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조 야담을 통해 본 질병의 형상화와 질병에 대한 두 시선

        김신정(Kim, Sin Jeong)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8

        이 글에서는 조선조 야담의 질병서사를 다룬다. 조선조 야담에 나타난 질병의 형상화를 통해 질병에 대한 두 가지 시선을 확인하였다. 조선조 야담의 질병서사는 주로 병을 고치는 일에 주목하는 치병서사로서 의원이나 귀신에 관한 이야기가 많다. 한편으로 질병에 걸린 후 존재적 변화를 일으키거나 신이한 경험을 하게 되는 인물의 이야기가 있다. 또한 질병에 걸린 척하며 위기를 모면하는 이야기도 있다. 이 글에서는 치병서사에서 벗어나 있는 질병 관련 서사들에도 주목하여 이를 ‘환자되기 서사’로 유형화하였고 서사적 세계가 질병을 다양한 방식으로 형상화하고 있음을 통해 질병서사들이 질병에 대한 다양한 시선을 담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치병서사 중에서 질병이 귀신으로 형상화된 경우, 그 귀신은 조상신이거나 악귀로 나타난다. 조상신인 경우에는 인간과의 소통이 원활하며 인간의 부탁으로 병이 낫도록 해주지만, 악귀인 경우 인간과 불통이 일어나며 결국 공동체를 전멸하게 만든다. 환자되기 서사에서 질병은 인간이 동물로 변하기 전 혹은 인간이 신이한 경험을 하기 전에 일어난 변신의 전조이거나 평범한 인물이 환자행세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생을 지속하기 위한 방편으로 그려진다. 치병서사에서 질병이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기표라면, 환자되기 서사에서 질병은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 기표로서 이 세계에서 다른 세계로 가는 기회나 능력으로 그려지거나, 자신의 몸을 은신처 삼아 생의 지속을 모색하는 방편으로 그려지고 있다. 치병서사 속 질병이 외부에 의해 부착된 낯설고 인간이 통제할 수 없는 것이라면, 환자되기 서사 속 질병은 신체 내부적 소산이나 자의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삶의 한 방편이자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이처럼 치병서사와 환자되기 서사를 질병서사의 범주 안에서 함께 살펴봄을 통해 질병에 대한 다양한 시선을 포착할 수 있다. In this paper, two perspectives on the disease were identified through the shape of the disease in Yadam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re are many cure stories as a disease narrative in the Joseon Yadam: stories about ancestor ghost or devil. On the one hand, there is a story about causing an existential change or having a strange experience after getting sick. Also, there are stories of pretending to be sick and avoiding crises. This paper focused on disease narrative which are not only cure narrative but also stories can be that categorize them as becoming a patient’ narrative. Through the narrative world representing diseases in various ways, it is revealed that various disease narratives contain various views on diseases. If a disease is represented as a ghost in the cure narrative, the ghost is either an ancestral god or a devil. In the case of ancestral god, communication with humans is smooth, and the request of humans heals the disease, but in the case of devil, it causes mis-communication with humans and eventually destroys the human community. In the narrative of becoming a patient, disease appears as a narrative symptom that occurs just before humans turn into animals or just before humans have a strange experience, or is depicted as a way to overcome a crisis and continue life. If there is a gaze that a disease is an unfamiliar and uncontrollable thing which attached to human in the cure narrativ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gaze that sees the disease as an internal product or arbitrary attachment of human in the narrative of being a patient. It is a gaze that sees disease as a way of life and a natural process.

      • KCI등재

        처용설화 속 간통 서사에서 질병의 은유 읽기 - ≪삼국유사≫ <처용랑 망해사조>를 중심으로-

        조희정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2 고전문학과 교육 Vol.49 No.-

        This paper explores the metaphor of disease and discourse on disease by using the story of Cheoyong of ‘Cheoyongrang Manghaesa’, which is the subject of ≪Samgukyusa≫. The disease narrative revealed in the story of Cheoyong takes the form of an adultery narrative in appearance: ‘Cheoyong's wife was stricken with a plague – Cheoyong found his wife with the plague – Cheoyong defeated the plague’. Cheoyong's story is a disease narrative that proceeds in the triangular structure of a patient-pathogen-healer. By replacing the triangular composition of the disease narrative with the adultery narrative, the disease narrative reflects the asymmetric specificity acting on men and women involved in adultery in medieval society. The description that the beauty of Cheoyong's wife caused the plague contains the view that there was a cause attributable to Cheoyong's wife; that is, that a specific attribute of the patient brought in the pathogen. In addition, in the disease narrative with the appearance of an adultery narrative, catching a disease is set in the structure of ‘infection = adultery = sin’ and is treated as an ‘anti-social event’. The disease narrative in Cheoyong's story takes the appearance of the narrative of adultery, and the voice of the sick patient was blocked. Instead, the voice of the husband of the sick patient was heard. This shows a greater interest in the suffering of the people connected to the infected patient than in the suffering of the infected patient itself. Cheoyong, who witnessed a situation in which his wife was afflicted with a plague, that is, a situation in which the evil spirit invaded his wife, made an impact by not expressing anger in the situation, acknowledging the incident and expressing sadness by concentrating on the loss. As a result, he made the evil spirit depart from his wife, and not only cured her illness, but also became raised to the status of the gate god who prevented plagues. 본 논문은 ≪삼국유사≫ 소재 <처용랑 망해사>조의 처용설화를 자료로 하여 질병에 관한 은유와 질병 담론을 탐색하였다. 처용설화에서 드러나는 질병 서사, 즉 질병에 걸리고 치유되는 일련의 과정, ‘처용 처가 역병에 걸림 - 처용이 역병에 걸린 아내를 발견함 - 처용이 역병을 물리침’의 과정은 외관상 간통 서사의 모습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처용설화는 환자-병원체-치유자의 삼각 구도로 진행되는 질병 서사이다. 이 질병 서사가 병원체인 역신의 입장에서 시작되고, 역신의 목소리가 직접 등장하며 종결된다는 점은 해당 질병 서사가 역신의 입장에서 구성된 것임을 보여준다. 질병 서사의 삼각 구도가 간통 서사로 치환됨으로써 질병 서사에는 중세 사회에서 간통 사건에 연루된 남성과 여성에게 작용하는 비대칭적 특수성이 반영된다. 처용설화에서 감염 장면을 보여주는 구절은 “몰래 그녀와 더불어 밤을 지냈다[竊與之宿].”이다. 이것을 질병의 은유가 반영된 간통 서사로 풀이하자면, 대부분의 질병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수동적으로 질병에 감염된다는 사실을 반영하여 처용 처의 동의 없이 처용 처의 공간으로 침입한 역신이 처용 처도 모르는 사이에 범간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간통 사건에 연루된 인물인 처용 처는 피해자인 한편 공모자로 의심받는다. 처용 아내의 발병 원인으로는 ‘아름다움’이 지목되었다. 처용의 아내가 아름답다는 속성이 역신의 방문을 초래하였다는 서술은 처용 처가 역병에 걸리게 된 데에는 처용 아내에게 귀속되는 원인이 있다는 시각, 즉 환자의 특정 속성이 병원체를 불러들였다는 시각을 담고 있다. 또한 간통 서사의 외현을 갖춘 질병 서사 속에서 역병에 걸리는 것은 ‘감염 = 간통 = 죄지음’의 구도로 설정되며 ‘반사회적 사건’으로 다루어진다. 처용설화의 질병 서사는 간통 서사의 외현을 취하며 질병에 걸린 환자의 목소리를 봉쇄하였다. 그 대신 질병에 걸린 환자와 특수 관계인 남편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역병에 감염된 환자의 고통보다 역병에 감염된 환자의 주변인이 느끼는 고통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것이다. 질병 상황에서 환자보다 환자와 특수 관계에 있는 가까운 인물의 내면이 주목받는 전도된 시각이 드러난다. 아내가 역병에 걸린 상황, 즉 역신이 아내를 침범한 상황을 목격한 처용은 해당 상황에 분노를 발현하지 않는 대응과 발생한 사건을 인정하고 상실에 집중하는 슬픔의 정서를 드러내며 역신을 감화시켰다. 그로 인해 아내에게서 역신이 떠나가도록 만들어 아내의 병을 치유하였을 뿐만 아니라 역병을 예방하는 문신(門神)의 지위에 오를 수 있었다. 질병 서사가 간통 서사의 외현을 취하고 있기에 환자의 남편이라는 특수 관계의 인물이 간통 사건을 대하는 태도로 인해 역병 치유자의 자격을 얻게 된 것이다.

      • KCI등재

        질병서사에 나타난 고통의 언어와 증언의 윤리 - 젊은 여성 질병서사를 중심으로

        엄미옥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9 No.-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reproduction patterns of a sick body and language of pain in young women's illness narratives and investigate the biomedical discourse and social and cultural context forming illness experiences as well as the aspect of ego being reconstructed, ultimately figuring out ethics of narratives as a testimony raised by illness narratives. In young women's illness narratives, the body in which pain is embodied loses the control ability, perceives time as a horizontal and spatial sense, feels shame, and stigmatizes itself. The narrator, however, monopolizes and accepts his or her illness in his or her own way and incorporates his or her illness experiences into his or her life through writing, thus creating a new ego. In this way, illness becomes a loss no longer and offers an opportunity to realize the vulnerability of human beings that are finite and doomed to perish. Young women's illness narratives testify that genderized medical knowledge and gender-discriminating stereotypes had women get mistaken about their illness or incapable of explaining it. Their illness narratives also wish that the world of illness will be recognized as a unique world and reveal their nature as resistant illness narratives to raise a question about a right to illness. The testimony of illness narratives establishes a bond of sympathy with readers, who in turn notice an ethical practice by functioning as a witness to the testimony. The testimony and ethics of narrative raised by the body of embodied pain will contribute to the reinforcement of narrative competence in medical ethics. 본고는 젊은 여성들의 질병 서사에서 아픈 몸과 고통의 언어가 재현되는 양상을 밝히고 이를 통해 자아가 재구성되는 측면뿐만 아니라, 질병경험을 형성하는 생의학 담론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궁극적으로 질병서사가 제기하는 증언으로서 서사의 윤리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젊은 여성들의 질병서사에서 고통이 체현된 몸은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한 채 시간을 수평적인 공간적 감각으로 인식하며, 수치심을 느끼고 스스로를 낙인찍는다. 그러나 서술자는 질병을 나름의 방식으로 전유하여 수용하고, 글쓰기를 통해 질병경험을 삶으로 통합시켜 새로운 자아를 창조한다. 이로써 질병이 더 이상 상실이 아니라, 유한함과 필멸이라는 인간존재의 취약성을 깨닫는 계기가 된다. 한편 젊은 여성들의 질병서사는 젠더화된 의학지식과 성차별적 고정관념이 여성들의 질병을 오인하거나 설명할 수 없게 만들었다는 사실을 증언한다. 그리고 질병세계가 고유하게 인정되길 바라며 질병권을 제기하는 저항적 질병서사로서의 성격을 드러낸다. 질병서사의 증언은 독자와 공감의 유대를 형성하고, 독자는 다시 증언에 대한 목격자로 기능함으로써 윤리적인 실천을 예고한다. 이러한 체현된 고통의 몸이 말하는 증언과 서사의 윤리는 의료윤리의 서사적 역량강화에도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만성통증 질병서사의 서사유형과 사회적 고통

        김향수(Hyang-Soo, Kim) 한국보건사회학회 2020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55

        본 연구는 만성통증 질병서사를 분석하여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내면 세계, 즉 자신의 만성통증과 아픈 나 그리고 자기 삶을 바라보는 관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에 동의한 25명의서사면접을 수행하였고, 이야기꾼인 화자 6명의 생애 이야기를 서사분석하였다. 전체 인터뷰 자료는현상학적 분석으로 만성통증 경험이 구성되는 사회적 맥락 분석의 보조 자료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서사구성방식에 따라 인정, 치료, 조정이라는 3가지 서사유형이 도출되었다. 첫째, 인정의 서사는 통증의 비가시성과 불가해함으로 인해 겪는 불신과 곤경 그리고 의료진, 가족과 친구라는 친밀한 관계에서마저 이해받지 못한 존재로 살아가는 사회적 고통과, 신체적 고통과 환자로서 자신을 인정받기 위해방어하는 자아가 서사적 자아로 드러난다. 만성통증을 향한 불신은 의료적 만남에서 의심, 짜증, 낙담등을 낳아 치유실천을 방해한다. 둘째, 치료의 서사는 통증의 만성성, 치료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완치되지 않는 여전히 아픈 몸을 환자 개인의 실패와 잘못으로 여기는 사회적 고통과, 계속 치료실천을 이어가는 투병하는 자아가 서사적 자아로 나타난다. 통증이 악화될 때마다, 치료 정보와 자원을 모으고 비교하며 합리적 의료소비자로 갈등을 경험한다. 셋째, 조정의 서사는 통증의 불예측성과 통제불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인습적 기대에 맞추어 더 아파진 나, 건강관리의 개인적 책임과 생산성있는 몸을이상화한 사회가 주조한 낙인으로 인한 사회적 고통과, 육체 능력과 사회적 의무와 자아정체성을 협상하는 성찰적 자아가 서사적 자아로 등장한다. 보건의료의 대중적, 민간, 전문가 영역을 넘나들며 다양한 치유실천을 이어간다. 본 연구의 함의는 첫째,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이 직면하는 사회적 고통과 그협상을 통해 아픈 개인의 경험이 사회구조와 규범과 어떤 관계를 맺는지와 둘째, 방법론적으로 질병에대한 자기 이해와 현재 치유실천과 관계를 규명하며 질병서사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the illness narratives of South Korean (hereafter, “Korean”) adults with chronic pain and analyzes how the stories of their illness and lives are told. The empirical data of this article consists of qualitative interview of 19 women and 6 men. The interviewees were recruited through a Korean clinic and a biomedical hospital in Seoul. The topics analyzed are narrative structure of illness narrative which consists of recognition, treatment, and adjustment. The narrative of recognition is about myself with an inscrutable chronic pain. The main themes are the invisibility and incomprehension of chronic pain, the depiction of their intense pain, the difficult communicability of chronic pain and loneliness. In the narrative of recognition, the narrative self is defending their chronic pain against distrust. The narrative of treatment is about myself who is after repeated treatment, still sick. The experience of gathering hospital information, receiving treatment and seeking better treatment due to uncertainty of treatment becomes the central plot of the story, but the conclusion ends with continuously having with chronic pain, not fully recovered. In the narrative of treatment, the narrative-self is to overcome their own chronic pain. The narrative of adjustment is about negotiating their social role and expectation. Chronic pain is related to women’s social role and expectation and associated particularly with women who are preoccupied by fulfilling their family member’s requirements and needs as the daughter, wife, mother and daughter-in law. In narrative of adjustment, the narrative self reflects their chronic pain and life.

      • KCI등재후보

        질병 체험과 서사

        황임경 한국의철학회 2010 의철학연구 Vol.10 No.-

        인간은 이야기를 하는 동물이다. 서사는 삶을 살아가면서 인간이 겪게 되는 경험을 이해하고 재구성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삶의 의미를 찾도록 해준다. 의학에서도 환자의 이야기를 귀담아 듣고 그 이야기를 통해 환자의 고통에 다가가려는 ‘서사적 전통’이 오랜 기간 존재해 왔다. 그러나 의료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 의학이 점점 더 기계화되고 비인간화되는 오늘날, 의학의 ‘서사적 전통’은 점차 빛을 잃어가고 있다. 하지만 서사는 생의학의 질병 개념으로는 포착할 수 없는 질병 체험의 문제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질병 체험 서사는 질병이 몸, 시간, 자아의 측면에서 한 인간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 사건인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그런 의미에서 현대 의학은 질병 체험 서사를 자신의 영역으로 끌어들어야 한다. 현대 의학의 큰 결함으로 일컬어지는 환자 소외, 비인간화 등의 현상은 생의학이 환자나 의료인들의 주관성과 감성을 수용하지 못한 것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질병 체험 서사를 통해 환자는 질병이 자신의 삶에 갖게 되는 의미를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탐구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의료인 또한 서사를 통해 환자의 실존적 고통에 다가갈 수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이 갖추어야 할 실천적 지혜와 공감 등의 태도와 감수성을 기를 수 있다.

      • KCI등재

        전인적 돌봄환경 조성을 위한 다층적 질병서사 아카이브 구축의 예비적 연구

        이은희 ( Eun-hee Lee ),김수아 ( Soo-ah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人文論叢 Vol.63 No.-

        이 논문은 한국사회에 적합한 전인적 돌봄환경 조성을 위해 다층적 질병서사 아카이브를 기획하고 이에 대한 필요성과 의의를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사회에서 돌봄이 갖는 의미를 밝히기 위해 돌봄에 대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살피고, 국내외 질병서사 아카이브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다층적 질병서사 아카이브가 갖는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았다. 질병서사의 주체를 폭넓은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들의 이야기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자 하는 다층적 질병서사 아카이브는 질병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양한 성원들이 몸소 경험하고 느낀 바를 서로 말하고 들으며 공감하고 연대할 수 있는 정서적 지지망의 의미를 갖는다. 나아가 다층적 질병서사 아카이브에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는 각 학문 영역의 연구 및 의료, 간호, 상담, 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의료시스템의 문제, 관계적 갈등 양상 등을 포착할 수 있는 수많은 단서들을 제공함으로써 의료 및 돌봄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다. 다층적 질병서사 아카이브는 질병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다양한 구성원의 개별적인 이야기를 전체적이고 입체적인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인적 돌봄환경조성을 위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실천적 장이 될 것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plan a multi-layered illness narrative archive for the creation of a holistic care environment suitable for Korean society and to discuss its significance and necessity. Existing illness narrative archives typically include patient stories. However, illness not only affects individuals but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human relationships. The experience of illness is not solely the individual patient’s experience but a shared experience with others who interact with the patient. In addition, because the inherent nature of care is interdependent, to discuss a holistic care environment, attention is needed not only on the patient themselves but also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 patient's surrounding individuals. Therefore, in this paper, we aim to examine the subject of illness narrative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terviews with illness narratives from various perspectives serve as a channel for sharing and understanding each other’s stories and viewpoints about the illness, and sharing these interviews through a website contributes to social public interest. Additionally, the illness narrative database can be utilized as research and educational material in the fields of medicine, nursing, counseling, and education. Also it can also serve as a basis for formulating medical and care policies. The multi-layered illness narrative archive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creating a holistic care environment.

      • KCI등재

        ‘아픈 몸들’에 대한 사유: 질병 서사

        정미옥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

        본 고는 질병 서사의 다양한 논점을 확장하고 아픈 몸들의 언어를 사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철학적 사유를 위해 프랑수아 줄리앙의 ‘탈합치’ 개념을 통해 질병서사가 건강중심 사회의 바깥에서 존재하는 아픈 몸들의 탈하여 합치는 과정으로 볼 것이다. 특히 질병서사 가운데 젠더화된 질병으로 고착화된정신질환, 만성질환, 암 일지를 경유하여 아픈 몸들의 언어의 필요성을 조명한다. 질병서사는 의학 담론에서 소외된 환자의 고통을 증언하고, 질병을 둘러싼 사회․문화적인 맥락을 폭로함으로써 의료인뿐만 아니라 보호자는 물론이고 미래의 아픈 몸이 될 건강한 사람들과도 소통하는 의미 있는 텍스트라고할 수 있다. 본 고의 논픽션 중심의 서사를 통해 투병기를 넘어서는 질병서사의 문학적 장르의 가능성을 조명함으로써 의학 담론을 전환하고 아픈 몸들의 질병권을 지향한다. 무엇보다 아픈 몸이 중심이 되는 사회는 잘 아플 수 있는 건강사회라는 것을 전망할 수 있다. This article surveys a variety of extension of illness narratives and languages of ill body. Illness narratives explain ill body's de-coincidence outside the health-oriented society through Francois Jullien's de-coincidence for philosophical thinking. In this vein, this article analyzes three topics of mental disease, youngers' chronic disease, breast cancer and sheds light on the necessity of the languages of ill body. Illness narratives witness patients' alienated suffering and expose sociocultural context surrounding illness. That way illness narratives are meaningful text for communicating with medical personnel, guardian, and healthy people, who are to be ill body some time or other. Nonfictional illness narratives in this paper are expected to be a literary genre more than a disease-fighting phase, change medical discourse, and support a right of disease. The transition into ill body brings about healthy society in which one can suffer properly

      • KCI등재

        질병과 이야기

        황임경(Hwang, Im-Kyung)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서강인문논총 Vol.0 No.40

        문학과 의학은 모두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위로하고 치유하려는 공통의 목적을 갖고 있다. 문학에는 질병, 의사, 병원과 같은 각종 의학적 소재들이 가득하고, 의학 또한 환자의 이야기를 중시하는 문학적 전통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현대의학의 발달과 더불어 문학과 의학의 만남은 좀 더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런 문학과 의학의 만남을 ‘질병’과 ‘이야기’라는 두 열쇳말을 중심으로, 이야기로서의 질병체험과 투병기, 타자에 대한 윤리와 사회적 조건으로서의 의학, 의학 속의 문학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문학은 질병에 대한 개별 인간의 체험을 이야기로 그려내는데, 이 이야기에는 질병을 앓고 있는 이와 그를 둘러싼 주변인물의 삶, 그리고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배경들이 모두 담겨 있다. 따라서 의학은 이런 질병 이야기를 통해 환자의 주관성과 주체성이 발현되는 장을 발견하게 된다. 또한 문학은 의학으로 하여금 질병과 환자를 둘러싼 사회적 조건을 깨닫게 해주고, 고통의 형상화를 통해 타자에 대한 공감과 윤리의 길로 이끌어 주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의학은 문학적인 개념과 도구를 이용하여 현대의학의 지배적인 의학적 서사, 즉 객관성을 강조하면서 주관성을 철저히 배제하는 관습적인 서사틀을 바꾸기 위한 실천적 노력을 해오고 있다. 결국 문학과 의학의 만남은 ‘문학 속의 의학’에서 ‘의학 속의 문학’으로 그 관심 영역을 지속적으로 넓혀 왔음을 알 수 있다. Literature and medicine have a common purpose to alleviate and heal up human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 Literature has a lot of medical materials, such as disease, doctors and hospitals, etc. Medicine also shows a literary tradition which emphasizes the patient’s story. However, with advances of modern medicine, the encounter of literature and medicine have been more complicated. In this paper, the encounter of literature and medicine is scrutinized and characterized by three aspects; story as illness experience and pathography, literature and medicine as ethics and social conditions, and literature in medicine. I summuarize the past scenery of the encounter of literature and medicine, and I will evaluate the possibility of ‘literature and medicine’ as an interdisciplinary field.

      • KCI등재

        서사에 대한 의철학적 비판 - 서사 의학에 대한 찬반 논의를 중심으로

        황임경 한국의철학회 2015 의철학연구 Vol.19 No.-

        서사는 의료인문학의 여러 분야에서 주요한 방법론이자 토대로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서사가 현대 의학에서 소외된 환자의 주관적 측면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사에 대한 이런 열광은 서사 만능주의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기도 하다. 의학과 인문학을 연계하려는 많은 작업이 서사에만 관심을 쏟는 것은 결코 바람직한 현상은 아닐 것이다. 이런 점에서 서사에 대한 의철학적 성찰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그동안 의철학 영역에서는 서사에 대한 논의가 산발적으로만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사 의학에 대한 찬반 논의를 중심으로 의철학 영역에서 서사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이유와 그 방향에 대해 탐구해 보고자 한다. 우선 그동안 의철학 영역에서 이루어졌던 서사에 대한 논의를 크게 질병 체험과 관련한 현상학과 해석학, 그리고 임상적 추론이나 의사 결정과 연결된 인식론으로 나누어 고찰해 본다. 그리고 미국의 내과 의사인 리타 샤론(Rita Charon)에 의해 제창된 서사 의학을 살펴보면서 임상의학에서 서사를 활용하는 방식에 대해 논의하고, 최근에 서사 의학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흐름인 스키마 중심의학과 서사 기반의 근거중심의학에 대해서도 살필 것이다. 또한, 서사 의학에 대한 최근의 반대 움직임을 네 가지 측면 즉, 서사 자체의 한계, 도구주의, 감상주의, 서구 편향 등으로 정리하고 이런 논의를 바탕으로 서사에 대한 의철학적 탐구가 서사 의학에 어떤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지 탐구해 볼 것이다.

      • KCI등재

        효전 심노숭의 역병 체험과 질병 서사

        정우봉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4

        This thesis analyzed the writings about the experience of the epidemic in the context of the epidemic in the late Joseon Dynasty using the perspective of the disease narrative. In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Sim No-Sung (1762-1837), who left a wealth of material among the many people who dealt with the epidemic experience. In No-Sung Sim's writings, the aspects of disease narratives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are largely divided into 'disease narratives as testimony of the body', 'disease narratives of empathy through the speaking body', and 'disease narratives of the annihilation of the body and mourning'. And the meaning is that he observed the reaction pattern of the body and the process of its change in a very detailed and specific way and recorded it. The fact that the subject was rediscovered through this process, and that the narrative of disease as a physical testimony needs to be interpreted in relation to Sim No-sung's awareness of the body. Also, for Sim No-Sung, the affirmation of sexual desire, the sense and taste for food, etc. are all connected with a natural understanding of physical desire and desire. On the extension line of recognizing humans as living sensual subjects and physical subjects, Sim No-Sung described his physical reaction to an infectious disease in a very detailed and detailed manner, and was able to reflect on his own self living in such physical pain. In connection with a series of thoughts that affirmed humans as living beings and individual self with desires and emotions, we are trying to interpret the testimony of the body in the plague experience narrative.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literary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human conflict and anguish, as well as aspects of use as a material for memories and laughter were examined. 이 논문은 조선 후기 疫病이 유행하던 상황에서 역병 체험을 다룬 글을 질병 서사의 관점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역병 체험을 다룬 많은 인물들 가운데 풍부한 자료를 남긴 孝田 沈魯崇(1762~1837)에 주목하였다. 심노숭의 글에서 역병과 관련한 질병 서사의 양상을 크게 ‘육체의 증언으로서의 질병 서사’, ‘말하는 몸을 통한 공감의 질병 서사’, ‘육체의 소멸과 애도의 질병 서사’로 구분하였다. 세 가지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육체가 반응하는 양상 및 그 변화의 과정을 매우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관찰하고 이를 기록으로 남겼다는 점, 육체적 고통만을 서술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정신적 고통까지 함께 서술하였으며, ‘말하는 몸’을 통해 주체를 재발견하였다는 점, 이와 같은 육체 증언으로서의 질병 서사는 심노숭의 육체에 대한 인식과 연관해서 해석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또한 심노숭에게 있어 성적인 욕망에 대한 긍정, 음식에 대한 감각과 취향 등은 모두 육체적 욕구와 욕망에 대한 자연스러운 이해와 연결된다. 인간을 살아있는 감각적 주체, 육체적 주체로 인식하는 연장선 위에서 심노숭은 역병을 앓고 있는 자신의 육체적 반응을 매우 섬세하고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육체적 고통 속을 살아가는 자신의 자아에 대해 새롭게 성찰할 수 있었다. 인간을 살아있는 존재로서, 욕망과 감정을 지닌 개별적 자아로서 긍정하였던 일련의 사고와의 관련 속에서 우리는 역병 체험 서사에 나타난 육체의 증언을 해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