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비창의적 성향에 관한 한국,중국,일본인의 암묵적 이론연구

        최인수(崔仁秀),전요한(全堯漢),표정민(表晸玟)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암묵적 이론을 사용하여 한국, 중국, 일본에서 ACL-CPS의 외적 타당도를 확인하고 ACL-CPS를 구성하는 두 요소인 창의적?비창의적 성향에 관한 한국?중국?일본인의 암묵적 이론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암묵적 이론연구방법을 이용해서 ACL-CPS를 한국, 중국, 일본에서 사용할 수 있는가, 즉 외적타당도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ACL-CPS를 사용하여 창의적?비창의적 성향에 관한 한국, 중국, 일본인의 암묵적 이론을 살펴본 결과, 미국인들에게는 창의적 성향으로 인식되는 ‘자화자찬’, ‘개인주의적’, ‘심사숙고 하는’, ‘매력적인’, ‘속물의’와 같은 성향은 한국, 중국, 일본인들에게 비창의적 성향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미국인들이 비창의적으로 인식하는 성향들은 한?중?일에서도 역시 비창의적으로 지각되었다. 한편 한?중?일 삼국의 암묵적 이론에서도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한국인은 지적인 성향을 비창의적 성향으로 인식하는 반면 중국은 창의적 성향으로 지각하였다. ‘유머감각이 있는’, ‘격식을 차리지 않는’ 이 두 가지 특성은 일본에서만 창의적 성향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미국에서 개발된 ACL-CPS과 같은 창의적 특성검사를 동아시아에서 그대로 사용할 때 타당도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과 아울러 서구학자에게 한자를 공유하는 유사한 문화권이라고 인식되어왔던 한국, 중국, 일본 삼국에서도 창의적 특성에 관한 암묵적지식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goals of the study were, first, to validate ACL-CPS ecologically; second, to explore indicative and contraindicative items based on implicit knowledge of lay people in Korea, China, and Jap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CL-CPS was not validated ecologically by using the method of implicit theories. Secondly, the Koreans, the Japanese, and Chinese considered ‘egotistical‘ , ‘individualistic‘, ‘reflective‘, ‘sexy‘, ‘snobbish‘ as non-creative personality. However, people of three countries recognized all of the original contraindicative items as non-creative personality traits as the counterpart of American did. The Korean people considered intellectual items as non-creative personality, whereas the Chinese considered all of intellectual items as creative personality. The Japanese recognized ‘humorous‘ and ‘informal‘ as creative personality.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we need to consider ecological validity of test items developed by foreign countries. Secondly, Korea, Japan and China which had been considered to have common cultural heritage from Western scholars did have culturally diverse implicit knowledge on creativity, which strengthen the argument that concept of creativity is constructed based on its own culture.

      • KCI등재

        유아교사의 성취목표성향이 내재적 동기와 무형식학습경험을 매개로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선희,안동근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2 창의력교육연구 Vol.22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oal orientation on teaching creativity through intrinsic motivation and informal learning experience to investigate the roles of goal-related, motivational, and experiential factors that explain their teaching creativity. Participants were 257 early childhoo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located in Incheon and Gyeonggi-do. This study measured the teachers’ goal orientation (mastery goal orientation,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intrinsic motivation, informal learning experience, and teaching creativ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mastery goal orient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informal learning experi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teaching creativity. However, the effects of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on teaching creativity were not significant. Mastery goal orient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intrinsic motivation and informal learning experience, an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informal learning experience. The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on informal learning experience were significant. Regarding indirect effects, mastery goal orient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eaching creativity through intrinsic motivation and informal learning experience. Also, mastery goal orient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eaching creativity sequentially mediated by intrinsic motivation and informal learning. The results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for examining the goal-related, motivational, and experiential factors that affect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They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uggesting specific strategies for the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성취목표성향(숙달목표성향, 수행목표성향)이 내재적 동기와 무형식학습경험을 매개로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설명하는 목표적, 동기적, 경험적 요인들의 역할을 탐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인천 및 경기 소재 유아교육기관(어린이집,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57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성향, 내재적 동기, 무형식학습경험과 교수창의성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성취목표성향은 숙달목표성향과 수행목표성향의 두 요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숙달목표성향, 내재적 동기와 무형식학습경험은 교수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행목표성향은 교수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목표성향은 내재적 동기와 무형식학습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행목표성향은 무형식학습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형식학습경험에 대한 내재적 동기의 영향력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와 관련하여, 숙달목표성향은 내재적 동기와 무형식학습경험을 각각 매개하여 교수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숙달목표성향은 내재적 동기와 무형식학습경험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교수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에 기여하는 목표적, 동기적, 경험적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의의를 지닌다. 실제적 측면에서도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함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지능, 창의적 성향 간의 관계 분석

        조선희,김미영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1 實科敎育硏究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지능, 창의적 성향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중학생 240명(남: 154명, 여: 86명)을 대상으로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검사, Raven 지능검사, 창의적 성향검사(WKOPAY, SAM)를 실시하였다. 긍정적인 정서는 Raven 지능검사, WKOPAY 창의적 성향검사, SAM 창의적 성향검사 모두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도를 나타내었다. 부정적인 정서는 Raven 지능검사와 WKOPAY 및 SAM 창의적 성향검사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도를 나타내지 않았다. WKOPAY 창의적 성향검사의 항부항목에 대한 분석결과 긍정적 정서는 단련된 상상력 항목과 양의 상관도를 나타내었으며, 권위의 수용 항목과는 음의 상관도를 나타내었다. SAM 창의적 성향검사의 모든 하부항목은 긍정적인 정서와 양의 상관도를 나타내었으며, 부정적인 정서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도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체집단을 성별에 따라 구분을 하였을 때, 여학생집단은 긍정적 정서가 지능검사 및 두 개의 창의적 성향검사 모두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도를 보인 반면에 남학생집단은 긍정적 정서와 SAM 창의적 성향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적인 정서가 지능 및 창의적 성향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중학교 교육프로그램에서 긍정적인 정서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intelligence,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subjects were 240 middle school students (male: 156, female: 84). A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test (PANAS), intelligence test (RAPM), and creative personality tests (WKOPAY, SAM) were performed. Positive emotion sco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oth creative personality score (WKOPAY, SAM) and intelligence score (RAPM). Negative emotion was not correlated with either of them. Among the sub-components of WKOPAY, 'disciplined imagination' sco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sitive emotion score, whereas 'acceptance of authority' sco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itive emotion score. All sub-components of SAM tes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 with positive emotion score. When the total sample was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groups, these phenomena were more evident in the female group than in the male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sitive emotion is central to intelligence and creative personality. Thus, we insist that positive emotion should be considered in educational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창의 성향, 환경, 과정, 산물의 상관 분석 및 과학 창의성 상⋅하위 학생의 창의 성향과 환경의 차이

        김민주,임채성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창의 성향, 환경, 과정, 산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 과정과 산물을 측정하는 과학 창의성 검사 도구, 창의 성향과 환경에 관한 자기 보고식 검사 도구를초등학교 5학년 학생 105명에 투입하였다. 검사 도구에서 창의 성향은 인지적 성향과 정의적 성향으로, 창의 환경은 가정환경과 학교 환경으로 구성된다. 또한, 정량적 분석 결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을 탐구하기 위하여 창의 과정에서 평균 이상의 점수를 받았으나 창의 산물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4명의 학생과 창의 산물 점수가 가장 높은 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성향 및 환경을 심층적으로 조사하는면담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창의 성향과 환경이 창의 과정과 산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 분석을 한 결과,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생 면담결과, 과학 창의성이 높은 학생의 공통적인 창의 성향 특징으로 미래의 성공을 위해 현재의 어려움을참을 수 있다는 점, 주변 사람들의 말을 비판적으로 듣는다는 점이 있었다. 셋째, 과학 창의성이 높은학생은 자유로운 의견을 존중해주는 가정환경에 있지만, 과학 창의성이 낮은 학생은 자신의 의견을 무시 혹은 그에 반응하지 않는 가정환경에 있었다. 이 연구는 향후 과학 창의성 교육의 정의적, 환경적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ADHD 성향 아동과 일반아동의 창의적 특성 비교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조나리(Jo Na-ri),하주현(Hah Ju-hy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0 창의력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성향 아동과 일반 아동의 창의적 특성(창의적 사고, 창의적 산물, 창의적 인성)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는 것이다. 충남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194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검사, 창의적 산물검사, 창의적 인성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종료 후 담임교사에게 ADHD 평정척도인 ‘Conners’ 평정척도’를 의뢰하였고, 그 결괴를 바탕으로 17점 이상 받은 아동 40명을 ADHD성향 아동으로 선발하였으며, 17점 미만 아동들 중 무선표집을 통하여 45명을 일반아동으로 선발하였다. 연구방법은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창의적 사고검사결과, ADHD성향 아동과 일반아동은 창의성 총점과 독창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ADHD성향 아동의 점수가 높았다. 창의적 산물검사에서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모든 영역에서 ADHD성향 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ADHD성향 아동의 점수가 높았다. 창의적 인성검사에서는 모험심과 인내/집착 영역에서 ADHD성향 아동과 일반아동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났으며, 모험심 영역에서는 ADHD성향아동이, 인내/집착 영역에서는 일반아동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그동안 숨겨져 있던 ADHD 성향 아동의 강점, 즉 창의성에 주목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며, 앞으로 ADHD 아동의 강점영역을 찾아서 부각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creativity of student with and without ADHD tendency. The target students were the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and the tests were the creativity thinking test, the creativity product test, and the creativity personality scale. After the tests, there was a request on ADHD Cornners Rating Scale to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who got over 17 points were rated to be the ADHD. The numbers of the ADHD students were 40. The students with below 17 points turned out to be 45 through the Random Sampling. The result of the students selected were compared with independent sample t test. The test results are the followings. In the test of creativity thinking,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otal score of creativity thinking test and originality. Also, in the test of creativity product, ADH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of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In the last creative personality test, ADHD students showed better results in adventure zone and the general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patience/obsession field. Throughtout the result of study, it is not that teachers and parents consider the behavior of student with ADHD as the problem, able, object of proofreading, but they serve as a momentum to pay attention of creativity, strong point hiden. In addition, when offering a valid education which enhance the strong point of student with ADHD, they occur the change of children’s behavior which wa expect. Futher it contributes to develop the self-concept and serve as a momentum to children.

      • KCI등재

        창의 성향이 수업 몰입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적사고 수업을 중심으로 -

        박지유,이은정,조성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1 No.-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의 창의적 수업에서, ‘창의성향’이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창의적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 169명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창의성향'은 '수업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하위요소를 연구자들은 창의성향(열정적, 유희적, 몰입적), 수업몰입(흥미형, 완벽추구형, 목표지향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목표 인지'가 '수업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결 과에 따라, ‘목표지향형 수업몰입’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열정적’, ‘유희적’, ‘몰입적 창의성향’을 각각 분석했을 경우, ‘목표지향형 수업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창의성향 전체 기준에서는 ‘유희적 창의성향’만이 ‘목표지향형 수업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교육의 ‘창의적인 수업’에 있어 학습자의 ‘유희적 창의성향’은 ‘목표지향성 수업몰입’을 높일 수 있는 요인임을 확인했다. Recently, university's education is changing and there are diversifying student. So it is needed to figure out how professor teach students bett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reative tendency' on 'class engagement' in creative class. Research methods and validations used questionnaires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creativity tends to influence class commitment. In detail, the sub-factors were classified into creative propensity (passive, playful, immersive) and class commitment (interest, perfect pursuit, and goal-orient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goal recognition affects class commitment, the analysis of 'creative propensity' affects 'target-oriented class commitment'. As a result, 'Passive', 'Playful', and 'immersive creativity' influence each 'target-oriented class commitment'. In addition, in the overall standard of creativity, only "enterative creativity" affects "target-oriented class commitmen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er's 'creative tendency' in the 'creative class' of university education is a factor that can increase the 'immersion of class'.

      • KCI등재

        창의적 가정환경 및 어머니의 창의적 리더십 수준에 따른 유아의 창의적 성향 차이 분석

        김정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creative environment and mothers’ creative leadership. To do this, data from 711 4 to 5 year old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analysis with SPSS 22.0. Based on this, correlation among creative environment, mothers’ creative leadership and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was examined. The difference of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creative environment and mothers’ creative leadership was verified. The results showed that creative home environment, mother 's creative leadership, and young children' s creative personal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there was a highe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creative leadership and children' s creative personality.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mother 's creative leadership. This implies that a plan to promote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mothers' creative leadership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s creative personality over a long period of time is needed 본 연구는 창의적 가정환경 및 어머니의 창의적 리더십의 수준에 따라 유아의 창의적 성향에 있어서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4세∼만 5세 유아와 그 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 71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SPSS 22.0을 활용해서 통계 처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 가정환경, 어머니의 창의적 리더십, 유아의 창의적 성향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창의적 가정환경 및 어머니의 창의적 리더십의 수준에 따라 유아의 창의적 성향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창의적 가정환경, 어머니의 창의적 리더십, 유아의 창의적 성향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어머니의 창의적 리더십과 유아의 창의적 성향 간 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창의적 가정환경 및 어머니의 창의적 리더십 수준에 따라 유아의 창의적 성향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장기간에 걸쳐 형성되는 유아의 창의적 성향 발달을 위해 창의적 가정환경을 마련하고 어머니의 창의적 리더십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학교 발명영재의 창의적 성향 검사도구 개발

        김기열,김기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개인별 발명영재 창의적 성향을 파악하여 발명영재의 판별 및 선발에 활용하거나 발명 창의성 교육을 통해 발명영재의 잠재력을 키우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발명영재의 창의적 성향 검사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설정한 검사도구 개발 모형의 절차를 거쳐 중학교 발명영재의 창의적 성향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중학교 발명영재의 창의적 성향 구성요인은 발명에 관한 호기심 및 민감성, 발명을 위한 열정, 발명 성취를 위한 인내심, 발명에 대한 자신감 및 모험심으로 각기 다른 성향을 갖고 있으며 발명영재의 창의적 성향을 나타낸다. 발명영재의 창의적 성향에 대한 구안은 연역적 접근 방식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살펴보았고, 그 결과 발명에 대한 호기심, 자신감, 모험심, 개방성, 열정, 민감성, 내적동기, 인내심 등 총 8개 요인으로 구성된 심리적 성향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예비문항은 전문가 위원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질문지와 전문가 협의를 통해 각각의 요인에 10개 내외의 문항을 선정하여 총 80개 문항을 제작하였다. 선정된 예비문항은 표준화 검사도구 개발 절차에 따라 검증한 결과 발명에 관한 호기심 및 민감성은 12문항, 발명을 위한 열정은 9문항, 발명 성취를 위한 인내심은 5문항, 발명에 대한 자신감 및 모험심은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4개 요인 총 31개 문항으로 구성된 중학교 발명영재의 창의적 성향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중학교 발명영재의 창의적 성향 검사도구는 유의미한 양호도를 나타냈다. 본 검사도구는 표준화 검사도구 개발 절차에 따라 내용타당도, 문항분석,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 신뢰도 검사 등을 검증한 결과 양호도 확보 및 모형의 적합성을 보여주었다. 개발한 검사도구는 규준점수를 제시하여 일반 학생이 자신의 규준점수가 발명영재 집단에서 어느 위치에 해당되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검사도구 결과의 피드백은 발명영재의 창의적 성향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계속 발전시켜야 하는 성향에 대한 관심과 지도 방향을 알려 줌으로써 발명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of invention gifted and to develop the 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 of invention gifted, in order to use to identify and select invention gifted and to help foster the potential of invention gifted by providing corresponding invention creativity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according to the inventory development model, a inventory development plan was devised, questions were developed, preliminary surveys were conducted, the main test was conducted, and standards were developed, before developing the inventory for identifying 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 of middle school invention gifted. This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creative personality factors of middle school invention gifted are curiosity about and sensitivity to invention, passion for invention, patience for achieving invention, and self-confidence about and adventure of invention, suggesting the diverse personality of invention gifted. Creative personalities of invention gifted were examined deductively and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they were made to consist of eight factors, namely, invention, self-confidence, adventure, open-mindedness, passion, sensitivity, inner motivation, and patience with regard to invention. And, 80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by surveying experts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and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finally by selecting about 10 questions per factor. The selected preliminary questions were verified according to the inventory development procedure; thus, the test consisted of 12 questions about curiosity about and sensitivity to invention, 9 questions about passion for invention, 5 questions for patience for invention, and 5 questions about self-confidence and adventure of invention. Thus, in this study, a test tool for identifying the creative personalities of middle school invention gifted was developed, which consist of 31 questions about 4 factors. Second, the developed inventory was proved significant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standardized inventory development procedure, the inventory underwent content validity test, question analysis, construct validity test, concurrent validity test, and reliability test, revealing that it is good and adequate. The inventory provides a standard score, allowing the subjects to know where their standard scores are positioned in the group of invention gifted. The feedback of test results provides the information of creative personalities of invention gifted, and what personalities should continue to be developed, thereby having a positive effect on fostering the creativity of invention.

      • KCI등재

        부모의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자녀의 창의적 성향과의 관계

        이보영 한국보육학회 2012 한국보육학회지 Vol.12 No.4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how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s during parenting affect a child's creative tendency and find effective parenting methods to develop a child's creative tendenc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87 parents who have 3, 4 and 5 year-old young children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s research methods, parenting behaviors and parenting self-efficacy were measured to assess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In addition, a child's creative tendency which has child's uniqueness, various interests, independence-patience and imagination-amusement as sub-factors was measured. To measure parenting self-efficacy, a translated and revised scale, which was considered for questions applicable to Korean culture, of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 (Floyd, Gilliom and Costigan, 1998) by Ahn, Jiyoung(2000) was used. To measure parenting behaviors, revised and supplemented data for Korean culture based on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Mother form(IPBI: Mother form)' (Crease, Clark and Pease, 1978) by Kim, Jeong-ah(1990) and revised by Kim, Hyunmi(2004) were used. To measure young children's creative tendency, a revised and supplemented method of 'PRID(Preschool and Kindergarten Interest Descriptor)' (Rimm, 1983) by Jeong, Minja(2005)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8.0 program. A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questions on parenting behavio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creative tendency as well as an analysis of Pearson's correlation for relations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a child's creative tendency and relations between parenting self-efficacy and a child's creative tendency.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how both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s affect a child's creative tend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renting behaviors and parenting self-efficacy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areas of a child's creative tendency and indicated that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s have an effect on young children's creative tendency. 본 연구는 부모의 자녀 양육 과정에서 갖는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이 자녀의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녀의 창의적 성향을 발전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양육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아교육기관의 만 3, 4, 5세 유아의 부모 187명이다. 검사도구로는 부모의 자녀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부모의 양육행동과 양육효능감 측정을 하였으며, 자녀의 독특성, 다양한 관심, 독립성-인내, 상상-유희성을 하위요인으로 하는 자녀의 창의성 성향을 측정하였다. 양육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Floyd, Gilliom, 그리고 Costigan(1998)의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를 안지영(2000)이 번안하여 우리나라 문화에 적용 가능한 문항을 고려하여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부모의 양육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Crease, Clark, 그리고 Pease(1978)가 개발한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Mother form(IPBI: Mother form)을 김정아(1990)가 우리나라의 문화에 알맞게 수정 보완하고 김현미(2004)가 수정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창의적 성향 측정을 위해 Rimm(1983)의 PRID(Preschool and Kindergarten Interest Descriptor)를 정민자(2005)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양육행동, 양육효능감, 창의적 성향에 대한 각문항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양육행동과 창의적 성향, 양육효능감과 창의적 성향은 Pearson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양육효능감이 자녀의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과 양육행동이 자녀의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행동과 양육효능감은 자녀의 창의적 성향 하위영역 모두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은 유아의 창의적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이 중학생의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에 미치는 영향

        김기열 대한공업교육학회 201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1 No.2

        This study is aimed at verifying the effect of scratch programming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information science creative personality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The results of such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aising ‘future creative talents’ armed with problem-solving capability they honed in softwar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between ex ante and ex post samples in a t-test which was performed to verify information science creative personalit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37)=4.305, p<.01). Their information science creative personality was high in the average score as it dropped from 3.00 in the ex-ante test to 2.51 in the ex post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 of scratch programming influences information science creative personal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positively, suggesting that middle school students are interested in new problematic situations they found in information science and discover new problem-solving methods in the programming education, thereby showing positive feedback in the education performance.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unable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scratch programming course completely and change their psychological states. 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between ex ante and ex post samples in a t-test which was performed to verify their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t(37)=3.074, p<.01). Their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was high in the average score as it dropped from 4.06 in the ex-ante test to 3.55 in the ex post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 of scratch programming influences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positively: they understood problems associated with technology, explored diverse breakthroughs for the identified problems and assessed and improved resolutions. Third, a moderate correlation was confirmed between their information science creative personality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r=.343, p<.05).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took scratch programming education demonstrated its influ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agination for problem solving, positivity in the information science creative personality and the confidence for problem solving in the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이 연구는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이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 및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한 문제해결력을 갖춘 ‘미래형 창의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을 사전-사후 대응표본 t-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37)=4.305, p<.01). 전체 평균에서도 사전검사 3.00점에서 사후검사 2.51점으로 점수가 낮아짐에 따라 정보과학창의적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은 중학생의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중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사전-사후 대응표본 t-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37)=3.074, p<.01). 전체 평균에서도 사전검사 4.06점에서 사후검사 3.55점으로 점수가 낮아짐에 따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은 중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은 중간 상관관계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r=.343, p<.05).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을 받은 중학생은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의 문제 해결을 위한 상상, 긍정성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의문제 해결 자신감의 상관관계에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