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진학장벽 지각과 진로결정효능감이 일반계 남고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현림,김영숙,송명자,허선희 한국진로교육학회 2008 진로교육연구 Vol.21 No.2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elucidate the effects of perceived educational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high school boys. From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and the discussion on them, the conclusions were deduced as the followings. Firs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perceived by the boy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one. The primary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mong subordinate indexes in educational barriers was ‘insufficient information on career fields and pupils’ incompetence to search for the target information’. The 2nd graders in high school are on the edge of getting into the real world of competition for more prestigious colleges and feel much pressure from the lack of information, inability of referring to the effective information and insecure state of mind. Seco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verified after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recognized by the boy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Setting the goal’ was the main factor that mostly influences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mong subordinate index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students' self-confidence to map out their own future, along with the long-term plan for their lives to come is the essential element in improving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남고생의 진학장벽 지각과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4개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상관관계 분석 및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일반계 남고생들이 지각하는 진학장벽과 진로결정수준 사이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진학장벽의 하위 척도에서 진로결정수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진학정보 및 탐색능력의 부족’이 27.3%로 나타났고, ‘불안한 심리수준’의 2.6%를 포함하여 전체 변량의 29.8%를 설명해 주었다. 둘째, 일반계 남고생들이 지각하는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진로결정효능감의 하위 척도를 살펴보면, 진로결정수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목표선택’으로 24.9 %를 나타냈고 ‘미래계획’은 4.8%로 전체변량의 29.7%를 보여 주었다. 연구의 결론을 살펴보면 첫째, 진학장벽 지각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은 낮아졌다. 본격적인 입시경쟁이 시작되기 전인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가장 많이 지각하는 진학장벽은 진학정보 및 탐색능력의 부족과 불안한 심리상태이었다. 이에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자신에게 적절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도울 뿐 아니라 진로탐색 능력을 높이기 위한 지도가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학년별로 지각하는 진학장벽의 내용이 다르므로 학년에 따른 맞춤형 진학지도가 필요하며, 청소년의 불안한 심리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진로결정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질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특히 미래를 내다보는 장기적인 진로목표 선택과 더불어 자신에 대한 미래를 스스로 설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진로결정에 있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남고생들의 바람직한 진로결정을 위해 적절한 진학정보와 함께 진로결정효능감을 증대시키는 전문화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 관련 어려움과 심리적 자원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박현미(Hyun-mi Park),유나현(Nahyun Yoo)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관련 어려움과 심리적 자원의 양상에 따라 어떠한 잠재집단이 형성되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집단에 따라 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진로결정 관련 어려움으로는 정서ㆍ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과 외적 진로장벽을, 심리적 자원으로는 사회적 지지와 정서지능을 반영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부산, 경남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고, 334명의 설문을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결정 확신형’, ‘진로결정 적응형’, ‘진로결정 혼란형’, ‘진로결정 방관형’의 4개 집단이 확인되었다. 또한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통해 각 잠재집단에 따라 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심리적 자원을 높게 지각하는 잠재집단(‘진로결정 확신형’, ‘진로결정 적응형’)의 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진로결정 관련 어려움이 크더라도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사회적 지지와 정서지능과 같은 심리적 자원이 있는 경우 진로결정 과정에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진로상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대학생들을 위한 차별적인 개입 방안을 진로결정 관련 어려움과 심리적 자원에 초점을 맞춰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ty latent profiles in Career Decision-related Difficulties and Psychological Resources with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differences in Career Adaptabilit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e data from the online survey of 334 university students was used for analysis and Mplus 8.4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four types of latent profiles in Emotional and Personality -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External Career Barriers, Social Suppor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first type named ‘Career decision-confidence’, the second type named ‘Career decision-adaptive’, the third type named ‘Career decision-confusion’, and the fourth type named ‘Career decision-onlooking’. There were differences in Career Adaptabilit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among these types. Post-hoc testing showed that ‘Career decision-confidence’ was the highest in the level of Career Adaptability than the other types, and ‘Career decision-confidence’ and ‘Career decision-adaptive’ were higher in the level of Occupational Engagement than the other types. This suggests that even if Career Decision-related Difficulties is at a high level, if there are Psychological Resources such as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at can alleviate them, university students can adaptively cope with a Career Decision Process. It is significant that the finding provides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apply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varing characteristics in career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반한 학습경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직업흥미와 진로의사결정의 구조적 관계

        어윤경 한국인간발달학회 2019 人間發達硏究 Vol.26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경로를 파악함으로써 진로의사결정의 어려움을 덜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학습경험에서 출발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통해 희망하는 직업목표에 대한 직업흥미 수준이 향상되고 이것이 개인의 수행 수준을 높여 결과적으로 성취수준을 높이게 된다는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사회인지진로이론을 적용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향상되기를 원하는 성취수준은 진로의사결정 수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학습경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및 직업흥미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생(255명)이었고, Amos2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경로분석하였으며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초한 흥미발달 모형에 대한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연구모형 검증 결과 RMSEA, NFI, TLI, IFI, CFI 적합도 지수는 수용할 만한 수준이었다. 또한 진로미결정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총효과가 가장 큰 변인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직업흥미, 결과기대 순으로 나타남으로써 사회인지진로이론의 타당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인지진로이론의 틀을 기초로 진로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경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및 직업흥미를 모두 고려하여 다차원적으로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과정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진로미결정 대학생들의 내적 인식 탐색 : 포토보이스 적용

        김수진(Kim Soo Jin),김성문(Kim Sung M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미결정 대학생들이 내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진로미결정의 의미와 진로결정을 어렵게 하는 요인, 진로결정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자발적 참여의사를 가진 진로 미결정 대학생 10명(남6명, 여4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포토보이스를 적용하여 1회기의 사전작업과 3회기의 집단상담 형식의 포토보이스로 진행되었다. 자료처리는 선택(selecting), 맥락화(conceptualizing), 범주화(codifying)의 3단계로 분석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미결정의 의미는 5범주, 9주제( ‘이정표 없이 헤매는 불안함’,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고여 있는 물’, ‘나를 만나는 시간’, ‘열린 가능성’)로, 둘째, 진로결정을 어렵게 하는 요인은 4 범주, 11주제( ‘현실적 고려’, ‘불확실성’, ‘낮은 자존감’, ‘자신에 대한 부정적 태도’)로. 셋째, 진로결정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는 3범주, 8주제(‘적극적인 나의 이해’, ‘꾸준한 노력’ ‘나를 돌보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미결정 상태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이해와, 진로결정을 돕는 방안으로 진로지도자는 진로미결정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대학생들의 시선을 통한 실천적 방법을 도출했다는 것과 대학생의 진로 결정을 돕는 상담 프로그램 구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career undecided, the factors that make it difficult for career undecided college students, and what can be done for career decision-mak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undecided college students (6 males and 4 females)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voluntarily. The research method was carried out with photo voices in the form of pre-work for the first session and group counseling for the third session. Data processing was analyzed in three stages: selecting, conceptualizing, and codifying. As a result of this, first, the meaning of undecided career is 5 categories, 9 topics ( anxiety wandering without a milestone , pour water into the bottomless poison , still water , time to meet me , open possibility ) Second, factors that make career decision difficult are 4 categories, 11 topics ( realistic consideration , uncertainty , low self-esteem , negative attitude toward self ). Third, what can be done to decide on a career path appeared in 3 categories and 8 topics (“active understanding of me”, “constant effort” and “caring for m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undecided state of career and a way to help career decision-making, the career leaders need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the undecided career, and that a practical method was derived through the eyes of college students, and that the career decision of college students. It is judg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necessary for constructing a helping counseling program.

      • KCI등재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도진 ( Do Jin Kim ),송성순 ( Seong Sun Song ),최헌철 ( Heon Cheol Choi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4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이 진로의사결정,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와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진로의사결정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척도, 진로성숙도척도를 사용하여 진로비전스쿨프로그램이 시행되기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약4개월 뒤 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전체적으로 요약하면 첫째,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은 진로의사결정,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교 진학 및 장래의 진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학생 혼자독립적으로 하는 것보다 진로탐색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스스로에 대한 성찰과 상황에 대한 정보탐색 뿐만 아니라 실제적이고 논리적인 의사결정과 합리적인 사고를 하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이 진로의사결정,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진로성숙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성숙은 어느 한 시점에서 발달하기보다는 이전의 발달단계에서부터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발달을 통해 진로성숙이 이루어진다고 볼수 있으며, 짧은 기간 동안 진행되는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으로 높은 진로성숙도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이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진로성숙은 성별 특성 이외에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심리.사회적 변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This research purports to investigate how Career Vision School Program has an impact on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argeting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the preliminary test was carried out by using measures of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before Career Vision School Program was conducted. After around 4 months, the post test was performed as well.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that first, it has appeared that Career Vision School Program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s outcome has shown that if students join Career Exploration Program in the process of deciding to go to high school or selecting a future career rather than doing it independently, they can make decisions more logically and think more rationally through self-introspection and information on multiple situations. However, it has been revealed that Career Vision School Program has not influenced career maturity, different from the results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this result, it can be translated that it is hard to expect career maturity with a one-off program by considering that career maturity cannot emerge at one moment all of a sudden but is created continuously from the previous development stage. Second, when it comes to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it has appeared that female students have shown greater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n that in male students, but there has bee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Therefore, the program has an effect both on male and female students. Moreover, it can be considered that career maturity is influenced not only by characteristics of genders but also by psychosocial variables each individual has.

      • KCI등재

        항공서비스학과 재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주신옥 ( Shin-ok Joo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8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분야로 취업을 원하는 항공서비스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온라인 조사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8년 5월 10일부터 22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현재 항공서비스학과에 재학 중인 4년제 대학의 전체 학년을 대상으로 205개의 유효한 설문을 수집했으며, SPSS 18.0을 이용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목표선택, 미래계획, 직업정보의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학과 재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준비행동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항공서비스학과 재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확인 하였다. 또한 변수 간의 영향관계 분석을 통해 항공서비스학과 재학생들에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아져야 진로준비행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고,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확신도 높아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항공서비스분야에 성공적으로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해 어떤 교육과정이 적용되어야 하는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influenc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study method was to conduct an online survey research targeting the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The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may 10 and May 22, 2018, and 205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s an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to verify a research model,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firs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divided into goal setting, future plan and job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 Analysis showed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s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ly. Secondl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s effects career decision level. Thirdl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s effects career decision level. The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 level. This research has several implications such as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require what kind of curriculum focused on in order to successfully get a job in airline service field.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율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성소연,배성아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진로결정 자율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충남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4곳 364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측정변인인 진로결정 자율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목표설정, 문제해결요인과 진로적응성의 진로호기심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진로결정 자율성의 경우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이들간의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진로결정 자율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에 직접적 효과를 보였으며, 변인간의 직․간접적 효과와 총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진로결정 자율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경유함으로써 그 영향력이 더욱 증가하는 비교적 양호한 모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및 적응에 있어 동기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학습자의 동기를 촉진시키기 위한 진로교육의 중요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Through a survey, We collected data from 361 students. As the results, first,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one another. Second, most subcategori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showed difference among grades, bu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did not.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from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t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Through the direct and indirect and total effects among the factors, the mediation rol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were confirmed. These results indicated the significant role of career motivation on college students’career development. And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motivating students comes first in care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상준(Lee, Sang-June) 한국인간발달학회 2020 人間發達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어떠한 방식으로 매개하는지 그 과정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산지역의 3개 4년제 대학교에서 508명의 대학생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결정수준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낮아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결정수준은 진로스트레스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는 하지만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받음으로써 진로스트레스의 직접적인 영향력은 더 적다는 것을 발견했다는 점과 사회인지이론을 지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at sorts of mediating rol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lay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 level. Data was collected 508 university students in Daegu-Gyeongsa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 Career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directly influenced career decision level, while indirectly influenced career decision level through media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roduc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Specifica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r career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led to low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ut nevertheless, the high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led to higher career decision level.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directly influenced by career stress, but it was found to be less directly affected by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supported social cognitive theory. It is significant in that respect.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이상준(Sang June L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산지역의 3개 4년제 대학교에서 553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스트레스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은 진로결정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은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areer stres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the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of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 level. Data was collected from Daegu․Gyeongsan where 553 university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career stress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the university students. As for the moderating variabl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had a positive impact on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buffering effect moderating negative influence of career stress on career decision level of the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캡스톤디자인 항공모의비행 교과목 수강 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태도 성숙도, 진로결정수준의 변화연구 : 서울 소재 2년제 대학 항공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이호현 한국취업진로학회 2020 취업진로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최근 대학에서 강조되고 있는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의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로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태도 성숙도, 진로결정수준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2년제 항공과에서 캡스톤디자 인 교과목 항공모의비행을 수강한 57명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교과목 수강 1주차와 14주차 의 설문지를 비교분석하여 연구대상자들의 진로의식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항공모의비행을 이수한 항공과 학생의 진로결 정 자기효능감은 수업 전보다 수업 후가 높게 나타났는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5가지 요인인 직업 정보수집, 목표설정, 계획수립, 문제해결, 자기평가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항공모의비행을 이수한 항공과 학생의 진로태도 성숙도는 부분적으로 수업 전보다 수업 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결정성, 확신성, 준비성은 진로태도 성숙도의 상승에 효 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목적성과 독립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항공모의비행을 이수한 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은 수업 전보다 수업 후가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항공모의비행 이수가 항공과 재학생의 진로확신수준은 높이고, 진로 미결정수준은 낮추며 진로결정수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캡스톤디자인이 기존에는 공학계열의 교과목위주로 운영되어 왔으나 앞으로는 현장중심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학 생들의 진로와 관련된 요인을 성장시켜주는 교과목으로써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학생들의 교과목 구성 에서도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임을 보여준다. It is importan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to perceive the career situation correctly, without distorting the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Furthermor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ir care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f focusing manner is helpful in the career of female college students by examining differences between career barrier awaren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y female college students’ levels of focusing manner. The study also sought to help with female university students’ career counseling by examining the impact of focusing manner on career barriers awaren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using Korean Focusing Manner Scale-Revised (KMS-R), career barriers awareness scale,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CDMSES-SF), and analyzed 393 survey responses. The inter-item consistency (Cronbach's α) coefficient of questions was confirmed for collected data using SPSS 24.0 Program.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1-way ANOVA analysis, Scheffe test were carried out. The study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verified that a group with high level of subfactors of focusing manner attitude including ‘relaxation’, ‘expression’, ‘reflection’, and ‘acceptance’ but excluding ‘realization’ perceived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awareness more, which were ‘restrictions in the labor market and low expectations’ and ‘stereotypes on women’s employment.’. Second, ‘career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y,’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high in a group with high-level subfactors of focusing manner attitude than the groups with moderate and low level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and consultative intervention using focusing manner as a way to promote the correct awareness of career barrie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inally,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