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기효능감척도 개발 연구

        이영광(Lee, Young Kwang),지은구(Ji, Eun Gu)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및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자기효능감의 개념 및 구성요소, 척도 개발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척도 구성요소를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으로 제시하였고, 각각의 구성요소에 적합한 질문문항을 본 연구에 맞도록 재구성하여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척도를 개발한 후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자기효능감척도 예비문항은 총 22개 문항이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개의 문항이 제거되었으며, 3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자기효능감척도의 하위요인은 부정적 효능감, 긍정적 효능감, 사회적 효능감으로 명명하였다. 21개의 문항을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9개 문항이 제거되었다. 최종적으로 자기효능감척도는 1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3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efficacy scale for adults and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objective,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components, and scale of self-efficacy were analyzed through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the components of the self - efficacy scale were presented as general self – 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and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by constructing a scale suitable for measuring the self - efficacy by reconstructing the appropriate questions for each component. Self-efficacy scale preliminary questionnaires were 22 questions.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one item was removed and divided into three factors.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scale were named as negative efficacy, positive efficacy, and social efficacy.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21 items, 9 items were removed. Finally, the self-efficacy scale consisted of 12 items and was divided into three factors.

      • KCI등재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황해익(Haeik Hwang),신현정(Hyunjeong Shin),탁정화(Jeonghwa Tak)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가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고 활용함으로써 행복한 상태를 알게 되는 메타인지의 원리를 반영한 교사용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유아의 강점리터러시와 관련된 문헌 고찰,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예비검사용 척도 44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검사를 실시한 후 최종 도출된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의 예비시안을 수정 및 보완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420명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404명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는 강점인식과 강점활용의 2가지 하위 요인으로 10문항씩 총 20문항이 도출되었고,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의 문항반응분포, 문항변별도, 문항내적합치도, 구성타당도, 모형적합도는 적절하였다. 결론: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는 개발 과정의 측면에서는 유아강점리터러시를 일관되게 평가하는 안정된 도구였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도출된 2개의 영역 중 강점인식이 강점활용보다 높은 설명력을 가졌다. 활용적 측면에서는 본 척도의 개발이 유아의 일상생활과 놀이에서 관찰 가능한 유아의 강점리터러시를 확인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유아가 자신의 대표강점을 인식하고 강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arly Childhood Strengths-Liter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reflecting the metacognitive principle in which children know happiness by recognizing and using their strengths. Methods: The scale was developed 44 items through preliminary examinatio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related to children’s strengths-literacy. The final preliminary draft of scale was correct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20 children aged 5.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two elements were strengths-recognition and strength-utilization, with a total of 20 items. Item response distribution, item discrimination, item internal consistency, construct validity, and model fit were satisfactory. Conclusions: The Early Childhood Strengths-Literacy Scale was verified as a stable tool for consistently evaluating children’s strengths-literacy. This study will help children recognize and actively utilize their representative strengths.

      • KCI등재

        Equal-Appearing Intervals Scale에서의 척도말단위축의 원인에 관한 연구

        김수영,차재호 한국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6 No.1

        Fiv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scale-ends shrinkage phenomenon (SSP) in the equal-appearing intervals scale (EIS) is caused by the truncated nature of the scale. In Experiments 1, 2, and 3, Ss judged the 33 attitude statements under one of the 3 conditions (a common, 11-point scale; lower 2 categories omitted; or upper 2 categories omitted) or under two of the conditions. In Experiments 4 (both ends omitted) and 5 (the upper end extended), EIS values were plotted against paired-comparisons scale (PCS) values of 11 statements taken from the initial 33 stimuli. Results showed that truncation increased an SSP, and that adding extra categories to one end of scale resulted in a reduction of SSP in that part of the scale. 등간격법(the method of equal-appearing intervals)에 나타나는 척도말단위축현상(the scale-ends shrinkage phenomenon)이 절제된 척도의 성질 때문이란 절제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5개의 실험을 수행했다. 첫 3개 실험에서는 3개의 별개 피험자 집단이 같은 33개의 태도진술(자극)들을 각각 완전척도조건(11점 척도 사용), 하단절제조건(범주 1과 2가 빠진 척도 사용), 그리고 상단절제조건(범주 10과 11이 빠진 척도 사용)에 등간격법 절차에 따라 평정했다(실험 1). 다른 2개 실험에서는 같은 피험자들이 완전척도조건과 하단절제조건에서 차례로 자극을 평정하거나(실험 2) 또는 완전척도조건과 상단절제조건에서 차례로 평정했다(실험 3). 나머지 두 실험에서는 33개 자극에서 뽑은 11개에 대해 대비법, 완전척도, 양단절제척도(범주 1, 2, 10, 11이 빠진 척도)에 따라 차례로 평정하거나(실험 4) 또는 양단절제 대신 확장척도(범주 12와 13을 추가한 척도)에 따라 평정했다(실험 5). 그 결과 (1) 척도절제는 절제된 반쪽의 측정치의 중앙부로의 이동을 가져오며, (2) 등간척도( 비교판단 측정치)를 기준으로 할 때 절제된 척도는 완전척도보다 더 큰 말단위축현상을 보였으며, (3) 척도의 확장은 말단위축현상을 감소시켰다. 이로써 등간격척도가 보이는 척도말단위축현상은 말단범주 절제에 의한다는 절제가설이 지지되었다. 그밖에 등간격법은 놀라울 정도로 안정적인 측정치를 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KCI등재후보

        척도명사 형성과 관련된 몇 문제 : ‘난이도’류를 중심으로

        이광호 도서출판 박이정 2002 형태론 Vol.4 No.2

        본고는 척도명사 형성의 보편원리에서 벗어나는 예로 판단되는 몇 문제를 단어형성의 배경과 그 동인(動因)을 중시하는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척도명사는 정도성이 큰 쪽을 어기로 하면서 그 의미는 중립적이다. 그런데 ‘난이도(難易度)’의 경우는 대립되는 양항의 결합형을 어기로 삼아 형성되었고 언중들에 의해 척도명사로 사용된다. 본고는 이런 ‘난이도(難易度)’가 척도명사가 될 수 없으며 복수의 대상들 사이에 존재하는 쉽고 어려움의 정도적 차이를 표현하기 위한 필요에 의해 생성된 ‘높낮이’류에 속하는 단어임을 밝혔다. 척도명사로 쓰이는 이유는 척도명사를 형성시키는 한자어 접미사 ‘-도(度)’의 첨가로 인해 표면상 척도명사의 계열체에 속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으로 파악했다. 그리고 정도성이 작은 쪽을 어기로 삼아 형성된 척도명사의 경우는 그것이 척도명사 형성의 일반원리를 어기는 것이 아니라 정도성이 작은 쪽을 선호하는 단어형성의 특수한 환경이 생성의 동인(動因)이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임을 확인하였다. 척도명사 형성의 일반원리에서 정도성이 큰 어기가 선택되는 이유는 특정 제약이 없을 경우 인간의 인지체계는 정도성이 큰 쪽을 더 선호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는 척도명사의 의미 중립성의 문제를 검토하였는데 척도명사가 합성명사 구성에 참여할 경우 화용론적 요인에 의해서 그 의미 중립성이 파괴될 수도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KCI우수등재

        단축형 심리검사 개발의 측정학적 방법과 타당화: 한국형 역기능우울척도를 중심으로

        서동기,이순묵,김종남,최승원,채정민,정선호,조성경,김명기,Chad Ebesutani 한국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8 No.1

        본 연구에서는 집단 연구용으로 개발된 한국형 역기능우울(dysfunctional depression)척도 20문항을 이용하여 단축형 검사 5문항을 선별하고 타당화하였다. 한국형 역기능우울척도의 단축형은 연구용 20문항 중 일부 문항(5문항)을 선별하여 제작된 것으로, 연구용 척도와 단축형 척도 모두 자기보고식 척도이다. 역기능우울척도는 역기능우울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상우울의 상태가 심화되었거나 경우에 따라 일상우울에서는 없는 증상들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연구용 척도는 역기능우울에 대한 학술연구에서 집단수준에서의 추론을 위해 개발되었고, 단축형 척도는 주로 임상 및 상담 현장에서 개인의 역기능 우울 수준에 대한 신속한 진단을 위해 개발되었다. 즉 연구용 척도는 역기능우울에 대한 이론구축 및 관계구조 검증이 목적이 되고, 단축형 척도는 현장에서 개인의 역기능우울 상태를 신속하게 점검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단축형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척도의 내적 구조 분석과 기준점을 이용한 분류정확성과 분류일관성 지수에 의해 검정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hort form of the Korean dysfunctional depression scale (KDDS) and introduce methods for validation of the short form. The short form was developed by selecting five items from the original 20 items in the Korean dysfunctional depression scale. While the KDDS was developed to measure dysfunctional depression for the purpose of group research, the short form was developed for the practical use at individual levels. The scale for academic study was developed to infer the dysfunctional depression at the group level. So the short form can be widely used by practioners in industries, organizations, clinical/counselling settings for quick screening of potential patients suffering from dysfunctional depression. We demonstr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hort form by analyzing internal structure of the scale and providing classification accuracy and consistency.

      •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의 개발

        고경봉,박중규,김찬형,Koh, Kyung-Bong,Park, Joong-Kyu,Kim, Chan-Hyu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4가지 스트레스반응 즉 감정적 신체적, 인지적, 행동적 반응들을 측정할 수 있는 스트레스반응지각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일차로 성인 193명(정신과외래 내원환자 84명, 정상인 109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반응지각 척도 예비설문을 시행하여 109문항을 추출하였다. 2차로 이 문항들이 포함된 설문을 환자군 242명(불안장애 71명, 우울장애 73명, 신체형장애 47명, 정신신체장애 51명)과 정상대조군 2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자료들을 감정, 신체, 인지, 행동 4가지 영역에서 요인 분석한 결과 8개의 하위요인 즉 부정적 감정, 일반적 신체증상, 특정 신체증상, 인지기능저하 및 일반적 부정적 사고, 자기비하적 사고, 충동공격적 사고, 수동반응적 및 부주의 행동, 충동공격적 행동이 추출되었다. 상기 척도의 신뢰도는 130명(환자군 68명, 정상대조군 62명)에게 2주 간격으로 검사 재검사를 시행, 분석한 결과 8개 하위척도 점수와 척도 전체 점수 간의 상관계수가 .83~.93으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한편 내적 일치도는 8개 하위척도의 Cronbach' s alpha가 .79~.96. 척도 전체의 Cronbach's alpha가 .98이었다. 공존타당도는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symptom checklist-9D-R(SCL-9D-R)의 전체지표 각각의 총점과 본 척도의 8개 하위척도의 점수 및 척도 전체점수 간의 상관성을 각각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별타당도는 환자군과 정상군 간에 척도의 총점과 8개 하위척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충동공격적 행동을 제외한 7개 하위척도 점수와 총점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스트레스반응지각 척도가 신뢰도 및 타당도가 모두 유의한 수준으로 정신신체의학을 비롯한 스트레스에 관련된 분야의 연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도구임을 시사해 준다. The perceived stress response inventory(PSRI) was developed to measure 4 types of current stress responses : emotional, somatic, cognitive, and behavioral responses. 242 patients with psychiatric disorders(71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s, 73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47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51 patients with psychosomatic disorders) and 215 healthy subjec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including the PSRI.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and symptom checklist-90-revised(SCL-90-R) were also administered at the same time. Factor analysis for each of 4 types of stress responses yielded 8 factors :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general somatic symptoms, specific somatic symptoms, lowered cognitive function and general negative thinking, self-depreciative thinking, impulsive-aggressive thinking, passive-responsive and careless behavior, and impulsive-aggressive behavior. Both test-restest reliability(r= .83 -.93) and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alpha : .79 -.96 for each of 8 subscales and .98 for total items of the scale) were all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s. Total scores of the PSRI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otal scores of GARS scale, PSQ, and global indicies of SCL-90-R, respectively. The patient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healthy subjects in each of all the subscales except impulsive-aggressive behavior subsca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SRI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stable over time which may be effectively used for the research in stress-related field including psychosomatic medicine.

      • KCI등재

        스트레스반응척도의 개발

        고경봉,박중규,김찬형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4가지 스트레스반응 즉 감정적, 신체적, 인지적, 행동적 반응들이 포함된 스트레스 반응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는데 있다. 방법: 일차로 성인 정상인 109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반응척도 예비설문을 시행하여 75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2차로 이 문항들이 포함된 설문을 정상인 2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이 자료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7개의 하위요인 즉 긴장, 공격성, 신체화, 분노, 우울, 피로, 좌절이 추출되었다. 상기 척도의 신뢰도는 정상인 62명에게 2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를 시행, 분석한 결과 7개 하위척도 점수와 척도 전체 점수 간의 상관관계수가 .69∼.96으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한편 내적 일치도는 7개 하위척도의 Cronbach's α가 .76∼.91, 척도 전체의 Cronbach's α가 .97이었다. 공존타당도는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symptom checklist-90-R(SCL-90-R)의 전체지표 각각의 총점과 본 척도의 7개 하위척도의 점수 및 척도 전체점수 간의 상관성을 각각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을 나타났다. 변별타당도는 환자군 242명(불안장애 71명, 우울장애 73명, 신체형장애 47명, 정신신체장애 51명)과 정상군 215명간에 척도의 총점과 7개의 하위척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공격성을 제외한 6개 하위척도 점수와 총점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군에서 우울장애군이 척도전체 점수가 가장 높고, 불안장애, 정신신체장애, 정상군보다 각각 전체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우울장애군이 이들 환자군 중에서 스트레스반응이 가장 현저하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대상자들 중 여자가 남자보다,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척도 전체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들은 스트레스반응 척도가 신뢰도 및 타당도가 모두 유의한 수준으로 스트레스에 관련된 분야의 연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도구임을 시사해 준다. 또한 우울장애군이 상기 다른 정신장애군에 비해 스트레스에 대한 감수성이 높다는 것을 반영해 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SRI)which includes emotional, somatic, cognitive, and behavioral stress responses, and then to use the scale in clinical pracitice. Methods: First,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or 109 healthy adults to obtain 70 response items. Secon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15 healthy subjects. Third, a comparison was made regarding stress responses among 242 patients(71 with anxiety disorder, 73 with depressive disorder, 47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51 with psycho-somatic disorder) and 215 healthy subjects. Results: Factor analysis yielded 7 subscales : tension, aggression, somatization, anger, depre-ssion, fatigue and frustration. Reliability was computed by administering the SRI to 62 healthy subjects during a 2-week interval. Test-retest relivbility for 7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as significantly hign, ranging between 0.69- .96. Internal consistency was computed, and Cronbach's α for 7 subscales ranged between .76-.91 and .97 for the total score. Concurrent validity was computed by correlating the 7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ith the total score of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th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and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SCL-90-R). The correlations were all at significant levels. Discriminant validity was computed by comparing the total score and the 7 subscale scores of the patient and control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6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ith the exception being the aggression subscale. The depressive disorder group was highest in total scores of SRi among 4 patient groups, and showed a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total scores of SRI than each of anxiety disorder and psychosomatic disorder groups. In total scores of SRI, femal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ones, and subjects with lower incom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 higher income.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RI is highly reliable and valid, and that it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measure of stress for research in stress-related fields. It is suggested that depressive disorder group is more susceptible to stress than any other patient groups.

      • KCI등재

        IRT 수직척도의 자료수집방법과 추정방법에 따른 피험자 능력점수의 성장패턴과 척도변동성

        박인용(In-Yong Park),이규민(Guemin Lee),강상진(Sang-Jin K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2

        이 연구에서는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여 수직척도를 개발할 때 자료수집방법과 추정방법에 따라 산출되는 수직척도에서의 성장패턴과 척도변동성을 탐색하였다. 척도검사설계 방법과 공통문항설계방법을 반영한 자료를 모의실험을 통해 생성하였으며 각 자료수집방법별 동시추정방법과 분리추정방법을 적용하여 수직척도를 개발하고 각 방법에서 성장패턴과 척도변동성 추정치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공통문항설계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동시추정방법으로 수직척도를 개발하였을 때 가장 오차가 크게 산출되었으며, 척도검사설계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동시추정방법으로 수직척도를 개발하였을 때 산출된 성장패턴과 척도변동성이 가장 양호하였다. 각 자료수집방법별 추정방법 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자료수집방법 간에는 전반적으로 척도검사설계방법을 통해 개발된 수직척도에서의 성장패턴과 척도변동성이 공통문항설계방법을 통해 개발된 수직척도에서보다 상대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산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relative appropriateness methods of constructing IRT vertical scal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qualities of growth pattern and scale variability on IRT vertical scales based on different calibration methods and data collection designs. Scaling test design and common item design were considered in data generation procedure. Concurrent and separate calibration were used to construct vertical scales. Concurrent calibration method in common item design yielded the worst quality of growth pattern and scale variability while concurrent calibration method in scaling test design yielded the best quality of growth pattern and scale variability. The difference between calibration methods in quality of growth pattern and scale variability was negligible in each data collection design. However, the qualities of growth pattern and scale variability in scaling test design was superior to those in common item design based on each calibration methods.

      • 분노반응척도의 개발과 임상적 적용

        고경봉,박중규,김찬형,김도훈,Koh, Kyung-Bong,Park, Joong-Kyu,Kim, Chan-Hyung,Kim, Do-Hoo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4 정신신체의학 Vol.12 No.2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분노반응 척도를 개발하고 임상에 적용하고자 하는 데 있다. 방법: 성인 정상인 123명을 대상으로 분노반응 척도 예비설문을 시행하여 16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그 다음에 이 문항들이 포함된 설문을 정상인 25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척도의 임상적 적용은 환자군 189명(불안장애 59명, 우울장애 72명, 신체형장애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이 자료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4개의 하위요인 즉 공격성반응, 짜증반응, 도피반응, 분노억압반응이 추출되었다. 상기 척도의 신뢰도는 정상인 53명에게 2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를 시행, 분석한 결과 4개 하위척도 점수와 척도 전체 점수간의 상관계수가 .53-.71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한편 내적 일치도는 4개 하위척도의 Cronbach's ${\alpha}$가 .62-.72, 척도 전체의 Cronbach's ${\alpha}$가 .76로 유의한 수준을 보였다. 공존 타당도의 평가는 공격성질문지 (Aggression Questionnaire) 총점, 상태-특성분노표출척도(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스트레스반응척도(Stress Response Inventory)의 분노 및 공격성 하위척도,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의 적대감 하위척도를 사용하였다. 환자군과 정상군 간에 척도의 전체 점수와 하위척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도피반응과 분노억압반응 하위척도에서만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공격성 및 짜증반응, 척도 전체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도피반응 하위척도 점수에서 우울장애군과 신체형장애군은 각각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들은 분노반응 척도가 신뢰도 및 타당도가 모두 유의한 수준의 도구이고, 특히 도피반응은 우울장애군 및 신체형장애군의 특징적인 분노반응일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nger Response Scale(ARS), and then to use the scale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First,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or 123 healthy adults to obtain 16 response items. Secon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58 healthy subjects. Third, a comparison was made regarding anger responses among 189 patients(59 with anxiety disorder, 72 with depressive disorder and 58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258 healthy subjects. Results : Factor analysis yielded 4 subscales : aggression, irritability, avoidance and anger suppression. Reliability was computed by administering the ARS to 53 healthy subjects during a 2-week interval. Test-retest reliability for 4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as significantly high, ranging between .53-.71. Cronbach's ${\alpha}$ for 4 subscales ranged between .62-.72, and .76 for the total score. Convergent validity was computed by correlating the 4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ith the total score of Aggression Questionnair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anger and aggression subscale of Stress Response Inventory and hostility subscale of Symptom Checklist-90-Revised. The disorder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group in scores of the avoidance and anger suppression subacale. The depressive disorder and somatoform disorder group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the avoidance subscale than the normal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RS is highly reliable and valid. In addition, avoidance response is likely to be a characteristic anger response of the depressive disorder and somatoform disorder groups.

      • KCI등재후보

        사랑척도 연구의 동향과 과제

        김종일 ( Jong Il Kim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3 동서정신과학 Vol.16 No.1

        본 연구는 사랑에 관한 과학적 연구 업적 중에서 사랑척도의 연구 동향과 과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68년부터 2001년 까지 발표된 사랑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척도 총 13개 중에서 최종 8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척도의 평정을 위해 상담심리전공자 5명이 평정자로 참여하였고, 선정기준으로는 첫째, 사랑을 평가하는 척도일 것, 둘째, 주요 요인이 사랑양상 을 측정하는 것으로 구성될 것, 셋째, 임상과 연구에 활용된 것, 넷째, 주요 학술DB를 통해 관련 키워드 검색이 가능해야 하고, 원문이 제공되거나 관련 정보가 수록된 자료로 하였다. 먼저, 주요 사랑척도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목적, 정의, 척도유형, 규준정보, 신뢰도와 타당도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사랑척도의 주요 목적은 이성관계, 부부관계, 연인관계에서의 낭만적 사랑, 자비적 사랑, 사랑 태도, 낭만과 비낭만, 사랑유형, 열정적 감정, 사랑하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것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동향이 있었다. 둘째, 사랑에 대한 정의는 두 개의 척도에서만 조작적 정의를 제공하였고, 이론적 토대가 없거나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사랑척도는 모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고, 연구대상을 고등학생, 대학생, 교수, 죄수 등을 적은 규모로 표집하여 일반화하기 어려운 제한점을 보였다. 또한 신뢰도는 모든 척도가 높은 신뢰수준을 보여 일관성과 안정성을 확보하였고, 타당도는 타당화된 척도와 부분적으로 타당도가 불균형한 척도가 있었다. 이와 같이 사랑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들의 목적은 이성관계, 부부관계, 연인관계에서 사랑의 감정, 태도, 유형 등을 측정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사랑이 개인의 행복, 불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 정신건강의 결정적 역할, 그리고 심리적 적응수준을 알기 위한 정신건강 예측 변인으로서의 사랑척도를 연구 할 필요성이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사랑척도 개발에 필요한 향후 연구 과제로 구인 연구, 새로운 이론의 계발을 위한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의 체계화, 피실험자의 특성을 일반화할 수 있는 연구와 척도의 타당화 연구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trend of research on love scale and research issues among the scientific achievements about love. To achieve this, the final 8 subject of study is selected among 13 scales which were announced from1968 to 2001 for measuring love. To rate an object scale of study, 5 counselling psychology specialis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llowing statements are the standards of selection. First, they must be a scale for evaluating love. Second, they must be consisted of measuring love aspect. Third, they must be consisted of the theory related to love. Forth, they were selected among mainly used in clinic and research at home and abroad. First, to analysis the research trend of main love scales related to love selected, they were classified by the purpose, the definition, the scale type, the criterion information, reliability, validity, etc. Following statements are the result. First, main purpose of love scale is the research trend to measure the ability of forming romantic love, compassionate love, love attitude, romance and non-romance, love type, passionate emotion, and close relationship in heterosexual, conjugal relations and romantic relationship. Second, there were operant definitions on the love in two scales, there were no theoretical basis and operant definition on the component in the other scales. And all love scales are consist of Lickert scale, because research objects were sampled small scale as high school student, university student, professor, prisoner, etc, there was a limitation to generalize. Also there were high reliability on all scales to ensure consistency and stability, there were validated scales and some imbalanced scales which were partially validated. The purpose of research was focused on the love emotions, attitudes, types in heterosexual, conjugal relationship, romantic relationship. By this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ediction factors as mental health to find the psychological factor, the decisive role of mental health and the psychological adaption level which influence on love. And I suggested construct researches,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the systematization of operant definition, and the propriety research of scales as next research subject for developing love scales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