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요 복지사업 차등보조율과 지방재정조정제도의 관계 분석

        한재명 한국지방재정학회 2018 한국지방재정학회 세미나자료집 Vol.2018 No.7

        본 연구는 주요 복지사업 차등보조율과 보통교부세의 결합이 지방자치단체 가용재원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차등보조율과 4개 유형의 기준보조율 적용에 따른 지방비 부담 변화가 다음 해 보통교부세 산정에 얼마나 반영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행 차등보조율 적용에 따른 지방비 부담 경감 효과가 보통교부세의 재정형평화 기능에 의해 약화되거나 왜곡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주요 복지사업별로 운영하고 있는 차등보조율 제도를 점진적으로 줄이거나 폐지하고, 자치단체별 복지수요와 재정여건을 고려한 재정부담의 차등화는 보통교부세의 재정형평화 기능을 통해 구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차등보조율 축소 또는 폐지에 따른 자치단체의 혼선을 줄이기 위해 차등보조율의 기능을 보통교부세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한 연구와 이에 대한 자치단체의 이해를 구하는 절차가 선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고보조금 차등보조율제도의 재정적 형평화와 효율화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를 중심으로

        김정완 한국지방재정학회 2019 한국지방재정논집 Vol.24 No.3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System is a core social welfare institution in that it gurantees national minimum for all the people in contemporary welfare states which all the countries try to accomplish. Specially Livelihood Benefits(LB), a key institution of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System, is differentially provided for households whose recognition income is under minimum living expenditure. Such LB finance is managed through matching fund system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like other national subsides. And since 2008 it has been differentially distribu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by reflecting the fiscal capacity(equity) and demand(efficiency)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s - three levels: lower, standard, and higher -. As LB distribution reference, the fiscal discretion rate as equity criterion and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dex as efficiency criterion are adopted. For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LB in term of fiscal equity, the fiscal discretion rate is divided into under 80%, 80∽84%, and 85% and higher. Because, however, all the other local governments except one (Gwachun) are under 80%, the fiscal discretion rate does not contribute to fiscal equity among local governments. And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dex is separated into under 20%, 20∽24%, and 25% and higher, but the majorities of local governments are over 25%. The results calculated by such fiscal discretion rate and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dex of the local governments suggest that among all the basic local governments(227), lower distribution local government is no one, standard distribution ones are 112, and higher distribution ones are up to 115 local governments. Such findings provide rearrangement implications of the present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LB based on actual distribution of the fiscal discretion rate and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dex by local governments.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모든 국민들에게 균등한 국민적 최저수준 확보라는 측면에서 도입된 제도로서 복지국가를 지향하는 현시점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사회복지제도이다. 특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중에서 생계급여는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29%(2016년 기준, 최저생계비)에 미치지 못하는 가계를 대상으로 차등있게 지급된다. 이러한 생계급여는 여타 사회복지제도와 마찬가지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에 매칭시스템을 운용하고 있고 2008년부터는 중앙정부는 기초자치단체간 재정적 형평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차등지원하고 있다. 현행 생계급여는 형평성의 지표로 재정자주도, 효율성의 지표로 사회복지비지수를 반영하여 있으며 양 지표를 고려하여 서울은 40%(인하), 50%(기준), 60%(인상), 지방은 70%,(인하) 80%(기준), 90%(인상)로 차등 구분하여 국고지원하고 있다. 현재의 국고지원 차등보조율 결정을 위한 양 지표의 구분을 살펴보면 재정자주도는 80% 미만, 80∽84%, 85% 이상, 사회복지비지수는 20%미만, 20∽24%, 25%이상으로 3등분 되어 있다. 그런데 재정자주도는 과천시 한 곳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80% 미만으로 최고 70%대와 최저 20%대가 동일한 차등보조율의 적용을 받고 있어 재정자주도 지표에 의한 지역간 차등보조가 무의미하다. 사회복지비지수 역시 전체 시구군(227개) 중에서 과반수가 넘는 120개 곳이 25% 이상임에도 사회복지비지수에 의한 차등보조율의 단계는 20%미만, 20∽24%, 25%이상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 결과 양지표를 반영했을 때 전국적으로 인하 보조율의 적용을 받는 시군구는 존재하지 않으며 기준보조율(서울 50%, 지방80%)은 112개 곳의 지방의 시군구, 인상보조율은 (서울 60%, 지방90%) 나머지 115개 곳이고 이중에서 서울의 25개 자치구 전체는 인상보조율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재정자주도와 사회복지비지수를 기준으로 한 현행 차등보조율제도는 양 지표의 평균・중간값・표준편차 등의 분포도를 고려하여 정규 분포하도록 재조정이 요구된다.

      • KCI등재

        사회복지비지수가 재정자주도에 미치는 영향: 국고보조금 차등보조율 기준 지표를 중심으로

        최정열(Choi, Jeong Yeol) 한국지방재정학회 2021 한국지방재정논집 Vol.26 No.3

        본 연구는 국고보조금 차등보조율 기준 지표인 사회복지비지수가 재정자주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차등보조율이 적용되는 지역과 차등보조율이 적용되지 않는 지역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2008년부터 2020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하여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복지비지수는 재정자주도를 하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준 지표인 사회복지비지수는 지방자치단체의 복지보조금으로 이어지고, 이는 재정자주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견해를 뒷받침하고 있다. 둘째, 차등보조율 적용 지역과 비적용 지역에 따라 사회복지비지수가 재정자주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났다. 적용 지역의 경우 비적용 지역의 경우보다 사회복지비지수가 재정자주도를 더 많이 하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적용 지역은 계속되는 차등보조율 적용, 비적용 지역은 차등보조율 적용 지역으로의 전환 가능성을 높임으로써 차등보조율의 동시적 기준 지표로 적합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dex on fiscal autonomy rate. To achieve this, the study used panel data from local governments over a period of 13 years(2008-2020) and considered whether the differential subsidy rate was applied. Analysis shows that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lowers fiscal autonomy rat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applied area,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dex decreased the fiscal autonomy more than the case of the non-applied area. These results show that the fiscal autonomy rate is not suitable as a simultaneous standard indicator of the differential subsidy rate, for the applied area is continuously applied with the differential subsidy rate, and the non-applied area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conversion to the area where the differential subsidy rate is applied.

      • KCI등재

        사회복지분야 국고보조사업 차등보조율이 지방정부 복지지출에 미치는 영향

        이슬이(Sheullee Lee),장백산(baeksan Jang)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24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34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지출의 지속적인 증가로 중앙과 지방정부 모두 재정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특히 지방정부의 국고보조사업 매칭사업비 부담으로 인한 지방정부의 상대적으로 더 큰 재정압박에 주목하였다. 동시에 사회복지분야 국고보조금 차등보조율이 이러한 일련의 지방정부의 복지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되었다고 보았다. 차등보조율로 인해 감소된 재정압박과 복지분야에 대한 지방정부의 재정지출 유도 효과를 토대로, 차등보조율 제도가 지방정부의 자체복지 확대와 복지수요에 대한 민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보았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0개 연도(2014년~2023년)의 기초지방자치단체를 분석대상으로 삼고, OLS 회귀분석 모형과 확률효과, 고정효과 회귀분석 모형 세 가지의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세 모형 모두에서 일관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재정지출지수에 따른 차등보조율은 수요대비 복지지출과 자체복지사업 비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지역의 수요인구에 따른 차등보조율 제도는 수요대비 복지지출과 자체복지사업 비중 모두에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모형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분야 차등보조율 정책이 지방정부의 복지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는 측면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즉 이는 지방정부가 더 나은 복지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는 데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복지 서비스의 질과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는 함의를 갖는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ncreasing financial pressure faced by bo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due to rising social welfare spending, particularly emphasizing the greater fiscal strain on local governments caused by their responsibility for matching funds in national government grants. It posits that differential grants rates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were introduced to address these fiscal challenges faced by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reduced financial pressure and the induced fiscal spending effects on social welfare by local governments due to differential rates, this system is expected to positively impact the expansion of local welfare services and sensitivity to welfare demands. To verify this, the study analyzed basic local governments over ten years (2014-2023), using three regression analysis models: OLS regression, random effects, and fixed effects. The results consistently showed that differential grants rates positively affect welfare spending relative to demand and the proportion of local welfare projects. However, the impact of differential rates based on regional demand populations had a negative effect on both welfare spending relative to demand and the proportion of local welfare projects, although some models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study suggests that differential grant rate policies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local government welfare finances. Specifically, they provide financial incentives for local governments to develop and offer better welfare services, thereby potentially enhancing the quality and scope of welfare services.

      • KCI등재후보

        재정 건전성을 위한 국가지원 도로사업국고보조금제도 개선 방안: 차등보조율 적용방안을 중심으로

        김도훈 (재) 인천연구원 2018 IDI 도시연구 Vol.- No.13

        In the current subsidy standards of road projects suppor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he criteria for sharing the project costs are separately designated for each individual project by construction cost, compensation cost, and so 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consistent criterion for the cost sharing. In addition, there is another problem that the financial condition of local governments has not been considered due to applying the fixed rate subsid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o designate the total construction cost as the criterion of the cost sharing and to adopt differential subsidy rates. This study also suggested using traffic/energy/ environment tax, road supply rate, financial capability, budgetdebt ratio, and total construction costs of local governments as the evaluation factors to decide differential subsidy rates. This proposed method of the differential subsidy rates were applied to arrange subsidies to candidate local governments for the 3rd congested metropolitan roads. The four scenarios were set up. The three fixed ratios, ± 20%, ± 15%, ± 10% based on the current subsidy standards were adopted to Scenarios I, II, and III. Scenario Ⅳ adopted the differential subsidy rates which were calculated by giving 10% decreasing and increasing from the standard subsidy rate 50% based on the results of priority evaluation to each the local government using the suggested evaluation factors. The subsidy arrangement of the case study shows that Scenario IV reflects the financial condition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very well. It found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make the increased road project costs of the central government minimized by allocating subsidies in the limited budge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financial imbalance among local government by adopting differential subsidy rates. 현 제도에서는 국가지원 도로사업 시행시 개별 사업마다 사업비 분담기준항목을 공사비, 용지보상비 등으로 별도로 지정하고 있어 일관성을 갖춘사업비 분담기준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국가지원 도로사업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사업비에 대해서 정률보조금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으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여건을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업비 분담기준 항목을 총사업비로 지정하는 것과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여건을 고려한 차등보조율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개별 지방자치단체마다 차등보조율 적용을 위한 평가지표로는 교통에너지환경세, 도로보급률, 재정역량, 예산대비채무비율, 사업비 등 총5개 항목으로 선정하였으며, “제3차 대도시권 교통혼잡도로 개선사업”에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이때 차등보조율 적용방식에 따라 총 4개의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시나리오 I, II, III은 현행 법령에 제시된 차등보조율(± 20%, ±15%, ±10%)을 적용하였고, 시나리오Ⅳ는 지방자치단체마다 우선순위를 별도로 부여하여하는 방식으로 기준보조율 50%에 차등보조율 ± 10%씩 단계적으로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시나리오Ⅳ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여건을 잘 반영한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식을 적용한 경우 국가지원 도로사업이 한정된 예산범위 내에서 운용되므로 국가가 부담해야할 재원 증가분을 다른 시나리오에 비해서 최소화 할 수 있었으며, 모든 지방자치단체에 차등보조율이 적용되므로 국가지원 도로사업 추진시 지방자치단체간의 재정 불균형 해소가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국고보조금의 현상과 본질에 대한 연구- 지방재정조정 기능을 중심으로

        김홍환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국고보조금 운영에 있어 이론적‧제도적 본질과 선행연구에서 주장되는 지방재정조정기능 강화와의 관계 및 현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고보조금제도가 가지는 본질을 이론적 측면과 제도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접근하였고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국고보조금에 대한 인식체계를 정리하였다. 선행연구의 주된 인식체계가 국고보조금의 지방재정조정기능 강화이므로 이에 초점을 맞춰 국고보조금의 재정조정기능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현상으로서 국고보조금 제도는 기준보조율의 차등화를 통해강력한 재정조정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차등보조율 제도는 크게 활용되지 않고 있다. 이를 본질과 비교하면, 첫째, 이론적 측면에서는 국고보조금의 재정조정기능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국고보조금의 지방재정조정기능의 수행은 부적절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제도적 측면에서는 현재 기준보조율 차등화가 시행령에 근거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법률적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과 차등보조율의 미활용은 제도의 취지에 반한다고 평가하였다. 연구의 함의는 기준보조율 차등화, 차등보조율의 개념을 명확히 하였다는 것과 기준보조율 차등화는 강력한 재정조정수단이라는 것을 제시한 것을 들 수있다. 연구의 한계로서는 국고보조금의 재정조정기능에 대한 연구는 보다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and the phenomenon of national subsidies. For this, The nature of national subsidies is approached by dividing them into theoretical and institutional aspects. And the recognition of national subsidies is summarize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The main focus of the previous research is focused on the strengthening of the local fiscal adjustment function of the national subsidy. Therefore, this studdy examined the function of the local fiscal adjustment fun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overnment subsidy as a phenomenon is performing a strong financial adjustment function by differentiating the standard subsidy rate. And the differential subsidy system is not widely utilized. Compared with the nature, first, theoretically, it is not necessary to make the financial adjustment function of the national subsidy. Second, the institutional aspect is based on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standard subsidy rate, but the legal basis is not clear and the invalidity of the differential subsidy rate is contrary to the purpose of the system.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it clarified the concept of differential standardization rate and differential subsidy rate, and that the differentiation of standard subsidy rate is a powerful financial adjustment method. As a limitation of the study, the research on the financial adjustment function of the national subsidies need to be verified through more empirical studies.

      • KCI등재

        사회복지 국고보조사업의 차등보조율제도 개선방안 연구 : 영유아보육료와 아동수당을 중심으로

        홍근석(Hong, Geun Seok),임정빈(Yim, Jeong Bin)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지방정부연구 Vol.24 No.4

        이 연구는 아동복지 국고보조사업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나라 사회복지 국고보조사업의 정부 간 재원분담 방안의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 국고보조사업의 재원분담체계 중 차등보조율 제도에 관한 주요쟁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특히 사회복지 국고보조사업 중 영유아보육료와 아동수당등 사업이 중요하고 국고보조금의 규모가 큰 2개 사업을 중심으로 사회복지 국고보조사업 차등보조율제도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검토와 현황분석 등을 통해 3가지의 차등보조율 조정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현행 재원분담체계 내에서 모든 지방자치단체가 만족할 수 있는 대안은 영유아보육료, 가정양육수당, 아동수당에 대한 현행 차등보조율제도를 폐지하고 기준보조율을 10% 상향 조정하는 방안이다. 그러나 이경우 국비지원규모가 증가하므로 아동복지 분야 국고보조사업 중 대표적인 현금성 지원사업을 제외한 10개 사업의일부를 지방에 이양함으로써 현금성 지원사업의 기준보조율을 인상하는데 필요한 만큼 국비를 확보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ild welfare national subsidy program, and aims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inter-governmental financial resource sharing plan for the Korean social welfare subsidy program. In particular, among the social welfare government subsidy programs, two projects, such as infant care-education fees and child allowances, are important and have a large scale of subsidy for social welfare, and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differential subsidy rate system for social welfare subsidy program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n alternative that all local governments can satisfy within the current financial resource sharing system is a plan to abolish the current differential subsidy rate system for infant care-education, home care allowance, and child allowance and increase the standard subsidy rate by 10%. However, in this case, the scale of government funding increases. Therefore, among the government subsidy programs in the field of child welfare, a portion of 10 projects excluding the representative cash-based support project will be transferred to the local government. Through this, government funds should be secured as necessary to increase the standard subsidy rate for cash-based support projects.

      • KCI등재

        사회복지분야 국고보조사업에서 국고보조율의 현황 및 운영 특성, 그리고 개편과제

        이재원 한국지방재정학회 2015 한국지방재정논집 Vol.20 No.2

        The Korean fiscal federalism of social welfare policy has been sustained with old styles system on standard subsidy ratio and graded national subsidies ratio, though of local autonomy resurrection at 1995. With those out-of-date systems, large scale social welfare subsidies (unfunded mandated program) have been transferred to local finance since 2000s with central governmental perspective. Nowadays, intergovernmental fiscal conflicts have been deteriorated, and hard to find reasonable solutions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policy. In this study, I synthesized the key variables related social welfare subsidy issues for finding alternative solutions in view of problem-solving approach, instead of fiscal management & control stands, with the social welfare subsidy program of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I suggested several policy recommendations in both view of 1st and 2nd-generation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ship; raising the subsidy rate, performance contracting system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reorganizing the subsidy rate system etc.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사업에서는 중앙정부가 정책을 설계・추진하면서 지방비를 의무적으로 부담하도록 하는 이중의 집권적 재원동원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90년대 중반에 지방자치제가 부활되었지만 복지보조금제도에서 정부간 재정관계, 기준보조율, 그리고 차등보조율은 80년대의 낡은 체제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지보조사업에서 국고보조율을 둘러싼 정부간 재정갈등이 악화되고 있다. 관련 제도에서는 단순히 재원분담의 적정성 논쟁을 넘어 좀더 복잡한 복지보조금제도의 구조적 쟁점들이 내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유형의 국고보조사업 가운데 보건복지부와 여성가족부가 운영하는 복지분야 국고보조사업을 별도로 분리하여 현황과 제도운영 특성 그리고 개편과제를 모색하였다. 복지보조금제도에서 국고보조율 쟁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행 1세대형 정부간 복지재정관계를 2세대형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성과책임 전담방식으로 정부간 복지재정기능 분담체계를 개편하고, 소극적인 재정관리 보다는 사회문제의 구체적 해결 관점에서 기준보조율과 차등보조율 그리고 지방비 의무분담제도의 개편이 필요하다.

      • KCI등재

        사회복지 국고보조사업 차등보조율제가 자치단체간 재정력역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지니계수 분해를 중심으로

        박지현 한국지방재정학회 2020 한국지방재정논집 Vol.25 No.1

        차등보조율제의 도입목적은 사회복지 국고보조사업의 수행에 있어서 재정이 여유로운 자치단체에 대한 재정지원을 축소하여 절감되는 재원을 재정이 부족한 자치단체에 추가 지원하여 사업수행을 원활하게 하는 것에 있다. 하지만 자치단체의 재정형편을 바탕으로 결정되는 차등보조율제는 결과적으로 자치단체간 재정력을 역전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등보조율제가 자치단체간 재정력역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방법으로 지니계수분해를 사용하여 재정형평화효과를 실질적 재정격차감소효과와 순위감소효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차등보조율제 도입은 자치단체간 재정력격차를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다. 둘째, 차등보조율제는 자치단체 유형별로 미치는 영향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그 중 자치구가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다. 마지막으로 차등보조율제로 인한 재정력역전현상은 전체적으로 크게 심각한 수준은 아니다. 하지만 기초연금 도입으로 군의 순위변동효과가 1.5%에서 34.1%로, 아동수당 도입으로 시의 순위변동효과가 3.9%에서 16.3%로 급증하였다는 분석결과는 향후 국고보조사업 확대로 차등보조율가 재정형평화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는 실질적인 재정력격차 감소가 아닌 자치단체간 재정력역전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differential subsidy rate system is to reduce the national subsidies for local governments with 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and to increase the subsidies for local governments with financial difficulties to carry out the social welfare programs. However, the differential subsidy system, which is determined on the fiscal conditions, can result in the problem of reversing the fiscal power among local governments. Hence, this study analyzes the reversal of fiscal power between local governments caused by the differential subsidy rate of the national social welfare program using Gini coefficient decomposi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differential rate system is working to reduce the fiscal gap among local governments. Second, the degree of the impact of the differential aid system varies depending on the types of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autonomous district is the most affected. Lastly, the differential rate system has not impacted seriously on the reversal of the fiscal capacities until now. Howev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effect of the fiscal reversal among Gun’s had been increased from 1.5% to 34.1%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Basic Pension program, and the effect among Si’s has been increased from 3.9% to 16.3%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hild Allowance program. It might be highly possible that the expansion of the large-scale national subsidy programs would increase the impact of the differential subsidy system on fiscal equity through the reversal of fiscal power among local government rather than the actual reduction of fiscal gap.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