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가 경영권 집중도에 미치는 영향

        김용식 한국국제회계학회 2018 국제회계연구 Vol.0 No.77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managerial centrality. Owner CEO, CEO ownership, and corporate governance index(CGI) from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are used as corporate governance proxies, and the method of Bebchuk et al.(2011) is used as managerial centrality proxy. We use the sample that are listed on KOSPI from 2013 to 2014 and whose compensation for CEOs is over 500 million Korean won, so 333 firm-year are used in our analysis models during sample peri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owner CEO, family CEO, and CEO ownership are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with managerial centrality. Second, we find that BOD, disclosure, audit, and total score in corporate governance index are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with managerial centrality, which means that managerial centrality is lower as corporate governance is better. Third, interaction between total score and owner CEO (family CEO and CEO ownership) is positively related with managerial centrality, which suggests that owner CEO increases managerial centrality even though corporate governance is excellent. The results of addition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test whether there is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shareholder right and managerial centrality and find that there is a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them, which means that high shareholder right is positively related with managerial centrality. Second, we test interaction effect between family CEO and corporate governance with owner CEO sample only on managerial centrality to demonstrate why largest CEO is insignificantly related with managerial centrality and find that the interaction variables between family CEO and all of governance factors are positively related with managerial centrality. The results in this study imply that CEO is highly likely to allocate lots of effort and internal resources to increase managerial centrality as agent costs are greater, and excellent corporate governance effectively controls managerial centrality.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가 최고경영자의 경영권 집중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기업지배구조는 소유경영기업 여부와 경영자지분율, 그리고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서 제공하는 기업지배구조점수를 이용하였고, 경영권 집중도는 Bebchuk et al.(2011)이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유가증권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대표이사의 보수를 5억원 이상으로 공시한 333개 기업-년도를 최종 분석대상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유경영기업과 가족경영기업, 그리고 경영자지분율이 경영권 집중도와 1%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부호를 나타냄으로써 소유경영기업일수록 경영권 집중도가 높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기업지배구조 질 중에서 이사회, 공시, 감사기구 그리고 총점이 경영권 집중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부호를 나타냄으로써 기업지배구조의 질이 우수할수록 경영권 집중도가 감소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소유경영기업과 가족경영기업, 그리고 경영자지분율이 기업지배구조 총점간의 상호작용변수의 계수에서 모두 1%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부호를 나타냄으로써 기업지배구조의 질이 우수하더라도 소유경영기업의 경영권 집중도는 증가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추가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권 집중도와 주주권리보호간에 비선형관계 여부를 확인한 결과 경영권 집중도와 주주권리보호간에 U자형관계임을 확인하였다. 즉, 주주권리보호가 우수할수록 경영권 집중도가 감소하지만 일정 점수를 넘어서면 경영권 집중도가 오히려 증가함을 의미한다. 둘째, 가족경영기업은 경영권 집중도와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지만 최대주주경영기업은 경영권 집중도와 유의한 관계가 없는 이유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유경영기업만을 대상으로 기업지배구조 질과 가족경영기업간의 상호작용변수를 포함하여 경영권 집중도와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주주권리보호, 이사회, 공시, 감사기구, 및 기업지배구조 총점과 가족경영기업간의 상호작용변수에서 모두 1%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부호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가족경영기업 등 대리인 비용이 높은 기업일수록 경영권 집중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과 기업 내부자원을 할당할 가능성이 높으며, 기업지배구조의 질이 우수할수록 경영권 집중도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와 변이효과 분석

        김은수(Kim, Eun-Soo),이수영(Lee, Su-Young) 한국항만경제학회 2016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2 No.1

        우리나라 수출입 컨테이너물동량은 1995년 3,942천 TEU에서 2014년 14,601천 TEU로 증가했고, 부산항의 처리 비중은 92.4%에서 63.4%로 상당 수준 낮아졌다. 현재 우리나라 33개 무역항 중 11개 항만에서 컨테이너 전용부두가 운영되는 있으며, 2014년 항만별 컨테이너부두 시설 확보율은 심한 편차를 보이고 있다. 즉 부산항, 인천항은 각 83.3%, 48.0%로 시설 부족현상을 보이나, 광양항 196.7%, 울산항 188.8%, 군산항 583.3%, 마산항 1,666.7% 등 시설 과잉이 심각한 항만도 적지 않다. 본 연구는 허쉬만-허핀달지수(HHI)와 변이할당법을 활용하여 기존 연구와 차별적으로 5대 해외 기종점 권역별로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의 항만 집중도와 변이효과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경쟁 구도 및 항만정책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는 지난 20년간 0.86에서 0.44로 완화되었으나 최근 5년간은 큰 변화가 없었다. 5대 수출입 해외 권역, 즉 극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일본, 북미 및 유럽 지역 컨테이너화물의 세부적인 항만 집중도 분석 결과, 2014년 극동아시아 0.290, 동남아시아 0.375로 가장 낮았고, 이는 전체 항만 집중도를 0.44로 낮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즉 아시아 수출입 물동량이 과거에 비해 국내 여러 항만에서 분산 처리되면서 우리나라 전체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를 낮추게 된 것이다. 또한 2010년 이후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는 거의 변함이 없고 북미 및 유럽항로에서는 오히려 집중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이에 정부는 컨테이너 부두시설의 효율적인 개발 및 운영 정책 수립을 위해 항만의 집중도 및 변이효과 추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특히 컨테이너 물동량 대비 하역능력에 충분한 여유가 있는 항만임에도 불구하고 양(+)의 변이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을 경우, 그 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향후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의 내륙 기종점별 항만 집중도나 동북아시아 항만에 대한 환적화물의 집중도 등에 관한 후속적인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ntration ratios (CR) and the shift effect in the system of Korean container ports that concern the export and import of container cargos, especially from/to 5 overseas origin/destination (O/D) regions, using the Hirshmann-Herfindahl Index (HHI) and the Shift-Share Method. The results shows that the CR has decreased during the last 20 years, from 0.86 to 0.44, mainly because cargos from/to the Far-East/South-East Asian regions have become more dispersed to several domestic container ports, especially from the Port of Busan.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there has been little change in the CR for all cargos, like the value of –0.3%, in the last 5 years. However the change in CRs for the cargos from/to the North America and Europe is positive, with the value of 7.6% and 6.6%, respectivel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future development of medium- and small-sized container ports in Korea is not very likely.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CR and the shift effect of the Korean container ports for the cargos by the domestic O/D regions should be analyzed in the future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in great detail.

      • KCI우수등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OECD국가의 재생에너지체제와 CO2 집중도(intensity)에 관한 연구: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과 기술혁신을 중심으로

        석조은 한국행정학회 2022 韓國行政學報 Vol.56 No.1

        This study empirically tested the validity of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EKC) theory using panel data on the CO2 intensity of 24 OECD countries and their renewable energy systems between 1990 and 2019. A country’s renewable energy system was defined as comprising its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government renewable energy programs, and innovation in renewable energy technology. Short-term and long-term time lag analyses were further conducte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policy programs and technology innovation as explanatory variables. Findings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 higher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was associated with better CO2 intensity. However, its effect in comparison to that of other explanatory variables was smaller. Second, higher feed-in tariffs (FIT) paid by government was found to improve CO2 intensity, particularly in the long term. 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s (RPS), on the other hand,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ut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the CO2 intensity. Interestingly, although the interaction of the FIT and RPS was found to have increased the CO2 intensity, each program when implemented in tandem was found to have stronger effect in lowering the CO2 intensity. Third, government investment in renewable energy R&D increased CO2 intensity in the short term bu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umulative effect in improving it in the long term. Lastly, while a higher level of innovation in renewable energy technology was correlated with improvement in CO2 intensity, such effect weakened in the long term. In sum, this study draws upon the key mechanisms of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EKC) to shed light on the role and effects of government renewable energy programs and innovation in renewable energy technology on CO2 intensity in OECD countries and presents both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9년에 걸친 OECD 24개국의 재생에너지체제를 환경쿠즈네츠곡선(EKC) 논의의 내부메커니즘과 연계하여 이들 국가의 재생에너지체제와 CO2 집중도(intensity)의 관계를 실증 분석한다. 특히, 본 연구는 이들 국가의 재생에너지체제를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재생에너지 정부정책, 재생에너지 기술혁신으로 설정하고, 이들 설명변수인 정책변수와 기술혁신변수의 특성을 고려한 단기적, 장기적 시차분석을 단계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나타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이들 국가의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높을수록 CO2 집중도가 개선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이들의 개선효과는 다른 설명변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다소 낮은 편이었다. 둘째, 정부의 재생에너지 지원정책인 발전차액지원(FIT)의 수준이 늘어날수록 CO2 집중도가 개선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보다 장기적 시점에서 이들의 효과가 두드러지는 특성도 확인되었다. 반면에, 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의 경우, CO2 집중도에 대한 개선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으며, 오히려 단기적으로는 CO2 집중도가 크게 증가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또한, 발전차액지원제도(FIT)와 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의 상호작용 효과는 CO2 집중도를 가중시키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들 정책을 병행하는 경우, 이들 개별 정책의 CO2 개선효과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부의 재생에너지 R&D는 CO2 집중도에 대한 복합적 양상이 확인되었다. 특히, 단기적으로는 CO2 집중도가 증가되는 결과가 두드러졌으나 누적적, 장기적 분석결과, CO2 집중도가 개선되는 양상도 통계적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재생에너지 기술혁신은 늘어날수록 이들 국가의 CO2 집중도가 개선되었으며, 시차효과는 존재하지만, 보다 장기적으로는 이러한 양상은 약화되었다. 이로부터 본 연구는 환경쿠즈네츠곡선(EKC)의 핵심메커니즘을 이들 OECD국가의 재생에너지체제와 연계하며, CO2 집중도에 대한 이들의 효과를 검증하고,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과 기술혁신의 중요성과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산업집중도와 기업설명회 개최 간의 관련성 연구

        권오진(Kwon Oh-jin),여영준(Yeo Young-ju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7 국제회계연구 Vol.0 No.71

        본 연구는 산업집중도와 기업의 대표적인 자발적 공시 수단인 기업설명회 개최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산업집중도에 따라 전유정보 공시비용이 달라지며 이로 인하여 경영자의 자발적인 공시정책에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한다. 공시는 기업과 투자자 간의 정보비대칭을 낮춤으로써, 기업의 자본비용 감소 및 가치증가와 같은 경제적인 효익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는 완전한 공시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선행연구들은 전유정보 공시비용의 존재가 기업의 완전공시를 저해하며, 이로 인해 경영자들은 공시로 인한 효익과 비용을 고려하여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공시를 수행하게 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Verrecchia 1983). 또한 산업의 집중도에 따라 전유정보공시비용이 차이가 존재함을 보고하였다(Harris 1998; Botosan and Standford 2005; Verrecchia and Weber 2006; Li 2010; Ali et al. 2014).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들을 대상으로 자발적 공시의 대표적인 수단인 기업설명회를 사용하여, 산업집중도와 자발적 공시 간의 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산업집중도와 기업설명회 개최 간에는 양방향의 예측이 가능하다. 먼저, 집중도가 낮은 산업에 속한 기업이 사적정보를 공시할 경우, 산업 내 다른 경쟁기업들이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공격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공시기업은 경쟁지위를 위협받을 더 높은 가능성에 직면된다. 특히, 기업설명회는 기업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므로, 이러한 정보가 시장에 제공된다면 경쟁기업들은 좀 더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산업집중도가 낮을수록 경영자의 자발적 공시는 감소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산업집중도가 높을수록 기업들은 일반적으로 높은 수익성을 가지게 되는데, 경영자들은 이러한 높은 수익성을 감추기 위해 자발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기피할 수 있다. 실증분석 결과 산업집중도와 기업설명회 개최 여부 및 개최 횟수 간에는 양(+)의 관련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집중도가 낮은 산업에 속한 기업일수록 전유정보 공시비용이 증가하므로, 경영자가 공시의 효익 보다 비용이 더 클 것으로 판단하여 공시를 기피한다는 것으로 해석할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industry concentration and Investor Relations(hereafter, IR) activities. Prior literatures report that corporate disclosure reduces firms’ cost of capital(Barry and Brown 1984, 1985; Botosan 1997; Sengupta 1998; Botosan and Plumlee 2002) and increases stock liquidity(Diamond and Verrecchia 1991; Healy et al. 1999; Leuz and Verrecchia 2000) by decreasing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r and outside investors. Despite these benefits of corporate disclosure, managers do not release the full information of firms. According to prior studies, the existence of proprietary cost gives an incentive to the manager exercising discretion in disclosing information(Verrecchia 1983; Healy and Palepu 2001; Beyer 2010). Proprietary cost is the cost related to disclosing information which is potentially damaging to a firm. Prior studies also report that proprietary cost varies according to industry concentrat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expect that managers will provide the information of firms to the public when they think that the benefits of disclosure are greater than the costs of disclosure to maximize their firm value. We expect that industry concentr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R activities. Because competitors are likely to take more strategic behaviors in response to its disclosure when a firm in a less concentrated industry provides its information to the public. As a result, competitors’ strategic behaviors have a harmful impact on a firm’s competitive position(Verrecchia 1983; Wagenhofer 1990; Clinch and Verrecchia 1997; Verrecchia and Weber 2006; Dedman and Lennox 2009). In contrast, a firm in a more concentrated industry may see no costs related to making public disclosure. In particular, IR disclosure provides more comprehensive informations of companies, and capital market participants are available to obtain IR information easily, because managers are required to report the time, place and contents of IR activities to Korea Investor’s Network for Disclosure System(hereafter, KIND) prior to the firm holding IR. On the other hand, the firm in more concentrated industries are less likely to provide IR disclosure. In general, highly concentrated industries are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only a small number of companies, wherein these companies will have a high profitability. If a firm in more concentrated industry releases information about highly abnormal profits, it could attract more entrants into the industry to compete for market share. For this reason, a firm in more concentrated industry provides less IR disclosure to protect their abnormal profits and large market share(Harris 1998; Botosan and Stanford 2005; Kim 2012). Taken together, the association between industry concentration and IR activities is capable of bidirectional prediction. To perform our hypothesis, we collect financial data from TS-2000 and ex stock and analyst data from Fn-Guide. In addition, IR data are collected by hand from KIND. As a result, we use 7,017 firmyear observations listed on KOSPI from 2002 to 2014 period. To measure the level of industry concentration which is independent variable, this paper uses Hirschman-Herfindahl Index(hereafter, HHI) and three-firm concentration ratio(hereafter, CR3) which are the most commonly used proxies for the degree of industry concentration. The level of IR activities which is dependent variable is measured as the frequency of IR activities, and whether or not a firm is engaged in IR activities.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e find that industry concentr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R activities. In other words a manager whose firm operates in a less concentrated industry is less likely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companies to the public, because the proprietary cost is higher than the benefit of disclosure when industry concentration is relatively low.

      • KCI등재

        심전도를 이용한 집중도 인식 방법

        이동원(Dong Won Lee),박상인(Sangin Park),황민철(Mincheol Wha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2

        집중도는 사용자 연구에서 중요한 감성적 반응으로 고려되고 있다. 객관적인 측정 방법으로 심장반응을 이용하여 데이터화 한다면 집중도를 감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작용을 하는 상황에서 유발되는 집중도의 차이에 따른 심장 반응의 패턴 분석을 통해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집중도를 인식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대학생 피험자 60명이 집중도 실험에 참여하였고 실험하는 동안 피실험자들의 심전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화살로 타겟을 맞추는 게임으로 쉬운 난이도와 어려운 난이도로 구성하였다. 심전도로부터 시간 영역 인디케이터와 주파수 영역 인디케이터를 추출하였다. 독립 표본 t검정 결과, 심전도로부터 추출한 시간 영역 인디케이터인 RRI와 SDNN, rMSSD, pNN50에서 집중도 차이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주파수 영역 인디케이터에서는 LF와 HF, lnLF, lnHF가 집중도 차이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이 중 집중도의 차이에 따라 패턴의 차이가 큰 RRI와 rMSSD, lnHF를 선정하여 통합 인디케이터를 생성하였다. 통합 인디케이터를 통해 도출한 룰베이스를 낮은 집중과 높은 집중 60개의 데이터 샘플을 통해 검증한 결과, 95%로 높은 인식 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집중도 인식 방법을 콘텐츠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컨텐츠적 요소들을 개발한다면 효율 및 흥미를 증진시킬 것이라 기대된다. Focus level has been important mental state in user study. Cardiac response has been related to focus and less clarified. The study was to determine cardiac parameters for recognizing focus level. The sixty participants were asked to play shooting game designed to control two focus levels. Electrocardiogram was measured during task. The parameters of time domain and frequency domain were determined from ECG. As a result of independent t-test, RRI, SDNN, rMSSD and pNN50 of time domain indicat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cognizing focus level. LF, HF, lnLF and lnHF of frequency domain were observed to be significant indicator. The rule base for recognition has been developed by the combination of RRI, rMSSD and lnHF. The rule base has been verified from another sixty data samples. The recognition accuracy were 95%. This study proposed significant cardiac indicators for recognizing focus level. The results provides objective measurement of focus in user interaction design in the fields of contents industry and service design.

      • KCI등재

        영화 흥행 집중도와 상영 스크린 집중도로 살펴본 한국 영화산업 10년

        김정호(Jung-H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5

        한국 영화의 시장 점유율은 최저 2008년 42.1%에서 최고 2013년 59.7%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멀티플렉스와 와이드 릴리스 전략, 4대 메이저 배급 회사와 3대 멀티플렉스 체인의 독과점의 영향으로 한국 영화 흥행의 양극화 현상은 심화되고 있다. 한국 영화 흥행 집중도는 2004년 0.53에서 2014년 0.85로 심화되었다. 흥행 순위 상위 10%의 한국 영화가 차지하는 관객 수 비중은 2004년 30.28%에서 2014년 71.2%로 급격히 높아진 반면에, 흥행 순위 하위 50%는 2004년 11.03%에서 2014년 0.08%로 아주 낮아졌다. 상영 스크린 집중도도 2004년 0.36에서 2014년 0.67로 심화되었고, 상영 횟수 집중도도 2004년 0.46에서 2014년 0.78로 높아졌다. 좌석 수의 집중도도 2004년 0.50에서 2014년 0.79이다. 많은 관객이 선택하는 영화라서 상영 스크린 수를 늘리고, 상영 횟수를 늘리고, 많은 좌석 수를 확보한다면, 이는 자연스러운 시장의 선택 결과라고 하겠다. 하지만 이들 영화들의 좌석 점유율 집중도를 보면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좌석 점유율 집중도는 2004년 0.22에서 2014년 0.38로 다른 집중도와는 달리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상위 10% 영화들의 좌석 점유율은 2004년 38.2%에서 2014년 32.3%이며, 하위 50%는 2004년 23.5%에서 2014년 23.8%로 나타났다. Korean movie maintain their market share from the highest 59.7% to the lowest 42.1% during the last ten years in Korea. However, with the multiplex and wide release strategy, the monopolies of four major distribution companies and three multiplex chain, the polarization of Korean movie’s Box Office performance is deepening. With Gini-Index, concentration of film admission has been deepened in intensity from 0.53 in 2004 to 0.85 in 2014. Using Thomas Piketty’s method, Movie attendance proportion of Highest 10% of the box office ranking for 2014 sharply increased to 71.2% from 30.28% in 2004 and the lowest 50% of box office ranking dropped from 11.03% in 2004 to 0.08% in 2014. Concentrations of the number of Screen, Screening, the seating Capacity have the same analogy with the polarization of film admission. However, concentration of seating share has maintained a modest increase from 0.22 in 2004 to 0.38 in 2014. This analysis shows that polarization of Korean movie box office performance is not the sole result of Natural selection of market but the result of the monopolies of distribution companies and Multiplex chains.

      • KCI등재후보

        R&D 투자, 레버리지 및 체계적 위험간의 관련성

        박상규(Park Sang-Kyu) 한국국제회계학회 2008 국제회계연구 Vol.0 No.23

        본 연구는 R&D 집중기업의 초과수익 현상은 R&D 집중기업의 높은 ‘위험에 대한 보상’에 기인한다는 선행연구들의 주장에 대한 보다 직접적인 증거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R&D 집중도가 체계적 위험에 미치는 영향 및 R&D 집중도와 체계적 위험의 구성요소인 영업레버리지도(DOL) 및 재무레버리지도(DFL)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 지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R&D 집중도와 체계적 위험간에는 유의적인 정(positive)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관련성은 R&D 집중도가 높은 표본기업 집단에서 더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D 집중도와 해당 기업의 DOL간에는 유의적인 정(positive)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계적 위험에서와 마찬가지로 R&D 집중도가 높은 표본기업 집단에서 더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R&D 집중도와 DFL간에는 연구가설에서의 예측과는 달리 유의적인 부(negative)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R&D 집중도와 DFL간의 관련성을 표본 기업들의 R&D 집중도 수준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해보면. R&D 집중도가 높은 표본기업 집단에서는 R&D 집중도와 DFL간의 유의적인 부(negative)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R&D 집중기업의 초과수익 현상은 ‘위험에 대한 보상’에 기인한다는 선행연구들의 주장을 지지하는 증거로 보이며, R&D 집중기업의 위험은 고정재무비용으로 인한 재무레버리지 효과에 기인하기 보다는 고정영업비용에 의한 영업레버리지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R&D investments on the systematic risk and the leverage of firms. Prior studies on firm value argue that the excess returns of R&D intensive firms are attributable to the high risk of R&D intensive firm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R&D intensity significantly influences systematic risk. and to investigate whether R&D intensity significantly influences DOL(Degree of Operating Leverage) and DFL(Degree of Financial Leverage), which are the components of the systematic risk.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 that firms' R&D intensity positively related to the systematic risk and the DOL. Also. these relationships are particularly strong in the sample group of high R&D intensive firms. On the other hand. we can not show that firms' R&D intensity negatively related to DFL in overall sample, but we can show that firms' R&D intensity negatively related to the DFL in the sample group of high R&D intensive fi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prior studies' hypothesis that the excess returns of R&D intensive firms stems from their high risk. Also. the risk of R&D intensive firms may not be attributable to the effect of financial leverage but the effect of operating leverage.

      • KCI등재

        집중도 지수를 활용한 HNS 사고 대비 우선지역 선정

        하민재,장하용,김태형,윤종휘,이문진,이은방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1 No.6

        위험·유해물질(HNS) 유출사고를 대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산업 집중도를 지수화하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쓰이는 집중도지수를 활용하여 HNS 사고의 지역별 집중도를 확인하였다. 이는 HNS를 포함한 해양 유출사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HNS 사고 규모 집중도지수와 HNS 사고 빈도 집중도지수를 수치화하여 하나의 값인 HNS 사고 집중도지수를 제시하는 방식이다. 도출된 지역별 HNS 사고집중도 지수값를 바탕으로 울산을 HNS 대비 최우선 지역, 여수, 부산, 태안을 HNS 대비 우선지역, 군산, 목포, 완도, 인천, 통영, 평택, 포항을 HNS 대비 필요지역, 그 밖에 해양유출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동해, 보령, 부안, 서귀포, 속초, 제주, 창원을 HNS 대비 지원지역으로 그룹화하여 대비측면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였다. The concentration of the HNS Accident for each region was confirmed to prepare against an HNS Spill accident by using a Concentration Index which is used to assess industry concentration trend. This is to present the HNS Accident Concentration Index by combining HNS Accident Scale Concentration Index and an HNS Accident Frequency Concentration Index based on the data of marine spill accidents including the HNS accident. Based on the HNS Accident Concentration Index, Ulsan was identified as a top priority region for preparedness, Yeosu, Busan and Taean were identified as priority regions for preparedness, Gunsan, Mokpo, Wando, Incheon, Tongyeong, Pyeongtaek and Pohang were identified as necessary regions for preparedness, Donghae, Boryeong, Buan, Seogwipo, Sokcho, Jeju and Changwon, in which no marine spill accidents occurred, were identified as support regions for preparedness.

      • KCI등재

        펀드 증권집중도의 결정요인

        손판도,김성신,신정순 한국산업경제학회 2010 산업경제연구 Vol.23 No.6

        본 논문은 2001년 1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한국 펀드 시장에서 능동적으로 관리하는 펀드자료를 이용하여 펀드 집중도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고정효과모형과 Fama-MacBeth방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펀드자산규모와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펀드의 투자비율 및 현금보유비율은 펀드 집중도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용기간, 산업집중도, 회전율, 신펀드자금유입액 변수들은 펀드집중도에 부의 유의적인 영향을 주는 결정 요인으로 작용을 하였다. 셋째, 흥미로운 것은 펀드 위험의 대용치로서 전기 트래킹에러가 높을수록, 즉 위험이 높을수록 오히려 펀드 집중도를 높이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넷째, 전기 초과수익률이 낮을수록 펀드 매니저들은 성과를 높이기 위해 펀드자금을 특정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였다. This paper examines and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fund concentration using actively managed Korean fund data over 2002-2008. We use fixed effect model and Fama-MacBeth method in estimating the regression model and confirm our results. Our analysis provides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fund size, the proportion of investing money into stock market, and cash holding do not play a key variable in determining the fund concentration. Thu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se variables are not determinants. Second, we find that fund operation period, industry concentration, turnover, and new money growth have negative effect on the fund concentration. Thus these variables could be determinants to fund concentration. Third, interestingly, when tracking error as the proxy for fund risk increases, implying that the fund risk rises, the extent of fund concentration increases. Forth, also we document that fund managers tend to invest their money into concentrated area when prior fund excess return is lower.

      • KCI등재

        산업집중도에 따른 주식수익률 차이는 존재하는가?

        류두원(Doo Won Ryu),류두진(Doo Jin Ryu),백재승(Jae Seung Baek) 한국증권학회 2014 한국증권학회지 Vol.43 No.4

        본 논문은 Hou and Robinson(2006)의 창조적 파괴가설과 진입장벽가설 하에 산업집중도(시장 경쟁정도)에 따른 주식수익률의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우리나라 주식시장 1999년부터 2012년까지의 장기간의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표본을 분석한 결과, 높은 집중도를 가진 산업의 주식수익률이 낮다는 미국시장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와 유사한 현상도 일부 관찰할 수 있었으나 광범위하게 관찰하지는 못하였다. 둘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로 하위 표본을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 금융위기 이전 기간보다는 이후 기간에 집중도가 높을수록 수익률이 낮은 현상이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 이는 금융위기의 영향이 한국의 주식시장에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암시한다. 셋째, 산업집중도의 고저에 따라서 하위 표본을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집중도가 낮은 그룹에서는 산업집중도가 주식 수익률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중도가 높은 그룹에서는 유의한 현상을 관찰하지 못하여 시장경쟁에 따라 산업집중도가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짐을 발견하였다. 넷째, 미국시장과는 반대로 기업의 규모가 주식수익률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장부-시장가치비율이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Gallagher and Ignatieva (2010)의 호주시장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와도 일부 일치한다. 본 논문의 결과는 한국시장이 신흥시장에서 선진시장으로 변해가는 과도기적 시장형태일 가능성을 제시하며, 한국의 시장 및 산업의 구조는 미국시장과는 사뭇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industrial concentration (i.e., market competition) affects stock market performance in the Korean financial market. Our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rms in more concentrated industries generally exhibit lower returns, however, this pattern is not clear. Second, by analyzing sub-samples that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we find that firms in more concentrated industries earn significantly lower returns especially during the after-crisis period. Third, an analysis based on sub-samples that are classified by the degree of industrial concentration indicates that the stock returns of firms in less concentrated industries have a significant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industrial concentration, however while the stock returns of firms in highly concentrated industries do not show any significant patterns. Fourth, in contrast with the findings in U.S. market, we find that Korean stock returns are positively related to size and negatively related to the book-to-market rati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