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책판의 구조<SUB>構造</SUB> 연구

        박순(朴焞) 한국국학진흥원 2016 국학연구 Vol.0 No.30

        책판은 책을 인쇄하기 위해 글자를 거꾸로 새긴 나무판으로, 글씨를 새긴 판면과 마구리로 구성되어 있다. 책판의 가장 큰 장점은 오래 보존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난 뒤에도 같은 형태의 책을 다량으로 인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책판이 가진 이 장점을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책판의 변형이 없어야 하는데, <나무>라는 재질의 특성상 변형을 막을수 있는 완벽한 방법은 없으며, 다만 얼마나 오랜 시간 변형을 늦출수 있는지가 책판 보존의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 본고는 조선시대의 책판에 어떤 보존 기법이 남아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국학진흥원 장판각에 소장된 <유교책판>과 직접 현장에서 조사한 책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책판의 보존기법은 때로는 한 가지만, 때로는 복수적으로 각각의 책판에 적용되었으며, 특히 마구리와 책판의 두께가 책판의 변형을 방지하는데 상호 보완적인 관계가 있음도 부각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 다룬 내용은 목판 연구를 위한 아주 미약한 시작일 뿐 해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가 기다리고 있다.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며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던져 놓는다.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이 750년 동안 전해져 오고, 한국국학진흥원의 <유교책판>도 500년 이상 된 책판들이 다수 있다. 이 책판들은 현재는 잘 전승되고 있지만,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사라질 수밖에 없는 문화재들이다. 만약 후대의 필요에 의해 책판의 복각이 필요하다면 책판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보다 원형에 가까운 복각이 가능하다는 생각으로 본고의 작성을 시작하였다. 많은 보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관계학자들의 지적이 요구된다. Printing woodblocks are wooden plates that letters are carved reversely to print books. They are composed of printing plates and end pieces. As the strongest points of printing woodblocks, they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and books in the same forms can be printed abundantly. To maintain the advantages, there should be no deformation of printing woodblocks. On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wood, there is no perfect method to prevent the deformation. But, how long the deformation could be delayed was the most important assignment. This paper intended to examine what preservation methods are remained at printing woodblocks in the Joseon Dynasty. The targeted printing woodblocks were “Confucian printing woodblocks” which are housed in the woodblock archives in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ACKS) and other printing woodblocks which were investigated directly on spots. Although the preservation method was sometimes one, it was applied to each printing woodblock plurally. Especially, it was highlighted that there was complementary relation between end pieces and thickness of printing woodblocks in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printing woodblocks. This study’s topicis very improper to be handled in humanities and will be high in completeness after going through a lot of criticism and modification of relevant researchers later. Also, more objective consideration will be needed through turning various materials into data.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has been inherited to us for about 800 years. Also, there are innumerable printing woodblocks in Confucian printing woodblocks 500 years old and more. Even though these printing woodblocks are inherited to us well at present, they are cultural assets which cannot avoid disappearing in future. If their restoration is needed by necessity of future generations, with an idea that restoration nearer the original forms will be possible only after correct understanding of them, this paper came to be written. It is thought that lots of supplement is necessary and comments of related scholars are required.

      • KCI등재후보

        전주향교 완영책판(完營冊板) 보존현황 및 활용방안

        홍성덕,김철배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5 고문화 Vol.65 No.-

        본 연구는 전주향교에 소장되어 있는 完營冊板에 대한 조사연구이다. 완영책판은 조선시대 전라감영에서 서적을 간행할 때 사용하던 책판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朱子大全』『性理大全』 등 총 11종 4,290판이 보관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 조사한 결과 769개가 많은 총 10종 5.059개의 책판이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주향교에 소장되어 있는 완영책판의 종류는 『資治通鑑網目』, 『東醫寶鑑』, 『朱子大全』, 『栗谷全書』, 『性理大全』, 『增修無?錄諺解』, 『史記』, 『史略』, 『湖南三網錄』, 『朱書百選』 등 총 10종이다. 이들 서적을 모두 제작할 경우 책판은 10,621개 21.238면이 필요하다. 이를 기준으로 볼 때 장판각 소장 완영책판의 현존율은 책판 47.6%. 面數 46.3%이다. 또한 중복된 면이 219면이므로 실제적인 면수 현존율은 45.2%이다. 육안조사에 의한 충해피해의 정도는 5.51% 258개이며, 90.19%의 책판 4,562개에서는 쪼개짐이나 균열의 피해가 조사되었다. 이런 이유는, 책판 좌우에 있는 마구리를 떼어내는 과정에서 무리한 압력을 가하여 책판과 마구리를 고정하였던 철심부를 중심으로 가로로 쪼개지거나 균열이 발생하였기 때문으로, 마구리의 不存率이 92.2%인 점과 연관되어 있다. 탈첨자와 같은 補刻의 흔적은 2.89%인 292면에서 발견되었으며. 보각한편 4점이 책판 이송과정에서 수습되었다. 복각의 경우 총 216면이 2개 이상 복각되었고, 동일책판이 2개 복각된 것은 213개, 동일책판이 3개 복각된 것은 3개가 각각 보존되어 있다. 완영책판은 조선시대 지방 관청에서 사용한 책판으로는 유일한 것으로 문화재적 가치는 매우 크다. 특히 전라도 지역의 기록문화전통과 연계해 볼 때 완영책판의 효율적인 보존관리와 심도있는 조사연구가 요망된다. This study researches the publishing circumstances and the woodblocks used in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t Jeollado in Joseon dynasty. Wanyung woodblocks indicate the printing blocks which were used in Jeolla local office. Known so far, there were 11 sorts of 4,290 blocks existing there, including Seongridaejeon and Jujadaejeon. Actually, there has 10 sorts of 5,059 blocks been kept. They are Jachitonggam, Dongeuibogam, Jujadaejeon, Yulgokjeonseo, Seongridaejeon, Jeungsuwonrokeonhae, Sagi, Saryak, Honamsamgangrok, and Juseobaekseon. To print and bind all of the books mentioned above, 10,621 woodblocks and 21,238 pages are needed. Judging from this results, the current existing rate of jangpangak woodblocks is 47.6% of blocks and 46.3% of pages each. Considered the 219 redundant pages, the actual page rate is 45.2%. Damage from insects are investigated as 5.51 % and 90.19% of the woodblocks have been splitted or cracked by the examination of the naked eyes. The woodblocks were splitted or cracked by strong pressure around the nail on them when they were removed, and it had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absence rate of the handles of them, 92.2%. The traces of added or omitted words were discovered on 292 pages(2.89%), 3 revised letters were collected during transporting them. 216 pages of blocks were newly producted, 213 blocks were redundant, and 3 of them had 3 pages. Wanyung woodblocks are the only blocks that the local government office had in Joseon dynasty, so its value as cultural treasure is enormou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of Jeonju with the record culture tradition of Jeollado, the effective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and in-depth study is imperative.

      • KCI등재

        조선시대 책판의 구조構造 연구

        박순 한국국학진흥원 2016 국학연구 Vol.0 No.30

        Printing woodblocks are wooden plates that letters are carved reversely to print books. They are composed of printing plates and end pieces. As the strongest points of printing woodblocks, they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and books in the same forms can be printed abundantly. To maintain the advantages, there should be no deformation of printing woodblocks. On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wood, there is no perfect method to prevent the deformation. But, how long the deformation could be delayed was the most important assignment. This paper intended to examine what preservation methods are remained at printing woodblocks in the Joseon Dynasty. The targeted printing woodblocks were “Confucian printing woodblocks” which are housed in the woodblock archives in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ACKS) and other printing woodblocks which were investigated directly on spots. Although the preservation method was sometimes one, it was applied to each printing woodblock plurally. Especially, it was highlighted that there was complementary relation between end pieces and thickness of printing woodblocks in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printing woodblocks. This study’s topicis very improper to be handled in humanities and will be high in completeness after going through a lot of criticism and modification of relevant researchers later. Also, more objective consideration will be needed through turning various materials into data.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has been inherited to us for about 800 years. Also, there are innumerable printing woodblocks in Confucian printing woodblocks 500 years old and more. Even though these printing woodblocks are inherited to us well at present, they are cultural assets which cannot avoid disappearing in future. If their restoration is needed by necessity of future generations, with an idea that restoration nearer the original forms will be possible only after correct understanding of them, this paper came to be written. It is thought that lots of supplement is necessary and co㎜ents of related scholars are required. 책판은 책을 인쇄하기 위해 글자를 거꾸로 새긴 나무판으로, 글씨를 새긴 판면과 마구리로 구성되어 있다. 책판의 가장 큰 장점은 오래 보존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난 뒤에도 같은 형태의 책을 다량으로 인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책판이 가진 이 장점을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책판의 변형이 없어야 하는데, <나무>라는 재질의 특성상 변형을 막을 수 있는 완벽한 방법은 없으며, 다만 얼마나 오랜 시간 변형을 늦출 수 있는지가 책판 보존의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 본고는 조선시대의 책판에 어떤 보존 기법이 남아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국학진흥원 장판각에 소장된 <유교책판>과 직접 현장에서 조사한 책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책판의 보존기법은 때로는 한 가지만, 때로는 복수적으로 각각의 책판에 적용되었으며, 특히 마구리와 책판의 두께가 책판의 변형을 방지하는데 상호 보완적인 관계가 있음도 부각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 다룬 내용은 목판 연구를 위한 아주 미약한 시작일 뿐 해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가 기다리고 있다.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며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던져 놓는다.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이 750년 동안 전해져 오고, 한국국학진흥원의 <유교책판>도 500년 이상 된 책판들이 다수 있다. 이 책판들은 현재는 잘 전승되고 있지만,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사라질 수밖에 없는 문화재들이다. 만약 후대의 필요에 의해 책판의 복각이 필요하다면 책판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보다 원형에 가까운 복각이 가능하다는 생각으로 본고의 작성을 시작하였다. 많은 보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관계학자들의 지적이 요구된다.

      • KCI등재

        규장각 소장 령영장판(嶺營藏板)의 현황과 성격

        김남기 ( Kim Nam-ki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1

        규장각은 현재 104종 17,821장의 책판을 소장하고 있는데, 이들 책판은 조선후기 중앙과 지방 출판문화의 경향과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經部가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史部ㆍ子部ㆍ集部 등의 책판도 여러 종이 있다. 『奎章閣所藏冊板目錄』에서 잘못 분류한 책판을 재분류하여 규장각 소장 책판을 적시하면 경부 54종, 사부 13종, 자부 11종, 집부 26종이다. 이들 책 판은 주로 교육을 통한 유학의 진흥과 인재의 양성, 동시에 왕권의 강화와 臣民의 교화를 위한 목적에서 제작되었다. 규장각 소장 책판의 제작 기관은 內閣ㆍ芸閣ㆍ春坊 등 중앙 관서는 물론 이고, 嶺營과 寧邊府의 지방 藏板을 망라하고 있다. 그리고 책판의 제작 시 기는 18세기부터 19세기 후반까지이다. 여러 관서의 책판 중에서 영변부장판은 1805년, 내각장판 경부는 1820년, 영영장판은 1822년부터 1832년, 춘 방장판은 1875년과 1879년 사이에 제작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규장각 소장 책판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여러 기관의 책판이 이 관되었다. 1907년 이후 춘방 등의 책판이 帝室圖書로 이관되었다가 1913년 에 조선총독부로 옮겨졌는데, 이는 『朝鮮總督府參事官分室關係書類』 소장 책 판 목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영영과 영변부의 장판은 현재까지 이동 시기와 경로를 자세히 확인할 수 없지만 1913년 이후에 총독부가 주관하여 영영과 영변부의 책판을 이관하였고, 경복궁 千字庫에 보관하다가 1975년에 서울대학교에 이관한 것으로 추정된다. 규장각 소장 영영장판은 『논어언해』, 『논어집주대전』, 『맹자언해』, 『맹자 집주대전』, 『중용언해』, 『중용장구대전』, 『대학언해』, 『대학장구대전』, 『시경 언해』, 『시전대전』, 『서전언해』, 『서전대전』, 『주역언해』, 『주역대전전의』, 『상례비요』, 『소미가숙점교부음통감절요』, 『소학언해』 등 17종 4,139장이다. 경부가 15종, 사부와 자부가 각각 1종이다. 이들 책판은 주로 교육용 도서 간행을 위한 목적에서 제작되었는데, 조선후기 경상도의 출판문화를 대표하 는 중요한 자료이다. 규장각 소장 영변부장판, 전북대 박물관 소장 完營藏板 도 영영장판과 유사한 성격을 갖는다. 『奎章閣所藏冊板目錄』은 현재 미비한 점이 많기 때문에 향후 규장각 책판 에 대한 전면적이면서도 정밀한 조사ㆍ정리가 진행되어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책판의 제작과 간본의 보급, 책판의 이전 시기 및 경로 등에 대한 연구도 시급한 상황이다. 나아가 규장각 소장 영영장판과 영변부장판, 전북대 박물관 소장 완영장판에 대한 비교 연구는 물론이고, 여타 감영 책판 의 현존 여부 내지는 망실 이유에 대한 조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Kyujanggak now owns 104 kinds and 17,821 blocks of woodblocks published in the central and local areas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The woodblocks possessed by Kyujanggak are 54 kinds of Gyeongbu(經部), 13 kinds of Sabu(史部), 11 kinds of Jabu(子部) and 26 kinds of Jipbu(集部). These woodblocks were published mainly for the purpose of promotion of Confucianism through education, cultivation of talented individuals, consolidation of royal authority and reformation of subjects. The organizations that produced the woodblocks covered not only the central government agencies, such as Naegak(內閣), Wungak(芸閣) and Chunbang(春坊), but also local woodblocks of Yeongyeong(嶺營) and Yeongbyeonbu(寧邊府). And the period when the woodblocks were made was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latter of the 19th century. The woodblocks housed by Kyujanggak were transferred to a variety of organizations through different channels. After 1907, woodblocks such as Chunbang were transferred to Jesildoseo(帝室圖 書) and then moved to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13. The woodblocks in Yeongyeong and Yeongbyeonbu were transferred to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fter 1913, stored in Cheonjago(千字庫) of Gyeongbok Palace, and then moved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75. The Yeongyeongjangpans owned by Kyujanggak were 17 kinds and 4,139 blocks including Noneo Eonhae, Noneo Jipjudaejeon, Maengja Eonhae, Maengja Jipjudaejeon, Jungyong Eonhae, Jungyong Janggudaejeon, Daehak Eonhae, Daehak Janggudaejeon, Sigyeong Eonhae, Sijeon Daejeon, Seonjeon Eonhae, Seonjeon Daejeon, Juyeok Eonhae, Juyeok Daejeonjeoneui, Sangryebiyo, Somigasukjeomkyobueumronggamjeolyo, and sohak Eonhae. There are 15 kinds of Gyeongbu, one kind of Sabu and one Jabu. The woodblocks were produced as educational books led by Gamyeong of Gyeongsangdo from 1882 to 1892, and are important materials that represent the publication culture of Gyeongsangdo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冊板의 현황과 특징

        권기석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규장각 Vol.50 No.-

        본고는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책판의 현황과 특징을 더욱 상세히 파악하기 위해, 규장각 서고에 있는 책판 실물에 대한 조사와 아울러, 18~19세기 책판 목록들과 규장각 소장 책판을 활용한 인출본에 대한 분석 등을 병행하였다. 책판의 실물 조사 결과 간행기관(內閣, 春坊, 芸閣, 嶺營, 寧邊府 등) 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책판의 외형상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일부 刊記의 미확인으로 부족했던 간행 정보에 대한 보완이 가능했다. 책판 목록과의 대조를 통해 규장각 소장 책판의 간행처들이 동일 서적의 책판들을 장기간에 걸쳐 보관해 왔음을 알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전국적인 범위의 책판 관리 체계를 부분적으로나마 파악할 수 있었다. 인출본에 대한 분석은 규장각 소장 도서에 국한하였는데, 인출본에서 확인되는 印記와 內賜記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그 결과 중앙 관서에서 간행한 책판의 인출본은 주로 중앙정부에서 수집되어 활용된 도서들로 구성되어 있었고, 지방 책판의 인출본은 개인 소장본이 많았지만, 중앙 관서의 수요를 위해서 활용되는 비중이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규장각 소장 책판은 여러 기준으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시기적으로는 19세기 순조~고종대와 18세기 영조대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대체로 경전, 성리서, 역사서, 학습서 등 중앙정부와 왕실의 講學을 위한 책들이고, 후자는 국왕의 정치적 의지나 교훈을 담은 御製書라는 점에서 내용상으로 구별된다. 규장각 소장 책판의 간행처와 시기는 매우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지만, 중앙과 外方 사이의 통합적인 체계 속에서 책판의 간행과 인출, 보급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구체적인 양상에 대해서는 계속적인 고찰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창기 선생이 수집했던 조선시대 출판문화 관련 자료들

        유춘동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41 No.-

        이 글은 한창기 선생이 수집했던 조선시대 출판문화와 관련된 자료 중에서, 경판본 고소설 『월왕전』의 책판, 언문반절표의 책판, 다양한 서목이 기재되어 있는 책가도, 책을 보관했던 책궤, 액막이를 위한 부적 책판을 검 토하면서 이 자료들이 지닌 의미를 다루어 보았다. 경판본 『월왕전』의 책판은 총 여섯 판이 남아있는데, 현재까지 알려진 경판본의 책판으로는 유일하다. 이 책 판에는 “油洞新刊”이라는 간기가 새겨져 있어, 현재 을지로 부근으로 추정되는 지역의 경판본 방각소였던 유동 에서 책판이 제작되고 간행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책판은 경판본 『월왕전』<3권3책(63장본)>의 <하 19장>의 책판으로 확정할 수 있다. 언문반절표의 책판은 삼성출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책판만 확인되었는데, 이 박물관에도 소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책판은 간기 부분이 지워져 있어서 정확한 제작연대를 알 수 없지만 정축신간반절표(丁丑 新刊反切表, 1877)와 기축신간반절표(己丑新刊反切表, 1889)가 간행되었던 무렵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여덟 폭으로 구성된 책가도에는 당시에 인기 있었던 28종 책들을 기재해 두었던 것이 특징이다. 이 서목에는 사서삼경 이외에 『삼국지』, 『수호전』, 『서상기』와 같은 중국소설이 존재한다. 책가도를 통해서 중국소설이 인기등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책궤를 통해서는 상층 사대부 집안에서 책이 어떻게 보관되고 관리되 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박물관에는 삼두매 부적 책판이 소장되어 있다. 이 부적은 삼재(三災)를 막아주는 액막이로 현재까지도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이 책판은 삼두매 부적의 제작 과정, 기원과 역사를 가늠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writing examines prints of Seoul wood block printed book ‘Wolwangjeon’, prints of the Korean alphabet, scholar's accoutrements listing various book titles, book boxes storing books and prints of talisman preventing misfortune among materials related to the publishing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collected by the scholar, Han Chang-gi, to review their significance. The summary of the content covered is as follows. A total of six prints of Seoul wood block printed book ‘Wolwangjeon’ remain, which are confirmed to be the only prints of Seoul wood block printed book known so far. This prints have an imprint of “YuDongShinGan( 由洞新刊)” to show that they were produced and published by a Seoul wood block printed book publishing company “YuDong(由洞)” located near current Euljiro. These prints were determined to be the second 19 chapter of the 63 collection of books upon review and Hannambookstore(翰南書林) took over the prints after to continue to publish them until the early part of Daejeong Yeongan. The prints of the Korean alphabet were the prints housed in Samsung Museum of Publishing so far with new discovery of prints owned by the museum. These prints had the imprint erased failing to reveal an exact date of production. However, they are estimated to date back to Jeong Chuk Shin Gan Alphabet Table(1877) and Gi Chuk Shin Gan Alphabet Table(1889) that include imprints and carry similar content and formats. The 8-fold scholar's accoutrements notably list 28 books that were popular at that time. The book titles include the seven Chinese classics that were the required reading for the learned as well as Chinese novels such as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Su Ho Jeon and the Story of the Western Wing. The books listed in the scholar's accoutrements demonstrate the popularity of Chinese novels at that time in a factual and visual manner. Additionally, the scholar's accoutrements show how books were maintained and stored in a family of noble class back then. The museum also possess SamDu(三頭) Mae prints of talisman in the Korean alphabet. This talisman was widely used by people of that time to prevent three kinds of misfortune. Only books in print were found so far while these prints provided new information related to how they were published.

      • 상주 동학교와 동학가사 책판 및 판본 연구

        김용만 ( Yong Man Kim ),김문기 ( Mun Kie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9 No.-

        상주 동학교는 김주희(1860-1944)가 1915년경에 설립한 동학의 한 분파로서 1904년경에 설립된 경천교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혁명적인 개혁보다는 선천회복을 지향하는 종교적인 면을 중시하였다. 상주 동학교당에서는 1922년부터 전적 간행을 시작하여 1927~28년 사이에 동경대전, 궁을경 등 동학의 경전과 용담유사 등 동학가사를 대대적으로 간행하였다.6차에 걸친 학술조사 결과, 동학교당 소장 유물은 289종 1425점임이 확인되었다. 이 중에는 동학관련 典籍이 135종 172점, 服飾이 8종 38점, 冊版이 65종 793판, 其他遺物이 81종 422점이 있다. 793판의 책판 중에는 동학경전 책판이 7종 32판, 동학가사 책판이 709판, 기타 책판이 2판이 있고 709판의 동학가사 책판 중에는 국한문가사 책판이 354판, 국문가사 책판이 355판이 있다. 원래는 39종의 가사책을 국한문 책판과 국문 책판 2종류로 새겨 간행했는데 日警과 總督府의 검열을 거치는 가운데 유실되거나 반환 받지 못한 책판들이 있었기 때문에 현재는 39종의 가사책 중에서 국한문 책판과 국문 책판이 모두 남아 있는 것은 21종이며 제10 창화가, 제26 몽중서, 제36 궁을가, 제37 지시개명가 등 4책의 책판은 국한문 책판과 국문 책판 2종류 모두 없어지고 말았다.책판은 주로 배나무, 감나무 등 상주 인근에서 구하기 쉬운 잡목을 소재로 하여 새겼으며 版心은 주로 上下內向黑魚尾 또는 上下內向四瓣花紋魚尾로 되어 있다. 책판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나 가로가 대체로 45~46cm(마구리 포함)이고 세로가 30cm 정도, 판의 두께는 2cm 전후이며 판의 무게는 1.6kg~2kg 정도이다. 책판을 면밀히 조사해 본 결과, 택선수덕가국문책판은 舊版과 新版이 함께 소장되어 있으며 일본 경찰에 압수당하여 회수하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던 개명공산가, 등 2종의 책판이 전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판본 가사책은 東學歌辭 冊版 권1부터 권40까지를 찍어낸 歌辭冊으로서 국문본과 국한문본으로 나누어지는데 국문본 동학가사책은 37종 39책이, 국한문본 동학가사책은 34종 35책이 전하고 있다.특히, 동학가사 책판 및 판본의 가치와 의의는 동학사상과 동학의 사적 변모과정을 연구하는데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자료가 된다는 점, 가사문학 연구, 특히 동학가사 연구를 위한 資料의 寶庫라는 점, 서민문학의 특징과 한말의 서민의식을 밝히는 결정적인 자료가 된다는 점, 한국 인쇄문화 연구의 귀중한 자료 역할을 한다는 점 등이다.

      • KCI등재

        『東醫寶鑑』의 국내책판 간행시기와 중국본 역유입 배경 고찰

        박현규(Park Hyun kyu)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5 No.2

        본 논문은 조선에서 간행된 『동의보감』 책판들의 각판 시기와 중국판 『동의보감』이 한반도로 역유입된 제반 사항을 고찰한 것이다. 1610년(광해군 2)에 허준에 의해 『동의보감』이 편찬 완료되었고, 1613년(광해군 5)에 목활자본 최초로 인출한 책자가 나왔다. 그 후 조선 시대에 목판에 각자한 책판이 4차례 만들어졌다. 첫 번째 책판은 현존 무간기본 책자, 즉 1635년(인조 13)에 전라도에서 각판되었다. 예전에 인출된 목활자본이 찾아보기 힘들게 되자 후대에 산실될까 두려워 전라도에서 각판되었다. 두 번째 책판은 “甲戌完營重刊本” 간기가 들어간 책자, 즉 1694년(숙종 20)에 전라도에서 각판되었다. 기존 전라도 책판이 완폐되어 더 이상 인출할 수 없게 되자, 전라도에서 새로운 책판이 각판되었다. 세 번째 책판은 “己亥嶺營開刊本” 간기가 들어간 책자, 즉 1659년(효종 10) 또는 1719년(숙종 45)에 경상도에서 각판되었다. 네 번째 책판은 “甲戌嶺營開刊本” 간기가 들어간 책자, 즉 1754년(영조 30)에 경상도에서 각판되었다. 전라도 책판에 오각이 너무 많아 문제점이 많다며 영남에서 새로운 책판이 조성되었다. 현존 기록에 의하면 『동의보감』이 17세기 중엽에 중국에 유입되었고, 18세기 중엽부터 상업적인 출판이 이루어져 20세기 중엽까지 모두 17종이 나왔다. 중국 대륙에 들어간 조선 사절들이 중국판 『동의보감』을 살펴보거나 구매해서 한반도로 가져온 사례는 꽤나 많다. 특히 한중 양국 간에 국제 교역이 활발해진 임오군란 이후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상업적인 차원에서 訂正東醫寶鑑 계통의 중국판 책자를 수입 판매하는 경우가 급증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한마디로 수요와 공급의 차이에서 나왔다. 국내 인사들이 『동의보감』을 소유하고자 하는 수요양은 많았으나, 당시 관아에서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는 조선 책판으로만 공급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 1926년에 경성 박문서관에서 訂正東醫寶鑑 중국판 계통본을 저본으로 삼아 석인본으로 상업적인 출판에 나섰다. 그래서 중국판이 가지고 있는 상업적 인쇄가 『동의보감』의 본 고향인 한반도까지 상당한 파급력을 미쳤다. In this study, I have studied publication periods of Donguibogam editions that were published in Joseon and all the matters on the influx of Donguibogam of Chinese edition back into Korea. Donguibogam was compiled by Heo Jun in 1610, and it’s” first edition printed by wooden types was published in 1613. Thereafter, four different woodblock editions were publish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first edtion, an extant edition without colophon, was published in Jeolla-do in 1635. The motivation of the publishing the new edition was in fear of loss in future because it became hard to find editions of wooden type published before. The second edition was published in Jeolla-do in 1694. A new woodblock was made in Jeolla-do as existing Jeolla-do editions could not print anymore because they were all in bad condition. The third edition was published in Youngnam-do in 1659 or 1719. The fourth one was published in 1754 in Youngnam-do. The new woodblock was made because Jeolla-do editions had many problems in that many characters in the edition wrongly carved. According to existing records, Donguibogam was influxed into China in the sixteenth century, commercial publication was made from the middle of seventeenth century, and 17 kinds of commercial editions came out until the mid of twentieth century. We can find many cases of Joseon’s diplomatic envoys who looked into Chinese edition of Donguibogam and purchased them to bring them back home from China. Especially, the import of Chinese edition of corrected Donguibogam was increased rapidly from the Military Rebellion in the Nineteenth Year of the 60 year cycle when international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became active at the period of being occupied by Japan. Such a phenomenon, in a word, came from the disparity between demand and supply. The supply of Joseon edition which was highly regulated by government offices was far too little while the amount of demand of home readers who wanted to possess Donguibogam. Bakmun seogwan in Seoul in 1926 launched commercial publication of lithographic edition which was based on the Chinese edition of corrected Donguibogam. Therefore, the commercial printing of Chinese edition had a considerable power of influence on Korea, the homeland of Donguibogam.

      • KCI등재

        <동의보감(東醫寶鑑)> 완영(完營)책판의 현황과 문화재적 가치 제고(提高)

        김화선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5 No.2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woodblock of Donguibogam by Jeolla Gamyeong (Wanyoung Woodblock). It was registered as a 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Jeollabuk-do in 200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and value of the Donguibogam Wanyoung Woodblock. Jeonju Hyanggyo’s Wanyoung Woodblock was used to print books in Gamyeong, Jeolla Province. Currently, ten kinds of woodblocks are preserved. In 1987, a wooden bookshelf was installed and preserved in “Jangpangak” of Jeonju Hyanggyo. It is now preserved and managed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useum. Among the ten woodblocks, the Wanyoung woodblock of Donguibogam is presumed to be a woodblock of a book printed by Jeolla Gamyeong in 1814. The value of Donguibogam has long been recogniz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Donguibogam, compiled in 1610, was first published in 1613 in the wood type of Gaeju Gapinja. Following its publication, its value was recognized not only in Joseon but also in China and Japan. In 2009, the first edition of Donguibogam was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Accordingly, Donguibogam has been recognized for various aspects, but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woodblocks that printed Donguibogam.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 Wanyoung woodblock of Donguibogam, aiming to enhance its meaning and value. King Seonjo presented the ideals of public health care and preventive medicine when compiling Donguibogam, which was distributed according to his instructions. For this reason, the first edition of Donguibogam was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It can be said that the production of Donguibogam woodblocks was an important tool in realizing Joseon’s ideals through national dissemination. Furthermore, the woodblock of Donguibogam represents the spirit of thinking about the people, going beyond the purpose of printing, and it was meaningful in the spread of medical knowledge among the people. In this article, I will examine the overall contents of the Wanyoung woodblock of Donguibogam to enhance its meaning and value. The results show that the Wanyoung woodblock of Donguibogam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lmost the only one produced and stored by Gamyeong. Moreover, Wanyoung woodblocks are meaningful in that perfect editions could be preserved and disseminated for a long time, unlike other wood-type prints. 본 논문은 2005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전주향교 소장 완영책판 중 <동의보감> 책판의 현황과 그것의 문화재적 가치를 제고(提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주향교 소장 완영책판은 전라감영에서 서적을 인출할 때 사용하였던 것이었고, 현재 10여 종의 책판이 전하고 있다. 1987년 전주향교의 장판각에 목재 서가를 설치하여 보존하였고 현재는 전북대학교박물관 수장고에 보존 관리되고 있다. 그 중 <동의보감> 책판은 1814년에 전라감영에서 인출한 『동의보감』 판본의 판목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동의보감』의 가치는 이미 오래전부터 국내외에서 인정을 받았다. 1610년 편찬된 『동의보감』은 1613년 개주 갑인자 목활자로 처음 간행되었고, 간행된 이후 조선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간행될 정도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고, 2009년에는 『동의보감』 초간본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이처럼 『동의보감』의 판본은 인정을 받아 온 반면 판본을 찍었던 책판에 대해서는 그 의미와 가치에 대해 조명한 사례가 극히 드물다. 이에 본 논문은 <동의보감> 완영책판의 현황을 분석해보고 그것이 가진 의미와 가치를 제고시키고자 한다. 『동의보감』초간본의 세계기록유산 등재 과정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동의보감』은 공공의료와 예방의학의 이상을 선포한 조선의 혁신적 지시에 따라 편찬되고 보급된 의학서이다. 그 과정에서 책판은 바로 전국적인 보급을 위한 조선의 의지를 실현시킬 수 있었던 중요한 도구였다고 볼 수 있다. <동의보감> 책판은 목판 쇄의 목적을 넘어 위정자의 애민정신이 깃든 것이며, 백성을 위한 의학 지식의 보급에 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동의보감』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들을 점검해보면서 전북대학교박물관 수장고에 보관 중인 완영책판 <동의보감>의 현황과 함께 그것의 의미와 가치를 제고해 보고자한다. 완영책판 『동의보감』은 감영에서 제작한 것으로는 거의 유일하게 전하는 목판이라는 점과 책판은 목활자본과는 달리 완정한 판본을 오래 보존하고 널리 유포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는 점에서 완영책판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 KCI등재

        북한산 태고사 수장 책판과 관련기록 연구

        남권희,권오덕 한국서지학회 2014 서지학연구 Vol.58 No.-

        This study is about the woodblocks at Taego temple and relevant record of the woodblocks in various historical records. Especially we focused the type and number of woodblocks at the temple. According to the study, we could find out these facts as follows ; 1. The number of woodblocks in the Taego temple were estimted about 6,000 pieces of 40 kinds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and various literature. 2. We could examine the number, the title and the condition of woodblocks in Taego temple via related records, for example Naegakilryuk, Ilseungrok, 「Bukhantaegosasojae-chaekpansoohyo」, Bukhantaegosasojae-chaekpangoobyulseungchaek so forth. 3. The existing book that was printed with the woodblocks in the temple were sum up to 6 kinds, which were remained in various institutions. 4. In historical records, the kinds of woodblocks in the temple were regarded 40, so we need to carry out further reseach in later. It could be helpful in the understanding of publishing trend at Bukhansan and the temples in the area. 이 연구는 太古寺 수장 책판에 대해 사료와 여러 문헌기록을 참고하여 18세기에서 19세기까지 태고사에서 수장하고 있던 책판의 대략적인 종수와 그 수량을 확인해 보았는데,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첫째, 사료와 여러 문헌기록을 살펴본 결과 태고사에서 수장하고 있던 책판의 종수와 수량은 약 40여종 5,700여판으로 추정된다. 둘째, 『內閣日曆』과 『日省錄』 그리고 책판목록과 『摠戎廳事例』의 「北漢太古寺所在冊板數爻」 및 『北漢太古寺所在冊板區別成冊』 등을 통하여 태고사에 수장되어 있던 구체적인 책판명과 수량, 책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태고사 수장 책판으로 인출한 목판본들이 현재 국내와 해외의 각 기관에 6종이 소장되어 전하고 있다. 넷째, 기록상으로 태고사 수장 책판의 종수가 40여종으로 확인된 바,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이후 태고사 수장 책판의 인출본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북한산 지역의 출판문화와 관련하여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