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90년대 생태문학론에 대한 한 고찰 - 주요 진보적 민족문학론자들의 생태문학론 수용에 대해서 -

        강정구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6

        This thesis critically discusses the acceptance in the 1990s of the theory of ecological literature by major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theorists. These theorists reconstructed the perception of reality after the collapse of socialism, the process and logic of which clearly show an acceptance of the theory of ecological literature.First, around 1990,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theorists experienced cracks in the reality they had constructed, best revealed in The Crisis of the Ecosystem and the Thought of the National Democratic Movement. Baek Nak-cheong, Kim Se-gyun, Lee Mi-kyung, and Kim Rok-ho, who supported the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theory, found themselves in opposition with Kim Jong-cheol, especially in their conflicting positions on the terms “pollution” and “ecology” as well as the European green movement or ecology.Second, Baek Nak-cheong and Gu Jung-seo’s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theory attempted to accept and appropriate the theory of ecological literature. However, the quilting and tearing of ideology was exposed in this process. Baek Nak-cheong appropriated the theory of ecological literature with the popular ideology of division theory, while Gu Jung-seo with the popular ideology of realism. However, these attempts failed.Third, Kim Jong-cheol and Kim Ji-ha developed a theory of ecological literature that was outside the logic of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theory. While the former insisted on a life community that universalized and included the people, the latter explored the life and spirituality of organic and inorganic bodies. 이 논문의 문제의식은 1990년 전후에 백낙청⋅구중서⋅김종철⋅김지하 등의 주요 진보적 민족문학론자들이 생태문학론을 수용하는 양상을 통해서 현실사회주의의 붕괴로 인한 현실 인식의 (재)구성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1990년대의 주요 진보적 민족문학론자들은 민중 피억압과 그 극복이라는 단수적인 현실 인식에 균열이 생겼고 그 결과 다양한 복수의 현실들을 재구성했는데, 그들의 생태문학론 수용은 이러한 현실들의 재구성을 잘 보여주는 하나의 사건이 되었다. 이 글에서는 슬라브예 지젝의 이데올로기의 누빔점과 미셀 푸코의 바깥의 사유 논의를 참조 삼아서 주요 진보적 민족문학론자들이 재구성한 현실들을 분석했다. 첫째, 민중 피억압과 그 극복이라는 환상프레임으로 현실을 구성했던 진보적 민족문학론자들은, 1990년 전후에는 자신들이 구성했던 현실의 균열을 경험했다. 이러한 경험은 좌담 「생태계의 위기와 민족민주운동의 사상」에서 잘 드러났다. 진보적 민족문학론을 지지하는 백낙청·김세균·이미경·김록호과 그 반대편에 선 김종철은 공해와 생태라는 용어, 그리고 유럽의 녹색운동 혹은 생태학에 대해서 서로 상반된 현실 인식을 여실히 보여줬다. 둘째, 백낙청과 구중서의 진보적 민족문학론에서는 생태문학론을 수용ㆍ전유하는 과정에서 이데올로기의 누빔과 뜯어짐을 노출시켰다. 백낙청은 분단체제론ㆍ세계체제론ㆍ근대극복론이라는, 그리고 구중서는 (제3세계)리얼리즘이라는 진보를 핵심으로 하는 민중 이데올로기의 장으로 (진보를 근본적으로 성찰ㆍ반대하는) 생태문학론을 누볐지만 그 누빔이 뜯어지는 현상을 보여줬다. 셋째, 1970-80년대의 주요 진보적 민족문학론자들 중 김종철과 김지하는 민중 피억압과 그 극복이라는 진보적 민족문학론의 논리 바깥에서 사유하는 생태문학론을 전개했다. 김종철은 민중을 보편화하고 포함한 만물의 생명공동체가, 그리고 김지하는 민중에서 민중의 생명을 넘어 유기체ㆍ무기체의 생명ㆍ영성이 위기에 놓여있고 그것을 회복하려는 현실로 진보적 민족문학론의 단수적 현실을 재구성하는 생태문학론을 전개했다.지금까지 1990년대에 주요 진보적 민족문학론자들이 생태문학론을 수용한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백낙청ㆍ구중서가 진보를 핵심으로 하는 민중 이데올로기 안으로 생태문학론을 누빔으로써 진보적 민족문학론의 시대적인 논리적 유효성을 드러내고자 했다면, 김종철ㆍ김지하는 생태계의 위기에 적합한 새로운 논리인 생태문학론을 제기함으로써 진보적 민족문학론의 시대적인 한계를 전제ㆍ암시한 것이었다. 사실상 생태계의 위기는 주요 진보적 민족문학론자들이 현실을 바라보는 단수적인 틀을 균열냄으로써 다양하고 복수적인 현실들을 만들어낸 결과를 낳은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백낙청ㆍ구중서ㆍ김종철ㆍ김지하 등의 주요 진보적 민족문학론자들이 1990년대에 생태문학론을 수용하는 양상을 살펴보면, 민중 피억압과 그 극복이라는 현실 구성이 균열되고, 현실을 다양화ㆍ복수화하려는 여러 사유의 모색이 치열하게 전개됐음이 확인된다. 이러한 사유의 모색이 주요 민중시인들에게 끼친 영향은 별도의 논의가 필요한 바 추후의 과제로 삼는다.

      • KCI등재

        문학과 정치 혹은 문학의 정치 ; 문학의 정치 문사연의 새로운 20년을 위하여

        최원식 ( Won Shik W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6 No.-

        이 글은 민족문학사연구소(약칭 ``문사연``) 창립 20주년을 기념하는 4차 심포지엄(부산대, 2010.12.22)에 제출된 발제문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알다시피 ``문사연``은 학문을 통해서 나라의 민주화와 민족의 통일에 기여하고자 한 진보적 학술운동의 일환으로 창립되었다. 그런데 약칭에서 ``문``이 강조되듯이 ``문학``의 근본적 차원을 중시한 ``문사연``은 문학연구를 제대로 수행하는 것에 의해서 운동에 기여하고자 하였으니, 통일문학사를 준비하는 전망 아래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양자를 아우르는 ``한국문학통사 다시 쓰기``라는 공동작업을 추진함으로써, 분야를 넘어, 학연(學緣)을 넘어, 민족문학론 내부의 차이를 넘어, 하나의 학파로 발전하기를 기대한 것이다. 그런데 문학성과 운동성을 동시에 추구하였던 ``문사연``의 균형이 최근에 이르러 흔들리는 경향이 보인다. 다시 말하면 전문성의 강화에 비해 운동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당연히 관여해야 할 민족문학론을 둘러싼 논쟁이나 목하 진행중인 ``문학과 정치`` 토론에 ``문사연``은 짐짓 비켜나 있다. 이 방관상태는 ``문사연``의 고유업무인 문학연구에도 일정하게 반영되었거니와, 비통합적 경향이 증가되는 것은 그 단적인 예로 된다. 이 분산된 전문성을 학파로 들어올릴 구심점을 다시 구축하기 위해서, 정치의 과잉과 정치의 실종, 이 두 가장자리를 여읠 중도(中道)를 지향한 창립정신을 새로운 상황에 비춰 복원하는 일이 요체다. 첫번째 고리가 ``문사연``을 다른 학단과 결정적으로 차별짓는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연합이다. 둘째 고리는 북한 및 통일에 대한 토론이다. 셋째 고리는 일국주의의 극복이다. 널리 인정되다시피 이제 통일은 왕년의 일국주의로부터 오지 않는다. 남에 의하건 북에 의하건 일방통일의 가능성은 반도를 둘러싼 4강의 길항이란 조건에 비춰볼 때 더욱더 실현되기 어렵다. 민족주의를 활용하되 그를 넘어서는 훈련이 실천적으로 요구되는데, 이 세 고리를 축으로 연구소 내부를 다시 정비함으로써 새로운 20년을 향해 출범하는 ``문사연``의 정치를 다시금 작동시켜야 할 때다. This essay is a revision of the manuscript submitted at the symposium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0.12.22) to hold a celebrat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Institute of Korean Literary History(IKLH). IKLH which was established in 1990 as part of the progressive academic movements to mprove the democratization and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however a little different from other progressive academic societies. Stressing academic expertise as well as practical activeness, we have been trying to take the golden mean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Recently the middle-of-the road course is in motion as the latter weakens. In fact the former is also problematic. Increasing separative tendency, the convergence, the core organizing principle of IKLH is getting little by little less meaningful. To rebuild a solid foundation for the next two decades what to do next? By securing 3 sources, namely, joining of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xamining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overcoming the doctrine of one country, we do give life to politics of IKLH.

      • KCI등재

        1980년대 이후 한국문학에 나타난 제3세계문학의 문제의식

        고명철 ( Ko Myeong-cheol ) 영주어문학회 2018 영주어문 Vol.40 No.-

        한국문학은 1970년대 중반 이후 진보적 문학계의 민족문학론의 정립과 도정 속에서, 비록 그 교섭과 교류 면에서 시대적 한계에 봉착했지만 제3세계문학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심화 · 확산시켜왔다. 진보적 비평가들의 이론적 관심과 그것의 진보적 문학운동의 실천은 우리가 결코 쉽게 폄훼할 수 없는 제3세계문학론의 문제의식과 밀접히 맞닿아 있다. 그것은 1980년대로 접어들면서 진보적 민족문학론의 시계(視界)를 염두에 둔 리얼리즘의 문제틀로 제3세계문학을 이해하면서 민중문화를 확립하는 데 힘쓰는 것이고, 다른 한편에서는 ‘제3세계 리얼리즘’이란 명확한 인식에 기반을 둔 문학운동을 통해 민중의 변혁적 실천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1980년대 이후 한국문학사에서 제3세계문학에 대한 이론적 입장은 개별 비평가나 이론가의 노력뿐만 아니라 문학운동 속에서 그 특유의 진보적 역동성을 잃지 않았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특히 진보적 문인 조직의 차원에서 제3세계문학은 집중적 조명을 받기 시작한다. 이것은 1970년대부터 정립된 진보적 민족문학론이 자민족중심주의나 서구 제국주의의 편협한 민족주의 문학론과 엄연히 변별되는 한, 제국의 식민주의 지배를 경험한 제3세계 민중과 연대감을 형성하는 것이야 말로 제3세계 민중의 그것과 동일성을 확보하는 것이며, 따라서 이는 자본주의 중심부가 조장하는 온갖 구조악(構造惡)과 행태악(行態惡)에 저항하는, ‘인간해방의 서사’를 실천하는 길이라는 문제의식을 1980년대 이후 확고히 비평담론으로 정립해나가는 것이다. 그리하여 1980년대 이후 지속성을 갖고 제3세계문학과의 교류에 힘을 쏟음으로써 한국문학은 당장 그 가시적 성과를 목도할 수는 없으나, 이 꾸준한 노력을 통해 구미중심주의 서구미학의 전횡을 극복하여 지구적 차원의 새로운 미학의 지평을 모색할 새로운 문명사적 감각을 탐구하고 있는 것이다. Although Korean literature has been limited in terms of it’s exchange and connection between international literatures, meanwhile it has been establishing a process in progressive literary national theories after the middle of 1970’s, it has profoundly emerged the understanding horizon on the 3rd world literature. What progressive critic’s theoretical concern and its progressive literary movement face on the consciousness of the 3rd world literature which we can never recognize easily devaluation. It also makes effort to establish people culture with which the 3rd world literature understands through the problematics of realism, regarding the prospect of the national theory. On the other hand, it emphasizes people revolution practice through the literary movement based on complete recognition of the 3rd world realism. Regarding this, we should concentrate that what a theoretical position on the 3rd world literature in Korean literary history after 1980’s does not lose its special progressive dynamic when it comes to the efforts of critics and theorists as well as literary movement. Especially, it has been focused by a progressive literary organization. The reason is that so far as progressive national theories being established from 1970’s is clearly different from narrow national theories for ethnocentrism or western imperialism, what we consist of the solidarities with the 3rd world people experienced by emperor’s colonial rule obtains an identity of the 3rd world people. Thus, it rebels against all both structure devil and agent devil affected by capitalistic center, and has strongly regarded the consciousness of emancipation narrative as critic discourse after 1980’s. Therefore, Korean literature has been exploring new civilization sense of which creates new aesthetic global horizon by overcoming Eurocentrism aesthetic through steady efforts, although a visible accomplishment is not able to be emerged right now as it continuedly concentrate on exchange between the 3rd world literature after 1980’s.

      • KCI등재

        이태준: 해방기 중간파 문학자의 초상

        배개화(Bae Gaehwa)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2

        해방기(1945.08.15~1948.08.15)에 이태준은 서울에서 결성된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1945.8.18) 산하 조선문학건설본부의 중앙위원장, 그리고 ‘조선문학가동맹’(1945.12.13)의 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이들 문화조직들은 좌파와 중간파 문학 · 예술가들의 ‘문화통일전선’을 표방하였는데, 중간파였던 이태준이 여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은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의 계급 연합에 토대를 둔 ‘진보적 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해야 한다는 임화의 주장에 동조하였기 때문이다. 이태준은 또한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협의된 ‘신탁통치’가 통일민족국가를 수립하는 유력한 방법이라고 판단하교 신탁통치에 찬성하는 입장인 ‘민주주의민족전선’(1946.02.15)에 조선문학가동맹의 대표로 참여하였다. 이후 이태준은 1946년 8월 10일경 월북하여 소련 기행을 하고 돌아온 후 북한에 남기로 결정하였다. 이태준은 북한의 토지개혁이나 문맹퇴치운동을 묘사하는 소설을 집필하고, 북한에서 ‘진보적 민주주의’가 실현되는 것에 대한 감시자의 역할을 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태준은, 한국전쟁 발발 직전(1950.3)에 발표한 〈먼지〉에서, 남한 단독정부 수립을 위한 5 · 10선거를 전후한 서울을 묘사하면서 ‘통일 독립국가'를 수립과 관련된 중간파의 역사적 역할이 종결되었음을 시사하였다. By analyzing literary works and activities of Yi Tae-Ju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15 August 1945-15 August 1948),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motivation why Yi proactively involved in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United Front", with the leftist literati together. Lim Hwa suggested the principle of building "progressive democratic nation state," that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cooperation of the bourgeoisie and the proletariat but with excluding of pro-Japanese group and traitor, and Yi Tae-jun agreed with the principle. Believing that such a "Cultural United Front" in literary world was necessary, Yi was willing to participate in establishment of "the Central Committee for Korean Literature Construction,"(18 August 1945) and "the Korean Writers Federation"(13 December 1945). Moreover, Yi Tae-Jun believed firmly thar the trusteeship, announced at the Council of Three Foreign Ministers in Moscow, was best way to establish "Unified and Independent Stare," therefore actively engaged in "National Front for Democracy" which expressed support for trusteeship. Thereafter, Yi Tae-Jun defected to North Korea in 10 August 1946 and traveled the Soviet Union. After return from the Soviet Union, he decided to remain in North Korea, wrote a novel describing land reform and crusade against illiteracy, and planed to be a watchdog for the realization of "progressive democracy" in the North. However, He insinuated the dose of the "Neutrals" historical mission in his novel "the Dust"[meonji], portraying Seoul during and after "May 10 Election" of 1948.

      • KCI등재
      • KCI등재

        북한문학에 다가서온 과정

        신형기(Shin, Hyung-Ki)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동방학지 Vol.190 No.-

        이 글은 북한문학에 대한 학지가 어떤 맥락과 입장에서 형성되었는지, 더불어 그 내용의 핵심적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개괄하려는 것이다. 북한문학은 북한의 문학이지만 또 한국근대문학의 흐름에 이어진 것이다. 따라서 북한문학 연구는 북한체제와의 특별한 관계 속에서 읽어야하는 것인 동시에 문학사적인 독해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북한문학에의 관심은 월북 작가 및 비평가들의 행적과 월북이후의 활동을 뒤좇으려는 ‘복원’의 의지에 의해 추동되었다. 북한문학에 대한 ‘객관적 연구’에 흔히 앞섰던 것은 민족적 동질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명령’이었다. 북한문학에 대한 민족적 접근은 종종‘진보적 민족문학’의 내용을 규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주체시대에 들어 부각되는 항일혁명문예를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민족적 통합을 전망하는 일이 간단치 않음을 일깨웠다. 왜냐하면 항일혁명문예는 특별한 주권권력을 공고하게 하는 과정에서 발굴/고안된 것이었기 때문이다. 북한체제, 혹은 그 이념 및 관료적 통제와의 관련 속에서 북한문학을 역사적으로 탐구하는 일은 여전히 필요해 보인다. 특히 북한문학의 경우 원전과 개정 과정을 확인하는 작업의 중요성은 강조되어야 한다. 북한문학의 독해가 그 외연을 넓히고 이렇게 저렇게 탐색의 깊이를 더할 때 문학적 보편성의 규명 역시 가능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outline in what context and position the study on North Korean literature was formed, and what are the main problems of its contents. North Korean literature is literature in North Korea’s political system, but it is connected to the stream of modern Korean literature since colonial period. Therefore, North Korean literature is to be read in a special relationship with the North Korean political system, and at the same time, it requires literary and historical reading. Interest in North Korean literature was driven by the will to restore the activities of writers and critics who defected to North Korea. What often preceded the objective study on North Korean literature was the mandate of securing national homogeneity. The national approach to North Korean literature has often been made in a way that defines the content of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However, how to evaluate the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ture that emerged in the Juche era reminded us that the prospect of national integration was not simple. This is because the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ture was discovered/designed in the process of solidifying special sovereign power. There is still a need to historically explore North Korean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North Korean regime or its ideology and bureaucratic control. Especially in the case of North Korean literature, the importance of checking the original edition and the revision process should be emphasized. As reading of North Korean literature expands its margins and adds such depth of research, it will be possible to investigate literary universality.

      • KCI등재

        한국 근,현대 예술운동의 대중화론, 그 쟁점과 허실

        이영미 ( Young Mee Le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61 No.-

        이 논문은 20세기 세 시기에 걸쳐 이루어진 한국의 진보적 예술운동의 대중화 론의 양상과 쟁점 등을 고찰해보고자 하는 글이다. 한국의 진보적 예술운동은 크게, 식민지시대의 카프를 중심으로 한 예술운동, 해방 직후 조선문화단체총연맹을 중심으로 한 예술운동, 그리고 1970년대 이후의 진보적 예술운동의 세시기의 예 술운동으로 나누어 볼수 있다. 이 글에서는 각기 다른 세 시기의 예술운동에서 제기된 대중화론을 대중화의 실천 양상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그 특성과 쟁점, 실천성과에 견주어 본 논의의 수준 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식민지시대에 카프에서 김기진과 소장파 사이에 논쟁의 형태로 이루어졌던 대중 화론은, 김기진의 다소 제한적이지만 구체화된 대중화 제안에도 불구하고 소장파의 볼셰비키화라는 제2차 방향전환의 세몰이에 밀려 성과 없이 끝났으며, 그나마 연극 분야에서는 이동식 극장과 소인극 등의 좀 더 구체화된 논의가 이루어졌지만 역시 실천으로 뒷받침되지 못한 채 탄압에 밀려 논의가 중단된다. 해방 후 이들은 다시 조선문화단체총연맹 안에서 대중화론을 이어가게 된다. 식민지시대와는 달리 대중 화의 필요성과 문화서클 등의 구체적 방법론에 대한 광범위한 동의는 쉽게 이루어 진 반면, 역시 실천성과가 충분하지 못하여 논의의 발전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식민지시대와 해방 직후 시기의 진보적 예술운동은 모두 사회주의 예술운동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이 흐름은 분단 이후 남한에서는 완전히 단절되었고, 1970년 대부터 시작된 민족문학운동과 마당극운동 등 새로운 예술운동은 이전의 흐름과 무관하게 새롭게 자생하여 성장하였으며, 대중화론 역시 그러하였다. 1970년대 문학운동은 ‘민중문학’이라는 당위적 개념이 설정되었을 뿐 대중을 향한 구체성 있는 논의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 마당극운동에 서 시도한 노동자·농민 대상의 예술 활동, 노동운동 과정에서 생산된 비전문인의 논픽션은 1980년대 문학운동 내에서 ‘민중적 민족문학’ 주장으로 대표되는 대중 화론의 토대가 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말, 민중적 민족문학론은 이른바 ‘민족문학 주체 논쟁’을 거치면서 힘을 잃어갔다. 반면에 마당극 등 공연예술 분야의 예술운동에서는 1987년 이후 노동자·농민 대상의 실천 활동이 양적·질적으로 성장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조직의 문제, 취향 의 문제 등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논의와 논쟁들로 나아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features and issues of theories on the popularization of the Korean progressive art movement which took place in three periods during the 20th century. The Korean progressive art movement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e one led by KAPF (Korea Artista Proleta Federatio)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the one led by the Korean Cultural Organization Confederation directly after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e, and the progressive one after the 1970s. By comparing popularization theories put together in these three periods with actual practices, I`d like to examine features, issues, and the levels of discussion measured by practices. The popularization theory which took place as a discussion between Kim, Ki-jin and the younger faction inside KAPF during the Japanese rule ended without results despite Kim, Ki-jin`s somewhat limited but specific suggestions. These discussions were forced to a close due to the second shift of the younger faction`s Bolshevization. However, in the theatre scene, more detailed discussions such as portable theatre and amateur productions were on the table but stunted by suppression without being supported by practices. After liberation from Japan, they continued to pursue the popularization theory through the Korean Cultural Organization Confederation. However, unlike during the Japanese rule, they easily agreed on specific methodologies such as the need of popularization and literature circles but failed in making progresses in arguments due to lack of accomplishments in practice. During the Japanese rule and right after liberation, the progressive art movement had socialist tendencies. Such tendencies were cut off in South Korea and new art movements, such as the National Literature Movement and Madang Theatre which took off in the 1970s, appeared spontaneously and grew with no relation to the previous art movements. The popularization theory followed a similar pattern. In the 1970s, the literature movement set up the normative concept of "people`s literature" but was unable to present specific arguments to the public. However, Madang Theatre`s art activities toward workers and farmers and non-professional nonfiction produced during the labor movement activities in the late 1970s offered a grounds for popularization theory represented by "popular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80s literature movement. However, in the 1990s, people`s national literature theory lost its momentum, going through a so-called "national literature subject controversy." Meanwhile, the art movement in the performing art scenes such as Madang Theatre made considerable growth in quantity and quality in practice, working with workers and farmers after 1987. Based on this, specific and detailed arguments and discussions were advanced including the matters of organization and taste.

      • KCI등재

        조선문학가동맹 '詩部'의 시 대중화 운동과 시론

        박민규(Park Min-kyu)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3

        이 논문은 해방기 남한의 대표적인 진보적 민족문학 단체였던 조선문학가동맹(문맹)의 조직적 시운동을 검토하고, 문맹의 시론들을 그 당시 시운동과의 상관성 하에 맥락화하면서 분석, 평가하였다. 특히 문맹의'시부위원회'가 전개한 활동의 궤적에 주목하였다. 시부(詩部)는 46년 2월에 문맹의 결성과 함께 조직되었다. 결성 초기에 시부는 '시의 대중화'를 주요 활동 방향으로 선언하지만, 추상적이고 감정적인 구호에 그쳐 있었다. 이후 시 강연과 시 낭독을 활발히 전개하면서 시 대중화 운동은 구체적인 것이 되어 갔다. 특히 각종 행사에서의 시 낭독은 대표적인 조직적 활동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초창기인 46년 상반기에 시부는 계몽화 운동의 소박한 취지에서 비정치적인 시까지도 다양하게 대중에게 보급하였다. 그러나 46년 중반에 미소공위가 휴회하면서 시 낭독은 대중에게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쪽으로 변화하게 된다. 특히 정치적 '분노'의 시와 시 낭독이 성행했는데, 김기림은 이를 신인의 육성이란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46년 하반기에 문맹은 잇따른 조직 개편과 대중화 결정서들을 마련하면서 문학대중화 방침을 더욱 강화해간다. 10월 항쟁을 거치면서 새로운 활로의 모색을 위해 문화 투쟁을 통한 대중과의 적극적 결속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이다. 시인들은 개편된 조직들의 전면에 배치된다. 특히 대중에 대한 관점이 기존의 계몽적 시혜성에서 정치적 연대성으로 변모하게 되자, 문맹의 서울지부 시부 위원장인 김광균이 이를 강하게 비판한다. 당시 추진되고 있던 문화공작자 혁신안이 결정적 원인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47년에 접어들어 시부의 시 낭독 행사는 대형화되고 종합예술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시 자체의 낭독에 그쳤던 46년과 달라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제 시 낭독은 대형 예술제와 문화공작대 등에서 음악, 연극, 무용 등과 협연된다. 이는 시 낭독의 종합예술화를 제안했던 조허림의 시론이 현실화됐음을 뜻한다. 그러나 일차적으로는 대중의 정치적 결집을 최대한 끌어내기 위한 데 그 목적이 있었다. 훗날 김기림은 시 낭독의 공과를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검토하면서 앞으로 시 낭독이 대중의 전형을 파악해야 하며, 시사적 내용에 치우치지 말아야 한다고 주문하였다. 하지만 문맹의 활동이 봉쇄된 상태에서 그의 주문은 현실화되기 어려운 과제로 남게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organized movement for poetry by Korean Writer's Alliance(Chosŏn-Munhakga-Dongmaeng),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analyzes and evaluates the poetics of it, contextualizing under the relation with poetry movement of the time.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trajectory of activities developed by the Committee of Poetry Division in Korean Writer's Alliance. Poetry Division was organized with the establishment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February 1946. At the early period, it announces 'Popularization of Poetry' as an important direction of its activities, however, it ends in an abstract and emotional slogan. Movement for popularizing poetry becomes more detailed with the active development of poetry lecture and reciting. Reciting poems in various event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organized activities. In the first half of 1946, Poetry Division introduces various types of poems including nonpolitical ones with the simple purpose of enlightenment movement. However, in the mid-1946, the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declared a recess and poem reciting changed into delivering political message to the public. Especially, reciting poems expressing political 'rage' is prevailed and Kim, Gi-rim positively assessed it at the level of fostering new figures. In the second half of 1946, Korean Writer's Alliance intensifies the policy of popularizing literature, carrying out a successive reshuffle and preparing Written Decision for Popularization. It changes the direction toward active unity with the public through culture struggle to seek a way out going through People's Uprising in October 1946. Poets are dispatched in the front line of reshuffled organization. When the viewpoint toward the public changes from the existing enlightening dispensation to political solidarity, Kim, Kwang-gyun, chairman of Poetry Division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Seoul strongly criticizes this. Innovation plan of culture craftsman seems to be the decisive reason for his criticism. Entering into 1947, the scale of poem reciting event of Poetry Division becomes larger and bigger and composite art. It is different from the event of 1946, which ends in reciting poem. From 1947, poem reciting accompanies with music, play, dance and so on at large scale art festival and by the group of culture craftsman. This means that the poetics of Cho, Hur-rim who suggested make poem reciting as a composite art has realized. However, the primary purpose of it was to draw political concentration of the public to the maximum. Later, Kim, Ki-rim said that poem reciting should grasp the stereotype of the public and not be biased to contents of current events, examining merits and demerits of poem rec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m. However, his suggestion remains as a difficult task to be realized when the activity of Korean Writer's Alliance is block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