflict.

      • KCI우수등재

        조선시대 생전예수재의 설행과 의미

        이종수 불교학연구회 2019 불교학연구 Vol.61 No.-

        Among the Buddhists rituals that have been passed down to the Joseon period, there are three types of rituals for sending off the souls that take on the format of “ritual performance on the seventh day, repeated seven times.”: the Ritual of the Ten Kings for the currently living, the Forty-nine Day Ritual for the deceased, and the Ritual of the Land and Water Assembly for the wondering lonely souls. Among these, this paper focuses on the Ritual of the Ten Kings. Although the Goryeo period is generally deemed as the time of the ritual’s first establishment in Korea, I hold that it was mostly during the mid-Joseon period that the ritual was actually performed. To support this argument, I examined the commentaries and ritual manuals from the late-Joseon period as the primary sources. With the findings I could confirm that the main subject and sponsor of the Rituals of the Ten Kings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period was the royal family but later spread to the general people. Lastly, instead of the general notion of the Ritual of the Ten Kings as “ritual peformed for merit before one’s death,” I explain that the ritual was performed with the “intent of repaying for the debt incurred in the previous life.” Moreover,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Ritual of the Ten Kings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was part of the practice of calling on the Buddha’s name, one of the practices within the Three Forms of Practice (三門). 오늘날 전하는 불교의식 가운데 49일간 설행하는 칠칠재 형식의 천도의식으로는 생자(生者)를 위한 생전예수재, 망자(亡者)를 위한 사십구재, 고혼(孤魂)을 위한 수륙재가 있다. 이 가운데 생전예수재의 성립시기와 개념을 재검토하고 불교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생전예수재의 성립시기를 고려시대로 보고 있지만, 본고에서는 조선중기에 설행되었음을 논증하였다. 생전예수재와 관련한 고려시대 의식집이 전해지고 있으나 생전예수재를 설행한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고려전기부터 설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수륙재 역시 칠칠재 형식으로 정착한 것은 고려 말이다. 본고에서는 고려 말 사십구재와 수륙재가 먼저 칠칠재로 설행되고, 그 수륙재의 영향을 받아 조선중기에 생전예수재가 칠칠재 형식으로 설행되었다고 보았다. 이어서 조선후기 생전예수재와 관련된 소문(疏文)과 의식집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생전예수재가 설행되던 초기에는 그 주체가 왕실이었지만 점차 일반 백성으로 확산되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더 많은 생전예수재 관련 의식집이 간행되었음을 표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생전예수재의 개념에 대해 일반적으로 ‘생전에 미리 공덕을 닦는 의식’이라고 정의해왔지만, 본고에서는 또 다른 견해로서 ‘전생의 빚을 갚는 의식’이라는 정의를 소개하고 후자의 견해를 지지하였다. 후자의 견해에 따르면, ‘예(預)’는 전생에 미리 빌린 빚을 갚는다는 뜻이고 ‘수(修)’는 현생에서 사후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수행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아울러 생전예수재 성립의 불교사적 의미로서 삼문수학 가운데 염불문의 수행이며, 중국이나 일본에서 보이지 않는 한국 독자적인 불교의식으로서 생자-망자-고혼을 연결하는 천도의식의 완성이라고 평가하였다.

      • KCI등재

        수륙재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제언: 종교교단의 재난 피해자 지원활동을 중심으로

        김성순 ( Kim Sung-so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8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3.11 대지진 이후 종교교단들이 보여주었던 활동에 대한 고찰을 통해, 자연재난으로 인한 인간의 트라우마를 어루만지는 종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해 고찰하고, 나아가 현대사회에서 수륙재와 같은 불교의식이 수행할 수 있는 공공적 역할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일본의 종교교단들은 한신-아와지 대지진이나, 3.11 대진재 이후에, 재난 피해자들을 돌보기 위한 실질적인 자원봉사활동과 사회적 치유기능을 수행했던 것을 볼 수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재난피해자를 위한 종교의식들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49재를 비롯한 천도의식은 기본적으로 망자를 위한 것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산 자를 위한 의식이기도 하다. 2016년 9월 이후, 대형 자연재난의 가능성이 증가한 한국사회에서 수륙재와 같은 불교의식이 수행할 수 있는 공공적 역할에 대해 좀 더 고찰할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대형 재난 이후를 대비하여, 수륙재의 형식 안에 `천도`와 `위무`의 본질적인 기능만을 담지하여, 피해자들에게 가까이 다가가서 설행할 수 있는 간략한 의식 프로그램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정리하면, 수륙재와 같은 종교의식은 무형문화재 내지 공연문화의 입지를 넘어서서, 불의의 죽음들을 기억하고, 피해자들의 심리적 치유와 재활의지를 돕는 공공적 역할의 장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social functions(the public roles of such Buddhist rituals as Suryukjae in the modern society) of religion, which heals human trauma due to natural disasters, by looking into the activities of religious orders after the Great Earthquake of Japan on March 11. The religious orders of Japan carried out activities to support victims in the affected areas of Great Hanshin-Awaji Earthquake and Great Earthquake of Japan on March 11, and their activities present a case of practical volunteer service and even social healing functions beyond religion. In Korea, there are many cases of consoling disaster victims or the public that experienced disasters second-hand through religious rituals. The Cheondo rituals including Sasipguje are basically for the deceased and also for the living from a different viewpoint. It is time to think over the roles of Buddhist rituals culture such as Suryukjae in the Korean society where the possibilities of large natural disasters have increased prominently since September, 2016. For prepare the disaster, there need to prepare a simplified program by selecting only the essential functions of “Cheondo” and “consolation” in the form of Suryukjae can be close to the victims. In short, Suryukjae is expected to serve as a venue for public roles to remember the sudden death and promote the psychological healing and support the rehabilitation of victims beyond its status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performance culture.

      • KCI등재

        충남 내포 지역 앉은굿과 불교 재의식 요소의 기능과 의미 비교

        김성순 ( Kim Sungsoon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0 사회사상과 문화 Vol.23 No.4

        본 논문에서는 충남 내포지역의 무속의례인 ‘앉은굿’을 중심으로 하여, 그 대조군으로서 불교의 재의식을 설정하고, 의례 절차의 기능과 의미 면에서 유사성과 차이를 살펴보기로 한다. 충청도 앉은굿에서는 인생에서 부딪치는 여러 문제의 원인으로 귀신의 작란(作亂)을 설정하고, 그 귀신을 위협하고 쫓아냄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구도를 취한다. 앉은굿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가 바로 ‘치병’이며, 병의 원인이 되는 귀신을 쫓아내기 위해 설행하는 의식을 병경(病經)이라고 한다. 충청도 앉은굿은 설위설경(設位說經 혹은 設位設經)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위목(位目)을 설치하고 경(經)을 외움'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설위설경은 독경이 진행되는 공간인 경청(經廳)에 설치되는 종이 무구(巫具)이며 경의 내용과 주술적 힘을 담고 있는 상징물이다. 위목(位目)은 한지(韓紙)에 신령의 이름을 적어 넣어 직사각 형태로 접어서 만든다. 대왕과 신장, 신병 등 강력한 종교적 힘을 가진 신적 존재들의 이름을 새긴 위목을 설치함으로써 굿의 대상이 되는 병인(病因)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다. 불교 의례에서도 기능과 명칭 면에서 무속과 유사한 위목과 번(幡)이 존재한다. 무속의 종이 위목, 불교 수륙재의 위목과 번은 각각 신령과 불보살, 신장들이 해당 의례의 현장에 강림했음을 나타내며, 의례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돕고, 의례를 설행하는 주체가 올리는 공양을 받아들이는 상징물이다. 또한 의례가 끝나면 위목과 번의 주인공들은 원래 있던 세계로 봉송되며, 물질로서의 위목과 번은 태워지게 됨으로써 의례의 현장은 일상으로 환원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신을 인간세계로 불러서 의례의 목적을 달성한 사람들이 다시 의례를 통해 신과 인간세계를 분리시키는 낯익은 종교의식의 보편성을 보여준다. 정리하면, 내포 무속의 병경(病經)에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귀신을 위협하고 쫓아내는 ‘축귀(逐鬼)’를 한다면 불교의 재의식에서는 귀신에게 인과법(因果法)을 들려주어 제도(濟度)시키는 ‘천도(薦度)’를 행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shaman ritual of anjeun gut of the Naepo Region of Chungcheongnam Province, and compares it to similar Buddhist rituals by conside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 of its meaning and function. The anjeun gut of Chungcheong Province is intended to threaten and chase away spirits which cause one trouble as a result of the various problems one faces throughout life. One important function of the anjeun gut is “curing disease,” and the ritual for chasing away spirits that cause disease is referred to as byeonggyeong (病經), which is the reciting of an incantation for a sick person. The anjeun gut of Chungcheong Province is also called seorwiseolgyeong (設位說經 or 設位說經), which means to assemble a wimok (位目)―which is a piece of paper with the name of a sage or spirit on it―and chant a sutra. Seorwiseolgyeong is a Buddhist ritual implement made of paper that is installed at a gyeongcheong (經廳), a place where sutra chanting is performed, and it is also a symbol for the content and shamanistic power of the sutra. A wimok is a piece of traditional Korean paper on which the name of a deity is written before folding it into a rectangular shape. The creation of a wimok, which bears the names of divine beings who hold great religious power, such as kings and divine guardians of the Buddha, is meant to resolve the problem causing disease in the person who is the subject of the gut. The function and naming of the wimok and beon (幡, a pennant used in Buddhist ritual) in Buddhist ritual resembles that of shamanistic practice. The paper wimok used in shaman rituals and the wimok and beon used in Buddhist suryukjae (水陸齋) rituals function to indicate which deity, Bodhisattva, or divine guardian of the Buddha has descended down to the ritual, while also assisting in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ritual and accepting the offerings presented by the subject of the ritual. In addition, when the ritual ends, the deity specified on the wimok and beon is sent back to the world from which it came, and the remaining material of the wimok and beon is burned in order to return the space of the ritual back to a state of normalcy. This structure shows the universality of this familiar Buddhist ritual, according to which deities are summoned to the world and a certain objective is achieved, after which ritual is again used to separate the worlds of the deities and humans. In conclusion, if the shamanistic practice of the Naepo Region can be understood as chasing out ghosts to achieve a goal of ritual, then in Buddhist practice it can be understand as reciting to spirits the natural law of cause and effect (因果法) and guiding the spirit of the dead to the afterlife to obtain enlightenment. In this wa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 KCI등재

        백제 성왕의 즉위와 왕권 강화과정

        장수남(Jang, Sunam)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5 No.-

        무령왕이 523년 세상을 뜨자 성왕은 왕위를 계승하게 되었다. 성왕은 선왕을 대신하여 ‘다시금 강국이 된 백제’의 명운을 짊어지게 되었다. 먼저 선왕의 장례를 주재하면서 그 기간 동안 왕권의 기틀을 잡고, 사비천도 후대외전쟁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성왕은 왕권을 뒷받침 해 줄 통치이념이 필요하였다. 무령왕대는 양과의 교섭을 통해 중국의 장례문화가 들어왔는데,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지석을 통해 빈의 기간을 알 수 있었다. 이 기간은 선왕의 장례 기간이자 성왕이 왕권을 구축해야 하는 시기였다. 성왕은 중국의 상 장례 의식에 대하여 잘 알고 있던 오경박사를 통해 부왕과 어머니의 장례를 잘 마무리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기간 동안 성왕은 고구려와의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부왕의 시호를 추증하여 왕족 의식을 고양하였으며, 양으로부터 ‘지절도독백제제군사수동장군백제왕(持節都督百濟諸軍事綏東將軍百濟王)’의 작호를 받았다. 이로써 성왕은 선왕의 장례를 성공리에 마치고 선왕의 왕권을 온전히 물려받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성왕은 측근 등 새로운 정치세력을 이용하여 지배체제를 재편하고, 대외전쟁을 수행하여 그 기반을 더욱 확고히 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적 갈등이 야기되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성왕은 불교라는 이데올로기를 통해 갈등을 치유하는 한편 왕권강화를 모색하였던 것 같다. 그리고 그것은 대통사의 창건으로 이어졌다. 대통사의 창건 목적은 양면적이었던 것 같다. 겉으로는 양무제를 위해 창건하였다고 하면서 외교적인 실리를 추구하였지만, 실제로는 불교를 통해 민심을 하나로 모으고 무령왕 부부의 영령을 추복하는 능사(陵寺)적인 성격을 부여함으로써 왕권 안정의 구심점으로 삼으려 한 것 같다. The records say that Baekje accepted Buddhism during the reign of King Chimryu. However, there are few records about Buddhism during the Hanseong Period.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connections between Buddhist temples and mourning rituals and further their relations with royal authority. The first Buddhist temple during the Woongjin Period was Daetong Buddhist Temple, and that during the Sabi Period was Neung Buddhist Temple. During the Woongjin Period, they kept the coffins of King Muryeong and his queen at the mortuary for three years. The mortuary palace was located in Mt. Jeongji. King Seong supervised their funerals. In fact, he was enthroned during the three–year period after the death of King Muryeong when he supervised the funeral. Thus he had to reinforce his royal authority based on the foundation of restoration built by King Muryeong. King Seong also prayed for the repose of his parents’ souls by building Daetong Buddhist Temple for his deceased mother, who used to have interest in Buddhism when she was living. He then attempted to bring changes to the foundation of his royal authority by moving the capital from Woongjin to Sabi. He tried to reinforce his royal authority based on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Buddhism. His intentions behind the establishment of Daetong Buddhist Temple were to pray for the repose of his parents’ souls and proclaim that his royal authority had been further solidified home and abroad.

      • KCI등재

        5세기 삼국의 대외 위기의식과 전쟁 -평양 천도에서 한성 함락까지-

        박찬우(Park, Chan-U) 한국고대사학회 2023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12

        In Korean history, the 5th century is represented as Goguryeo’s southward movement, especially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to Pyongyang in 427 and the fall of Hanseong and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to Ungjin in 475 are major events symbolizing Goguryeo’s southward movement.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image of the 5th century was that “the southward movement of Goguryeo” symbolized by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to Pyongyang and “the passive Baekje and Silla”. However, a close examin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shows that Goguryeo’s unilateral attacks are not noticeable during that period. There were signs of a two-way war, such as a pre-emptive strike by Baekje and Silla, and Goguryeo’s attack was rather passive. Eventually, Goguryeo abandoned its long-standing policy of maintaining the status quo since King Kwanggaeto and raided and fell Hanseong of Baekje. In this paper, the Three Kingdoms explained these aggressive actions against the strong of the relatively weak and the motivation for breaking the status quo with a sense of external crisis or fear. This paper explains these aggressive actions against the strong of the relatively weak and the motivation for breaking the status quo with sense of external crisis or fear that each of the Three Kingdoms h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