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벽』, 『별건곤』의 민요 수록 양상을 통해 본 차상찬의 문학관 및 민요의식

        이민규( Lee, Min-Gyu) 실천민속학회 2023 실천민속학연구 Vol.41 No.-

        본고는 『개벽』, 『별건곤』에 차상찬이 수록한 민요를 중심으로 차상찬의 민요의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차상찬은 강원도 춘성군에서 태어나 한성 이주 이후 춘천의 천도교도이자 개화운동가였던 민영순의 권유로 천도교도가 되면서 개벽사에서 활동할 수 있게 되었다. 그가 남긴 『개벽』, 『별건곤』에서의 민요작품들은 그의 민요의식을 알려주는 자료가 될 수 있다. 일단 그의 민요의식은 그의 문학관을 살펴보아야 알 수 있다. 차상찬은 한문학을 사대부의 전유물로 보면서 적대감을 드러내었지만, 한편으로는 감삿갓의 한문학만큼은 긍정하였다. 또한 사대부의 고장인 충청남도라고 할지라도 민중운동의 성격을 가진 사건에 대해서만큼은 옹호하였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차상찬이 민요를 민중, 그리고 여성의 노동과 한의 정서를 담은 것으로 보았다는 것이다. 차상찬은 민요란 민중의 노동과 생활 속에서 가창되고 향유되는 생활문학임과 동시에 노동이란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과 함께 하는 것임을 강조했다. 이어서 차상찬이 선별한 민요는 각 민요가 채록된 지역의 문화상도 보여주었다. 차상찬은 자신의 고향인 강원도에서 채록한 민요들도 수록하면서, 고향을 향한 애향심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은 『朝鮮文化의 基本調査』로도 이어졌다. 그리고 이 지역문화를 향한 관심은 곧 근대적인 국민의식을 규정하려는 시도로도 이어졌다. 마지막으로 차상찬은 민요를 근대 잡지에 실리는 ‘讀物’, 즉 읽을 거리로 다루었다. 그에게 민요란 국민성을 담지한 노래이자 근대 문학의 전범이었으며, 이는 실제 민요 전승양상과는 동떨어진 것이었다. 이러한 차상찬의 한계는 곧 그가 살던 시대적 한계임을 인지하며, 그의 민요의식을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Cha Sang-chan’s folk song consciousness, focusing on the folk songs written by Cha Sang-chan in ‘Gaebyeok’ and ‘Byeolgeongon’. Cha Sang-chan was born in Chunseong-gun, Gangwon-do, and after moving to Hanseong, he became a Chondogyodo at the recommendation of Min Young-soon, a enlightenment activist in Chuncheon. The folk songs he left behind in ‘Gaebyeok’ and ‘Byeologeongon’ can be a source of information about his folk song consciousness. First of all, his consciousness of folk songs can be known only by examining his view of literature. Cha Sang-chan showed hostility by viewing Chinese literature as the exclusive property of the high school, but on the other hand, he affirmed Kim Sat-gat’s Chinese literature. He also defended cases with the character of a people’s movement, even in Chungcheongnam-do, the hometown of the high school. What we can learn from this is that Cha Sang-chan viewed folk sons as containing the labor and emotions of the people and women. Cha Sang-chan emphasized that folk songs are life literature sung and enjoyed in the labor and life of the people, and at the same time that labor is working with women as well as men. Subsequently, the folk songs selected by Cha Sang-chan also showed the cultural image of the region in which each folk song was written. Cha Sang-chan also recorded folk songs from his hometown of Gangwon-do, revealing his fondness for his hometown. His interest in the local culture also led to 「朝鮮文化의 基本調査」. And interest in this local culture led to an attempt to define the modern consciousness of the people. Lastly, Cha, Sang-chan treated folk songs as ‘讀物 published in modern magazines, that is, things to read. For him, folk songs were songs that carried national character and were a war criminal of modern literature, and this was far from the actual folk song tradition. Recognizing that these limitations of Cha Sang-chan are the limitations of the time he lived in, it is necessary to analyze his folk song consciousness.

      • KCI등재

        일제 강점기 대표 잡지인 차상찬 연구

        윤세민 한국출판학회 2020 한국출판학연구 Vol.46 No.5

        청오(靑吾) 차상찬(車相瓚)은 일제 강점기에 잡지『개벽』을 중심으로 애국 운동과 민중 계몽을 주도한 언론인, 잡지인, 출판인이자 문필가이며, 민속과 야사 연구에 전력을 기울인 역사학자요 민속학자이지만, 그가 남긴 뛰어난 업적에 비해 제대로 알려지거나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천도교인으로서의 차상찬, 언론인과 잡지인으로서의 차상찬, 명문필가로서의 차상찬, 역사학자이자 민속학자로서의 차상찬, 특별히 어린이와 여성, 고향과 사람과 술을 좋아했던 따뜻한 인간 차상찬 등에 대해 전기적 사실을 바탕으로 고찰하고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차상찬은 일제 강점기의 대표적 잡지인이요 문필가요 민속학자임을 재삼 확인하였으며, 차상찬은 도저히 어느 한 분야의 업적이나 인물로 국한할 수가 없었다. 결코 재단할 수 없는 한없는 넓이와 깊이를 지녔던 인물 차상찬을 새롭게 발견하고 해석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실증적인 검토와 함께 종합적인 연구와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청오 차상찬의 천도교 활동에 대한 고찰

        성주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9

        The present article examines the youth movement of Cha Sangchan's Cheondogyo and his role in the culture movement in Cheondogyo of the 1920s. Cha was born in Chuncheon, Gangwon Province. Under the influence of one's older brother Chasanghak, he became a Cheongyoist in 1904. At the time, the movement was known as ‘Eastern Learning’ (Donghak), and continued to be subject to government repression. The fact that, amidst such circumstances, he nonetheless entered the movement is an indicator of his belief in the ideas and religious doctrines of Cheondogyo. These being the respect for humanity idea of Shicheonju, the Hucheongaebyeok Heoksae idea, and the national subject bogukanmin idea. Believing in such ideas, he became Cheondogyoist, and participated in its youth movement, playing a central role in the culture movement of Cheondogyoism. Cha was a participant from when the first Cheongdogyoist youth group (the Cheondogyocheongnyeongyorigangyeonbu) was formed. He acted as both a minister and a cadre at the enter of the movement. Thereafter, he was a central implementation committee member, and a member of the sectoral committee. Midway through 1926, the group divided, and he became a member of the implementation committee of the new faction. While from 1931-4, we acted as a central implementation committee member for the unified group, the Party of Young Cheondogyoists. There after, he is believed to have remained a committed member of the rank and file of the party. He also participated in the Cheondogyo Youth Society, and the Young Cheondyogyoist Society (a sectoral group in the Cheondogyo Youth Party), as well as the as a central member of the Joseon Labour Group. Yet, while he was active in the Cheondogyo youth movement and sectoral organizations, there is little sign of him playing an actual role in these organizations’ activities at home and abroad. This is because his main work was as editor of the Gaebyeoksa. Cha was responsible for an important part of the culture movement within Cheondogyo’s youth organizations of the 1920s. He worked on Gaebyeoksa, he was a Jeonggyeongbu Juim, a news correspondent, a cadre, a publisher, and an editor. Indeed, he was the actual editor of Gaebyeoksa, and in such a capacity led the ‘Foundational Survey of Joseon Culture’, and through fieldwork ensured it was written. The survey sought to correct Japanese imperial distortions regarding Joseon culture, and Cha played the central role in this project. In addition, he wrote for the magazine that Gaebyeoksa published, as well as Cheondogyo’s magazine, and other general socially concerned publications about Joseon’s history and other topics to promote national pride. He can thus be considered a pioneer of the Joseon culture movement of the 1930s. 본고는 청오 차상찬의 천도교 청년운동과 1920년대 천도교에서 전개한 문화운동에서 그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고 있다. 강원도 춘천에서 출생한 차상찬은 형 차상학의 영향으로 1904년 천도교에 입교하였다. 당시에는 동학이라 불렸으며, 정부로부터 여전히 탄압을 받고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천도교에 입교하였다는 것은 천도교의 사상과 종교적 교리에 공감하였음을 의미하다. 즉 천도교의 시천주의 인간존중사상, 후천개벽의 혁세사상, 민족주체의 보국안민사상 등을 수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를 공감하고 천도교에 입교한 차상찬은 천도교 청년운동에 참여하였으며, 천도교에서 전개한 문화운동의 중심에서 그 역할을 다하였다. 차상찬은 천도교 첫 청년단체인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 창립부터 참여하였으며, 간의원과 간무로 중앙의 임원으로 활동하였다. 이후 차상찬은 천도교청년당의 중앙집행위원과 부문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26년대 중반 천도교청년당이 신구로 분화되자 차상찬은 신파의 천도교청년당에서 중앙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31년 통합단체인 천도교청우당의 중앙집행위원으로 1934년까지 활동하였다. 이후에는 일반 당원으로 그 역할을 다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에도 차상찬은 천도교청년회와 천도교청년당의 부문단체인 천도교소년회, 조선농민사, 조선노동사 중앙 임원으로 참여하였다. 이와 같이 차상찬은 천도교 청년단체와 부문단체의 주요임원으로 참여는 하였지만, 이들 단체의 대내외 활동에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개벽사의 실질적 편집인으로 역할을 하였기 때문이었다. 차상찬은 1920년대 천도교 청년단체에서 전개한 문화운동에서는 한 축을 담당하였다. 차상찬은 개벽사의 사원, 정경부 주임, 특파원, 간부, 발행인, 편집인 등 다양한 직책으로 시작과 끝을 같이 하였다. 그는 개벽사의 실질적 편집을 담당하면서 핵심적인 사업인 ‘조선문화의 기본조사’를 그 중심에서 현장을 답사하고 『개벽』을 통해 발표하였다. 조선문화의 기본조사는 일제에 의해 왜곡된 조선의 현실을 바로 잡고자 하였는데, 차상찬이 중심적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개벽사에서 발행한 잡지, 천도교 관련 잡지, 일반 사회 잡지 등에 조선의 역사 사건과 인물 등을 비롯하여 조선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글을 기고하였다. 이러한 차상찬 등 개벽사의 역할은 1930년대 전개된 ‘조선문화운동’의 선구자의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어린이』 소재 차상찬 역사동화 연구 - 자료와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류정월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1

        Although Cha Sang-chan (1887-1946) has a Chinese-language foundation, he is considered a pioneer of modern journalism and publishing, but research on him is insufficient. By examining Cha Sang-chan’s historical fairy tales published in the Eolin-I magazine, this discussion aims to find out how he described historical fairy tales to modern (children) readers, who studied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First, this study listed all articles that Cha posted in the magazine and the historical fairy tale, and confirmed that his historical fairy tale was written around the Choseon Dynasty and the famous generals but accommodated various historical figures. Cha Sang-chan’s historical fairy tale consists of a creative opening and ending and a traditional middle part. The main textbook suggests that in Cha Sang-chan’s historical fairy tale, the unconscious framework that dictates where the subject and creativity should be involved is the Chon[ 傳 ] mode. Cha Sang-chan’s historical fairy tale was designed to keep the child’s attention, while delivering difficult and complex traditional mythos in the middle and, at the same time, keeping in mind the children readers’ interests and curiosity in the opening and ending. Finally, the study analyzed the implicit and timeless message that such a style of opening and ending sends to children readers. 청오(靑吾) 차상찬(車相瓚, 1887-1946)은 근대 언론·출판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 물이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논의는 『어린이』에 게재한 차상찬의 역사동 화 자료를 목록화 하고 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한문학을 토대로 공부한 그가 ‘어린 이’라는 근대 독자를 상대로 역사를 서술한 방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본고는 차상찬이 『어린이』에 게재한 글의 전체와 역사동화의 목록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그의 역사동화는 조선시대-명장을 주 대상으로 기술하면서도 다양한 역 사적 인물들을 수용하고 있다. 차상찬 역사동화는 창조적인 서두와 결말, 전통적인 중간 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본고는 차상찬 역사동화에서 주관과 창조성을 개입시 켜야 하는 지점을 지시하는 무의식적 틀이 전통적인 전(傳) 양식이었다고 본다. 차상 찬의 역사동화는 서두와 결말에서 아동독자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그들의 관심사와 호기심을 염두에 두었기에, 중간에서 어렵고도 복잡한 전통적 미토스를 거의 그대로 전달하면서도 아동의 주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그러 한 서두와 결말의 방식이 어린이들에게 전달하는 메시지에 대해 고구한다.

      • KCI등재후보

        차상찬의 소년운동을 통한 춘천 ‘어린이 수도’ 도시 브랜딩 전략

        김경희 (재)한국연구원 2023 한국연구 Vol.- No.14

        2022년 강원도는 춘천을 ‘어린이 수도’로 선포하였다. 춘천은 2022년 레고랜드 개관과KT&G 상상마당, 인형극장, 애니메이션 박물관, 국립춘천어린이박물관 등으로 ‘어린이’ 친화적인 공간구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춘천이 ‘어린이 수도’로서의 공간성과 더불어 역사문화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차상찬의 소년운동을 탐색하는 것을목표로 한다. 차상찬의 소년운동 활동 가운데 어린이날 선언, 세계아동예술전람회, 명승투표기획을통해 그의 사상을 계승하고 보존할 수 있는 체험길을 제안하였다. 공지천에 위치한 차상찬 동상을 출발하여 춘천시립청소년도서관, 레고랜드, 춘천인형극장을 연결하는 <봄내청오길과 어린이선언길>이 그것이다. 차상찬 동상에서 차상찬을 추모하고 차상찬 문고실에서 책을 읽으면서 그의 사상을 이해하고 춘천인형극장에서 일대기를 공연으로만나면서 차상찬의 정신을 배우고 실천할 수 있게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차상찬의 소년운동 정신을 계승하고 현대화하여 춘천이 ‘어린이 수도’로서 어린이문화를 꽃피우는 도시로 거듭나게 될 것이다. In 2022, Gangwon-do declared Chuncheon as the Children’s Capital. Chuncheon has established itself as a Children’s capital with the opening of Legoland in 2022, KT&G Sangsang Madang, puppet theater, animation museum, and Chuncheon National Children’s Museum. Th is paper aims to explore Cha Sang-chan’s juvenile activities in order to establish Chuncheon’s historical and cultural identity as well as its spatiality as a children’s capital. In this paper, I proposed an idea of experiential path, in which Cha Sang-Chan's juvenile activities, such as the Children's Day declaration, the World Children's Art Exhibition, and the scenic spot voting plan, are inherited and preserved. By inheriting and modernizing the spirit of Cha Sang-chan’s juvenile activities through <Bomnaecheongo-gil> and <Children’s Declaration Road>, Chuncheon will establish its historical and cultural identity as a Children’s capital and be reborn as a city where children’s culture blooms.

      • KCI등재

        차상찬의 민요 수집과 유형 연구-開闢과 別乾坤을 중심으로-

        유명희 한국민요학회 2018 한국민요학 Vol.54 No.-

        Cha Sang Chan, a journalist, historian, writer and folklorist who is considered to be a forefather of a modern magazine. Despite his surprising achievement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him and folklore and folksongs he loved. Cha Sang Chan’s 「Collection of Joseon Folksong」is categorized by provinces; Gyeongsangbuk-do, Gyeongsangnam-do, Jeolla-do, Gangwon-do, Pyeongahnbuk-do, Hamkyeong-do, and Chungcheong-do.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folksong, 「Collection of Joseon Folksong」is made up of narrative folksongs. It does not contain many different functional folksongs. Among theses narrative folksong, is a <Saseung Norae> which is listed in 「Collection of Joseon Folksong」, 「Gebyeok」 and 「Beolgeungon」 This song, a kind of spinning song which is handed down in Gyeongsangbuk-do shows the tiredness of overnight working and unfair lawsuit. The reason Cha Sang Chan selected these kinds of narrative songs is that the songs contain ancestor’s heritage and traditions, which in turn, demonstrates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spirit. All the narrators of the songs in 「Gebyeok」 suffer from a hardship of life; A woman who worked spinning overnight but came home empty-handed; cow which has a nose ring and plows the field; a younger sister who committed a suicide to clear up a misunderstanding of a brother; a daughter-in-law who has a hard married life and always cries; a legal wife who is eager to kill a concubine; a person who are sucked his blood to mites that suck up other’s blood. Cha Sang Chan compared these people to those who are dominated by the Japanese. Otherwise, it is difficult to explain why he selected these songs though there are a lot of functional folksongs. It suggests that Cha Sang Chan deliberately chose and listed specific songs that illustrate severe reality of Chuncheon at that time. In a word, Cha Sang Chan, a representative writer from Chuncheon, definitely made a lot of efforts to present the people's harsh life and keep the historical awareness. 차상찬은 언론인이면서 역사학자, 문학가, 민속학자 등으로 평가받고 있는 인물로 근대 잡지의 아버지와 같은 인물이다. 그럼에도 그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인데 특히 민속 분야와 민요 분야의 연구는 거의 없다. 차상찬의 『조선민요집』의 목록을 대강 정리하면 도별로는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도, 강원도, 평안도, 평안북도, 함경도, 충청도 등이다. 민요의 분류 측면에서 볼 때 『조선민요집』으로 묶인 민요들은 다양한 기능의 민요가 실리지 못했으며 특히 서사민요의 비중이 높다. 이 서사민요 중 『조선민요집』, 『개벽』, 『별건곤』에 모두 실린 <사승노래>가 있다. 이 노래는 경북 안동 지역의 삼삼는 소리로 삼삼는 일의 밤샘 노동에 따른 고단함과 억울한 송사이야기 등이 얽혀 있는 서사민요이다. 차상찬이 이 서사민요를 택하여 다시 실은 데는 우리 민족의 유구한 전통을 오늘날까지 이어오고 있음을 강조한 것으로 여기에서 우리는 차상찬의 역사의식과 민족주의적인 면모를 볼 수 있다. 『개벽』에 실린 민요들의 작중 화자는 모두 힘들고 어렵다. 삼삼는 일이 힘겹기만 한데 장에 팔러 왔다 낭패만 보는 처자, 쟁기를 매고 코뚜레를 뚫고 밭을 가는 힘겨운 소, 오빠의 오해를 풀고자 자살하는 누이동생, 시집살이가 너무 어려워 눈물 콧물 다 쏟는 며느리, 첩을 죽이고 싶은 본처, 남의 피를 빨아먹고 사는 진득이에게 피를 빨리는 사람 등 다양한 군상들이 고통받고 있다. 차상찬은 이들을 모두 일제강점기 하에 고통받는 조선 민중으로 해석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 않고서야 굳이 현실의 다양한 농요들이 펼쳐 있는 민요의 세계에서 이런 노래들만 선별한 것을 설명하기 어렵다. 이 사실은 춘천과 관계된 노래들을 당시 현실과 맞물려 설명한 것을 본다면 차상찬이 현실을 몰랐다기 보다는 당시의 엄혹한 현실을 보여주기 위한 민요를 선별하여 『개벽』과 『별건곤』에 실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춘천이 낳은 인물, 차상찬은 민요를 수집하고 선별하는 데에도 우리 민족이 처한 현실의 냉혹함과 처절함을 보여주고자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그의 역사 의식과 민족주의적인 면모를 드러내는 것이다.

      • KCI등재

        차상찬의 ‘어린이 역사 이야기’ 연구

        최배은(Choi, Bae-eu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0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7

        근대 어린이 역사 이야기 연구는 아동문학적 측면에서뿐 아니라 근대적 문체의 형성과정을 살피고 오늘날 활용되는 어린이 역사문화 콘텐츠의 제재 및 서술 원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차상찬은 근대 어린이 역사 이야기의 대표적 작가이면서, 같은 인물 이야기를 내포독자와 시기를 달리하여 발표하고 그때마다 문장을 수정했다. 이 연구는 차상찬의 어린이 역사 이야기를 대상으로 그 갈래의 특징과 담화 방식을 연구하여 근대 어린이 역사 이야기의 특징을 규명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차상찬의 어린이 역사 이야기는 허구적 창작물과 달리 역사적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에서 쓰였으나, 그가 주로 근거한 역사는 사관이 아닌 사람들이 기록한 외사나 민중들의 입에서 전해져 내려온 것을 기록한 야사였다. 또 근대 계몽기 역사전기문학에서 다루어졌던 외세의 침략을 막아낸 구국 영웅들을 제재로 삼고 있으나 인물의 일대기보다 어릴 때 용맹한 행적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차상찬의 어린이 역사 이야기는 성인 대상의 잡지에 국한문체로 쓴 글과 달리, 국문 중심으로 한자를 병기하였다. 대부분 한문 번역투를 보이며 기록문의 흔적을 나타내는데 독자를 ‘여러분’으로 부르고 경어체 종결어미 ‘-ㅂ니다’를 사용하여 친근한 입말의 효과를 살리고 있다. 그리고 인물의 일화 중심으로 사건을 요약적, 설명적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담화방식은 1930년대 후반에 가면 훨씬 ‘전’의 양식을 벗어나 근대적 문체로 바뀐다. 이 연구는 근대 어린이 역사 이야기 연구 방법을 체계화하고 주요 작가인 차상찬의 경향을 파악하여 다른 작가와의 비교 및 전체적인 연구의 발판을 마련한 의의가 있다. It is necessary to study on ‘modern historical stories for children’ not only in terms of children`s literature but also in order to examine the process of forming a modern writing style and to critically consider the principles of materials and descriptions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for children in use today. Cha Sang-chan, a representative writer of modern historical stories for children, published the same story of the same person at different times for the implied readers and revised the sentences each time. This study aims to help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historical stories for children’ by considering the traits of the genre and discourse method of historical stories for children written by Cha Sang-chan. Unlike fictional creations, Cha Sang-chan’s historical stories for children were written for the purpose of conveying historical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his story was based on an unofficial history, which was passed down by the common people through an oral tradition. In addition, the story is about the heroes who defended his country against foreign aggression, as was dealt with in historical and biographical literature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But it focuses on the heroic deeds of a young man rather than the life story of a character. The historical stories for children by Cha Sang-chan were different from those written in a magazine for adults. He used Chinese characters only to focus on Korean, while writing it in a mixed style of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 a magazine for adults. Most of them show signs of Chinese translations and record writings, in which he calls the readers “all of you” and uses “-ㅂ니다”, a polite sentence-closing ending, to enhance the effect of friendly speech. And he conveys events in the form of summary and explanation based on the anecdote of the character. In the late 1930s, this style of discourse was transformed into a modern style, far beyond a biographical sty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organized the research method of modern historical stories for children and grasped the tendency of Cha Sang-chan, the main writer,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writers, setting the stage for overall research.

      • KCI등재

        차상찬의 이동과 연대의 시간 : 『개벽』의 ‘조선 문화의 기본 조사’를 중심으로

        정현숙(Jung, Hyun Sook)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4

        이 글은 차상찬이 『개벽』에 발표한 ‘조선 문화의 기본 조사’를 대상으로 답사보고서에 나타난 이동의 궤적과 함의를 살펴보았다. 세부 논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차상찬이 답사한 경로와 이동의 경험을 살펴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동의 시간과 공간 속에서 소환되고 생성되는 담론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차상찬은 주로 통계 숫자를 통한 객관적 사실에 근거하여 식민지 조선의 실상을 밝히고 일제의 식민지 정책을 비판하였다. 그리고 일제에 저항한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을 소환함으로써 민족적 자존감을 회복하고 민족운동의 역사적 연계성과 연대적 담론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개벽사는 ‘기본 조사’를 통해 유통망과 인적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벽사가 민족문화운동의 구심체로 부상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차상찬은 이러한 개벽사의 지향을 의식하고, 청년회가 청년운동, 문화운동, 노동운동의 중심 세력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하면서 청년회의 활동과 조직을 소상히 보고하고 있다. 차상찬은 ‘기본조사’를 마친 후, 『별건곤』, 『혜성』, 『제일선』, 『개벽』 신간호의 편집 겸 발행을 맡으면서, 『개벽』의 위상을 만회하려는 노력을 지속하였고, ‘기본 조사’에서 담지하고 있던 조선 문화에 대한 지향을 확장하는 글을 지속적으로 발표하였다. Cha Sang-Chan is a representative who led the Cheondogyo National Culture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trajectory of movement in the ‘The Basic Investigation of Joseon Culture’ published by Cha Sang-chan in the ‘Gaebyeok’. There are two main detailed points of issue. One is to look at his exploration of the route and the experience of the movement, and the other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summoned and generated in the time and space of the movement. Cha Sang-chan toured Gyeongsangnam-do, Gyeongsangbuk-do, Gangwon-do, Chungcheongnam-do, Gyeonggi-do, Gyeongseong, Pyeongannam-do, Hamgyeongnam-do, Chungcheongbuk-do, Hwanghae-do, Jeollanam-do, Jeollabuk-do, and Jeollanam-do from February 2, 1923, to November 22, 1925, and published a survey report on ‘Gaebyeok’ No. 34 to 64. The articles reveal the reality of colonial Joseon and criticize the Japanese invasion through various statistical data, literature, and on-site surveys. Also, his long journey was a time to solidify the human network of ‘Gaebyeoksa’. Based on this, ‘Gaebyeoksa’ actively sought to promote the national cultural movement. After this work, Cha Sang-chan played a key role in publishing the magazine, serving as the chief editor and publisher, while working as a major writer of ‘Gaebyeoksa’.

      • KCI등재

        車相瓚의 『通俗朝鮮四千年祕史』 편찬의식 고찰

        엄태웅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1 고전과 해석 Vol.35 No.-

        이 논문에서는 차상찬의 첫 단행본인 『통속조선사천년비사』를 살펴보았다. 이 책은 역사서이면서도 ‘통속’이라는 단어를 제목에 넣었는데, 여기서 통속이라는 말 은 보다 많은 이들에게 두루 통한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적당하며 이는 ‘대중 교양’이라는 언급과도 일맥상통한다고 보았다. 이 책이 보다 흥미로운 점은 역사 기 술과 서사 기술이 거리낌 없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이다. 책 속에서 그 조화 의 양상이 어떠한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서 집필은 그가 갖고 있는 역사 인식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차상찬은 소외된 곳에 주목하 던 인물이다. 소외되어 있던 우리 민족, 그리고 소외되어 있던 민중 계급을 고찰하 였다. 글의 장르도 역사나 문학 장르에서 소외된 양식이다. 차상찬은 소외된 것들에 적극적으로 의미 부여를 하였던 인물인 것이다. 최근 차상찬의 고향인 춘천에서 강 원문화교육연구소를 중심으로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차상찬이 졸업한 고려대학교에서도 그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examines Cha Sang-chan's first book, 'The History of the Four Millenniums of Popular Joseon'. Although this book is a historical book, the word 'popular' is included in the title, but it is appropriate to interpret it as meaning that it is universally applicable to more people than it is understood through the introduction or book reviews, and it is also consistent with the mention of 'popular culture'. What makes this book even more interesting is the fact that historical and narrative skills are harmonious without hesitation. In the book, we looked at the aspect of harmony through concrete examples. And he saw that the writing of such a history book was related to his understanding of history. Cha Sang-chan was a person who paid attention to the marginalized. The marginalized Korean people and the marginalized people's class were considered. The genre of writing is also a style alienated from the genre of history or literature. Cha Sang-chan is a person who actively gave meaning to the alienated things. Recently, in Chuncheon, the hometown of Cha Sang-chan, research on it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centering on the Gangwon Cultural Education Research Center. It is expected that interest in him will increase at Korea University, where Cha Sang-chan graduated from in the future.

      • KCI등재

        차상찬의 『해동염사』 고찰

        엄태웅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9 No.-

        In this article, the characteristics of Cha Sang-chan's second work, 『Haedong Yeomsa(History of love between men and women in Korea)』, were examined. 『Haedong Yeomsa』 is a book that pays attention to 'women'. Like his first work, 『Tongsok Choseon Sacheonnyun Bisa(Popular Joseon Secret History of the 4th Millennium)』, he wanted to highlight the beings who were hidden from political affairs in our history but were considered valuable. Cha Sang-chan did not expose the word 'women' in the title of the book, but used the expression '艶史'. It can be understood that he wanted to place a high value on women's will to faithfully fulfill their role even in such an unequal structure, assuming various mechanisms of oppression 'conditioned' on women. The types of female characters appearing in 『Haedong Yeomsa』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y are women who faithfully perform what men and society demand, women who show abilities beyond what men and society demand, and women who display outstanding abilities despite being in the social minority. Cha Sang-chan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horizon of awareness of women by finding, collecting, and introducing the historical traces of buried women. In this book, women who go beyond the role of women, women who have experienced inequality as women and inequality experienced as social minorities have appeared in overlapping situations, confirming the new possibilities of women. Ultimately, however, Cha Sang-chan paid attention to 'people' who are neither male nor female. He wanted to tell the story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discover the true value of people beyond the various prejudices that divide people into superior and inferior. He approached ‘women’ who were alienated beings based on his interest and love for human beings. 이 글에서는 차상찬의 두 번째 저작인 『해동염사』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해동염사』는 ‘여성’에 주목한 책이다. 그의 첫 번째 저작인 『통속조선사천년비사』와 마찬가지로 우리 역사에서 정사에 가려졌으나 가치 있다고 생각된 존재들을 부각하고 싶었던 것이다. 차상찬은 ‘여성’이라는 단어를 책의 제목에 노출하지 않고 ‘艶史’라는 표현을 썼다. 이는 그가 여성에게 ‘조건지어지는’ 다양한 억압기제를 전제로 하고, 그와 같은 불평등한 구조 속에서도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려 했던 여성의 의지에 높은 가치를 두고 싶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해동염사』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남성․사회가 요구하는 바를 충실히 수행하는 여성, 남성․사회가 요구하는 것 이상의 능력을 보여주는 여성, 사회적 소수자이면서도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여성이 그것이다. 차상찬은 묻혀 있던 여성들의 역사적 흔적을 찾아 수집하여 소개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 책에는 종래 여성의 역할을 넘어서는 여성, 여성으로서 겪은 불평등과 사회적 소수자로서 겪은 불평등이 중첩된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키는 여성이 등장하여, 여성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차상찬은 남성도 여성도 아닌 ‘사람’에 주목하였다. 인간을 우열로 구분하는 다양한 편견을 넘어 사람의 진정한 가치를 발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하고자 했다. 그는 인간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기본 바탕으로 소외된 존재인 ‘여성’들에게 다가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