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평가지표의 중요도와 적용성이 방문요양시설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임용민(Yong Min Iim) 한국복지실천학회 2022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14 No.1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was carried out in 2008 as part of the policy in order to cope with a rapid rise in elderly people, a surge in family support costs, and the weakening in family support function. The evaluation on the home care facility was begun in 2010 and is reaching the present day. The objective of evaluation on the home-visiting care facilit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an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enhancing services. This study clarified an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indicators perceived by home care facility workers, and the job satisfaction & service quality, and progressed an empirical research on a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indicator and the service quality. Suitable 409 copies were used by conducting the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the home-visiting care facility workers in capital area from August 7, 2022 to September 15 in the same year. Summarizing the analysis results,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ndicators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8.652,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service quality. It was analyzed to be affected by the variables in age, region, maximum number, opening period, number of employees and by the variables in the area of institution operation, the area of environmental safety, the area of recipient rights guarantee, and the area of salary provision process. Second, the applicability of evaluation indicators was indicated to be significantly meaningful (F=11.586,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service quality. It was parsed to be influenced by the variables in academic background, region, fixed number, opening period, number of workers and by the variables in the area of institution operation, the area of environmental safety, the area of recipient rights guarantee, and the area of salary provision process. Third,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ndicators was see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9.615,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job satisfaction. It was analyzed to be affected by the variables in region, opening period, number of employees and by the variables in the area of institution operation, the area of environmental safety, and the area of salary provision process. Fourth, the applicability of evaluation indicators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meaningful (F=9.579,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job satisfaction. It was parsed to be influenced by the variables in gender, region, opening period, number of workers and by the variables in the area of recipient rights. Fifth, in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ndicators and the influential process upon service quality, the internal satisfaction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Thus, Hypothesis 3-1 was supported. The higher perception of importance leads to the higher internal satisfaction. There is high possibility that the higher internal satisfaction will bring about the higher recognition of service quality. Accordingly, to increase the service quality, it is critical more than anything to upgrade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ndicators. Even the effort to step up the internal satisfaction in employees themselves may make a considerable contribution through the mediating process or directly to raising the service quality of the home care facility. Sixth, in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ndex applicability and the influential process upon the service quality, the internal satisfaction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Thus, Hypothesis 3-3 was backed. To heighten the service quality, it is crucial more than anything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evaluation indicators. The effort to pump up workers’ own internal satisfaction including job itself and job content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through the mediating process or directly to elevating the service quality of the home care facility. Seven 본 연구는 재가요양시설 종사자가 인지하는 평가지표와 직업만족, 서비스 질과의 영향 관계를 밝히고, 평가지표와 서비스 질 관계에서 직업만족의 매개적 역할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2022년 8월 7일부터 동년 9월 15일까지 수도권 지역 방문요양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적합한 409부를 사용하였고, 분석 결과에 대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지표 중요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8.652, p<.001), 연령, 지역, 규모, 개원기간, 종사자 수 변인 및 기관운영 영역, 환경안전 영역, 수급자 권리보장 영역, 급여제공과정 영역 변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평가지표 적용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1.586, p<.001), 학력, 지역, 규모, 개원기간, 종사자 수 변인 및 기관운영 영역, 환경안전 영역, 수급자 권리보장 영역, 급여제공과정 영역 변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평가지표 중요도가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9.615, p<.001), 지역, 개원기간, 종사자 수 변인 및 기관운영 영역, 환경안전 영역, 급여제공과정 영역 변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평가지표 적용성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9.579, p<.001), 성별, 지역, 개원기간, 종사자 수 변인 및 수급자권리 영역 변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평가지표 중요도와 서비스 질 영향 과정에서 내적만족은 부분매개적 역할을 하여 가설3-1은 지지 되었으며, 중요도 인식이 높을수록 내적 만족은 높고, 내적 만족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은 높게 인지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종사자 본인의 내적만족 강화 노력도 재가요양시설 서비스 질을 높이는데 매개과정을 통하거나 직접적으로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다. 여섯째, 평가지표 적용성과 서비스 질 영향 과정의 내적만족은 부분매개적 역할을 하여 가설3-3은 지지되었으며,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가지표의 적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직업자체와 직무내용을 포함하는 종사자 본인의 내적만족 강화 노력도 재가요양시설 서비스 질을 높이는데 매개과정을 통하거나 직접적으로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다. 일곱째, 평가지표 적용성과 서비스 질 영향 과정의 외적만족은 매개적 역할을 하여 가설3-4는 지지되었으며, 방문요양시설 종사자의 적용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직업에 대한 외적 만족은 높아지고, 보상체계와 인간관계로 구성되는 외적 만족이 높을수록 수급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질은 강화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평가지표가 만들어지고 3년 주기로 평가가 이루어지는 32개 항목의 5개 영역 지표를 활용하였고, 각 항목의 중요도 요인과 적용성 요인을 측정하였고, 각 요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 및 직업만족의 매개적 관계를 분석 제시하여 이를 근거로 현재의 평가지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될 평가지표와 직업만족, 서비스 질에 대한 평가모형은 향후 방문요양시설 평가지표의 개선 및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에서의 직업재활훈련 개인성과지표 개발

        오영석,유애란,이재섭,박형진,권택환,정민호 한국직업재활학회 2012 職業再活硏究 Vol.22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performance indicator regarding a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for the educational succ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lso, the developed indictor will be utilized to support the career and vocation education in schools. The study implemented a content validity of preliminary question items with 19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n, the study evaluated a criterion validity, reliability, factor difference threshold on 1,044 items of main indicator including ‘vacational readiness' and ‘vocational functioning' with 190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results, first, the 1,044 performance indicator items were correlated and developed one construct. Second,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998 on ‘vacational readiness' and .999 on ‘vocational functioning'. Thus,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high. Finally, the factor difference threshold of the indicator item on disability level was meaningful both on ‘vacational readiness' and ‘vocational functioning'. 본 연구는 발달장애 및 지적장애 중․고등학교 장애학생을 위한 진로 및 직업교육에서 직업재활훈련 영역의 교육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직업재활훈련 개인성과지표를 개발하여 학교 교육현장에서 진로․직업교육의 직업재활훈련 개인성과지표로 활용하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9명의 현장 특수교사를 통해 예비문항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 ‘직업준비’와 ‘직업기능’의 2가지 하위지표, 14개 영역, 42개 하위영역, 그리고 하위영역에 따른 91개 요소와 최종 1,044개 문항을 가지고 190명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준거타당도, 신뢰도, 영역별 변별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1,044개의 개인성과지표 문항에 대한 ‘문항-전체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문항을 구성하는 요인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하나의 구인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체 지표문항에 대한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통해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직업준비’의 Cronbach's α는 전체 .998, ‘직업기능’의 Cronbach's α는 전체 .999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셋째, 지표문항의 영역별 변별력을 검증한 결과 ‘직업준비’와 ‘직업기능’영역에서 장애등급 독립변인이 의미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장애학생 직업재활훈련 핵심 성과지표 개발 연구

        김선미,정민호,김영미,이재섭,김정희,오영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장애와 고용 Vol.23 No.2

        이 연구는 2011년 개인성과지표로 개발된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직업재활훈련 성과지표 개발’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핵심 성과지표를 추출하여 현장에서 보다 손쉽고 보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직업재활훈련 성과지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미 개발된 지표들로부터 문항을 추출하고, 전문가 검토를 거쳐 예비검사와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초작업, 직업생활, 직업기능, 진로탐색이라는 4개의 요인구조가 확인되었으며, 각각의 하위 문항들이 전체적으로 해당 요인을 타당하게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하여 기초작업 15문항, 직업생활 21문항, 직업기능 25문항, 진로탐색 10문항, 총 71문항의 성과지표가 최종 선정되었으며, 이들 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직업준비검사와의 상관분석 결과도 높게 나타나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성과지표를 활용하여 장애학생 개개인의 매년, 매학기 진로·직업교육 성취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개인별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개별화전환교육계획 수립·운영 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을 대상으로 한 표준화 작업 및 세부적인 영역별·내용별 교육 자료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한 교사가 다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평가하는 등 적용 대상을 확대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다. This is the subsequent study to the research of 2011 on “the development of the personal performance indicator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for the career and vocation educat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performance indicator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readily usable and broadly applicable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by utilising various key performance indicators already in hand. For this purpose items were drawn from the indicators already developed and conducted preliminary and main investigation after having thorough examination on the items by the relevant specialist. Consequently total 71 items were finally selected and it was proved that critera leve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high enough. It is expected that by utilising the performance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each student with disabilities by year and by semester can be identified.

      • KCI등재후보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평가: 문제와 개선 방안

        이선우(Lee Sunwoo) 한국직업재활학회 2004 職業再活硏究 Vol.14 No.2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대한 평가는 2000년에 이어 2001년에 수행하여 평가 대상인 전체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대한 평가를 1차 마무리하였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평가는 직업재활시설의 수준을 높이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평가를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횟수나 실시시간, 프로그램의 내용을 평가하도록 평가기준을 정교 화한다. 둘째, 평가지표를 생산성 중심의 시설과 사회복지서비스 중심의 시설 두 가지로 나누어 평가지표를 따로 개발한다. 셋째, 상설평가원을 설립하여 평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인다. 넷째, 평가 결과에 대해 적절한 동기부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정부가 장애인직업재활시설들에게 성공적인 운영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Evaluation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carried out in 2000 and 2001 for the first round. The evaluat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facilities. This study suggests these measures in order to improve the evaluation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irst. elaborate evaluative standards counting number and hours of sessions in a program to evaluate it. Second. develop two different evaluative indexes: one for production-oriented facilities and one for social services-oriented facilities. Third. set up a permanent institution for evalu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urth. motivate the facilities with proper rewards. The governments have to provid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 opportunities for successful managements.

      • KCI등재

        경기도직업재활시설인증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김동주,변경희 한국직업재활학회 2009 職業再活硏究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ertification index in order to operat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a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Gyeonggi Province, and to improve service quality. It is designed to judge whether or not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re performing their work well and to secure the efficiency of facility operation and public obligation by providing standards which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should maintain. Methods such as research on documentary records, expert group FGI, advisory meetings, and Delphi and AHP Techniques, were applied to the study. The certification index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at was derived from the results is composed of big realm, middle realm and certification standards. The big realm consists of a management realm including 9 middle realms, and a service realm including 8 middle realms, such as 2 common service realms and 2 special realms based on the kinds of service. One hundred and sixty-three certification indexe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were derived from these two big realms and seventeen middle realms.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the researcher has propos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certification institution, the introduction of a compulsory certification system, the necessity of incentives for certification institutions, and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ees at facilities through the certification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의 특성을 고려한 직업재활시설의 운영 및 서비스질의 향상을 위한 직업재활시설인증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는 어느 직업재활시설이 어느 정도 잘하고 못하고 있느냐의 판단이 아닌 직업재활시설이라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시설운영의 효율성과 공적 책무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전문가집단의 FGI, 자문회의, 델파이 및 AHP등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직업재활시설의 인증지표는 크게 대영역, 중영역, 인증지표로 도출되었다. 대영역은 9개의 중영역을 포함한 경영영역과 6개의 서비스공통영역과 2개의 서비스 종별 특수영역등 중영역 8개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직업재활시설의 인증지표는 2개의 대영역, 17개의 중영역, 163개의 인증지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증기관 설립의 필요성, 인증의 의무제도입, 인증기관의 인센티브의 필요성, 인증제를 통한 시설직원들의 교육훈련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 취업 가능성 및 관련 직업 특성 탐색

        장현진 한국직업교육학회 2018 職業 敎育 硏究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ployment possibility of the humanities college graduates to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occupations, and to identify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employability perceived by workers. To do this, basic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data surveyed on 2,600 workers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in the ‘Research on Korean Occupational Index for Career and Employment Service(2017)’.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possibility of the humanities college graduates to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was low, except for some occupations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fields. Second,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employment possibilities of the humanities college graduates to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are as follows: low importance of the final education, low importance of the major, low importance of qualification, high importance of vocational training, easy to return after the career break, high level of gender equality, high level of pleasant work environment, high employment retention, easy to self-employment or start-up, and increasing number of job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support employment of humanities college graduate from the occupational aspect, it is necessary to find out some detailed jobs or to develop convergence occupations.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factors that increase the employment possibility of humanities college graduates to science and engineering occupa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현직자가 인식하는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직업 특성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17)’에서 이공계 현직자 2,600명이 응답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은 정보통신 및 제조・가공 분야의 일부 직업을 제외하고는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의 특성은 입직 시 학력의 중요성이 낮고, 전공의 중요성이 낮고, 자격증의 중요성이 낮고, 직업훈련의 중요성은 높으며, 경력단절 이후 복귀가 용이하고, 양성평등 수준이 높으며, 근무 환경이 쾌적하고, 고용 유지도가 높으며, 자영업으로 수행하기에 적합하고, 일자리 수가 증가 등의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인문계 대졸자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직업적인 측면의 방안으로 세부 직업 분야와 특성을 감안한 정책 설계 접근, 인문계 전공자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세부 직업의 발굴과 융합 직업의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이 때 이 연구에서밝힌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의 취업 가능성과 직업 특성 요인들의 관련성에 대한 정보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직업계고 교사의 행복지표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 분석

        이찬주,송낙현,강철민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 교사의 행복지표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교육 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직업계고 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지원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직업계고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행복지표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교육 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하여 교사 행복지표(36개)를 활용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직업계고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408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행복지표에 대한 직업계고 교사의 교육요구도는 학교 전반에서의 교권보호, 사회적 신뢰, 업무분담 만족도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협력적 수업 결손 해결, 교무행정업무 효능감, 행정직원과의 관계 등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 행복지표에 대한 교육 요구 우선순위는 교육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에서 중복된 지표를 확인하여 최우선순위와 차순위를 분석하였다. 우선순위 1순위는 총 8개의 교사 행복지표(업무분담 만족도, 학교장의 소통능력, 민주적인 학교 경영, 합리적인 학교 경영, 민주적 의사결정 문화, 협력적 해결 방안 탐색, 사회적 신뢰, 학교 전반에서의 교권보호)로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차순위 교사 행복지표는 총 8개의 교사 행복지표(개인 업무량 만족도, 교육부 지원, 교육(지원)청 지원, 학부모의 인정과 존중, 수업관련 만족도,교사의 자율적 수행, 학생의 인정과 존중, 동료교원의 인정과 존경)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직업계고 교사의 행복은 교사가 가지고 있는 교육에 대한 신념과 방법이 존중받을 수 있고, 학생과의 신뢰 관계 형성을 통해 즐거운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구축해야 하며, 교사가 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적절한 업무분담과 민주적인 문화를 만들어 갈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직업재활 준비성 지표개발 연구

        전가영,이달엽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0 장애와 고용 Vol.30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indicator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hat should be prepared for successful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Based on prior research and review of literature, nine preliminary indicators were selected, and a panel of 40 exper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formed to conduct a Delphi survey twice. The final indicators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epar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rawn, and in order to derive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each indicator, a hierarchical analysis survey was conducted for a group of expert panelists using the pairwise comparison technique presented by Saaty(1980). Results: First, 14 indicators were finalized through two Delphi surveys of professionals' agreement: Vocational Counseling, Vocational Evaluation, Vocational Adjustment Training, Vocational Skills Training, Job Development and Job Placement, Sheltered Employment, Supported Employment, Customized Employment, Follow-up after Employment, Independence, Training for Daily Living, Local Social Skills Training, Sociality Training, Human Rights Protection and Advocacy and Cooperation in Transition Education. Second, the reliability (Cronbach's α), content validity ratio (CVR), and stability (variance coefficient) of the 14 indicators finally obtained were found to reach the criteria. Thir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indicator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rived through the pairwise comparison method of AHP, was shown in the order of Follow-up after Employment, Supported Employment, Vocational Adjustment Training and Customized Employme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vided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oposed policy and institutional measures to set the direc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training.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성공적인 고용을 위해 준비되어야 할 직업재활서비스의 지표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선행연구 및 문헌검토를 바탕으로 9가지 예비지표를 선정하고 40명의 발달장애인 전문가 패널 집단을 구성하여 총 두 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각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Saaty(1980)가 제시한 쌍대비교 기법을 활용하여 동일한 발달장애인 전문가 패널 집단을 대상으로 계층화분석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두 차례의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적응훈련, 직업기술훈련, 취업알선, 보호고용, 지원고용, 맞춤형고용, 취업 후 적응지도, 일상생활자립훈련, 지역사회적응훈련, 사회성훈련, 권익옹호 ․ 인권교육, 전환교육에의 협력이라는 14개의 지표를 최종 도출하였다. 둘째, 최종 도출된 14개의 지표에 대한 신뢰도(Cronbach’s α), 내용타당도 비율(CVR), 안정도(변이계수)가 모두 기준치에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계층화분석 조사의 쌍대비교 기법을 통해 도출된 발달장애인 직업재활 준비성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는 취업 후 적응지도가 1순위였고, 지원고용, 직업적응훈련, 맞춤형고용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고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직업재활과 훈련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정책적․ 제도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진로ㆍ직업 지표 개발 및 타당화

        최인재(崔忍在),김봉환(金鳳煥),황매향(黃梅香),허은영(許銀英)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3

        이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진로ㆍ직업과 관련한 현재 상태와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개발된 지표에 대한 타당화를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 진로ㆍ직업 지표에 대한 관심영역을 진로ㆍ직업 의식, 경험 및 역량으로 구분하였고, 각 관심영역에 대해 세부영역과 문항을 개발하였다. 먼저 진로?직업 의식의 세부영역은 가치와 태도로 각각 구분하여 문항을 개발하였고, 진로ㆍ직업 경험 부분은 교육, 준비행동, 체험으로 세부영역을 구분하여 문항을 개발하였다. 또한 진로?직업 역량 부분은 자기이해, 진로ㆍ직업 지식, 합리적 의사결정으로 세부영역을 구분하여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개발된 지표에 대해 2회의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으며, 진로ㆍ직업 태도와 진로?직업 역량에 대해서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dicators of Korean adolescent"s career and vocational development. To achieve this goal, the regions of interest about adolescents career and vocation were classified into the career and vocational consciousness, experience and competence, and detail areas and items about each region of interest were developed. First, the details areas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consciousness were divided into the career and vocational values and career and vocational attitudes and then the items were developed. The details areas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experience were divided into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preparation behaviors for future career and vocation, and career and vocational experiences and then the items were developed. In addition, the details areas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competency were divided into self-understanding, career and vocational knowledge, and rational decision and also the items were developed. After that, the contents validity about the developed indicators was secured through two times of experts opinions, and the constructive validities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attitude and the career and vocational competency were verified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