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교육연구 학회지의 연구동향 분석: 내용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김은지,황영아,송영수 한국직업교육학회 2017 職業 敎育 硏究 Vol.36 No.6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직업교육 관련 대표 학술지인 ‘직업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직업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직업교육연구에 게재된 학술지는 총 457편으로 연구자들이 설정한 논문 분석기준에 따라 연구대상 기관, 조사대상, 연구유형 등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논문의 연구자가 설정한 주제어의 관계를 분석하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주제를 분석하였다. 데이터클렌징 작업을 통해 총 1,073종 1,837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 활용하였다. 내용분석의 측면에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유형을 분류한 결과 양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실천적 연구, 질적 연구, 이론적 연구 순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가 적용되는 기관에 따라 분류한 연구대상은 기업체, 대학교, 보통교육기관, 직업전문교육기관 중 전문계 고교(특성화고, 공업계열고, 마이스터고 등), 공공기관, 전문대학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은 근로자, 대학생, 초・중등학생, 교사, 청년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전체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 자기효능감, 진로장벽, 진로지도의 주제어들이 연결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매개중심성이 높은 주제어는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자기주도학습능력, 진로준비행동, 직업교육훈련 순으로 분석되었다. 추가적으로 직업교육 분야 주요대상자인 근로자, 대학생, 초중등학생에 대하여 에고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고 각 네트워크의 주요키워드 도출 및 구조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 직업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제시하고 향후 직업교육 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research trend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o seek for the future developmental directions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a representative academic journal on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last ten years. Contents analysis such as institutions for research object, research subject, types of research, etc. was conducted by the researchers’ paper analysis criteria based on the 457 article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from year 2007 to 2016. Also, subject of research was analyzed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analyzing relationships of keywords set by the relevant researchers. Keyword network abstracted 1,837 keywords and 1,037 different kinds in total through data cleansing process, and those keywords were used for the research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 in terms of contents analysis. In case of types of research, it was classified that papers using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ere the most. Also, practical, qualitative, and theoretical research methods were used frequently in the order named. In case of research object, applying the research results on the spot, it was classified that companies, universities, general education institutions, vocational high schools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echnical high schools, Meister high schools, etc.), government offices, and colleges applied the research result frequently in the order named. Also, in case of subject of research, workers, university student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eachers and young man became the subject of research frequently in the order named. It was analyzed that through the overall network analysis for the study of the research subject, keywords such as career matur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elf-efficacy, career barriers, career guidance have higher degree centrality. Also, keywords with higher betweenness centrality were analyzed as follow self-efficacy, careere maturity,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order named. Additionally, ego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workers, university students, an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the main targets in the field of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the ego network analysis, main keywords of each network were draw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were explained as well in this paper. This study shows the research trends regarding vocational education using the research results as mentioned above and suggests future developmental directions in the field of vocational education.

      • KCI등재

        의미망 분석을 이용한 전국 고등학교 직업교육 연구대회 출품작 분석

        김종욱,김민규 한국직업교육학회 2013 職業 敎育 硏究 Vol.3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useful information to find a trend of this National High-School Vocational Education Teaching Methods Competition programs(2001-2012). By using the analysis of semantic network, we expect to get a highly systemic and quantitative results and apply these to this program in operative levels. Both KrKwic for analysing keyword and Ucinet for network analysis a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tated belows. First, there are few difference among sections which is traditionally categorized functionally in vocational education areas such as industrial, commercial, agriculture, ect. Second, some key words such as ‘competency’, ‘occupation’, ‘teaching’, ‘basic’ and ‘class’ are located in hub area of the network. These words are important keyword which commonly used in school. Especially, not only ‘class’, ‘teaching’, ‘occupation’, but also ‘competence’, ‘basic’, recently ‘competency based’ education and ‘occupational basic competency’ are frequently-used in school. Third, there are also meaningful connections among some key words. For example, in cluster 1, ‘teaching’, the main keyword, are connected to ‘ICT’, ‘Practice’, ‘module’. In addition, in cluster 5, ‘core competency’, the main keyword is related to ‘occupation’, ‘creativeness’, ‘fusion’. Especially, in cluster 4, ‘employment’, is peculiar keyword because this word itself start to construct its own hub in the network. These analysis methods are meaningful because they can analysis the keyword in a quantitative way, which traditionally other most researchers just relied on content analysis methods. 이 연구는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전국 고등학교 직업교육 연구대회의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본 연구대회를 통한 산출물의 활용 효과를 높이고 대회운영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전국 고등학교 직업교육 연구대회에 출품된 작품 중에서 수상작품의 제목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우수사례에 활용된 교수․학습 방법들에 대한 경향 분석을 하였다. 프로그램으로는 키워드 분석 프로그램인 KrKwic과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인 Ucinet을 사용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트 분석 및 텍스트 분석과 연계한 네트워크 분석 결과 본 연구대회 수상작 간의 뚜렷한 계열간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즉, 공업, 상업 등 계열간 연구대회 수상작의 핵심어의 종류 및 특징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전국 고등학교 직업교육 연구대회에서 제시된 여러 출품작품들의 경향 중 주목할 만한 부분은 ‘능력’, ‘직업’, ‘교수’, ‘기초’, ‘수업’을 허브로 하는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핵심어는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일선 고등학교 수업현장에서 중요시 하는 키워드이며, 특히 ‘수업’, ‘교수’, ‘직업’과 같은 핵심어 외에 ‘능력’, ‘기초’ 최근의 ‘역량중심’ 교육과 ‘직업기초능력’의 개념이 학교 현장에 뿌리내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네트워크의 확산을 이끌어 내는 클러스트 1의 ‘교수’의 경우, ‘ICT’, ‘실습’, ‘모듈’과의 결합, 클러스트의 5의 ‘직업기초능력’의 경우, ‘직업’, ‘창의’, ‘융합’과의 결합, 그리고 클러스트 4의 ‘취업’의 경우 별도의 허브를 구축해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분석방법은 기존의 문헌연구 방법과 달리, 핵심어 및 핵심어간의 관계를 정량화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 KCI등재

        진로와 직업 분야 소명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현황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정지애,강혜영 한국취업진로학회 2018 취업진로연구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s in calling of career and vocation research in Korea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career research. To do this, we analyzed 111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18 through current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First, it is the result of current analysis. ① By year, the current situation was insufficient until 2013, but it increased to 12(10.8%) in 2014 and 15(13.5%) in 2015. Since 2016, research has shown a high distribution of 68(61.2%). ② Most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adults(51.4%) and university students(39.6%). ③ The current status of the measurement tools were CVQ-K(50.3%), MCM-K(11.7%), Wrzesniewski et al(6.3%) and VCS-K(5.0%). ④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by the majority(89.2%). Second, network analysis results. ① The frequency of appearance in the order of 'title of paper' analysis, calling sense, vocation calling, college students, career calling, life satisfaction etc. Keywords with high connection centrality were analyzed in order of calling sense, life satisfaction, career calling, university student, vocation calling. Keywords of mediation centrality were analyzed in order of calling, calling sense, career calling, life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se results, we could find out the topic of study and the subject of study which are actively studied with the importance of calling in career and vocation. ②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esearch subjects' showed that the main subjects of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subjects were university students, career calling, calling sense, life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level. The main subjects of adult research subjects were vocation calling, calling sense, job satisfaction, teachers, and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use of the subject-specific calligraphy. ③ In the result of 'main word' analysis, the main topic of connection center was life satisfaction, calling sense, meaning of life, career calling. The mediation centered subjects were analyzed in order of life satisfaction, career calling, calling sense, meaning of life. Key words were derived from three research themes: G1(career adaptation and career calling for university students), G2(job adaptation and vocation calling for workers), and G3(meaning, satisfaction and calling for life and work).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calling as an adaptation to the meaning and satisfaction of life and work by subject in career and vaca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진로와 직업 분야 소명연구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소명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황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2000년부터 2018년 현재까지의 최근 19년 동안 발표된 111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황 분석 결과이다. ① 연도별 현황은 2006년을 시작으로 2013년까지는 미흡하였으나 2014년 12편(10.8%), 2015년 15편(13.5%)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2016년 이후 연구는 68편(61.2%)의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② 연구대상 현황은 성인(51.4%)과 대학생(39.6%)으로 대다수 연구가 이루어져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상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③ 측정도구 현황은 CVQ-K(50.3%), MCM-K(11.7%), Wrzesniewski et al.척도(6.3%), VCS-K(5.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④ 연구방법은 양적연구(89.2%)가 대부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네트워크 분석 결과이다. ① ‘논문제목’ 분석 결과, 소명의식, 직업소명, 대학생, 진로소명, 삶의 만족 등의 순으로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결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로는 소명의식, 삶의 만족, 진로소명, 대학생, 직업소명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매개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로는 직업소명, 소명의식, 진로소명, 삶의 만족, 조직몰입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진로와 직업분야에서 소명의 중요성과 더불어 활발히 연구되는 주제와 확장이 높은 연구주제를 알 수 있었다. ② ‘연구대상’ 분석 결과, 대학생 연구대상의 주제어로는 대학생, 진로소명, 소명의식, 삶의 만족, 진로결정수준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인 연구대상의 주제어로는 직업소명, 소명의식, 직무만족, 교사, 직장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대상별 연구주제의 차이점이 분석되어 대상별 소명의 사용명칭 구분이 필요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③ ‘주제어’ 분석 결과, 연결중심성이 높은 주제어로는 삶의 만족, 소명의식, 삶의 의미, 진로소명 순으로 나타났다. 매개중심성이 높은 주제어로는 삶의 만족, 진로소명, 소명의식, 삶의 의미 순으로 분석되었다. 주제어는 G1(대학생의 진로적응과 진로소명), G2(직업인의 직업적응과 직업소명), G3(삶·일에 의미·만족과 소명)의 총 3개의 연구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하여 진로와 직업에서 대상별로 삶과 일의 의미와 만족에 적응으로서 소명의 중요성이 시사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논의하고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평생교육사의 전문직업화 과정 분석모형 개발과 그 적용에 대한 연구

        김혜영(Kim Hye-Yo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0 평생교육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직업사회학에서 전문직의 사회적 형성과정을 다루는 전문직업화 모형 분석을 통해 국내 평생교육사가 현재의 평생교육사 모습과 위상을 취하게 되었던 과정을 탐색할 수 있는 분석모형을 고안하고 이를 적용하여 모형으로서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도출된 분석모형에서 전문직업화 과정은 사회·역사적 흐름 속에서 외부적 요인과 집단 내 구성원들이 상호작용하며 전문직업성의 핵심요소들이 역동적으로 드러나는 변천 과정으로 규정한다. 이러한 개념적 접근에 근거하여 평생교육사의 전문직업화 과정 분석모형이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도출되었다. 첫째, 전문직업화 분석요소에 근거하여 시기별로 그 변천과정을 분석하는 모형이다. 둘째, 각 요소 형성에 있어서 영향을 미친 여타 행위자를 규명하여 전문직업화 전개과정 속에서 평생교육사의 '사회적 차원(지위명망획득)', '경제적 차원(시장확보)'에서 전문직프로젝트 수행 여부와 추구실태를 살펴본다. 분석모형 적용은 평생교육법 전부개정 이후 2008년부터 현재까지 문헌에 기초하여 이루어졌으며, 평생교육사의 전문직업화 특징이 분석되었다. 이를 시대적 흐름에 따라 적용할 경우, 전문직업화 변천과정의 경향분석과 평생교육사의 전문직업화 미래 방향 제안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devise the analysis model to search the course for Korea lifelong educator to occupy the status of lifelong educator at present through the professionalization model analysis which handles the social formation process for a profession in the occupational sociology and it is purpos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as an analysis model via application of it. The process of the professionalization in the derived analysis model is defined a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xternal factors in the social and historical flow and the members in the occupational group, and the changing process of dynamic revealing the core factors of professionalism. The analysis model for the professionalization process of the lifelong educator was derived in two phases based on such conceptual approach. First, it is a model to analyze the changing process for each period based on the professionalization analysis factors. Second, this study is to look into whether the profession project is performed in terms of ‘social dimension (obtaining the status and reputation)', ‘economic dimension (market dominance)' for the lifelong educator and the status of pursuit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ofessionalization by identifying the other actors who mad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each factor. The application of the analysis model has been made on the basis of the documents from 2008 to the present since the revision of the laws for lifelong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ionalization of the lifelong educator was analyzed. The trend analysis of the changing process of the professionalization and the suggestion for the direction of professionalization in the future will be available if it is applied along the flow of times.

      • KCI등재후보

        2007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과서의 일-직업 관련 내용 분석 Ⅰ

        이수정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2

        2007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가 2011년도부터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및 실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일-직업 교육 목표를 분석해보고 학교 수업에서 활용되는 실과 5, 6학년 교과서에 나타난 일-직업 관련 내용을 분석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실과 5, 6학년 7종의 교과서의 단원별 일-직업 관련 내용이 제시된 현황과 일-직업 관련 내용과 자료유형을 살펴보았으며, 교과서에 제시된 직업명을 조사하고 이를 한국표준직업분류별로 그 유형을 분류해 봄으로써 얼마나 다양한 직업군의 직업명과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였다. 교과서 분석에 대한 다양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분석 준거를 설정하였고, 교과서 7종 분석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실과 교과서에 나타난 일-직업 관련 내용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실과 교과서에 제시된 일-직업 관련 내용을 통한 진로교육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교과서를 새로운 시각에서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는 것은 관련된 교육구성원들에게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는 면에서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2007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has been applied into elementary education.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new textbook analysis is very meaningful in terms that it can provide a critical sight about textbooks to related education members when they started to be used in schools.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of seven kinds of textbooks in 5th, 6th grade respectively was conducted especially on the 'work-occupation' unit in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job iles(vocation) in Practical Arts textbook. 14 textbooks were analyzed and exacted vocations in ext and illustration by grade subject and KSCO(Korea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According to Korea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the presented occupations were grouped. Professional occupations, Service occupations, Sales occupations, Technical occupations. The implications for textbook writers career education teachers, and educational official were suggested. The various occupations suitable for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 should be introduced.

      • KCI등재

        직업교육연구 학술지의 저술특성과 저자의 연구 생산성 분석

        유선영,이영민 한국직업교육학회 2019 職業 敎育 硏究 Vol.3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ation style and authors’ research productivity by analyzing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vocation education and research. Especially, we did content analysis to analyze the style and trends of publication by using Lotka’s law. For the analysis, we collected the data from 1982 to 2019 and finally, 990 articles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as follow. First, 620 published articles were written by two or more authors during the analysis period. Second, the authorship was belong to a few authors who were one or two authors more. Third, their institutions were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and secondary school etc. Fourth, authors’ publication activity was not continuous, which means many of them have not publish their articles without seaming less. Fifth,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productivity, Lotka’s law is adequate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journal of vocation education research. A few authors made much contributions in publishing the articles than those of many authors who published a few pieces of articles. For future research, we suggested the supports system and learning communities for proliferating the research activities and productivity in vocational education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교육 분야의 대표 연구 학술지인 직업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저술의 특성과 저자의 연구 생산성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저술의 방식이나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고, 저자의 연구 생산성을 파악하기 위해 Lotka 법칙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으로 1982년부터 2019년까지 직업교육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990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기간을 설정하여 게재된 논문들의 저술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 게재 논문 중 620편 이상이 공동저술 결과물이었다. 둘째, 직업교육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의 저술형태는 주로 단독저술 혹은 2인 이상 저술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저자들의 소속기관은 대학교, 연구소, 초중등교육기관 순으로 나타나서, 저술이 주로 연구와 관련된 기관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저자들의 저술 활동은 지속적이라기보다 단속적 종결형태의 저술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섯째, 저자들의 연구 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Lotka법칙이 직업교육연구 학술지의 연구 생산성을 분석하는 데도 적합한 방법으로 입증되었고, 직업교육연구 학술지 논문들의 생산과 정보유통에 일정한 패턴과 규칙이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직업교육연구 학술지의 연구 생산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저자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직업윤리 연구 동향

        이화진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20 직업과 자격 연구 Vol.9 No.3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of work ethics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keywords in articles from 2002 to 2019 containing ‘work ethics’ retrieved from the KCI database, which provides a range of academic information on domestic articles. Finally, 565 related studies were selected from the KCI list of academic articles, and 2,495 keywords were extracted by refining the keyword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a refinement process, and 44 keywor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word frequency. The selected keywords were converted to matrix data and analyzed by social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frequency analysis,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use of keywords for analyzing the main concepts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ork ethics, ethics, education, and professional job were among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Second, job, ethics, professional job, education, expertise and job satisfaction showed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except for work ethics. Third, the keyword network was visualized. Based on an analysis of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index, this study diagnoses the past and present of work ethics research. 이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국내 직업윤리 연구의 동향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서 2002년에서 2019년까지의 ‘직업윤리’를 검색어로 한 연구논문 중 등재지와 등재후보지의 연구물 656편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2,495개의 저자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출현빈도에 근거한 ‘직업윤리’ 연구의 주요 저자키워드를 분석하였으며, 8회 이상 사용된 저자키워드들을 대상으로 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저자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지표인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분석을 활용하여 직업윤리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윤리 관련 연구는 직업윤리, 윤리, 교육, 전문직, 변호사, 직업기초능력, 직업, NCS 등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다. 둘째, 저자키워드 중심성 분석결과, 직업윤리, 윤리, 직업, 교육, 전문직, 전문성, 직무만족은 연결․근접․매개중심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가치, 의사 저자키워드는 연결강도가 높아 연결중심성이 높았고, 치위생사, 의료윤리 등의 저자키워드는 근접중심성이 높아 다른 저자키워드와 가깝게 위치하며, 교육과정, 분석, 보육교사 등의 저자키워드는 다른 저자키워드 사이에 위치하여 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넷째, 직업윤리 연구는 그룹별로 ‘교육, 도덕, 전문직, 직업의식, 윤리강령’ 등이 관련되어 연구되고 있었으며, ‘직업, 직무만족, 전문성’ 등이 관련되어 있었고, ‘NCS, 교육과정, 대학생’ 등이 관련되어 연구되었으며, ‘변호사, 로스쿨, 자율성’ 등의 주제가 연관되어 연구되고 있었다.

      • KCI등재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직업 관련 내용 분석

        장명희,황성수,김현수,오석영,박선미,한세롬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occupational distributions and recognitions in textbooks tounderstand how textbooks describe occupation related content and suggest tasks forimprovement in developing and using textbooks in order for juveniles to cultivate a properoccupational view and acquirements in a school field. To analyze occupation-suggested content in textbooks, analytic area and a frame for textbookswere developed by literature analysis and a professional review. Curricula of 10 high schoolregular subjects were analyzed to select analytic objects, and 7 subjects, 16 kinds of textbooksthat presented content of ‘Work-Occupation Related Understanding & Selection’ on the character,aim and content of a curriculum were selected. Subjects selected contained Social Studies(3kinds), Economics(3 kinds), Law & Politics(1 kind), Society・Culture(3 kinds), Life & Ethics(2kinds), Technology & Home Economics(3 kinds) and Career & Vocation(1 kind). To understandthe content of each subject and ensure objectivity, this study organized 6 specialists consisted of4 high school teachers and 2 professors having experience in textbook analysis with specialtyand major for textbook content analysis taken into consideration. Firstly, in textbooks, the number of content suggesting occupations was 2,950, and diversityand description of occupational presentation tended not to correspond to the distribution of actualworkers. Secondly, the kinds of occupations suggested in textbooks are 1,140, taking up about10% of occupations suggested now in our nation's vocational dictionary. Thirdly, there wasdifference in recognition on occupations suggested in textbooks according to an occupationalcluster. Relatively, porofessions received more positive views whereas simple laborers receivedmore negative descriptions. Particularly, descriptions or cases to reinforce a distorted idea and bias against an occupation(employment) for students were found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anauthor thus improvements are needed. This study gave suggestions for policies, compilations and follow-up researches based ontextbook analysis findings to improve textbooks for cultivating juveniles’ proper occupationalview and acquirements. 이 연구는 직업에 관한 내용이 교과서에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과서 상에 직업 분포와 인식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 현장에서 청소년들이 올바른 직업관과 직업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교과서 개발 및 활용을 위한 개선 과제를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교과서의 직업 제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 분석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교과서 분석 영역과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분석 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보통교과 10개 교과목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으며,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에 ‘일-직업 관련 이해 및 선택’ 등의 내용을 제시한 7개 교과, 16종의 교과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교과는 사회(3종), 경제(3종), 법과 정치(1종), 사회・문화(3종), 생활과 윤리(2종), 기술・가정(3종),진로와 직업(1종)이다. 각 교과의 내용 이해와 객관성 확보를 위하여 전문성 및 전공을 고려하여 교과서 분석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교사 4명과 대학 교수 2명 등 총 6명을 교과서 내용 분석 전문가로 구성하였다. 첫째, 교과서의 직업 제시 내용은 총 2,950건이며, 직업 제시의 다양성 및 묘사가 실제 직업 종사자 분포와불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교과서에 제시된 직업의 종류는 1,140개로 현재 우리나라 직업사전에 제시된직업의 10% 수준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셋째, 교과서에 제시된 직업에 대한 인식은 직업군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전문직의 경우 긍정적 기술이, 단순 노무직은 상대적으로 부정적 기술이 많이 나타났다. 특히 저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학생들에게 직업(고용)에 대해 왜곡된 관념을 강화하는 기술도 나타나 직업에 대한 편향을 강화하는 사례도 발견되어 개선이 필요하다. 향후 청소년의 올바른 직업관과 직업 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 교과서 개선을 위하여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편찬 개선, 후속 연구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 KCI등재

        2-3년제 대졸 청년의 직업가치 유형과 첫 일자리 만족도 및 이직의 관계 분석

        유현옥,김은비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5

        이 연구는 2-3년제 대졸 청년들의 직업가치 유형 분석을 통해 4년제 대졸 청년들과의 직업가치 유형 비교 및 2-3년제 대학 경력개발 교육에의 제언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2-3년제 대졸 청년들이 첫일자리 구직 시 가지는 직업가치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직업가치 유형과 첫일자리 만족도 및 이직과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분석에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14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15개의 직업가치 세부항목이 평판, 환경, 업무, 발전의 4개의 직업 가치 요인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이후 잠재집단분석, 교차분석 및 분산분석을 차례로 실시하여 도출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2-3년제 대졸 청년들의 첫일자리 구직단계 직업가치 유형은 전체 중시 유형, 전체 비중 시 유형, 평판・환경・발전 중시 유형과 환경・발전 중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연령과 성별은 직업가치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대학 소재지와 전공은 직업가치 유형 차이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업가치 유형별로 첫 일자리 만족도 및 이직에 차이를 보였다. 상기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결론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aimed to classify the vocational college graduates' job values in the midst of search for their first job. Based on the job value classification, its associations with reten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further analyzed. To this end, utilized was the data from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of the year 2014, and conducted we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latent class analysis, chi-square test, F test in order. The findings showed that first, job value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sub-factors, such as reputation value, environment value, task value, and growth value. Second, types of job values among the graduates include a type that cherishes all four value factors, a type that cherishes none, a type that cherishes reputation/ environment/growth values, and lastly a type that cherishes environment/growth. Third, the job value types were related to difference in satisfaction and retention at the first job.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tion relation between the job value types and age, nor gender. College locations and majors showed relevance with the types of the job values.

      • KCI등재

        산업별 특성과 근로자 연령 및 직업교육이 임금에 미치는 효과

        이유우 한국직업교육학회 2019 職業 敎育 硏究 Vol.38 No.1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industry characteristics, age of workers and vocational education on wages. For this purpose, it is divided in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service industry, and the service industry i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reflecting the heterogeneity in the service industry. In addition, we performed panel regression analysis, GLS estimation, and heterogeneity of time, to analyze the problem of endogenous production, where characteristics of workers not observed in cross section analysis affect wage level determination. Panel regression analysis, GLS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vocational educa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ages i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yearly cross-section analysis, vocational education showed a short-term wage increase effect. Also, according to the binary probability effect model considering time heterogeneity, vocational educa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ages i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short - term effect of vocational education on wage and that the domestic climate prefers higher education can be a factor that hinders the long - term effect of vocational education. Also, the short-term effects of vocational education on wages exist and preference for higher education can be a hindrance to the effects of vocation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emand for low-skilled labor may decrease at a certain point in the future, along with the trend of increasing average age of workers, thus requiring policy support for job training or career development. 본 연구는 임금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 가운데 최근 연구들이 주목하는 근로자의 중등교육과정에서 직업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임금격차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체적으로 개인 근로자의 소득을 10년의 기간을 두고 추적 분석하면서 연령과 직업교육 효과와 산업의 차이가 임금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산업별 특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제조업과 서비스 산업으로 구분하였으며, 서비스 산업 안에서의 이질성을 반영하여 서비스 산업을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횡단면 분석에서 관측되지 않는 근로자의 특성이 임금수준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내생성 문제 해결을 위하여 패널회귀분석, GLS 추정과 이원확률효과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패널회귀분석, GLS 추정 결과에 따르면, 제조업과 서비스 산업에서 직업교육은 임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도별 횡단면 분석에 따르면, 직업교육이 2007년 횡단면 분석에서 일반교육에 비해 임금에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2012년과 2017년 횡단면 분석에서는 직업교육의 임금효과가 사라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연도별 회귀분석 결과가 시점에 따라 상이함에 따라 시간 이질성을 고려한 이원확률효과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원확률효과모형 분석결과, 산업더미 변수는 유의하지 않으며 직업교육은 임금에 정의 효과를 유의하게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산업더미 변수 중에서 저숙련 근로자인 기타 서비스 산업 종사자의 임금수준은 제조업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보고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임금에 대한 직업교육의 단기적 효과가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근로자의 평균 연령이 높아지는 추세와 함께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직업교육은 학교에서 일로의 이행(School to Work Transition)의 책무 뿐 아니라 좀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