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 척도형용사의 대조 연구 -「많다(多い)」와 「깊다(深い)」를 중심으로-

        유은성 한국일어교육학회 2018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3

        The present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Korean and Japanese measure adjectives, with a focus on the Korean adjectives manhta and kiphta and the Japanese adjectives ooi and hukai, both within the cross-language pair and with other synonymous measure adjectives. The Japanese ooi differs from the other adjectives in terms of its qualitative property since it is not usually employed as a degree modifier in combination with gradable nouns, and, even when used jointly with gradable nouns, it largely retains its numerical sense. However, unlike ooi, the Korean manhta is widely used as a degree marker – it can not only denote a numerical sense but also often replaces other measure adjectives such as khuta and nophta. The Japanese collocations noun(postposition)+ooi and ookuno+noun chiefly correspond with the Korean manhta and manhun, respectively. However, the Korean collocations noun (postposition)+manhta and manhun+noun correspond not with the Japanese ooi but with other Japanese measure adjectives such as ookii or takai. The above Korean usages mostly allow the use of the other measure adjectives used as degree markers such as khuta and nophta.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the Japanese hukai usually translates not as its Korean direct equivalent kiphta, but as manhta. 본고에서는 정도명사와 결합하여 정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형용사 중, 한국어 「많다」와 「깊다」, 일본어 「多 い」와 「深い」를 중심으로 다른 척도형용사와의 유의 관계 및 한・일 대응 관계를 대조 고찰하였다. 한국어 「많다」 는 일본어 「多い」와 달리, 수량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크다」,「높다」등 다른 척도형용사와 교체될 수 있는, 정도의크기를 나타내는 의미용법이 활발한 점을 통해 일본어 「많다」와 달리 정도성을 나타내는 데에 다용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어 「名詞+多い」,「多くの+名詞」 용례는 대부분 한국어 「명사+많다」,「많은+명사」에 대응되지만, 정도성의 의미가 강한 「명사+많다」,「많은+명사」는 대부분 일본어의 「名詞+多い」, 「多くの +名詞」에 대응되지 않고, 「大きい/大きな」,「高い」등 다른 척도형용사 연어 형식에 대응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경우 한국어에서도 「크다」,「높다」 등과 같은 대표적 척도형용사와 교체할 수 있는 경우도 많았지만, 한국어 「많다/많은」이 「深い」에 대응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점은 「깊다」와 「深い」 용례에 대한 대응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와의 대조를 통해서 한국어 「많다」는 「크다」「높다」 등 다른 척도형용사와 같이 정도성을 나타내는 데에 다용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어 차등비교구문에서의 ‘더’와 ‘덜’의 분포 연구

        우순조 ( Woo Soon-jo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8 No.-

        이 논문은 한국어 차등 비교 구문에서 보이는 ‘더’와 ‘덜’의 분포가 비교 구문 술어의 특성에 따라 좌우되는 개별적인 현상이라고 보는 학계 일각의 견해와는 달리, 이들의 실현 여부가 철저히 일반 원리에 의해 지배되는 현상임을 밝힘으로써 비교구문의 통사적 본질을 규명하는 데에 필요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명시적 척도 표현’과 ‘묵시적 척도 표현’, 그리고 비척도 표현이라는 용어를 도입한다. ‘명시적 척도 표현’은 대체로 정도성 형용사와 일치한다. ‘묵시적 척도 표현’은 비교 구문을 허용하는 동사를 가리킨다. 마지막으로 ‘비척도 표현’이란 비교 구문을 허용하지 않는 술어들을 가리킨다. 이 논문은 명시적 척도 표현이 모문 술어로 쓰인 문장에서 ‘더’가 자유롭게 생략될 수 있음을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왜 ‘덜’이 절대로 생략될 수 없는지에 대해 자연스러운 설명의 토대를 이룬다는 점을 보인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더’는 명시적 척도 표현에서 자유롭게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생략된 표현의 의미 역시 생략되기 전의 표현의 의미와 일치한다. 따라서 ‘덜’이 쓰인 문장에서 ‘덜’을 생략할 경우 ‘더’가 쓰인 문장에서 ‘더’가 생략된 문장과 형식적으로 완전히 일치하게 된다. 그리고 그 때의 의미는 ‘더’가 생략된 문장의 의미로 해석되는 것이 일차적이다. 이러한 결과는 화자의 의도에 반하는 것이므로 본래의 의미를 온전히 표현하기 위해서는 ‘덜’의 생략이 허용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또한 동사 술어 구문에서의 ‘더’의 실현이 명시적 척도 표현의 존재에 민감함을 밝혔다: 일반적으로 말하여 한국어에서 동사는 묵시적 척도 표현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이들은 자체적으로는 ‘-보다’ 성분을 문장 안으로 이끌어 들일 수 없다. ‘-보다’ 성분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명시적 척도 표현이 필요하다. 그런데, 명시적 척도 표현이 있을 경우에 ‘더’의 생략은 자유롭다. 그리고 그 이유는 명시적 척도 표현이 술어로 쓰인 문장의 경우와 동일하다. 한편, 명시적 척도 표현이 없는 경우에 동사가 술어로 쓰인 문장의 비교 구문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더’의 생략이 허용되지 않는다. 이 논문은 이러한 현상이 동사 술어 구문에서 ‘-보다’ 성분이 ‘더’에 의해 도입되는 것이 아니라 명시적 척도 표현에 의해 도입된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the distribution of ‘de' and 'del' in Korean comparative construction does not depend on each constructions characteristic, but is totally governed by a general principle. In order to do so, this paper introduces some terms; Explicit scale expression, implicit scale expression, and non-scale expression are those. Explicit scale expression roughly coincide with degree adjectives. Implicit expression are verbs that allow comparative constructions. Non-scale expressions are those predicates that do not allow comparative construction. This paper shows that 'de' is freely deleted in the comparative constructions that have explicit scale expressions as matrix predicate. This phenomena provides natural explanation on why 'del' can not be deleted at all. The reason is as follows; 'de' is freely deleted in comparative constructions, and the interpretations remains the same as before it is deleted. The comparative constructions with 'del' come to coincide with those with 'de' when del is deleted. So that the interpretation of 'del' constructions can not be distinguished from that of 'de' construction. This is contrary to the speaker's intention. That's why 'del' can not be deleted. This paper also explains asymmetric distribution of 'de' and 'del' in comparative constructions with verb predicate. Generally speaking, verb predicates are implicit scale expressions in Korean. So that they can not introduce '-boda' constituent by themselves. 'De' is freely deleted in comparative constructions with verb predicate on condition that there exists a overt explicit scale expression. Meanwhile, 'de' is not deleted when there is no explicit scale expression. This phenomena implies that '-boda' constituent is not introduced by 'de', but by explicit scale expression. This phenomena provides some hint about the morpho-systactic nature of the so-called 'i' derived adverbs such as 'manhi' and 'melli' which roughly mean "many/much" and "far" respectively. This paper shows that 'de' can not be deleted in case that explicit scale expression is deleted in comparative constructions with verb predicates. The reason why explicit scale can be deleted lies in the fact that it can be predicted via semantic properties of argument classes of the verb predicates.

      • KCI등재

        현대중국어 ‘(S)+A<sub>asp</sub>+O’ 구문의 결합 양상 및 의미 확장

        이아형 ( Lee Ahyoung ),정인정 ( Jung Injung ) 한국중국학회 2023 중국학보 Vol.103 No.-

        본 연구는 색채 형용사(红, 黑)와 척도 형용사(高, 低, 大, 肥)가 ‘(S)+A<sub>asp</sub>+O' 구문에서 활용될 때 발생하는 의미 해석 및 확장을 비대격 구문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주요 논지로 하고 있다. 6종 형용사와 상표지 ‘A<sub>asp</sub>'가 목적어 자리에 결합하는 성분들을 도표로 작성하고, 도표에 작성된 의미항을 기준으로 각 의미항의 비대격, 능격, 타동 용법을 바탕으로 의미 지도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A<sub>asp</sub>'에서 ‘了/着’와 결합한 후 목적어 성분을 가지는 경우는 비교적 빈번하게 발견되는 반면, ‘过’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다음으로 색채 형용사와 척도 형용사를 구분하여 보았을 때 색채 형용사는 ‘了/着/过’ 전체와 결합한 후 목적어 자리에 다양한 성분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본 의미부터 확장의미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의미 확장 부분에서 같은 목적어 성분을 가지면서도 화용적으로 다양한 감정표현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다수의 예문이 비대격 및 능격성을 가지고 타동성을 가지는 예문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반면 척도 형용사의 경우 상표지 ‘了/着'와만 빈번하게 결합하며, 상표지 ‘过’와 결합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있더라도 예문이 극소수에 불과하였다. 또한 색채 형용사와 비교했을 때 척도 형용사의 ‘(S)+A<sub>asp</sub>+O' 구문은 의미 분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의미분화는 비교적 단순하지만 일부 형용사 속성의 특징에 따라 ‘低’는 타동성이 두드러졌으며, ‘肥’는 능격성이 두드러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semantic interpretations and meaning extensions of color adjectives (红, 黑) and scale adjectives (高, 低, 大, 肥) used in the ‘(S)+A<sub>asp</sub>+O’ co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unaccusativity. For the adjectives taking an object in Mandarin Chinese, existing studies focused on their event structure and predicate meaning. This paper focuses on the argument component and combinatorial patterns with ‘A<sub>asp</sub>’. According to the thesis of this paper,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unaccusative, ergative, and transitive usage of ‘(S)+A<sub>asp</sub>+O’ is the semantic role of the subject and the form of the object. In unaccusative usage, the semantic role of the subject comes with experiencer, time, locative, etc. No component is added when the theme argument is placed before the predicate. When ‘(S)+A<sub>asp</sub>+O’ is interpreted as an ergative usage, the subject argument is the causer, and ‘使’ is added when the object component is transposed. When ‘(S)+A<sub>asp</sub>+O’ has transitive usage, the subject argument is the agent, and ‘把’ is added when the object component is transposed. Regarding the extension meanings of color/scale adjectives, they can have various components in the objects. These adjectives are used in various ways from the basic meaning to the extended meaning and can be interpreted as abstract meanings such as emotional expressions that can be created as various semantic maps.

      • KCI등재

        현대중국어 ‘(S)+Aasp+O’ 구문의 결합 양상 및 의미 확장

        이아형,정인정 한국중국학회 2023 중국학보 Vol.103 No.-

        This paper discusses the semantic interpretations and meaning extensions of color adjectives (红, 黑) and scale adjectives (高, 低, 大, 肥) used in the ‘(S)+Aasp+O’ co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unaccusativity. For the adjectives taking an object in Mandarin Chinese, existing studies focused on their event structure and predicate meaning. This paper focuses on the argument component and combinatorial patterns with ‘Aasp’. According to the thesis of this paper,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unaccusative, ergative, and transitive usage of ‘(S)+Aasp+O’ is the semantic role of the subject and the form of the object. In unaccusative usage, the semantic role of the subject comes with experiencer, time, locative, etc. No component is added when the theme argument is placed before the predicate. When ‘(S)+Aasp+O’ is interpreted as an ergative usage, the subject argument is the causer, and ‘使’ is added when the object component is transposed. When ‘(S)+Aasp+O’ has transitive usage, the subject argument is the agent, and ‘把’ is added when the object component is transposed. Regarding the extension meanings of color/scale adjectives, they can have various components in the objects. These adjectives are used in various ways from the basic meaning to the extended meaning and can be interpreted as abstract meanings such as emotional expressions that can be created as various semantic maps. 본 연구는 색채 형용사(红, 黑)와 척도 형용사(高, 低, 大, 肥)가 ‘(S)+Aasp+O' 구문에서 활용될 때 발생하는 의미 해석 및 확장을 비대격 구문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주요 논지로 하고 있다. 6종 형용사와 상표지 ‘Aasp'가 목적어 자리에 결합하는 성분들을 도표로 작성하고, 도표에 작성된 의미항을 기준으로 각 의미항의 비대격, 능격, 타동 용법을 바탕으로 의미 지도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Aasp'에서 ‘了/着’와 결합한 후 목적어 성분을 가지는 경우는 비교적 빈번하게 발견되는 반면, ‘过’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다음으로 색채 형용사와 척도 형용사를 구분하여 보았을 때 색채 형용사는 ‘了/着/过’ 전체와 결합한 후 목적어 자리에 다양한 성분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본 의미부터 확장의미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의미 확장 부분에서 같은 목적어 성분을 가지면서도 화용적으로 다양한 감정표현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다수의 예문이 비대격 및 능격성을 가지고 타동성을 가지는 예문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반면 척도 형용사의 경우 상표지 ‘了/着'와만 빈번하게 결합하며, 상표지 ‘过’와 결합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있더라도 예문이 극소수에 불과하였다. 또한 색채 형용사와 비교했을 때 척도 형용사의 ‘(S)+Aasp+O' 구문은 의미 분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의미분화는 비교적 단순하지만 일부 형용사 속성의 특징에 따라 ‘低’는 타동성이 두드러졌으며, ‘肥’는 능격성이 두드러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한 의류소재 이미지의 평가

        이정순 ( Jung Soon Lee ),신혜원 ( Hye Won Shin ) 한국감성과학회 2002 춘계학술대회 Vol.2002 No.-

        본 연구에서는 피륙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촉감, 태 이외에도 색채, 무의 등 여러 요소들의 영향을 받아 복합적으로 표현되는 의류소재의 총체적인 개념인 의류소재 이미지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들은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의류소재 이미지의 평가를 위한 축을 개발해 보았다. 1995년부터 2000년까지의 Texjournal과 인터패션플래닝에서 발간되는 98/99FW부터 0255까지 트렌드 북에서 소재를 설명하는 형용사를 조사하여 유사한 형용사를 통합 처리하여 87개의 형용사를 최종 추출하여 형용사쌍을 만들고 소재 자극 없이 형용사쌍이 주는 소재이미지만을 가지고 쌍비교법을 통해 유사성을 7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87개의 형용사의 평가차원을 살펴보았다. 의류소재 이미지를 평가하는 축을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하여 개발한 결과 ``남성적-여성적``, ``새로운-낡은 듯한``, ``캐주얼-클래식``, ``모호한-정돈된``의 4가지 차원의 8개축이 개발되었다.

      • KCI등재

        우울과 불안의 변별적 진단을 위한 다차원 정서 척도의 개발

        한국융합학회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0

        우울과 불안은 진단 기준, 관련 이론, 증상 등에서 유사한 점이 많아 기존의 척도로는 서로를 변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가 우울, 불안과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는 선행 연구를 근거로 우울과 불안의 변별적 진단을 목적으로 하는 진단 척도를 개발하였다. 먼저 우울과 불안의 공통분을 제거한 편상관 계수를 기준으 로, 한 쪽에만 높은 상관을 나타내는 문항들을 찾아서 우울 및 불안에 대한 씨앗 척도를 구성하였다. 이 두 씨앗 척도를 독립변수로, 각 정서 문항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 회귀를 시행하여 회귀 계수를 구했으며, 이것을 우울과 불안 점수의 배점 으로 사용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정서 척도는 좋은 내적 일치도를 나타냈으며, 기존 척도와는 높은 상관을 가지면서도 서로 에 대한 상관은 더 낮았기 때문에, 기존 척도만큼 잘 측정하면서도 우울과 불안을 좀 더 잘 변별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실제 활용을 위해서 정서에 대한 문화적 특성을 보완하고, 보다 정교한 통계적 방법을 적용해야 할 것이며, 임상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타당화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depression and anxiety are the most popular mental disorders and not easy to distinguish because of their lots of similarities in the diagnostic criteria, related theories, and clinical symptoms. In this article, we developed the affect scale for distinguishable diagnosis, utili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the depression and anxiety. We made up the seed scale of the items which selected by partial correlation, and set the scoring up by multiple regression method. The Multi-dimentional affect scale is reliable and working similarly as the scales used before, but less correlated to each other. We conclude that the affect scale achieved the diagnosis for distinguish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Our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are to redeem the cultural differences, modify by the elaborate methods, and validate by the actual clinical data.

      • 우리말 맛 형용사 및 감성 평가 척도에 관한 연구

        은희주,김용성,이준환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3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erform the study on the adjective rating scale to be used in the quantitative taste sensory evaluation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adjectives expressing the tastes in Korean language and to analyze the relations among the five tastes, and the adjectives expressing them in Korean language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ased on which to use them as the sensory evaluation scale through the similarity rating of the adjectives expressing the tastes. 한국어의 맛 표현 형용사들을 수집․분석하여 맛의 정성적인 관능평가에 사용할 형용사 척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오미와 감칠맛 등을 표현하는 형용사들과의 관계도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맛 형용사의 유사성 평정을 통하여 관능평가 척도로 활용 하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 KCI등재후보

        척도형용사의 의미적 불확정성에 대한 연구

        정동규,Chung Dong-Gyu 한국독어학회 2004 독어학 Vol.10 No.-

        Ein sprachlicher Ausdruck ist in verschiedenen Situationen in einer Vielzahl unterschiedlicher Lesarten oder $Pr\"{a}zisierungen$ verwendbar, und zwar mil dom Grad an $Pr\"{a}zision$, der den jeweiligen kormmunikativen Erfordernissen angemessen ist. Sokommt Vagheit/$Ambiguit\"{a}t$ in sprachlichen Ausdrucken fast $durchg\"{a}ngig$ vol. In der vorliegenden Albeit wird die $M\"{o}glichkeit$ der semantischen $\"{U}bersetzung$ der Skalaradjektiven($gro{\ss}$, klein, $hei{\ss}$, kalt, schwer, leicht, schnell, langsam usw.) untersucht, die eigentlich die Vagheit als eine der konstitutiven Eigenschaften haben. Den Schwerpunkt $daf\"{u}r$ bildet die semantische Analyse $\"{u}ber$ die Graduierbarkeit und Vergleichbarkeit der Positivformen der Adjektiven, die vol allem M.J.Cresswell 1976 in seiner Albeit formuliert hat. V(pos) is the function $\eta$ in $D_{{\lll}{0,1}>,<{0,1}{\gg}.{\ll}{0,1,1},>,<{0.1}{\ggg}$ such that where ${\xi}{\in}D_{{\ll}{0,1,1},><{0,1}{\gg}$,$\eta({\xi})$ is the following function: For any ${\omega}{\in}D_{<0,1>$and a ${\in}D_1$ and w$\in$W, w${\in}{\eta}({\xi})({\omega})$(a) iff w ${\in}{\omega}$(a) and there is exactly one b such that ${\xi}({\omega})$(a,b); and for that b, b=<u, $\gg$(for some > and u ${\in}{ \scr}{Z}(>))$ and u is toward the top of the scale determined by > when restricted to those v such that for some c, w${\in} {\xi}({\omega})$$(c,{\;}<v,{\;} {\gg})$ and w${\in}{\omega}(c)$. (Cresswell, 1976: 272) Obwohl sein Verfahren anhnd von dem semantischen Symbol <pos> eine methodische und theoretische $Ad\"{a}quatheit$ erf\"{u}llt$, bleibt der Vergleichwert noch unterspezifiziert. Fur die Behandlung dieser semantischen Unterspezifikation ist eine neue Semantik erforderlich, die den Wahrheitwert fur die $Zugeh\"{o}rigkeitsgrade$ der Skalaradjektive $einschlie{\ss}t$.

      • KCI등재

        국어 차원형용사를 포함한 관용표현의 의미 척도 연구

        김억조(Kim, Eok-jo) 한국어문학회 2011 語文學 Vol.0 No.113

        The aim of this research is studying the scalar system of idiomatic expression including dimensional adjective in Korean. The Korean dimensional adjective uses from its basic meaning to extension meaning in space domain and has a more abstracted meaning as reaching idiomatic expression level. In the view of evaluating the value category of all lexicons, the idiomatic expression can also have its value category. The idiomatic expressions studied in this paper are from Idioms Dictionary (Park Yeongjun and Choi Gyeongbong 1996/1997) and an idiom list compiled by “"Sejong Idiomatic Expression Search Engine”" of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which is distributed by the 21C Sejong Project. The composition of this discussion is that the second chapter shows basic meaning and extension meaning of the dimensional adjective's scalar system. Then, the third chapter shows the three kinds of the idiomatic expression's scalar system including the dimensional adjective. In addi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idiomatic expression includes both or only one of the dimensional adjective’s supra and sub terms. The summary of this discussion is as follow. The Korean dimensional adjective is used as the basic meaning in space domain. If it is used as the extension meaning, meaning field itself is expanded. As expanding the meaning field, the dimensional adjective having only the meaning of [+SCALE] in the space domain also has the meaning of [+VALUE], so It has the both meaning of positive/ affirmative and negative. It is more abstracted in the idiomatic expression level, so a speaker uses the idiomatic expression for representing positive/affirmative and negative meaning feature of the idiomatic expression. The idiomatic expression having both supra and sub terms of the dimensional adjective is used oppositively, and there is also the case of using both the two 항 as a negative value scalar. In case of having only supra terms, there are mostly many expressions for representing negative feature. Therefore, it is the opposite of case that supra term is expanded to the positive value category in the extension meaning. Lastly, the idiomatic expression including only sub term is small in number and also its content mainly represents the negative value category.

      • 한국 전통음식의 세계화를 위한 맛 형용사에 대한 비교 연구

        은희주,김용성,이준환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2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 No.2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diversification languages‘ taste adjectives, the most important challenge for the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food. In this paper, the aim is to develop a plan that can be grad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sirable flavor to a taste rating scale. 본 논문은 전통음식의 세계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인 다양한 언어의 맛 형용사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맛의 호감 정도를 맛 평가 척도에 따라 등급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