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Plan of Promoting Citizen Participation for Preemptive Crisis Management - Focusing on the Portal Services -

        Min Sang Cho,Won Ki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7 Crisisonomy Vol.13 No.12

        본 연구는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관련 기관의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위기 상황과 신종 위협 요소는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위기관리에 대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무엇보다 시민의 참여를 통한 자발적인 활동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선제적 위기관리는 안전을 위협하는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전반적인 활동을 포함하는 것으로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위기관리에 대한 관점을 시민의 참여에 두고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위기관리를 위한 중앙정부, 지방정부, 관련기관은 시민을 참여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구축하여 운용 중이다. 그러나 시스템의 홍보 부족, 접근 및 이용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참여가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선제적 위기관리를 위한 시민참여를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의 접근성 강화를 위한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시민의 요구를 분석하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갈등관리를 위한 실시간 참여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시민의 참여문화를 확산하고 적극적인 시스템 홍보가 필요하다. Despite various efforts of relevant agencies to ensure the safety of citizens, new crises and threats are constantly emer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viewpoint of crisis management on citizen participation and to explore ways to activate it. In order to manage the crisis,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have established various means to engage citizens. However, it is difficult to have them participate due to lack of publicity, access and utilization of system. The recommendations to activate citizen participation for preemptive crisis management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to enhance citizens' accessibility. Second, service provision should be based on citizen needs. Third, the contents of real-time participation should be developed for conflict management. Fourth, the citizen participation culture should be spread and the system should be actively promoted.

      • KCI등재

        지방정부의 시민참여관리 정책도구가 정책과정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 연구 - 시민참여제도의 성과평가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이수,최예나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3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의 시민참여관리 정책도구가 정책과정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계에서 참여성과 평가제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방정부의 시민참여관리 정책도구는 유형별로 정책과정의 효과성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의제 설정 및 정책결정의 효과성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친 요인에는 참여제도 운영에 관한 대통령의 정치적 성향, 참여제도 활성화를 위한 실행계획 수립이 있었다. 반면에 시민들의 정책과정 참여를 유인하는 제도는 정책의제 설정과 정책결정의 효과성에, 시민참여 관련 프로그램 운영은 정책의제 설정의 효과성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의제 설정 및 정책결정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도구로서 시민참여관리 정책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시민들이 정책의제 설정 및 정책결정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둘째, 중요한 정부정책에 대해 시민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즉 시민들의 정책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별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는 것이필요하다. 셋째, 시민들의 정책참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시민참여예산제 등을 정비·확대해야 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local government's citizen participation management policy tool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process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 this relationship.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government's citizen participation management policy tools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process by policy type. The factors that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agenda setting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decisions were the president's political orient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participation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an action plan to activate the particip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incentive system for citizens to participate in the policy proces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policy agenda setting and policy making. And the oper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related program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policy agenda sett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 First, there is a need for a foundation for citizens to effectively participate in setting policy agendas and making policy decisi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ecute civic educations on major core policies. Third, the public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s needed as policy participation system for citizens.

      • KCI등재

        자기관리적 시민참여론의 개념틀 정립을 위한 시론적 연구

        강용기 한국자치행정학회 200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2 No.2

        본 연구는 그동안의 전통적 시민참여 양태를 통제적 시민참여와 협력적 시민참여의 두가지 형태로 구분하고 미래의 바람직한 시민참여형식으로 자기관리적 시민참여를 제시하고 그 개념틀을 정립하기 위해 시도된 시론적 연구이다. 통제적 시민참여와 협력적 시민참여는 궁극적으로 정부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참여이다. 이러한 정부와 상호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시민참여는 그 긍정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시민의 정치 권력화, 시민집단에 시민의 부재, 시민단체의 인적, 재정적 나약함으로 인한 시민사회의 권력에 종속성이라는 폐해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제시하고 있는 자기관리적 시민참여 방식은 시민참여에 시민이 없다는 냉소적 비판을 극복하고 시민참여의 본래적 원형을 회복시켜줄 수 있는 대안적 참여의 유형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자기관리적 시민참여는 정부가 개입하지 않는, 정부를 상대로 하지 않는 시민중심의 주체적 참여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시민의 자기조직화가 가능해야 할 것이고, 자기재정의 확립, 시민들의 적극적 이해와 참여, 이를 지원하고 격려하는 사회적 분위기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시민이 권력과 자본으로부터 독립하여 스스로 지역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이러한 자기관리적 시민참여의 이념은 시민참여의 원형을 회복시키고 시민단체를 시민에게 돌려주는 충분히 의미 있는 일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This study is for the concept building on self managerial citizen participation. Traditionally, citizen participation is classified as two types. First is the citizen participation for control, and the second is citizen participation for cooperation. This two types have the concept of government as a keyword. This study proposes a new third concept, the self managerial citizen participation. Main characteristics of this new concept is that it does not regard government as a essential element, government is the only one of them, plural decision makers in society. The self-managerial citizen participation is toward a self organizing, self-financing, self operating, community oriented citizen participation. This movement would be a recovering of pure civil power in democracy

      • KCI등재

        참여정부 기록관리정책의 특징

        이영학 한국기록학회 2012 기록학연구 Vol.0 No.33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부터 현재까지 국가기록관리제도에서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온 시기는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이며, 특히 참여정부(2003~2008년)가 기록관리혁신 정책을 펴던 시기이다. 이 글은 참여정부의 기록관리정책에서 특징적 현상을 언급한 글이다. 참여정부의 기록관리정책의 추진주체는 노무현대통령을 비롯한 대통령비서실 특히 기록관리비서관실,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산하 ‘기록관리혁신전문위원회’, 국가기록원 기록관리혁신단이다. 이 세 주체는 정책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경쟁을 벌이기도 하였지만, 서로 협력하면서 기록관리의 혁신을 주도해갔다. 참여정부의 기록관리정책의 집행에서 주요한 특징은 거버넌스를 적극적으로 구현하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즉 기록관리를 둘러싼 이해관계 단체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정책을 입안하고 추진하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참여정부는 시민단체와 언론의 문제제기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학계의 전문가를 참여시켜 기록관리혁신전문위원회와 혁신분권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국가기록관리혁신 로드맵」을 입안하고 점검해가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중요한 특징은 공공기관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을 배치하였다는 점이다. 2005년 연구직 공무원에 기록연구직렬을 신설하고 중앙부처에 기록연구사를 배치하여 공공기관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을 본격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공공기록관리의 체계를 마련하고 기록관리의 전문성을 제고하였다. 이후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은 지방자치단체뿐 아니라 민간기록관에도 채용됨으로써 한국기록관리의 새로운 단계를 열어가게 되었다. 끝으로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전부 개정)「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함으로써 한국의 기록관리를 한 단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은 전자정부시대에 알맞게 이전 법률을 전부 개정하였으며,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은 대통령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한 나라의 기록관리제도의 정착 정도는 그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의 정도를 나타낸다. 다음 정부에서는 참여정부의 기록관리정책을 극복하면서 ‘새 거버넌스 기록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먼저 기록관리 주체가 정부뿐 아니라 시민사회, 지역자치, 중소기업 및 학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거버넌스형이 되어야 한다. 기록관리의 대상은 업무의 입안과 집행뿐 아니라 결과 및 영향까지 기록화하는 민주형이 되어야 한다. 기록화의 방법은 관계되는 주체들이 기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같이 참여하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Since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in 1948, a period that made the biggest difference on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was from 1999 when <The Law on Records Management in Public Institution> was enacted. Especially, it was the period of President Roh’s five-year tenure called Participation Government (2003-2008). This paper illustrates distinct phenomena of Records Management System Policy during Participation Government. Three major agents of the system are President Roh, the Presidential Secretariat, and Archives Management Bureau at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y sometimes competed with themselves for initiatives of policy, but they use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have brought about innovations on records management. The first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Participation Government (below PG)’s records management is that it implemented governance actively. That is, it tried to listen carefully to all opinions of interest organizations related to records management and enacted laws based on those. The PG not only listened to civic groups, but also created two professional groups called Records Management Innovation Expert Committee and Innovation Decentralization Assessment Committee. Those two groups enacted <The Road Map of National Records Management Innovation>. Another remarkable feature is a nomination of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s at public institutions. In 2005, PG created Archival Research Positions among research public officials and appointed experts in the field of Archival Research History at central department. With the process, the government tried to provide public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to improve specialty of records management. Since then,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s were employed not only at local governments but also at private archival institutions. It has allowed of entering a new phase in employing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also legislated <The Law on Public Records Management> (completely revised) <The Law on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It led to a beginning of developing records management in Republic of Korea. <The Law on Public Records Management> was revised thoroughly for the e-Government period and <The Law on Presidential Archive Management> was established as a foundation for managing presidential records. An establishing process of a country’s records management system describes the degree of democratic development of society. Following governments should supplement PG’s shortcomings and carry out ‘New Governance Records Management System’. Principal subjects of records management system should include not only a government but also civic groups, local governments, small businesses, and academic professionals. The object of records management also needs to be democratic by recording not only the plans and enforcements of a task but also influences and results of a task. The way of archiving ought to be discussed by all related principals.

      • 참여형 관개관리에 따른 논의 관개용수량 변화

        남원호 ( Won-ho Nam ),방나경 ( Na-kyoung Bang ),김한중 ( Han-joong Kim ),이광야 ( Kwang-ya Lee ),조원주 ( Wonjoo Cho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통합물관리 체계에서 물관리 관행에 대한 정량적 평가는 현장에서 수혜자가 만족하는 적정 관개량 또는 수리권량의 산정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자료이다. 농업용수 관리 정책의 방향이 공급시설의 확대에서 수요관리로 전환되는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물관리에 있어 농민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 참여형 관개관리 (Participatory Irrigation Management, PIM)는 관개사업의 계획 및 실행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 (의사결정, 노동력제공, 이용료부담) 등 전 과정과 수원공에서 평야부까지 모든 단계에서 이해관계자인 농업인이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PIM의 최종목표는 농업용수이용자가 직접 물을 관리함으로써 수리시설물의 효율적 이용과 관리를 통하여 농업용수를 절약하는 것이다. 논의 관개용수에 관한 수요관리 방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참여형 관개 관리는 과거 가뭄이나 물 부족이 발생하여 농업용수 수급에 지장이 예견되면 간단관개 또는 윤환관개 방식의 농업용수 공급관리로 농민 스스로 관개에 적극 동참하는 관행적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조건 시나리오별 참여형 관개방식 (윤환관개, 간단관개)의 효과를 분석하고, 비구조적 방식으로 농업용수의 이용 효율을 개선하는 수요관리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산정하고자 한다. 2017년 극심한 가뭄상황이 발생한 경기 안성 마둔 저수지를 대상으로 평년, 가뭄년의 관개용수량을 비교하고, 해당 지역의 벼 생산량과 재배면적 등 제반 인자를 비교하였다. 물 이용자의 참여에 따라 공급량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EPA SWMM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을 기반으로한 수로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관개 방식에 따른 관개용수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마둔저수지의 기후조건 및 관개방식에 따른 농업용수 공급 모의결과, 연속관개의 경우 수문조작을 실시하면 포장공급율이 최대 5배까지 증가하였고, 간단 또는 윤환관개를 실시할 경우 공급량을 8%에서 43%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강수량과 공급량의 경향이나 패턴이 매년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에 대비하여 미곡 생산량이나 도매가에는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기후영향에 따라 농업용수의 공급과 수요측면에서 조절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과거 한해대책지원으로 양수장이나 추가급수 등으로 대체해왔으나, 향후 평상시 물이용량에 대비하기 위하여 참여형 관개에 따른 수요관리로 용수공급 효율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장에서는 수문조작과 관개방식의 조절에 따른 참여형 관개방식을 적용하여 관리손실량을 고려한 수요측면의 용수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기후위험 관리를 위한 이해관계자 참여방안 연구

        이승준 ( Seungjun Lee ),김영욱 ( Yungwook Kim ),( Thomas Schinko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8 No.-

        본 연구에서는 기후위험 관리에 있어서 일반인의 기후변화 위험 인식 파악이 효과적 정책 소통과 참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에 바탕을 두고, 기후위험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이해관계자 참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기후위험 관리의 이해관계자 참여에 대한 전반적인 틀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해관계자 참여에 참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기후위험에 관한 일반인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사례의 분석을 통해 실질적인 참여방식을 고찰하고, 기후위험 관련 이해관계자 참여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기후위험 관리는 현황에 따라 구체적 이해관계를 논의하거나 조정해야 하는 이슈부터 포괄적이고 일반인 대상 소통이 필요한 이슈까지 다양한 주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후위험 관리의 특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논의 주제의 성격과 이해관계 및 갈등의 성격에 따라 이해관계자 참여방식을 구분하는 틀을 제시하였다. 논의 조제의 성격이 어느 정도 포괄적인지, 다루는 주제가 다양한지, 혹은 사회적 합의를 필요로 하는 주제인지 등에 따라, 기후변화 위험 전반에 대한 인식제고나 태도변화를 포괄적으로 유도하는 경우 잠재적 이해관계자의 전 국민 대상 기후변화 캠페인이나 소통방안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구체적이면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을 경우에는 이해관계자 참여를 공론화나 갈등조정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해관계나 갈등이 잠재적이면서 이슈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공유하고 숙의 과정을 통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 내고자 하는 경우 공론화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고, 이해관계나 갈등이 이미 표출되어 첨예하게 대립하는 이슈에 관해서는 갈등조정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일반인이 인식하는 기후변화 위험은 개인의 경험이나 사회문화적 요소들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데,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해관계자 참여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위험에 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유사한 인식을 보이는 군집을 분류하여 특성을 정의하였다. 분석 결과, 기후변화 위험에 관한 군집을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개인차원 문제인식해결 군집을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높고 환경에 대한 책임감과 관련 행동의지가 강해 개인 효능감이 높다. 그러나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 정책 효능감이 낮고 이슈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나 관심도 상대적으로 낮은 집단이다. 이들에게는 형평성이나 신뢰 등의 가치가 중요하다. 두 번째, 적극적인 문제인식해결 군집은 위험성 인식이나 책임감 및 행동의지가 높으며 정부에 대한 신뢰도와 정책 효능감이 높고 중요성 인식과 관심도 높은 집단이다. 주로 40대 이상의 높은 연령대와 고학력자, 고소득, 자녀가 있는 기혼자가 높은 분포를 보이는 집단으로 자신의 주변 환경상태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세 번째, 소극적인 문제인식해결 군집은 기후변화에 대한 주용성 인식이나 관심은 높은 편이지만, 전반적으로 위험 인식이나 환경에 대한 책임감 및 관련 행동의지가 낮고 개인 효능감이나 정책 효능감이 낮은 집단이다. 주로 낮은 연령대의 미혼자가 높은 분포를 보였고, 문화이론의 세계관에 있어서는 운명주의자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세가지 군집에 대해 공중상황이론을 적용하여 소통 및 참여방안을 제시하였다.본 연구에서는 기후위험 관리에 관한 오스트리아 사례분석과 인식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위험 관리 이해관계자 참여 과정을 위한 핵심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핵심 고려사항들은 총 4가지의 영역, 즉 효과적 참여도구 마련, 인식의 격차 및 불확실성 극복, 지역적 특성 고려, 참여자 배려 및 능동적 참여 유도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영역에 대해 기존 이해관계자 참여에 관한 일반적 지침은 생략하고 기후위험 관리를 위한 이해관계자 참여에서 특히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세부사항을 제시하였는데, 이 사항들은 기후위험 관리 이해관계자 참여 과정에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다.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는 기후위험 관리정책에 있어서 이해관계자 참여가 요구되는 이슈를 발굴하고 실제로 이해관계자 참여 과정을 실행하는 프로젝트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하는 참여 지침과 접근의 틀을 이해관계자 참여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적용가능성을 검증함으로써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고, 이를 수정해 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한 향후 과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for effective stakeholder engagement in climate risk management, based on the fact that understanding the way the laypeople perceive climate risk is crucial for effective policy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We suggest a framework for stakeholder engagement in climate risk management, while analyzing the perception that laypeople have on climate risk in order to apply the analyzed results to a stakeholder engagement process. We also provide insights into stakeholder engagement by studying Austrian cases in climate risk management.Climate risk management encompasses various issues from those resolving specific conflicts to those that are comprehensive and need to be communicated to the public. Considering the wide spectrum of topics in climate risk management, we suggest a framework of selecting appropriate methods for stakeholder engageme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pic and the exposed level of conflic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pic, a climate change campaign or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would be appropriate when it is intended to draw a specific societal consensus. Regarding the exposed level of conflict, public discussion may be preferred when the conflict is still latent and it is required for the potential stakeholders to share information and discuss deliberatively for a societal consensus. Conflict resolution, however, would be supported for issues revealing sharp conflict.Risk perception of laypeople is largely influenced by personal experiences or sociocultural factors. We provide a typology of perception on climate risk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The first group, called the ‘individual group’, has strong self-efficacy with a clear perception of climate risk and responsibility for climate action, while they maintain low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and its policy. Although the individual group seems to be less interested in the climate issue, it tends to place more weight on the values such as equity or trust. The second group, called the ‘active problem-facing group,’ has strong self-efficacy as well as high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This group is more interested in climate issues and satisfied with the living environment. Statistically, more people with older age, higher income, higher education, and children are distributed in this group. The third group, called the ‘passive group,’ shows the lowest self-efficacy and responsibility for climate risk among the groups, while they claim that climate issues are important. Statistically, more people who are younger, unmarried, and believe in fatalism are distributed in this group. We suggest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strategies for these three groups by referring to the situational theory of publics.We also suggest key points to be considered in a stakeholder engagement process especially for climate risk management based on Austrian case studies and perception analysis. The key points are categorized by four areas: the preparation of effective participation methods, reduction of a perception gap and uncertainty, consideration of regional attributes, and care for participants. The detailed key points in each area would be used as guidance for a stakeholder engagement process in climate risk management.It is recommended that following research projects focus on practical aspects, such as finding climate risk management issues that are related to stakeholder engagement and conducting pilot projects of the stakeholder engagement process from planning to evaluation. By applying the insights from this study to stakeholder engagement project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reinforced or improved.

      • 도시공원 관리를 위한 자원봉사 참여자와 관리자의 만족도 연구 -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를 중심으로 -

        ( Kim Daehyeok ),( Choi Jaehyuck ),( Lee Shiyo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7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5 No.-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도시공원 관리를 위한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인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에 대하여 참여자와 관리자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공원의 관리방안 및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연구하고, 도시공원 관리에 있어 자원봉사활동의 가치와 역할을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재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대전광역시와 5개 구청에서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를 담당하고 있는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하여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첫째, 현재 내 동네 내 공원에 참여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들의 주된 참여 동기는 자원봉사 활동 시간이 필요해서, 함께 봉사활동을 하는 사람들과의 관계 때문에, 그리고 공원을 좋아하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둘째,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의 참여자들은 필요한 만큼의 자원봉사 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그리고 공원을 직접 가꾸는 기분이 들어서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에 만족하고 있다. 셋째, 현재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는 공원 청소를 주로 행하고 있으며 향후 공원 시설물 관리, 공원 프로그램 운영, 공원 내 치안 및 안전관리 및 수목 관리 등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향후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의 활성화를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참여자들의 태도 및 자원봉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참여자에 대한 보상 등이라고 나타났다. 다음은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 분석에서 관리자는 도시공원 관리에 있어 자원봉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증가하는 공원 관리업무에 비해 필요한 인력과 예산이 충분히 뒷받침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대답하였다. 자원봉사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단순 공원 청소뿐만 아니라 수목 관리와 같은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관리자들은 업무 부담으로 인하여 내 동네 내 공원 가꾸기의 효용성에 대해 긍정적이지 않았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업무 부담을 낮추는 것과 참여자의 의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변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measures to improve satisfaction of park managers and volunteers by conducting surveys on their awareness on the volunteering program called ‘Managing My Mark in My Neighborhood’ being carried out by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The methods taken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volunteers’ satisfaction and measures to effectively manage urban parks; then, the value and roles of volunteering for the management of urban parks were studied. Afterwards, volunteers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bove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and park managers from the five district governments and the city government of Daejeon were interviewed in an attempt to seek for solutions to boosting the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among the volunteers found that they joined the program to obtain volunteer hours, to maintain their relationships with some of the other volunteers, and just simply because they like parks. Second, the volunteers are satisfied with their participation because they can secure volunteer hours they need and feel they take the lead in managing the parks. Third, what the volunteers mostly do in the program is cleaning the parks. They address some challenges in facility management, implementation of park activities programs, and management of trees in the parks. Fourth, the volunteers feel that the most important challenges to boost the program would be to improve volunteers’ attitude, raise social awareness about volunteering, and reward volunteers. As for the result of the interview with park managers, most of them agreed on the necessity of continuing to promote volunteering for managing urban parks because they feel that they work more than their budget and human resources allow. Regarding the volunteering program, the interviewees shared a view that they need more diverse programs including managing trees other than just cleaning. Overall, the managers interviewed shared a less favorable view on the usefulness of the program due to their increased burden from work and responded that their workload needs to be lightened and that volunteers’ awareness should be raised further.

      • KCI등재

        노동조합을 통한 근로자간접참여의식과 인사관리유형 및 조직몰입에 대한 종단연구

        이동진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2 産業關係硏究 Vol.32 No.1

        SHRM is a dynamic activity system to which the realization of HRM concept aligned with organizational strategy at firm level and employee’s voices at workplace have been combined. This study did a longitudinal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worker indirect participation consciousness through union, HRM syste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the KLIPS 20, 21, 22, and 23 data sampl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KLI) during 2017-20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s univariate LGM there was statistically systematic variation for worker indirect participation consciousness and market-type system change rate over time, except to internal syste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ly, it shows that worker indirect participation consciousn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internal system, but negatively related to market-type system. Also, results show that worker indirect participation consciousness initial state were positively related to internal system change over time, but negatively related to market-type system change over time. Thirdly, it shows that HRM system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Lastly, a fully mediating model for worker indirect participation consciousness, HRM system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cross paths between variables. Findings suggest that worker indirect participation consciousness will realize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 management of contradiction between internal system and market-type system.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normative theory for leading to the integration among various worker participation types and a positive theory for rationally describing to participation phenomena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democracy at corporate. 본 연구는 개별 근로자 내지 소규모집단 및 팀제에 의한 직접참여가 촉진 되고 있는 가운데 노조를 통한 근로자간접참여의식과 인사관리유형 및 조직 몰입 사이의 관계를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시행한 KLIPS20, 21, 22, 23 자료 를 토대로 종단분석하였다. 검정결과, 첫째 근로자간접참여의식은 내부형 인사관리특성에 정(+)의 효과가 있는 데 비해 시장형특성에 부(-)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간접참여의식은 시간흐름에 따른 내부형특성 변화 에 정(+)의 효과가 있는 반면에 시장형특성 변화에 부(-)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둘째 인사관리유형은 조직몰입에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셋째 간접참여의식과 인사관리유형 및 조직몰입에 관한 완전 매개모델은 예측과 매개 및 기준변수 사이의 경로 모두 통계적 유의성이 발견되었다. 이 결과는 근로자간접참여의식이 내부형과 시장형 인사관리특성 간 모순의 관리를 통해 조직몰입 형성으로 구체화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향 후연구는 직장 내 이상적 민주주의 구현을 위해 다양한 근로자참여형태들 사이의 통합을 이끄는 규범이론과 참여현상을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실증이 론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초고층 건축물의 소방안전 대책 개선방안

        채진,장홍렬 국가위기관리학회 2010 국가위기관리학회보 Vol.2 No.1

        본 연구는 재난관리 관련 공무원을 대상으로 재난관리 참여기관간 협력체계 요인(조직 화,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 계획, 조정 메커니즘, 협력조직문화)이 재난관리 활동의 효과 성에 각각 어떠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재난관리 협력체계 요인 과 재난관리 효과성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조직화 요인,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 요 인, 계획 요인, 조정 메커니즘 요인, 협력 조직문화 요인이 재난관리 효과성에 정(+)의 영 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재난관리 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재난관리 효과성에 조정 메커니즘 요인, 협력 조직문화 요인 순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군, 경찰, 소방공무원들은 각각 재난관리 협력체계 요인과 재난관리 효과성간의 영향력에 대해서 어떠한 응답을 보이는지 분석한 결과, 중앙정부 공무원은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 요인과 조정 메커니즘 요인, 지방자치단 체 공무원은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 요인과 조직화 요인, 군 공무원은 계획 요인과 조정 메커니즘 요인, 경찰 공무원은 계획 요인과 협력 조직문화 요인, 마지막으로 소방 공무원 은 협력 조직문화 요인과 조정 메커니즘 요인이 재난관리 효과성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실제로 재난현장에 참여하는 경찰?군?소방공무원들은 협력 조 직문화 요인, 조정 메커니즘 요인 및 계획 요인이 재난관리 참여기관간 협력을 위해 중 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재난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협력 규정 등 제도적인 정비와 재난관리 참여기관들의 재난정보 공유 등을 통한 원활한 의사소통 및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필요하며, 많은 기관?단체가 참여하는 재난현장에서 는 통합된 지휘체계 등 조정메커니즘과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참여 구성원들간에 협력조직문화 조성을 통한 협력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기업 특성이 여성 경영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희정(Heejung L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8 여성연구 Vol.74 No.-

          우리나라 여성고용구조의 주요한 문제 중의 하나가 기업내 의사결정직에서의 여성 과소대표 문제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을 보면 주로 여성의 하위관리직 및 중간관리직 진출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여성을 참여시키기 위한 노력은 찾아보기 힘든 편이다. 본 연구는 기업내 여성의 고위직 진출을 경영참여로 보고 여성의 경영참여를 가져오는 조직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여성의 고위직 진출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기업 700여개를 대상으로 여성의 경영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특성변수로 기업의 인적구성, 최고경영진의 의지, 인적자원관리제도, 그리고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였다.<BR>  분석결과 첫째, 기업의 인적 특성인 대표자 성별이 여성일수록, 기업의 여성관리자 비중이 높을수록 기업내 여성 경영참여 비중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CEO의 여성인력 활용성향이 높은 기업일수록 여성 경영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적자원관리제도와 여성 경영참여의 관계에서는 우수한 HRM 제도인 개인성과급제도, 경력개발제도, 가족친화제도를 시행하는 기업일수록 여성의 고위직 진출에 긍정적이었다. 마지막으로 남성중심적 조직문화를 가진 기업일수록 여성 경영참여 비중은 떨어지고 민주적 평등한 조직문화를 가진 기업에서 여성 경영참여가 활발하였다.   In Korea, the number of women in top management is few and women"s routes to top management has many barriers. The most of researches has focused on women"s career development in first level manager and middle level manager. But,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of women in top management are meager. Therefore, I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corporate characteristics on women in senior management. And, I tried to find out implications for advancement of women in senior management. Data were collected thorough a field study.<BR>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when CEO is woman and the percentage of women in manager is high, women in top management are increased. Second, CEO willingness of women has influence on women in top management. Third, best human resource management(individual incentive, career development plan, flexible benefits) is related to women in senior management. Finally, in a male-dominated culture, women in top management ar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in a democratic and equitable culture, women in senior management are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