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 진로상담 장기내담자 유형 및 효과적 상담 접근 방식 탐색

        이지연,정숙영,방혜진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4

        이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상담매체가 점차 다양해지고 사이버 진로상담의 유용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그 이용패턴이 변화되는 것에 주목하여 “어떻게 사이버 진로상담의 한계점을 극복하면서 효과적인 방식으로 장기내담자의 진로 문제를 도와줄 수 있는가?”와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위하여 “무엇이 사이버 진로상담 장기내담자의 유형과 특징인가?”에 관한 연구목적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커리어넷 사이버 진로상담 이용자 중 3회 이상 상담을 신청한 장기내담자 717명을 대상으로 1999년~2008년까지 등록된 총 3,577건의 사례를 양․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의 유형을 ‘상담자-내담자’간 소통 有․無와 첫 상담 답변 등록 후 2주 이내(短)와 이후(長)의 회기를 기준하여 A유형(소통有, 기간短), B유형(소통有, 기간長), C유형(소통無, 기간短), D유형(소통無, 기간長)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이들의 진로상담 호소문제와 유형별 특징을 분석함으로 각 유형에 적합한 효과적인 사이버 진로상담 접근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이 연구는 사이버 진로상담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사이버 진로상담 요구 역량적 측면에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With the ICT has been developing, the methods of counselling have varied and it has been wide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yber career counselling.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raises the significance of investigating these questions; “How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yber career counselling to help long-term clients effectively?” and “What are the types and features of long-term clients in cyber career counselling?”. For these purposes, this research analyzed 717 long-term clients who had received cyber career counselling services in Career-Net more than three times, and 3,577 cases of 717 long-term clients during the year of 1999 - 2008 were review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total of 717 long-term clients a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whether communication or not and whether the length of period after first counselling reply within or after 2 weeks(Communication with counsellor:C, Non communication:N, Within two weeks:S, After two weeks:L); type A(C, S), type B(C, L), type C(N, S), type D(N, L). By analyzing features of these types of long-term clients, the effective methodologies apt for each types are suggested.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ed recommendation for research work of cyber career counselling and competency of cyber career counsellor in o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web-based career counselling.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의식 및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경미,백사인 한국취업진로학회 2011 취업진로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 신입생들의 진로의식 및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대학생들의 진로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일환으로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 활용함으로써 대학생들의 합리적인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능력을 돕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비교 결과, Holland 진로집단상담 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진로의식에서 진로결정성, 진로독립성, 진로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 났다. 이는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비교 결과,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 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진로의사결정능력에서 합리적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Holland 진 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해 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서, 진로결정성의 증가는 자신이 선호하는 진로의 방향에 대한 확신을 가지는 데 도움 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진로독립성의 증가는 학생들이 의존적인 진로결정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진로선택을 할 수 있는 사고의 성숙을 도와주며 진로성향의 증가는 진로결정에 필요한 사전 이해와 준 비를 하는데 본 프로그램이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 단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의사결정능력에서는 합리적 유형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대학 신입생들이 진로 의사결정능력 수준이 부분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합리적 유형의 증가는 학생들 이 자신과 상황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논리적으로 의사결정을 수행해나가며 의사결정에 대한 책임감이 향상되었다. 이는 진로결정에 있어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향상시켜 자신의 진로선택에 보다 성숙하고 합리적인 생각으로 현명하게 진로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와 앞으로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전지역에 소재한 1개 대학교의 소수 대학생들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이 결과를 같은 또래의 다른 대학교 학생들에게 모두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구대상자들을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집단 활동들이 많은 프로그램으로 편안하고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적 여건 마련이 중요하다. 셋째, 프로그램의 효과는 참가자의 요구와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 러므로 참가자들을 전공과 기타 개인적 특성별로 차별화하고 요구와 수준에 맞는 운영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closely the effects of a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and decision-making abilities of College freshmen.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s to enhance College freshmen's ability to consider their future career with maturity and to carry out career decision-making abilities, by developing and utilizing the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as part of an effort to promote efficient performance of career education for them.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the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was complete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applied with the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aspects of decisiveness, independence, and propensity of the career choice. It indicates that th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Second, after the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was complete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applied with the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reasonable pattern of decision-making, but not in the intuitive, and dependent patterns. It demonstrates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bility of reasonable career decision-making.

      • KCI등재

        진로상담전문가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유현실(劉賢實),김창대(金昌大)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2

        진로상담자의 전문성은 진로상담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나 진로상담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야할 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가 역량의 관점에서 진로상담전문가의 역량 모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문헌, 전문가 면담, 진로상담자 설문조사 등을 통해 진로상담전문가 역량에 관한 개념 모형을 구축하고, 역량 개념 모형의 내용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32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3회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최종 확정된 진로상담전문가 역량모형의 각 역량 항목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계층화 분석법(AHP)을 결합한 가중치 평정 델파이조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확정된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모형은 3개의 역량군, 14개의 역량요소, 49개의 역량지표로 구성되었다. 가중치 평정 결과와 관련하여 전문가 패널들은 모두 ‘직무지식ㆍ수행 역량군’를 가장 중요시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태도ㆍ개인자질 역량군’, ‘이론지식 역량군’을 중요시하였다. 14개 역량요소의 상대적 가중치를 모두 고려하는 복합가중치에서 모든 패널들은 진로상담 직무역량요소를 가장 중요시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개인자질 역량요소를 중요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진로상담자를 포함한 여타 다양한 상담 영역의 전문가 역량을 개념화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진로상담전문가의 역량모형은 상담영역의 전문가 자격기준을 수립하거나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수립하고 개편하는데 중요한 참조자료로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As the expertise of career counselors is an essentially important issue for establishing professional identity and enhancing efficacy of career counseling,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career counseling professionals based on the professional competency models. To address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the following process. Firstly, a conceptual model for career counselor competency was developed and revised through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subject matter expert interview, and open uestionnaire survey on career counselors in active service. Next, three-way delphi survey from 32 selected subject matter experts was performed to validate and revise the draft of the competency model. The final competency model agreed by the delphi panels consisted of 3 clusters, 14 factors, and 47 indicators. An additional delphi survey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ompetency components of the confirmed model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method was applied in this stage and weights and consistency ratio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HP analysis were as following; Among the three competency clusters, the attitude and personal trait cluster had the highest weight by the panels in common. In terms of composite weights of competency factors, personal trait factor and reflection-self development factor had the highest weight in parallel. The resulting competency model of career counseling professionals can provide an important knowledge base for developing educational curriculum for Korean career counselors. In addition, the attempt to gather the agreements of diverse career counseling experts to identify the definitions and components of competencies will set a model for other counseling fields as a reference in building an educational objec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lso utilized and referenced for diverse counseling accreditation systems.

      • KCI등재

        진로진학상담 슈퍼비전 교육내용의 중요도 분석

        장창곡,이지연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6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진로진학상담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진로진학상담 슈퍼비전에서 다루어야 할 교육내용에 대한 중요도를 비교함으로써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2명의 전문가 패널에 의한 AHP 분석기법을 통해 진로진학상담 슈퍼비전 교육내용의 상대적 중요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교육적 함의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진학상담 슈퍼비전의 교육내용 중 진로상담 역량 요인과 학습·진학상담 역량이 상대적 중요도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이는 전문가들이 실제 진로진학상담 장면에서 가장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고, 진로진학상담 슈퍼비전의 교육에서 진로상담 역량과 학습·진학상담 역량을 높이는 내용이 가장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함을 확인했다. 또한, 진로진학상담 슈퍼비전 교육내용 10개 상위요인의 42개 하위 요인 중에서는 내담자의 특성에 대한 이해, 미래사회 및 변화하는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및 적용 역량이 상대적 중요도가 높게 평가되었고, 상담 결과 및 자료관리 역량, 상담자 자기 개방, 학교급별 진로교육 목표 이해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약한 요인들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현실적인 제한점과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강영자,조붕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08 초등상담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진로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직업카드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진로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직업카드를 개발하는 과정은 직업의 심리적 특성과 변화하는 직업세계, 사용 대상자인 초등학생을 고려하여 직업선정의 기준을 세우고 초등학생에게 적당한 직업카드 개수를 결정한 뒤, 미래의 유망 직업과 교과서를 분석하고 초등학생들의 희망 직업을 고려하여 Holland 유형별로 대표적인 직업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사용대상자인 초등학생을 고려하여 직업카드의 기입내용과 규격을 결정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용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적 연구의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직업카드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에게 재미있었고 직업세계와 자신을 이해하는데 유익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본 연구의 결과 연구자가 개발한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용 직업카드는 초등학생의 진로 발달단계에 적합하게 만들어 졌으며,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직업카드가 직업흥미 평가 도구만이 아니라 초등학생의 진로상담 도구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집단상담 형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vocational card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a useful means to be applicable to elementary career counseling, to carry out a career counseling program by using vocational cards, and ultimately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ers. After job selection criteria were prepared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occupations, changing business world and school children, how many number of vocational cards would be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ers was decided, and leading occupations were selected according to Holland classification in consideration of promising job list for the future, analysis of schoolbook and dream job among school children. And then what should be described on vocational card was determined, and their size was select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vocational car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career maturity from others who didn't.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quantitative approach, the students were asked to describe how they felt, and they made a positive assessment of the program as they found it to be interesting and of use for thei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business world. In conclusion, the vocational card for elementary middle-year students developed in this study catered to the career development stage of elementary schoolers, and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using the vocational cards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he career maturity of children.

      • KCI등재

        중ㆍ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단계별 주 호소문제 및 상담전략

        방혜진(Hyejin Ba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16 진로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진로의사결정을 유형(합리적, 직관적, 의존적)이나 상태(결정, 미결정)로 보는 기존의 결과지향접근(outcome-oriented approach)을 넘어서서 일련의 연속된 과정으로 보는 과정지향접근(process-oriented approach)의 유용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진로의사결정 과정을 3가지 하위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호소문제에 따른 효과적인 상담전략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2015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커리어넷(www.career.go.kr)에 신청된 온라인 진로상담 사례 중 ‘진로계획 및 의사결정’ 유형으로 분류된 상담사례 2,612건을 포함하였다. 연구방법은 총 3단계에 걸쳐 이루어졌다. 첫째, 상담사례 내용 분석을 통해 각 사례별 의사결정 단계를 분류하였다. 둘째, 각 단계별 주 호소문제를 분석하고 이를 유사한 내용끼리 묶어 범주화하였다. 셋째, 각 범주별로 적합한 상담전략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의사결정의 과정은 결정 이전 단계, 잠정적 결정 단계, 결정 이후 단계의 3가지 하위단계로 구분되었고, 각 단계별 주호소문제는 각각 2가지로 범주화되었다. 즉, 결정 이전 단계는 ‘비교’, ‘판단’, 잠정적 결정 단계는 ‘점검’, ‘갈등’, 결정 이후 단계는 ‘수정’, ‘변경’으로 최종범주가 도출되었다. 이후 각 호소문제에 적합한 상담전략을 개발하기 위하여 진로상담 전문가와 현직 진로진학상담교사를 대상으로 자문을 구하고 학교진로상담실 등단기 상담 장면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상담전략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availability of the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oriented approach. Career decision making will need to look beyond the traditional results-oriented approach to see the type(reasonable, intuitive, dependent) or condition(decision, indecision). So,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career decision making sub-stage, and developing an effective counseling strateg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the 2,612 cases to 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from January 01, 2015 to December 31, 2015. These Cases are referred to the Careernet(www.career.go.kr). Study process was done over a period of three steps. First, we classify each case-by-case decision-making stage through consultation practices content analysis. Second, analyze each step of the main problem and the issue was tied to each other similar to categorize them. Third, we developed a counseling strategy each category. Findings, career decision making was divided into three sub stages in the pre-decision stage, decision stage, post-decision stage. Each step"s main problem has been categorized into two, respectively. Pre-decision stage was categorized ‘comparison’, ‘judgment’, Decision stage was categorized ‘check’, ‘conflict’. Post-decision stage was categorized ‘Edit’, ‘Change’. To developing career counseling strategy, we seek advice to career counseling expert and career teachers. We developed a counseling strategy that can be useful in the short-term counseling situations, such as school career counseling. Finall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대학생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수진,김봉환 한국취업진로학회 2016 취업진로연구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내담자의 작업동맹이 내담자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담 회기별로 알아보고, 상담자와 내담자 각각의 작업동맹이 내담자의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차이를 비교해봄으로써, 진로상담 장면에서 대학생들이 효과적인 진로탐색행동을 실행하기 위한 상담관계의 역할과 중요성을 경험적 자료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 1,3,5회기가 끝난 후 내담자와 상담자의 작업동맹 질문지와 내담자의 진로탐색행동 질문지를 실시하게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대구,부산에 소재하는 대학부설 상담소, 지역사회 상담전문기관, 공공기관 상담소, 사회복지시설 등에서 진로상담을 하는 상담자38명(석,박사학력 이상의 상담자)과 그 상담자로부터 상담을 받는 대학생 내담자 38명이고, 이들로부터 5회기까지의 작업동맹 수준과 진로탐색행동의 변화를 보기위하여 최소 종결 6회기 이상의 38케이스를 진로상담 표집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작업동맹 척도 내담자용, 상담자용과 진로탐색행동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결과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사용하여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첫 번째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 1회기와 5회기에서는 내담자의 작업동맹이 내담자의 진로탐색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3회기에서는 부분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두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1,3,5회기 전체 상담자의 작업동맹보다 내담자의 작업동맹이 1,3,5회기 전체의 내담자 진로탐색행동에 더 큰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앞으로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작업동맹이 회기별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에서 더 나아가 진로상담 장면에서 5회기까지 3번에 걸쳐 측정함으로써, 회기에 따른 내담자의 작업동맹 수준과 진로성과 간의 관계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상담 장면에서 그들의 진로탐색행동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작업동맹의 회기별 효과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lients’ working alliance on their career exploration behavior during each session of career counseling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amine which of the clients’ and the counselors’ working alliance has more effect on the cli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during the whole session of counseling. To accomplish these tasks, the working alliance measure for clients and counselors and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measure were used after first, third, fifth sessions. This research targeted counselors who provide career counseling services and university students who seek for advice with regard to their career. A total of 38 sheets of career counseling cases conducted in university-affiliated counseling centers, professional private counseling centers, public counseling institution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Daegu, and Busan were collected, and among them,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o see the changes in the level of working alliances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until the fifth session, only the career counseling in at least more than six closed sessions was used for sampling. For measuring instruments, the working alliance measure for clients and counselors and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measure were used, and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18.0.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and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first research task, the clients’ working alli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i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in the first and fifth sessions but had a partial effect in the third session. Second, with regard to the second research task, the clients’ working alliance had more effect on the cli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in the first, third, and fifth sessions than on the counselors’ working alliance in the first, third, and fifth session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as it could identify the effect of the working alliance on the counseling results and,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e clients’ working alliance and the career outcome in each session by conducting the measurement for three times until the fifth session in the context of career counseling. We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efficiency of the working alliance in each session as a method to improve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in the context of career counseling for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상담에서 진로결정수준 향상을 위한 상담성과의 구조적 관계

        조명기,이주희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self-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ing achieve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 for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190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using the scales of counseling achievement, employment stress, self-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AMOS 21.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ath analysis, the counseling achievemen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self-identity, and so did the self-identity with the career decision level. Employment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both career decision level and self-identity. Second, in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employment stress showed no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ing achieve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self-identity was found to be a perfect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ing achieve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no direc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from counseling achievement, but it can indirectly influence career decision level setting self-identity through career counseling. Although employment stress through counseling achievement is currently inaccessible, if counseling achievement can indirectly approach employment stress through various follow-up studies, the counseling achievement that solved the problem of employment stress can indirectly approach the career decision level. This is a new study on the intervention direction and approach of counseling achievement in the state of little research on counseling achievement. Finally, discuss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상담의 상담성과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상담성과, 취업스트레스, 자아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AMOS 21.0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분석에서 상담성과는 자아정체감에 정의 관계가 나타났고, 자아정체감은 진로결정수준에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는 진로결정수준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에서 모두 부의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분석에서 취업스트레스는 상담성과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정체감은 상담성과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상담성과에서 진로결정수준으로는 직접적 영향이 없지만 진로상담을 통하여 내담자의 자아정체감을 정립해 주면 진로결정수준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담성과를 통한 취업스트레스에 현재는 접근할 수 없지만, 다양한 후속 연구를 통하여 상담성과가 취업스트레스에 간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면, 상담성과를 통하여 취업스트레스의 문제를 해결하여 진로결정수준에 간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상담성과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상태에서 상담성과의 개입 방향과 접근법에 대한 새로운 연구라 할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논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 진로상담의 새로운 접근에 관한 연구

        윤경원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3 교류분석상담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진로발달에서 학생과 학부모들의 진로에 대한 인식을 정립하고 진로방향에 대해서 자료를 분석하고 향후 효율적인 방향으로 진로를 선택하고 제공하며 특수분야 대상에게도 진 로를 정하는데 기본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세계화와 더불어 나타난 다양 한 국적의 소수인종에 대한 문제는 일반상담에만 적용되는 문제가 아니므로 진로상담은 다른 나라에서 새로운 직업에 취업하고자 몰려드는 소수인종에게는 생계유지와 적응이라는 기본적 인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이들의 삶속에서는 긍정적인 결과도 나오지만 다양한 사회문제나 범죄 등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올바른 진로상담이 이루어진다면 적절하게 생산력을 보 급할 수 있고||| 범죄 등의 문제들을 미리 예방하거나 감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직업은 사람에게 삶을 유지하는 생계수단일 뿐만 아니라 인생에 있어서 자아실현이라는 큰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장애가 있는 자에게 있 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이에 지금 시대에 학생 및 학부모에게 요구되는 진로상담의 필요성과 주요 원리||| 효과적인 진로상담의 방안을 살펴보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 하여 진로상담의 현실적이며 새로운 접근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모형 제안

        정경조(Chung, Kyung Jo),유현실(Yoo, Hyun Sil) 한국진로교육학회 2016 진로교육연구 Vol.29 No.3

        2005년 GP 총기사건 후 군에서 상담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기 시작하여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운영, 군 상담에 관한 연구 등 많은 발전이 있었다. 그러나 병사들은 군 복무 중 진로문제를 가장 많이 고민하고 있지만 병영생활전문상담관에 의해 이루어지는 군 상담은 주로 병사들의 조직 부적응 문제에 치중되어 있고 진로지도나 진로교육, 진로상담은 제대로 실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발달상 직업 선택의 가장 핵심적인 시기에 있는 군 병사들이 제대 후 미래의 예측할 수 없이 급변하는 직업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직업사회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군 진로상담의 여건 등 군 조직의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하여 요구분석과 환경분석, 체제분석을 바탕으로 군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에 대한 잠정모형을 구안하고, 구안된 잠정모형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군 병사 진로상담과 관련된 전문가 패널 23명을 선정하고, 2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최종 모형’과 관련하여 군 진로상담의 필요성, 군 진로상담의 정의, 군 진로상담의 목적, 군 진로상담의 기능, 군 진로상담의 과제, 군 진로 상담의 방법’에 관하여 제시하였다. After the incidents of GP(military Guard Post) genocide and human rights violations in ROKA(Republic of Korea Army) basic training camp in 2005, the importance of military counseling has been on the rise. ROK forces have founded diverse systems including military counseling to prevent another possible human rights violations. However, ROK forces have not taken care of career counseling services for ROK soldiers because ROK forces have focused on the maladjustment issues of soldi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we can develop is career counseling programs for ROK soldiers, and finally suggest a career counseling model for the Korean armed forces, because it is expected to help the soldiers to adjust themselves to unpredictable career fields. For that, this study has referred to a draft model from the previous studies which included analysis of careering counseling demand, career counseling environment, and possible career counseling system. After that, we did Delphi survey with 23 expert panels to have a content validity to find out the final model for military career counseling system for ROK soldiers. As a part of the final counseling model,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purpose, challenges, functions, and procedures of military career counseling of ROK soldi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