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과학적 지식, 인식론, 질적연구방법

        이윤경 한국사회학회 2017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2017 No.12

        본 논문은 질적연구방법의 방법적 자원과 특성에 대한 인문-사회과학의 융합적 논의를 바탕으로 질적데이타에 근거한 연구방법의 여러가지 전통과 관점을 드러냄으로 지적인 자극과 통찰을 공유한다. 양적연구방법에 경도된 학문적 경향으로 사회과학계에는 질적연구방법이 가진 인식론적 자원에 대한 이해가 일천하여 본 논문은 질적연구방법에 대한 기존의 제한적 이해를 확장하기 위한 연구목적을 갖는다. 질적연구방법은 사회과학의 영역에서 지배적인 지식생산의 방법인 양적연구방법과는 비통약적인 철학적 전통과 이론적 전제에 기반해 있다. 질적연구방법의 발달과정은 여러 학문적 전통에 대한 반발, 저항의 분기와 수용, 접목과 같은 결합을 통해서 이루어져왔기 때문에 질적 연구방법의 철학적이며 이론적인 전통에 대한 이해는 자연과학, 인문학, 사회과학의 경계에서 분기・수렴되는 융합적인 속성과 맞닿아있다. 본문에서는 과학적 지식을 생산하기 위한 인류의 부단한 지적인 노력이 이질적인 학문분과에서 조우하면서 발전되어 온 질적연구방법에 대한 배경에서 출발한다. 질적연구방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네 가지 방법인 현상학적 연구, 내러티브 연구, 민속지학 연구, 근거이론을 소개하고 각 접근법에서 도출되는 각기 다른 속성과 방법론적 자원을 살펴본다. 질적연구방법의 지적 계보와 전통에 대한 탐사는 질적연구방법이 사회정의를 지향하는 가치지향성을 담아내며, 질적연구방법과 양적연구방법 간의 비통약적 테제를 제시하며, 양적연구방법을 통해 획득하기 어려운 질적연구방법의 방법론적 자원을 선사한다. This article shows an interdisciplinary and intellectual journey that cut across the philosophical tradition and social science to reveal the disparate methodological footing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ne from the other. While reexamining the scholarly usage and implications that qualitative research paradigm has offered, it unfolds the process of how the epistemology in develop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has been traversing different terrains to embrace, inoculate new insights and sometimes resist the extant ideas, concepts and theory-testing. The remainder of the article is devoted to attentively inviting quantitatively oriented researcher to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grounds that relate the self with body, others, and external world. In this discussion it shows the possibilities of democratiz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 and of expanding the horizon of our knowledge.

      • KCI등재

        질적 방법론과 회계학연구

        김석웅(Kim Seok-woo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16 국제회계연구 Vol.0 No.65

        최근에 우리 나라에서도 질적 방법론과 이를 이용한 질적 연구가 사회학, 간호학, 교육학 등의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회계학계에도 일부가 발표되고 있지만, 질적 방법론의 분야에서 방법론, 이론, 연구방법, 자료조사방법, 자료해석방법 등에 관한 개념들이 명확하게 구명되지 않고 혼재되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선행연구의 내용분석을 통해서 질적 방법론의 체계를 명확히 하고 연구현황을 살펴서 한국의 회계학계에 질적 방법론과 연구방법의 이해와 확산을 촉진하고자 한다. 질적 방법론은 비판적 방법론과 해석적 방법론을 의미하는데, 좁은 의미로는 주로 해석적 방법론을 의미한다. 해석적 방법론은 연구대상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연구대상자의 체험을 통해 경험현실을 해석하고 재구성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질적 방법론인 해석적 방법론의 철학적 배경은 해석학과 현상학이고, 주로 이용하는 이론은 사회학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구조화이론, 일상생활방법론, 제도이론, 행위자연결망이론 등이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민속지학, 실행연구, 사례연구, 근거이론 등이고, 자료수집방법은 면접, 참여관찰, 현장연구, 문헌조사 등이며, 자료분석방법은 해석학, 서사분석, 기호학(내용분석, 대화분석, 담론분석) 등이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내용분석해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민속지학(ethnography)은 문화기술지, 민속기술지, 종족지학이라고도 하는데, 연구대상인 사람(회계담당자)들의 삶의 방식과 문화적 배경에 대해 연구자가 (비)공개적으로 그들의 삶에 일정한 기간동안 참여하여 직접 체험하면서 자료를 수집하는 연구방법이다. 실행연구(action research)는 현실의 구체적인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지식을 추구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실행연구에서는 연구로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도 포함한다. 해석적 방법론의 사례연구(case study)는 연구자가 구체적인 사례에 직접 참여하여 체험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례를 연구한다. 해석적 방법론에 의한 연구는 주관성, 일반성의 부족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을 결합하는 Q방법론, 삼각측정(triangulation) 등의 혼합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Nowadays, Qualitative methodology has also been applied to various disciplines such as Sociology, Nursing, Education in Korea. In Accounting, Although some qualitative researches have been published, their concepts such as methodology, research method, theory, data researching method and data interpreting method have not been clarifi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and expansion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and research method in the Korean accounting community through clarifying the framework of qualitative methodology by content analysis of prior accounting researches. The qualitative methodology means both the critical methodology and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However it means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in a narrow sense. It is the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view point of the researched and to interpretate and reconstruct the reality experiencing through lived experienc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are hermeneutics and phenomenology. Theories used in qualitative methodology are sociological theories such as symbolic interactionism, structuration theory, ethnomethodology, institutional theory, actor- network theory. The research methods are action research, case study, grounded theory. In this paper, the research methods of qualitative methodology are the research focus. The ethnography is the research method to collect data on the life style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researched people(accountants) through lived experience participating the phenomena and life of them during some periods. The action research is the process to pursue the knowledge to solve specific problems at the field. The case study of interpretive methodology is to research the case at which the researcher have participated during some periods.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has some problems such as subjectivity and lack of generality.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Mixed methods such as Q methodology, triangulation have been used.

      • KCI등재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이남인(Nam-In Lee) 한국현상학회 200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4 No.-

        지난 50-60년 동안 많은 연구자들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수학적인 정량적 분석의 방법이 지니는 한계 및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다양한 유형의 질적연구방법을 개발해 왔다. 그런데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질적연구방법 중의 하나는 바로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이다.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은 현상학의 창시자인 후썰에 위해 정초된 현상학적 철학의 전통에 토대를 두고 발전된 연구방법이다.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 중의 하나는 “체험연구"(lived experience research)를 위한 방법인데. 현상학적 체험연구방법은 심리학, 간호학, 교육학 등 다양한 인문사회과학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현상학적 체험연구방법이 이처럼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과연 현상학적 철학의 전통에 토대를 두고 있는 타당한 방법인가의 문제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많은 연구자들이 그동안 개발된 여러 가지 유형의 현상학적 체험연구방법을 활용하면서 많은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일군의 연구자들은 그러한 방법이 심각한 문제를 지니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그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이처럼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과 관련된 논의는 현재 다소 혼란스러운 상황에 처해 있는데, 그 일차적인 이유는 현상학적 질적연구 방법이 아직도 튼튼한 철학적인 토대 위에 정초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상학적 칠적연구방법과 관련된 이러한 혼란스러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의 철학적 토대에 대한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 글의 목표는 바로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의 철학적 토대를 검토하변서 다양한 유형의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In the past 50-60 years, pointing out the limitation of the quantitative metho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ome researchers have developed various kind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ne of them is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The founders of this method consider it to be rooted in the phenomenological tradition that is developed by such phenomenologists as E. Husserl, M. Heidegger, M. Merleau-Ponty. The most well known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is the method of the lived experience research. It is widely used by many researcher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owever, some challenge that this kind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s really rooted in the phenomenological tradition. One can say that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s not yet founded on a firm philosophical groun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the lived experience research could be considered to be really rooted in the phenomenological tradition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 KCI등재

        사제관계 기반 질적 연구자 되기 과정

        이동성(Dongsung Lee)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3

        이 글의 목적은 사제관계에 기초하여 질적 연구 전문가로 성장 및 발달해 가는 과정을 자문화기술지로 이야기함으로써 한 질적 연구자의 변환적인 과정과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입문 단계(起): 현장교사였던 나는 한 스승의 진정성 있는 격려로 질적 연구방법론에 입문할 수 있었다. 성장 단계(承): 질적 연구 초심자였던 나는 스승의 전문적인 도움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방법론의 세부 절차와 방법을 익힐 수 있었다. 또한, 나는 스승을 통해 단편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수준을 넘어, 질적 연구방법론자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 자질을 갖추게 되었다. 발달 단계(轉): 전임교수가 된 나는 스승의 학문적 리더십으로 연구방법과 연구영역을 확장할 수 있었다. 세대전이 단계(結): 질적 연구방법론자가 된 나는 스승의 학문적 열정을 거울삼아 또 다른 스승으로서 후세대를 양성할 수 있는 역량을 갖게 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사제관계를 기반으로 한 질적 연구자의 성장과 발달 과정을 조명함으로써 질적 연구방법에 대한 교수 및 학습 전략을 제공하고, 질적 연구방법론의 전승과 발전을 위한 경험적 및 이론적 자료로써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transitional process of becoming a qualitative researcher and its meaning through autoethnography based o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o teach and learn qualitative research. The specific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Introduction stage 1: I as a doctoral student and school teacher had become a master’s pupil owing to authentic encouragement of a professional who was a master in qualitative research domain. Growth stage 2: I as a novice qualitative researcher and dispatched teacher could have learned methodic procedures and skill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rough professional help of my master. Also, I as a qualitative researcher could have built expertise to become a proficient research methodologist with master’s help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Development stage 3: I who became a professor in a university could have expanded and extended research topics and methods such as autoethnography and life history research thanks to master’s academic leadership.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stage 4: I who became aa master in qualitative research could have taught next generation who want to be a qualitative researcher by mirroring my master’s academic enthusiasm. The results of this paper could be an empirical and theoretical exemplar in teaching and learning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y shedding light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a qualitative researcher in term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 교육비평방법론을 활용한 질적연구

        김명희,조재성 한국질적탐구학회 2016 질적탐구 Vol.2 No.2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theoretical concept of educational criticism for qualitative researchers and present practical process of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methodology of educational criticism. The concept of educational criticism is composed of two elements; criticism and connoisseurship. Criticism refers to a task in which a researcher evaluates a phenomenon, based on certain grounds, by observing a scene or a site as it is. In criticism, there is no final, conclusive or perfect definition. Depending on the context of research, the result of criticism can always be different. On the other hand, connoisseurship is dependent on intellectual capacity of a researcher and it is a capability of carefully analyzing certain event and phenomenon that is likely to be overlooked, to distinguish various characteristics out of them. According to the concept of connoisseurship,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criticize the fact artistically, based on sharp discernment in conjunction with rational judgement and scientific analysis on a certain scene or a site.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realize ourselve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our world of life. Educational criticism combines both concepts and is characterized as a research methodology of which a variety of phenomena happening in the field are described and analyzed. The process of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educational criticism can be explained as follows: First, it defines research problems. As for the necessity of research, it can use episodes, while the type of research problems can be stated in the form of description,understanding and depic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preliminary research results in parallel with the importance of research and the limitations of research. Second, it explains research methods. It is required to describe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spot where the event occurred in detail, as they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form the structure of a research. Moreover, it is vital to make a full explanation about theoretical knowledge of connoisseurship, constituting a core concept of educational criticism. As for the research process, the researcher should choose the best way to explain the research. At the last stage, it is important to clarify how the problems of research ethics have been solved. Third, data is collected and analyzed. In educational criticism methodology, data collection takes place in a circular and concurrent way. So as to ensure the research validity, educational criticism applies the methods of structure corroboration, consensual validation and referential adequacy. Finally, research results are laid out. The results are also laid out in paper writing. When the research results are described, it is essential to clearly mention, from whom the paper is originated and apply the appropriate writing strategy.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의 주요한 방법 중 하나인 교육비평방법론을 소개하고 이론에서 중요하게 생각되는 개념들의 의미를 다시 되새김과 동시에 심화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질적연구자들에게 교육비평방법론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논의하려 한다. 한편으로는 교육비평방법론을 적용한 질적연구의 절차를 탐색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질적연구의 과정을 재구성하고 교육비평을 활용하고자하는 질적연구자들에게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도 교육비평과 감식안 개념은 생소하고 새로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교육비평에 대한 이론적 설명은 많이 시도되었지만 구체적으로 현장작업과 관련하여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적 과정에 대한 상세한 소개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아직 구체화되지 않고 있는 교육비평방법론의 실제적 적용의 가능성을 더욱 확장시키고자 한다. 그리하여 조직, 기관, 집단, 프로그램의 과정 연구에서 교육비평방법론을 활용한 질적연구가 더욱 널리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

        신현석(Shin Hyun-Seok),주영효(Joo Young Hyeo),정수현(Jeong Soo-hye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3

        본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고찰 후 출판 연도,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도 명시 유무, 연구 영역, 연구 유형, 자료 수집 방법, 연구 참여자 수 및 표집 방법, 신뢰도 검증 방법, 자료수집 기간 등 아홉 가지 분석 준거를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교육행정학 분야 연구가 게재되고 있는 학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이 제공하고 있는 영향력 지수 1.00 이상을 기준으로 자료수집 및 분석 대상 학회지를 한국교육행정학회의 『교육행정학연구』, 한국교육 학회의 『교육학연구』,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 한국교원교육학회의 『한국교원교육 연구』 등 네 종류로 선정하였다. 이들 학회지에서 1980년 이후 발행된 질적 연구는 318편이 며, 이 가운데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해 식별한 분석 대상 논문은 190편이 다. 최종 분석 대상으로 분류된 논문은 분석 준거를 적용하여 1차/2차 분석 후 분석 결과에 대한 연구진 간 상호 검토를 거쳐 분석 결과를 최종적으로 양적 데이터베이스화(database)한 후 양적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시대별 및 연구 유형별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주 요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① 사례 연구, 기타 질적 연구, 문화기술지 연구 순으로 연구 접근 빈도가 높고, ② 자료수집 방법에서는 면담, 참여관찰+면담+문서자료 및 면담+문서자료, 문서 자료 순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③ 연구 참여자 표집 방법으로는 특수 표집 방법, 편의 표 집 방법, 전형적 표집 방법 순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료수집 기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질적 연구가 분석 대상 논문의 34.2%를 차지하였고, 연구 참여자 표집 방법과 신뢰도 검증 방법에서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비율은 각각 분석 대상 논 문의 15.3%, 31.5%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시사점 및 발전 과제를 도출 및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litative research trends i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both current qualitative research scholars and prospective resear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followed four steps. First, the researchers scrutinized previous qualitative studies and Korean research articles which analyzed qualitative research trends. As a result, this study constructed nine analysis criteria. Second, we selected four academic journals such a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 and『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After reviewing 318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se four journals, the researchers lastly chose a total of 190 qualitative studies. Third, we conducted a primary and secondary analysis for the selected papers and the researchers performed peer review about the result. Fourth, the present study analyzed quantitative data using quantitative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1) that most frequently used method for collecting data was interview (31.1%), 17.9% were participant observation+interview+documentation and interview+documentation, 2) that a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less than three months for 28.4% and 34.2% did not present specific information for the period, 3) that 31.5% of qualitative studies did not present a method to examine qualitative data, and that 4) 15.3% did not show concrete information to choose research participants.

      • KCI등재

        국내 교육공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의 질적 탐색

        이은택,임상훈,이두섭,유영만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그동안 수행되어온 교육공학 분야의 질적 연구의 질적 변화를 분석하고 앞으로 교육공학분야의 질적 연구의 성숙을 위한 방향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저자의 특성, 연구제목, 질적 연구에 대한 정의 부분, 연구방법, 연구목적, 연구자의 연구개입 정도(연구도구로서 연구자), 연구에 대한 평가(제언)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시간성과 공간성의 기준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는 질적 연구 수행의 인식 변화과정과 상호작용을 살펴보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의 성찰과정이기도 했다. 시간적 흐름은 질적 연구를 하나의 ‘방법론’으로 이해하는 과정으로 데이터-방법적-방법론적 단계 변화가 있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질적 연구의 방법론적 성장에 촉매제가 되었다. 공간적 제약은 양적 연구가 다수인 교육공학 분야의 특수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연구의 정당성을 위한 양적 연구자 설득하기, 질의 양화를 통한 연구의 객관성 입증하기, 소극적인 결론 제시를 통한 양적 연구 회귀하기와 같은 현상들이 발견되었다. 향후 교육공학 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성숙된 발전을 위해서는 질적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 질적 연구에 적합한 심사기준 마련과 방법론 교육, 방법론 수용에 있어 유연성이 필요하다. 특히 다양한 방법론에 대한 수용은 개인적 노력을 넘어서 학문공동체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노력은 학문공동체의 질적 성장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유아교육연구의 새로운 동향

        이연선(Younsun Lee)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2023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분야의 질적연구가 여전히 실증주의의 인식론적 지배를 받아왔음에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동향인 후기질적연구(post-qualitative research)에 대한 사상적 기초와 방법론적 이론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부터 시작된 후기질적연구 사상에 대한 문헌강독과 연구자의 내부작용적 연구일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하여 결과를 제시한 문헌연구이다. 연구내용은 첫째, 후기질적연구의 등장배경과 포스트철학에 대한 개관, 둘째, 후기질적연구 이해하기: St. Pierre를 중심으로, 셋째, 탐구(inquiry)로서의 후기질적연구방법론으로 구성되었다. 신물질주의, 포스트휴머니즘, Barad의 행위적 실재론과 Deleuze 철학을 사상적 기초로 하는 후기질적연구는 기존의 질적연구가 갖는 방법론적 재현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존재론적 전회를 시도한다. 따라서 연구자와 연구참여자에 대한 관계적 존재론으로의 관점전환과 결과분석시 해석에 대한 저항 등이 방법론적 특징이 된다. 즉, 기존의 질적연구의 특징인 재현과 반성을 넘어선다. 발현적 특성이 강한 유아교육현장은 리좀적이고 수행적 형태를 띄므로 실험적인 후기질적연구가 적합할 수 있다. 이는 천개의 작은 방법들(a thousand tiny methodologies, Lather, 2013:635)로 나타나 유아교육연구를 다채롭게 해줄 것이다. 후기질적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자신의 문제의식과 사유과정, 이론, 개념, 물질과의 내부작용을 가치있게 여기며, 방법-기반(method-driven)이 아닌 탐구기반(inquiry-driven)으로 향하는 모험과 실험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post-qualitative research and its methodological theory by problematizing the epistimic prevalence and dominance of positivism in the field of qualtiative research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follows literature review which has been started from 2017 by collecting and synthetically analizing researcher’s continuous and deep reading and intra-active journals. The result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first, the introduction of background of post-qualtitative research and post-philosophy, second, understanding post-qualtiative research: focused on St. Pierre, and third, post-qualtative research methdology as inquiry.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post-qualtative research is posthumanism, new-materialism, Barad’s agential realism and Deleuze’s thought. It overcomes the limits of methodological representationism and attempts to turn ontologically. Accordingly, perspective shift to relational ontology and resistance against interpretation during data analysis are important methodological issues. Post-qualitative research, as “thousand tiny methodologies”(Lather, 2013, p.635), goes beyond reflection and representation and is more likely to be diffractive, rhizomatic, experimentational and performative. I hope researchers would regard their own problems, thoughts, theories, concepts and intra-action with materisals valuable. Its own inquiry will be adventure and experimentation as long as it travels towards inquiry-driven way, not method-driven.

      • KCI등재

        문헌정보학의 질적 연구방법 교육내용 개발

        김갑선,Kim, Kapse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방법 교과목의 교육내용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여 문헌정보학 대학원 과정의 질적 연구방법 교과목 개발에 일조하고자 한다. 국내 대학원에서 개설하고 있는 76편의 질적 연구방법 교과목 강의계획서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질적 연구방법의 교육 경향을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문헌정보학 교육을 위한 핵심내용으로 질적 연구패러다임, 연구설계, 다양한 질적 연구 유형, 자료수집과 분석의 다양성, 글쓰기, 질적 연구의 평가준거를 제시하고 교수전략을 논하였다. 좋은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 개발하기 위해서는 순환적, 창조적, 성찰적인 연구 실제가 가능하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질적 연구의 토대로서 질적 연구의 다양한 패러다임과 철학적 이론적 전통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질적 연구자는 자신의 질적 입장(qualitative stance)을 인식하고 질적 연구를 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pproach to teach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QRM)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draw trend of TQRM, 76 course syllabi collected in the research oriented universities' master and doctoral programs,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study proposes both common topics and essential strategies for TQRM in terms of the paradigm of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design, wide range of approaches to QR, diversity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writing, and evaluation criteria.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qualitative stance and to understand paradigms and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frameworks of QR for conducting QR reiteratively, creatively, reflectively.

      • KCI등재

        한국경영현상 분석을 위한 연구방법론의 재고

        김효근(Hyo Gun Kym),이현주(Hyun Ju Lee),문윤지(Yun Ji Moon) 한국경영학회 2003 Korea Business Review Vol.6 No.2

        한국에 경영학이 도입된 지 50여 년이 지난 지금 경영학은 양적으로 급성장을 하였다. 그러나 그 기간동안의 경영학 연구가 인식론과 연구방법론 차원에서의 실증주의 양적방법론으로 많이 진행되어 옴으로써 상대적으로 해석주의 질적연구방법론이 미약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과거 한국 경영학 연구방법론의 연구동향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다차원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며, 이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약했던 질적 연구방법론을 재고함으로써 경험의 의미나 어떤 특정 한 상황 하에서의 인간행위에 대한 목적, 동기와 같은 조직행위자의 관심 등에 관한 보다 깊은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또한 그 동안 도외시되었던 질적 연구방법론에 관심을 갖고, 다차원적 프레임워크에 기초한 질적 연구방법론의 개념과 특징을 재정의함으로써 질적 연구방법론이 경영현상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특히 본질적인 왜의 문제에 대한 선행적 관심을 중심으로 프로세스와 변혁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에서 그리고 총체적 관련성 및 상황적 관점에서 서술한다. 마지막으로 인식론적 차원에 입각한 질적방법론의 보완적 발전으로 향후 한국 경영학 연구방법론 연구의 균형적인 방향을 제언한다. This paper presents multi-dimensional methodology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management research trends in Korea and some altern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o complement both the level of academic inquiry and that of practical usefulness. Proposed are the multi-dimensional methodology framework originated from (1) the epistemological, (2) methodological and (3) time dimension. Whil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growth in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for more than 50 years, the research community is critically influenced by both dominant perspective of positivism and dominant quantitative-oriented research methodology. Although conventional quantitative studies have contributed to the logical verification and generalization of managerial theories, there still exist research needs exploring the profound meaning of experiential phenomena or human behaviors in the managerial context. It is, therefore, essential to suggest some complementary research methodologies that would grasp the holistic approach to business organizations for balanced academic or practical development. The redefined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methodologies are illustrated in terms of the multi-dimensional methodology framework. Finally, the benefits that qualitative methodology can provide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