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녀 청소년의 직업가치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진로결정 몰입의 매개효과

        김희화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0 청소년시설환경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value and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 The participants were 430 adolescents who were in first grade of high school in Busan and Kyungnam. For data analysis, frequency, partial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Sobel test, and Cronbach’s α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5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and girls’ intrinsic work value correlated with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boys’ extrinsic work value correlated with school adjustment.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boys and girl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work value and school adjustment was significant. Th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intrinsic work value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연구배경 및 목적: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중요한 것이 진로와 관련된 고민을 해결하는 것이나 진로발달에서 중요한 직업가치. 진로결정 몰입 등의 변수 중심으로 학교생활적응을 설명하는 연구가 미흡한 점에 착안하여 이뤄진 연구임.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라 내적 · 외적 직업가치와 진로결정 몰입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밝히고 직업 가치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몰입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특히 이런 관계규명에서 내적 직업가치와 외적 직업가치 상호 연관성이 높음을 감안하여 내적 직업가치의 진로결정몰입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힐 경우 외적 직업가치의 영향을 통제하여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어떤 직업가치가 진로결정 몰입 및 학교생활적응과 관련성이 높은지 그리고 그 직업가치의 증가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몰입은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밝힘으로써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증진을 직업가치와 진로관련 변인측면에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문제연구문제1.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내적 직업가치 및 외적 직업가치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2. 남녀 청소년의 내적 · 외적 직업가치 및 진로결정 몰입과 학교생활수준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3. 남녀 청소년의 내적 · 외적 직업가치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몰입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가?연구방법: 고등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직업가치, 진로결정 몰입, 학교생활적응을 측정하고 편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음. 연구결과연구결과1. 내적 · 외적 직업가치의 성별차이를 직업가치 하위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적 가치의 하위영역에 속하는 경제보수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영역에서 성별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2. 남녀학생의 내적 직업가치는 진로결정 몰입 및 학교생활적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외적 직업가치는 학교생활적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3. 남녀학생 모두에게서 내적 직업가치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몰입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

        대졸자의 직업가치와 첫 일자리 직업적응에서 기업특성이 미치는 영향

        이혜영,강순희 한국취업진로학회 2017 취업진로연구 Vol.7 No.2

        신세대 신입사원들은 기성세대와 달리 조직에 헌신하기보다는 자신의 가치실현을 중시함에 따라 개 인과 조직의 가치가 조화를 이루지 못할 경우 직업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청년 취업 난에도 불구하고 조기 퇴사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졸구직자들은 자신의 가치와 조 화를 이룰 수 있는 기업을 선택하고, 기업은 지원자 가운데 조직 가치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인재를 선발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사업체 유형, 사업체 규모 등의 기업특성에 따 라 조직 가치에 차이가 있음에 주목하여,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자료를 가지고 대졸자의 직업 가치와 첫 일자리 직업적응의 관계에 기업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에 따른 직업가치, 직업적응 관계를 보면, 여성은 남성보다 위세가치와 환 경가치를 더 중시하고, 남성은 여성보다 발전가치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년제 대졸자가 2~3년 제 대졸자보다 발전가치, 직장만족도, 업무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수도권 학교보다 비수도권 학 교가 위세가치, 업무가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업가치와 직업적응 관계를 보면, 직장만족도에 대해 업무가치와 발전가치는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환경가치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만족도에 대해서는 업무가치만이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사업체 유형에 따른 직업가치와 직업적응 관계를 분석한 결과, 민간기업의 경우 직장만족도에 위세가치와 발전가치는 정(+) 의 영향을, 환경가치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연구·법인 기업은 업무가치가 높 을수록 직장만족도와 업무만족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직업가치와 직장만족도에 대한 사업체 유형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외국기업과 환경가치, 교육·연구·법인 기업과 업무가치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체 규모는 직업적응과 직업가치 간에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구직자는 기업유형별 조직문 화 차이를 확인하여 자신의 직업가치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기업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하며, 대학은 대 학생들이 저학년때부터 직업가치관을 제대로 세우고 자신에게 적합한 기업유형을 탐색할 수 있도록 프 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여야 한다. 기업은 지원자들의 직업가치를 적절히 파악하여 개인과 조직의 가치가 조화를 이루는지를 진단할 수 있는 선발체제를 개발하고, 조직 가치와 다른 가치를 가지고 있는 신입사원의 직업적응을 제고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company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value and occupational adaptation of college graduates, paying attention to the difference in the value of the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company characteristics such as the type of enterprise, the company size, etc., with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dat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 and the occupational adaptation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prestige value and the environment value are more important for the women than the men, and the development value is more important for the men than the women. The development value, workplac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re higher for 4-year college graduates than 2∼3-year college graduates. The non-metropolitan college graduates give much more importance to the prestige value and the work value than the metropolitan graduate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 and occupational adaptation, the work value and development value have a positive(+) effect, and the environment value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workplace satisfaction. Regarding job satisfaction, only the work value has positive(+) effect. Third,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value and occupational adaptation by enterprise type, in the private enterprises, the prestige value and the development value affect positively(+), but environment value affect negatively(-) on workplace satisfaction. In the education, research, and corporate enterprises, the work value has the positive effects on both the workplace satisfac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Fourth, as in the adjustment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erprise type on the job value and workplace satisfaction, it is found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foreign enterprises and the environment value, and the education, research, corporate enterprise and the work value. The company size, however, do not have a significant adjustment effect between occupational adaptation and job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Job seekers are able to select companies that can harmonize with their job value, by checking th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 by the type of enterprise. Colleges need to develop programs to build the job value and to navigate the type of company suitable for students from the lower grades of college. Companies should develop a selection system that can diagnose whether the values of applicants and organizations are in harmony or not, and are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increase the occupational adaptation of new recruits.

      • KCI등재

        관광산업 여성종사원이 지각하는 자기효능감이 직업적응 및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칭찬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박주희 한국관광산업학회 2020 Tourism Research Vol.45 No.2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self-efficacy perceived by women in the tourism industry on work adjustment and the effect of Moderating praise in these relationships, and empirically analyzed how work adjustment affects career success as a result of work adjustment. In particular, this research did not use the tools used in the previous research, but measured work adjustment by using work adjustment(confidence in job, personal relationship adaptation, leader's perception) perceived by female employees in the tourism industry in the research of Park Joo-hee(2020).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relia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employment adjustment measurement results Unlike the research conducted by Park Joo-hee(2020), three factors were derived: confidence in business, stability as an office worker, and recognition as an expert. The results of such research are believed to have succeeded in adapting to employment when they have confidence in their future adaptations, especially women's adaptations, and have fun and leisure in their work lives, and when they are recognized as experts. Secondly, according to an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work adjustment,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ption of self-efficacy, the higher the confidence in the job,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he sense of stability of company employees. Thirdl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work adjustment has been examined, and it has been shown that higher perception of self-efficacy and higher awareness of verbal, gesture and expression, and materialistic admiration results in higher work adjustment. Fourthly, it has been found that work adjus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uccess, but only on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mentability, among career success, all lower-ranking officials of work adjust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refore, companies should support their employees so that they can feel self-efficacy in order to ensure that their employees are able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stable employment, and should take a strategy to stimulate admiration in the culture of the company. Physical praise, however, should be in simple expressions of familiar same-sex within an organization. Finally, the company must support a variety of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so that employees can have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career success. However, since today's office workers demand a balance between work and personal life, they will have to try to find a balance between their work and life. 본 연구는 관광산업체에 종사하는 여성종사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자기효능감이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이들 관계에서 칭찬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하였으며, 더불어 직업적응의 결과로 직업적응이 경력성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직업적응 측정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박주희(2020)의 연구에서 실제 관광산업체에 종사하는 여성종사원들이 지각한 직업적응(업무에 대한 자신감, 대인관계 적응, 리더로 인식)을 이용하여 직업적응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직업적응 측정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결과 박주희(2020)의 연구와 달리 업무에 대한 자신감, 직장인으로서 안정감, 전문가로 인식 등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직업적응, 특히 여성들의 직업적응을 하였다고 인식하는 것이 자신이 수행하는 업무들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고, 직장생활을 하는데 즐거움과 여유로움을 가지고 근무할 때, 그리고 전문가로서 인정받을 때 성공적인 직업적응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지각수준이 높을수록 직업적응인 업무에 대한 자신감, 전문가로 인식, 직장인으로서 안정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칭찬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에 대해 높게 지각하고 동시에 언어적 칭찬, 몸짓과 표정칭찬, 물질적 칭찬에 대해 높게 지각하면 직업적응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적응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직업적응은 경력성공 중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에만 직업적응의 모든 하위변인들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삶의 만족에는 직업적응 중 직장인으로서 안정감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업에서는 종사원들의 안정적인 직업적응을 위해 종사원들이 자기효능감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며, 기업문화에 칭찬을 활성화하는 전략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하지만 신체적 칭찬은 조직 내에서 친근한 동성 간에 간단한 표현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에서는 종사원들이 경력성공에 대해 높게 지각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력개발 활동을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현대의 직장인들은 직장과 개인의 삶의 균형을 요구하고 있기에 일과 삶에 있어 균형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의 역할과 프로그램 표준(안) 연구

        정승원,강윤주,이성하 한국보건복지학회 2019 보건과 복지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vocational adjustment training facilities and to develop areas for vocation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s.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search, analysis of operation cases by facility, and interviews with focus groups were conducted. As a result, vocational adjustment train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hould serve as an institution for adjustment training for the severely disabled, link(bridge) with other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function as a hub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for the severely disabled. And programs of vocational adjustment train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ere localized for individual and social life adjustment, vocational preparation, and vocational transfer training. In personal and social life adjustment training, we proposed four types of personal life adjustment training. Six types of vocational preparation training suggested time management, financial management, job recognition, job search, job search skills, and interview skills. And there are three types of vocational transition training, namely job competency acquisition, work tool understanding and job maintenance skills training.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hat the role and function of vocational adjustment train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need to be established in operating standards for the program to become practical. 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의 역할과 기능을 제안하고, 직업적응훈련 프로그램의 표준(안)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시설별 운영사례 분석, 초점집단 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은 중증장애인을 위한 적응훈련 전문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해야 하고, 타 직업재활시설과의 연계(가교) 역할을 해야 하며, 중증장애인의 직업재활 사례관리 허브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해야 한다. 그리고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의 프로그램은 개인․사회생활적응훈련, 직업준비훈련, 직업전이훈련으로 영역화하였다. 개인․사회생활적응훈련에서는 개인생활적응훈련 4종, 사회생활적응훈련 5종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직업준비훈련에서는 6종으로 시간관리, 재정관리, 직업인식, 직업탐색, 구직기술, 면접기술 훈련을 제안하였으며, 직업전이훈련은 3종으로 직무능력 습득, 작업도구 이해, 직업유지기술훈련을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의 역할과 기능을 활성화하고, 프로그램이 실용화되기 위해 직업적응훈련시설의 운영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연령별 외모만족도가 직업적응에 미치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오강수(Oh, Gang S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이 연구는 연령에 따른 외모만족도가 직업적응에 미치는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측정해 보고자 시도된 논문으로, 외모를 꾸밈으로써 나타나는 직업 적응 및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키는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측정은 할당 표본 추출(Quota Sampling)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연령대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징을 기준으로 외모만족도 20문항, 직업적응 14문항, 자기효능감 31문항 등 총 6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공간적 구성은 광주광역시에서 200부의 유효설문지를 추출하여 일반적 사항을 중심으로 신뢰도 검증 및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2015년 6월 20일부터 10월 31일까지 134일 간이었다. 측정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모만족도는 2.89, 직업적응은 3.43으로 나타났으며, 외모만족도의 하위변수는 신체강도, 신체조건, 신체매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외모만족도 사후검증 결과, 20대와 30대에서 외모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0대 이상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하위변수인 신체매력, 신체강도, 신체조건의 사후검증 결과 역시 대체적으로 20대와 3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0대 이상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측정변수인 직업적응, 자기효능감, 외모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모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직업적응, 자기효능감도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외모만족도가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 효능 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인 외모만족도가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과 종속변수인 직업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인 자기 효능 감을 추가로 투입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직업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외모만족도의 하위변수가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인 신체강도, 신체조건이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수인 직업적응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을 추가로 투입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직업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신체강도와 신체조건이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외모만족과 신체매력 등은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며 외모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직업적응 및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바 외모가 현대를 살아가는 하나의 경쟁력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seeks to measure a mediated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by age on vocationa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also to provide a basis data for increasing a vocationa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A measurement of Quota Sampling to be used in the study,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66 items which in included 20 item of appearance satisfaction, 31 item of self-efficacy, 14 item of vocational adjustment and 1 item of other. There are involved a conducting a survey in Gwangju metropiolitan city during June 20th and september 31st 2015 and collected 200 valid questionnaire conducting data analysis from the SPSS 21.0 program, it analyses descriptive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ed effect to verify reliability. The result of descriptive measure for variable, it shows that the appearance satisfaction is 2.89 and vocational adjustment is 3.42 It shows that sub-factors of appearance satisfaction, it is physical intensity, body condition, magnetism. The result on research validation of appearance satisfaction by age, the twenties and thirties appear to be most satisfied with appearance satisfaction but the fifties and over are least satisfied ages. The result of validation on physical intensity, body condition, magnetism as sub-factors roughly the twenties and thirties appear to be most, fifties and over are least satisfied ages.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ocational adjustment, self-efficacy and appearance satisfaction, it show that the more appearance satisfaction of getting high , the more vocationa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of getting high. Appearance satisf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 positvely influence self-efficacy and vocational adjustment as intervening variable. The result of additional input self-efficacy as intervening variable,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 vocational adjustment. The result from anaysis of mediated effect for sub-factors of appearance satisfaction influence with vocational adjustment, Physical intensity and body condition as independent variable positively influence self-efficacy as intervening variable. Also the result of additional input self-efficacy as intervening variable, it shows that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 vocational adjustment.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among influence of physical intensity and body condition on vocational adjustment. Furthermore, it shows that who as getting older declines magnetism. and appearance as getting higher appearance satisfaction, the more self-efficacy and vocational adjustm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t indicates that appearance is one of competitiveness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대학생 구직준비역량, 직업기초역량, 직업적응역량의 교육요구도 분석-D대학 중심으로-

        문윤경,오현주,김미경 한국취업진로학회 2019 취업진로연구 Vol.9 No.4

        Most recent job competency studies focus only on one of career choice, job search, job foundation, and job adaptation, thus limiting practical job situations. With this problem in m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mployment preparation competency, job foundation competency, and job adaptation competency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priority of factors on the quadrant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400 students of four-year D University in the capital area from June to July 2018, and used 349 copies for analysis. The research methods was applied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of employment preparation competency, job foundation competency, and job adaptation competency perceived and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As a research result,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factor of employment preparation competency, job foundation competency, and job adaptation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depending on gender and grade, and the average value of male and the upper grade showed higher than female and the lower grade. By the majors category,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 of job foundation competency, and job adaptation competency, the science and engineering showed higher tha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econd, in all the sub-factors on employment preparation competency, job foundation competency, and job adaptation competency, the importanc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value than the performance. Third, the result of IPA on employment preparation competency, job foundation competency, and job adaptation competency, Concentrate Here quadrant included an acquire job-seeking of employment preparation competency, information, technology, and resource literacy of job foundation competency, self-development skill of job adaptation competency. In the quadrant of ‘Keep up the good work’, it included problem solving skill and communication skill of job foundation competency, interpersonal relation skill and organization comprehension of job adaptation competency. In the Low Priority, it included numeracy skill of job foundation competency and change adaption of job adaptation competency, and job experience preparation of employment preparation competency showed at the boundary between Concentrate and Low Priority. In the Possible Overskill, it included self-understanding, job-seeking design, and job information understanding of employment preparation competency and vocational ethics and attitude of job adaptation competency. 최근의 구직과 관련된 역량연구는 진로선택이나 준비, 직업수행능력, 직업적응 중의 하나의 내용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실제적인 구직상황을 다루는데 한계가 있으며, 인지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어 역량교육의 제한점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효율적인 역량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구직관련 역량을 구직준비역량, 직업기초역량, 직업적응역량으로 포괄하여 그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중요도-실행도 분석(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에서 사분면에 위치하는 요인들의 우선순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4년제 D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7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49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구직준비역량, 직업기초역량, 직업적응역량의 빈도분석, t-검정, 중요도-실행도 IPA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 구직준비역량, 직업기초역량, 직업적응역량 하위요인에서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전공계열별로는 직업기초역량과 직업적응역량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공계열이 인문사회계열보다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둘째, 구직준비역량, 직업기초역량, 직업적응역량에 대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중요도가 실행도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셋째, 구직준비역량, 직업기초역량, 직업적응역량의 하위 구성요소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결과, ‘집중노력영역’에 구직준비역량의 구직기술습득, 직업기초역량의 정보·기술 및 자원 활용능력, 직업적응역량의 자기계발능력이 포함되었다. ‘지속유지영역’에는 직업기초역량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직업적응역량의 대인관계능력, 조직이해능력이 포함되었다. ‘점진개선영역’에는 직업기초역량의 수리능력, 직업적응역량의 변화적응이 포함되었고, 구직준비역량의 구직경력준비는 집중노력영역과 점진개선영역 경계에 나타났다. ‘과잉노력영역’은 구직준비역량의 자기이해 및 구직설계, 구직정보이해, 직업적응역량의 직업윤리 및 태도가 포함되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직준비역량, 직업기초역량, 직업적응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조사는 대학생의 구직관련 역량의 발전과 확산에 함의를 제공하며, 역량기반의 진로교육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직업가치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윤지영(Yun, Ji Young) 한국비서학회 2014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해 어떤 변인이 고려되어져야 하는 지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학생활적응을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으로 나누었으며, 이러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전공선택동기 변인 중 개인적 전공선택동기와 사회적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변인 중 일반적 관심에 대한 전공만족과 사회적 인식에 대한 전공만족, 직업가치관 변인 중 외재적 직업가치관과 내재적 직업가치관을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은 수도권 지역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1, 2학년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으로 392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직업가치관은 모두 보통의 수준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선택동기 하위변인 중 개인적 전공선택동기는 대학생활적응의 모든 하위변인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회적 전공선택동기는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응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만족도 하위변인 중 일반적 관심에 대한 전공만족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인식에 대한 전공만족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응과 대학환경적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가치관 하위변인 중 외재적 직업가치관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학업적응과 대학환경적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재적 직업가치관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학업적응, 사회적응, 대학환경 적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e, major satisfaction, and work values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Juni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College life adjustment was divided into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environmental adjustment. Major selection motive has sub-variables such as personal motive and social motive; major satisfaction has sub-variables such as major satisfaction on general interests and major satisfaction on social perception; work values has sub-variables such as inner work values and outer work values. Data was collected from samples of 392 students in four junior college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rawn; First, the level of college life adjustment, major selection motive, major satisfaction, and work values proved to be above-average. Second, personal major selection motiv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four fa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while social major selection motiv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djustment. Third, major satisfaction on general interest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four fa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while major satisfaction on social percep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djustment and environmental adjustment. Four, outer work value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djustment and environmental adjustment while inner work value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environmental adjustment.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중소기업 진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산용 중소기업융합학회 2017 융합정보논문지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중소기업 진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6개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회신된 1128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표본추출방법은 비확률표집방법에서 편의표집방법을 활용하였다.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진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진로적응의 주도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진로적응의 목표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예비직업인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직업교육 프로그램, 직업체험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vocational training satisfaction of youth on their career adaptability t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nswered by 1128 students enrolled in six vocational schools located in Seoul.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atisfaction of vocational training positively influenced career adaptability; more specifically, the satisfaction of vocational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tive and Goal-Orientation of career adaptability. These results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various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and job experience programs are needed for the SME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중증장애인 직업적응훈련 서비스에 대한현장 실무자 인식에 관한 연구: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 수행기관을 중심으로

        신숙경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3

        중증장애인 직업적응훈련 서비스에 대한현장 실무자 인식에 관한 연구: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 수행기관을 중심으로 신 숙 경 연구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을 수행하는 현장 실무자들이 인식하는 직업적응훈련 서비스 현황과 중요도에 대해 알아보고 효과적인 훈련 서비스 전략을 모색함으로써 장애인 직업재활의 정책적 함의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설문은 직업적응훈련 세부 영역별 실시여부 및 중요도 인식, 그리고 훈련 시 어려운점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138개소 수행기관에서 79명이 최종 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 내용: 대부분의 수행기관에서 직업적응훈련 세부 항목에 대한 교육을 평균 87±5% 내외로 실시하고 있으며 필요성에서도 5점 만점에 평균 4.0±0.25점으로 높음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적응훈련 수행 시 어려운점이 무엇인지를 묻는 설문에서 빈도가 가장 많은 항목은 ‘훈련 대상자 모집의 어려움’이 20.3%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사업 재정 부족’이 17.7%, ‘전문인력 부족’ 12.7%, ‘취업처 등 협력업체 개발의 어려움’ 10.1%, ‘직업적응훈련 콘텐츠 및 교육 수단이 제한적이고 부족함’이라고 응답한 실무자는 8.9% 순이었다. 결론 및 제언: 사업재정과 전문인력, 그리고 취업처의 부족과 다양한 훈련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은 향후 중증장애인의 취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맞춤형 직업적응훈련 서비스 제공과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현장은 물론 사업을 주관하는 보건복지부와 장애인개발원에서 적극적으로 대책 마련과 지원이 필요하다. 핵심어: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 장애인직업적응훈련, 직업재활, 중증장애인 A Study on Field Practitioners’ Perceptions of Vocational Adaptation Training Services for PWD: Focusing on Institutions Implement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upport Programs Sukkyung Shi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perceived importance of vocational adaptation training services as recognized by field practitioners involved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upport Programs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PWD). The final survey was conducted with 79 respondents from 138 implementing institut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institutions conduct vocational adaptation training for specific subcategories at an average rate of approximately 87±5%. The perceived necessity of these training was rated high, with an average score of 4.0±0.25 out of 5.0. The survey also identified the primary challenges faced during the execution of vocational adaptation training. The most frequently cited challenge was the ‘difficulty in recruiting trainees,’ mentioned by 20.3% of respondents. In conclusion, addressing the issues of insufficient project funding, professional personnel, and employment partnership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diverse training content, is essential for enhancing the employment competitiveness of PWD. Key Words: Vocational Rehabilitation Support Programs for PWD, Vocational Adaptation Train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 접수일: 2024년 5월 21일, 수정일: 2024년 6월 14일, 게재확정일: 2024년 6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도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의 확장현실(XR) 적용기반 마련 기초연구’(한국장애인개발원)의 일부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임. ** 전주대학교 재활학과 부교수(Associate Professor, Jeonju Univ., Email: africarogo82@jj.ac.kr)

      • KCI등재

        정신지체학생의 적응행동, 자아존중감 및 진로자기효능감이 직업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나용기,김삼섭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장애와 고용 Vol.23 No.2

        In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job readiness skills, adaptive behavior,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the 160 students who are in third grade in special classroom of special school and who acquired a job after graduating from majoring course was researched. In order to do this, self-esteem, adaptive behavio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job readiness skills were measured. As a manner of data processing,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behavior and job readiness skills, an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behavior and self-esteem in a sense of correlation among adaptive behavior, self-esteem,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job readiness skills of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n effect of adaptive behavior,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job readiness skills, only adaptive behavior had a meaningful effect. The effects that adaptive behavior,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ve on sub-factors of job readiness skill are as follows. Daily living factors of readiness skills were affected by self-esteem and adaptive behavior. Also, The recognition skills and work skills of job readiness skills were influenced by adaptive behavior. In addition, job conscience of job readiness skills are affected by adaptive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in searching relationships among job readiness skills, adaptive behavior,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the mental retardation students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and majoring course and acquired a job, and in designing a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특수학교·특수학급 3학년 및 전공과 재학생 중 현재 직업생활을 하고 있는 정신지체학생의 적응행동, 자아존중감 및 진로자기효능감이 직업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106명의 정신지체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적응행동, 진로자기효능감 및 직업준비도를 측정하여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학생의 적응행동, 자아존중감 및 진로자기효능감과 직업준비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적응행동과 직업준비도 간에는 정적상관관계가 있고, 적응행동과 자아존중감과는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응행동, 자아존중감 및 진로자기효능감이 직업준비도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을 알아 본 결과, 세 요인들 중 적응행동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응행동, 자아존중감 및 진로자기효능감이 직업준비도의 하위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업준비도의 일상생활요인은 자아존중감과 적응행동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준비도의 인지기술요인과 작업기술요인은 적응행동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준비도의 직업의식은 적응행동과 진로자기효능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특수학급 및 전공과 학생의 진로와 직업 교육과 정을 구성하거나 전환교육계획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