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미용대학 교육과정과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성숙도 연구

        우백함(Yu Bohan),리순화(Li Shunhu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5

        목적 한국과 중국 미용전공자의 미용교육과정 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방법 한국과 중국 미용전공자 34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미용교육과정 인식의 하위요인은 교과과정, 강사, 교육환경, 진로지도로 구성하였고 진로준비행동은 정보수집, 직업체험, 진로탐색, 취업준비로 구성하였다. 설문을 진행하였고 설문지 자료를 데이터코딩을 거쳐 각 요인과 하위요인 구성에 대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 검정을 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으며 중국과 한국의 미용교육과정 인식, 진로 준비행동 등 요인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미용 교육과정의 개선점으로 한국은 ‘실습⋅취업 정보 제공’, 중국은 ‘실기수업 증가’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고 취업 관련하여 학교 개선점에서 한국과 중국 모두 ‘방학 중 현장실습 증가’가 높게 나타났으며 실기 교육과 진로교육 확대를 요구하였다. 중국 미용대학의 진로지도, 교육환경, 교과과정,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가 한국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한국은 교육환경과 진로지도가, 중국은 교과과정과 진로지도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한국은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 모두가, 중국은 정보수집을 제외한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이 진로성숙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한국은 정보수집이, 중국은 취업준비가 진로성숙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중국이 한국보다 미용교육과정,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가 낮게 나타났다. 두 나라 모두 진로교육에 대한 강화가 필요하며 한국은 현장 실습시간을 늘려야 하고 중국은 미용 전문성을 높이는 미용 교과과정 및 실기 교실과 교육 장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effects of recognition of Korean and Chinese beauty curriculum and career preparation actions on career maturity were compared and analyzed.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350 Korean and Chinese beauty majors, and Chinese beauty majors, and recognition of beauty curriculum consisted of curriculum, instructor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areer guidance. The survey was conduct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ch factor and sub-factor composition were tested through data coding,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factors such as recognition of beauty curriculu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China and Korea were compared. Results As an improvement in beauty curriculum, Korea and China had the most demands for “experience and employment information”, while both Korea and China had high demands for “experience during vacation” and increased number of career education. Career guidance, educational environment, curriculum,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maturity at Chinese beauty universities were lower than those in Korea. Education environment and career guidance in Korea, and curriculum and career guidance in China affected career maturity significantly (+). Both South Korea and China found that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positive (+) impact on career maturity, while South Korea had s significant impact on information collection, while China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Conclusions China showed lower beauty curriculum,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maturity than Korea. Both countries need to strengthen career education, Korea needs to increase field practice time, and China needs to improve beauty curriculum and practical classrooms and educational equipment that increase beauty expertise.

      • KCI등재

        경계분석을 활용한진로교육 인프라 구축 정책과제 도출에 관한 연구

        정철영,정진철,남중수,정성지,이영광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4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olicy tasks related to the expansion of school career education infrastructure by operating boundary analysis. a content analysis and a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42 journals and research reports published on the expansion of school career education infrastructure from 2007 to 2017. Policy tasks for the expansion of school career education infrastructure were as follows. At the national level, actualizing career education laws and school career education objectives, building a solid cooperation system with related institutions, developing and distributing school career education contents, expansion of career education information service were needed. At the local level, building a solid cooperation system with local community agencies, expanding of career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pecialized industries in the area, strengthening of cooperation with schools were derived. At the school level, strengthening participation of school members to career education program, enlarging the number of school career teachers and enhancing their expertise, implementing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expanding space for career education were drawn 본 연구는 경계분석을 통해 학교 진로교육 인프라 확충에 관한 정책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2007년부터 2017년까지 학교 진로교육 인프라 확충과 관련하여 발행된 학술지 및 연구보고서 42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과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교 진로교육 인프라 확충을 위해서 ‘국가’ 수준에서는 진로교육 법 및 학교 진로교육 목표 상세화, 학교 진로교육 유관기관과 협력체계 구축, 학교 진로교육 콘텐츠 개발 보급, 진로교육 정보 서비스 강화 등의 정책과제가 도출되었고, ‘지역’ 수준에서는 지역사회 유관기관 협력체계 구축, 지역 특화 산업 진로체험 확대, 학교간 진로교육 협력 강화 등의 정책과제가 도출되었다. ‘학교’ 수준에서는 학교 구성원의 진로교육 참여 강화, 진로전담교사 양적 확대/질적 강화, 학부모 진로교육 운영 강화, 진로교육 공간 확보 등의 정책과제가 도출되었다.

      • KCI등재

        미술 관련 진로교육사 과정 운영의 필요성 및 발전 방안

        심영옥 한국조형교육학회 2015 造形敎育 Vol.0 No.54

        The study aimed to suggests the need for professional art teachers who help students who have talent in art carve their way by themselves and find the improvement for it through current art curriculum and 2015 improved curriculum. Especially, all schools conduct Free term system in order to nurture students' aptitudes and personality from 2015. However many students have not got a proper education because of professional art teachers shortage. Therefore, researchers have start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roduce professional art teachers. If all schools have enough the teachers, many students will get a good education that match their aptitudes and personality. Also, it needs to break away from negative perceptions toward people who majored in Art on the economic and professional aspects. This is reason why I selected this topic.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진로를 개척할줄 아는 창의 인재를 육성해 교육의 방향에 부합할 수 있도록 미술 관련 진로교육사 운영의필요성을 제언하고 그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2015년부터 학교에서는전면 자유학기제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적성과 개성을 살리는 교육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아직 학교 현장에서는 전문적인 진로교육사가 배치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구체적이고 적절한 진로지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많은 직업 진로교육중 미술과 관련된 진로교육을 지도할 수 있는 지도자 배출의 중요성을 인지하게 되었고, 전문적인 미술 관련 진로교육사가 배출된다면 많은 학생들의 잠재된 미술 능력과 적성, 즉 꿈과 끼에 부합되는 진로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미술 전공이 직업적인 측면과 경제적인 측면에서 부정적인 인식을 탈피하고, 미술과 관련된진로교육이 학생들의 적성과 삶을 향유할 수 있는 질적 삶으로 이끌 수 있도록 미술과 관련된 전문적인 진로교육사 인력 배출이 필요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미술 관련된 진로교육사 운영의 필요성을 연구 과제로 삼았으며, 또한 운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진로교육 운영 실태 분석

        문진(Moon, Jean),소경희(So, Kyungh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16 진로교육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국가가 추진해 온 진로교육 정책이 중학교 교육과정 우수학교에서 어떤 모습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13년부터 지난 3년 동안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로 선정된 중학교를 대상으로 각 학교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진로교육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강조한 진로교육과 진로교육 정책은 중학교 현장에서 일부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교육 교육과정이 다양한 형태로 편성되고, ‘진로와 직업’ 과목의 선택이 증가하였으며,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활동이 활성화되는 등 진로교육이 양적으로 확대되는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진로교육의 내용과 운영 방법에 있어서 일부 요소에의 편중 현상과, 인적․물적 자원확보에 있어서의 학교 자체의 적극적인 노력 부족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 제안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진로교육의 체계화를 위하여 학교 교육과정 계획 시에 진로교육을 위한 목표와 연간 계획을 함께 수립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진로교육의 내용 영역들이 적절히 활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시 비율이 낮은 ‘진로상담’을 제도화하여 학생들이 중학교 이후의 진로를 자기 주도적으로 설계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모든 학교 구성원이 학생의 진로개발을 촉진할 수 있도록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 개발을 위한 연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ow national career education policy carried forward by Korean government is actually realized excellent school in curriculum of middle schools. This study analyzes how career education is implemented in 90 middle schools that were selected out of “Top 100 Ranked Schools in Curriculum” for three years. Results demonstrate that career education policy has partly achieved success in middle school sites. In other words, career education has expanded quantitatively: diverse career education curriculum have been organized, options of ‘Career and Job’ subject have increased, and career activitie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have been promoted. However, it needs to be changed and improved that contents and operation of career education are unequally distributed and schools lack efforts to actively secur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to make career education more systematic, middle schools should establish objectives and annual planning for career education when planning school curriculum. In this process, career education content needs to be appropriately utilized. Second, “career counseling,” which has not been actively, implemented needs to be institutionalized so that students take the initiative in designing their career after graduation from middle school. Third, teacher training for developing teachers’ capability to lead career education needs to be strengthened so that every school staff member promotes students’ career development.

      • KCI등재

        효율적 진로교육을 위한 새로운 법제방안에 관한 연구

        김도협 ( Do Hyub Kim ) 대한교육법학회 2015 敎育 法學 硏究 Vol.27 No.1

        우리의 경우 진로교육에 대해 법제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교육시스템 전반에 있어서 많은 부분이 개선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찰에서는 우선 진로교육과 관련한 현행 법령들에 대한 개괄적인 검토를 한 후, 이를 근거로 하여 진로지도와 교육에 대한 현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보다 더 선진적인 법제방안을 고찰해 보았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우선 진로교육과 관련한 법률들이 진로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이나 방법 등을 규정함에 있어서 구체성이나 시의성(時宜性)에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함께 진로교육 전문교사들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장기적이고도 구체적인 법제가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아울러 창의적이고 체계적인 진로교육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과 각급학교 차원에서의 진로교육을 위한 전담기관이 필요하다고 보여 지며, 학교종류를 보다 더 시의성에 맞도록 다양화함과 동시에 현재 중학교까지 이루어지는 의무교육시스템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 또한 진로교육의 전 과정에서 학교와 전문교사는 학생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학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법제화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생의 진로지도와 교육이 상당한 시간을 통한 교감과 소통에 의해 자연스럽게 그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장기담임제의 도입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성공적·창의적인 현장체험학습과 실습시스템의 구축과 관련하여, 국가적 차원에서의 노력과 함께 무엇보다도 지방자치단체와 산업체 등의 지속적이고도 적극적인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체적·현실적인 법제가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In Suedkorea ist nicht nur eine bessere Gesetzgebung fuer effiziente Berufsausbildung noetig, sondern ein grosser Teil des gesamten Bildungssystems braucht eine Verbesserung. Daher wurde in dieser Betrachtung, nach einer allgemeinen Uberpruefung des bestehenden Gesetzes bezueglich der Berufsausbildung, ein fortgeschrittener Gesetzgebungsplan fuer Berufsberatung und Berufsausbildung betrachtet, und wir kamen zum folgenden Ergebnis: Erstens, nach einer Betrachtung in Bezug auf Berufsausbildung, sind Vorschriften, wie z. B. Verfassung und Grundgesetz des Bildungsgesetzes, Bildungsgesetz der Grund- und Sekundarschulen, Betriebsausbildungs-Forderungsgesetz, sehr beschraenkt Berufsausbildung zu realisieren, und ein fortgeschrittenes Gesetz muss ergaenzt werden. Zweitens, die fortgeschrittene Gesetzgebung sollte eine langfristige und konkrete Ausbildung von Beratungslehrer in Betracht ziehen, die die heutige Grenze der Berufsberatung und Bildung ueberwinden wird. Fuer eine kreative und systematische Berufsausbildung sind Berufsausbildungsspezielle Staats- und Schulorganisationen benoetigt, Ebenso sollten mehrere realistische, verschiedene Schulen erbaut und die allgemeine Schulpflicht verbreitet werden. Ausserdem sollten Beratungslehrer mindestens zwei Jahre lang dieselbe Schulklasse uebernehmen um eine mehr effiziente Berufsausbildung zu ermoeglichen. Zusaetzlich sollten erfolgreiche und kreative Schulausfluege und Praxen ueberlegt werden.

      • KCI등재후보

        무용전공자의 진로교육이 진로결정의지와 무용수업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상호,서영 한국무용학회 2016 한국무용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의 진로에 대한 올바른 의식개선과 함께 앞으로의 진로교육 및 무용 수업 과정을 개발하고, 진로 및 직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미래의 진로를 준비하는 무용 전공자에게 진로교육이 진로결정의지와 무용수업의 인식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연구이다. 결과는 첫째, 진로직업교육체험이 진로결정의지에 대해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였으며, 직업선호도교육과 진로직업이해의 순으로 상대적 기여도를 보여주었다. 둘째, 진로교육과 무용수업인식 변화에 대한 영향력의 결과는 진로교육의 하위요인인 진로직업이해, 진로직업교육체험, 직업선호도교육으로 직업선호도교육이 무용수업인식 변화에 대해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였으며, 진로직업교육체험과 진로직업이해의 순으로 상대적 기여도를 보여주었다. 셋째, 매개변수인 진로결정의지를 통제하여 진로교육의 하위요인인 진로직업이해, 진로직업교육체험과 직업선호도교육의 효과를 공분산분석으로 검정한결과는 진로직업이해에 따른 변화가 나타났다. 넷째, 진로결정의지를 통제하여 종속변수인 무용수업인식 변화의하위요인인 수업인식, 동료인식, 지도자인식, 참여인식, 학습습관, 지속성인식의 변화에 대한 독립변수인 진로교육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변수 간의 영향력 검정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회귀분석과 분산분석을 결합한방법인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여 매개변수를 통제하여 독립변수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onsciousness of dance major and improve career awareness, to develop future career education and dance course,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career and job, And the influence of dance on the perception of dance. The results are first, Career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contribution to career decision will, and showed relative contribution in order of job preference education and career career understanding. second, The results of the change in perception of career education and dance class showed that career preference education has the highest contribution to the change of perception of dance class due to career career understanding, career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career preference education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career education, Education experience and job career understanding. Third, as a result of the covariance analysis, the effect of career career understanding, career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and job preference education, which are sub - factors of career education. Fourth,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for changes in perception of dance, peer recognition, leader perception, participation perception, learning habit, and perception of continu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influence of variables, and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was tested by controlling covariance analysis (ANCOVA), which is a combination of regression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 KCI등재

        탈북학생의 진로교육과정 개발 연구

        류성창(Josh Sung-Chang Ryoo),김성기(Sung-Ki Kim),이윤옥(Yun-Oug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7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학생의 진로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조사를 통해 탈북학생의 진로교육을 위한 방향수립 및 방안탐색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중학교 8개교, 고등학교 1개교와 대안학교 3개교에 재학 중인 탈북학생 2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교차검증, t검증, 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1) 탈북학생은 대학진학을 희망하고 있으며, 대학교를 졸업 한 후 취업하기를 선호하였다. 2) 진로에 대한 고민은 하지만 진로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진로에 대한 도움은 선생님한테 주로 받고 있었다. 3) 교육과정상 “직업·진로” 수업을 주당 한번, 직업체험을 통해 학습한 것으로 나타났다. 4) 탈북학생들은 직업과 진로수업이 더 많아지기를 바라고 있으며, 직업과 진로상담도 많이 받고 싶어 했다. 5) 상관관계 분석결과 탈북학생들의 진로고민과 진로결정간의 관계, 직업진로에 대한 선생님과의 상담정도와 도움정도 간의 관계, 직업진로 상담의 요구와 직업진로수업에 대한 요구간의 관계는 높게 나타났다. 탈북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는 탈북학생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진로교육 및 진로탐색과 관련하여 탈북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교육과정의 재구조화, 탈북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보다 비판적이고 현실적인 교육의 시행 탈북학생 대상의 진로교육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개발과 진로상담활동의 강화, 탈북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정보에 대한 네트워크 구축 및 홍보 등을 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career development programs for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could be formed.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227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analysis, χ2-test,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hope to go to university and prefer to work after college graduation. 2) While they are worried about employment, career decisions are difficult to be made, and most of the assistance for their career planning is provided by the teachers. 3) Job and Career subject matter is taught about once a week on average and job experience is an important part of the lessons. 4)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hope to receive more job and career training as well as counseling. 5)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career decision and career-related anxiety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between the frequency of counseling with the teacher and the helpfulness of the career guidance, and between the demand for career counseling and for career training lessons. Proposals for further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include restructuring of career training curriculum, development of career training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s, enhanced career counseling, and expansion of career information network for those students.

      • KCI등재

        미술교육을 통한 진로교육의 내실화 방안

        이주연,안금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4 No.-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education linked with elementary school art curriculum in line with the national policy of care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in Korea and abroad, to examine the case of career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National Art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s(from the 3rd to 6th grades), and to present cases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through art education. The suggestions for this study was as follows: It was possible to link the most closely with art education, such as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 ‘understanding of work and career world’, ‘search for a career path’, ‘career design and preparation’. Through the nature of the arts curriculum,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 and ‘understanding of work and career world’ have naturally been linked with career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of artists and art-related people and improving self-identity through art. However, ‘search for a career path’ and ‘career design and preparation’ has been heavily dealt with at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Therefore, a more diverse programs in art education for career education was required to be developed for a balanced approach in each area. 본 연구는 국가적 시책으로 추진되고 있는 진로교육에 발맞추어 초등학교 미술교과와 연계한 진로교육의 내실화 방안을 꾀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진로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점검하고, 미술교과와 연계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교육의 사례를 탐색하였다. 또한 진로교육이 본격화된 제5차 교육과정부터 현재까지의 총론과 미술과 교육과정, 2018년 현재 학교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3, 4학년 교과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5, 6학년 교과서)에서 진로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과 가장 밀접하게 연계시킬 수 있는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2015 초등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일과 직업 세계 이해’, ‘진로 탐색’, ‘진로 디자인과 준비’ 영역에 준하여 각 영역별 미술교과 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미술교과의 특성상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및 ‘일과 직업 세계 이해’ 영역은 미술을 통한 자아 정체성 신장이나 미술가와 미술 관련 직업에 대한 이해 등의 학습을 통해 자연스럽게 진로교육과 연계되어 왔으나, ‘진로 탐색’과 ‘진로 디자인과 준비’는 초등학교 수준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이의 균형적 접근이 요구된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재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9 다문화교육연구 Vol.12 No.1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is study used the data of 216 mult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from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Ⅱ(2016). The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re divided into six variables: ‘career and vocational class,’ ‘career activities during creative activities,’ ‘career psychology tests,’ ‘career counseling,’ ‘career club,’ and ‘career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areer education activities’, ‘career and vocational class’ and ‘career psychology tes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Moreover, self-effica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econd, self-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xperience’ activit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n the other hand, other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do not hav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improving ways of multicultura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by strengthening self-efficacy program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and expanding career education activities in high school.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Ⅱ 1차년도 데이터의 다문화가정 고등학생 216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학교 진로교육활동은 ‘진로와 직업 수업’, ‘창의적 체험활동 중 진로활동’, ‘진로심리검사’, ‘진로상담’, ‘진로동아리’, ‘진로체험’의 6가지 활동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활동과 자기효능감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와 직업 수업’ 활동과 ‘진로심리검사’ 활동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진로체험’ 활동과 진로개발역량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체험 활동은 자기효능감을 통해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반면, 진로체험을 제외한 기타 학교 진로교육활동 변수들과 진로개발역량의 관계에서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을 연계한 진로교육의 제공, 학교 진로교육 활성화 등을 통해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영어 교과연계 진로교육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해든,김성현 한국진로교육학회 2023 진로교육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영어 교과연계 진로교육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교과연계 진로교육은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영어 교과연계 진로교육은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들을 살펴보기 위해 충남 소재 고등학교 1학년 271명이 재학하는 아홉 개 학급 중 두 개 학급의 각 21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영어 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진행하지 않은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구분했다. 6차시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영어 교과연계 진로교육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진로성숙도 검사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검사를 두 집단 모두에게 사전 사후로 실시했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집단별로 프로그램 전후에 진로성숙도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통계프로그램 SPSS ver 19.0을 사용하여 t-검정 및 공변량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방법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교과연계 진로교육은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둘째, 영어 교과연계 진로교육은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영어 교과연계 진로교육은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이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English subject-related career education affect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pecific research problem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English subject-related career education affect career maturit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how does English subject-related career education affec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o examine the above problems, 21 students from two classes out of nine classes attended by 271 first graders of general high school in Chungnam, a province of South Korea, were randomly selected, and a class that conducted an English subject-related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classifi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lass that was not conducted was classified as a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English subject-related career education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test and career self-efficacy test were conducted in advance.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calculated for each group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ere conducted and analyzed by statistical program SPSS ver 19.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nglish subject-related career education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areer maturit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English subject-related career education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English subject-related career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