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무자원으로서의 근무시간 자율성의 완충효과: 직무요구에 따른 매칭가설 검증

        박재천,하성욱 대한경영학회 2024 대한경영학회지 Vol.37 No.8

        본 연구는 양적 직무요구와 질적 직무요구로 구분된 직무요구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직무자원인근무시간 자율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 기업 구성원 383명을 대상으로 실증하였다. 특히, DISC모델에서제시하는 매칭가설의 관점에서 근무시간 자율성이 양적 직무요구가 직무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관계를 조절하는완충효과와 질적 직무요구와 직무스트레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완충효과를 비교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분석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근무시간 자율성의 매칭가설을 실증하였다. 양적 직무요구가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효과를근무시간 자율성이 완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완충효과는 근무시간 자율성이 질적 직무요구인 역할모호성과역할갈등에 대해 완충하는 효과들보다 각각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질적 직무요구 중 하나인역할모호성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고, 다른 하나인 역할갈등은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증가시켰다. 셋째, 직무요구와 이직의도간의 관계에 있어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추가로 분석하였다. 직무스트레스가 양적 직무요구와 이직의도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고 또한 역할갈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근무시간 자율성이직무자원으로써 가지는 완충효과를 실증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 관리 측면에서 시차출퇴근제, 선택적 근로시간제등 관련 제도를 도입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근무시간 자율성이 질적 직무요구인 역할모호성과역할갈등에 대해서는 완충효과가 없어서, 관련 제도가 모든 구성원에게 효과가 있지는 않을 수 있다. 본 연구의한계점과 후속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work time autonom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demands and job stress with the sample of 383 followers in private companies. Job demands include quantitative job demand and qualitative job demands, and qualitative job demands include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Quantitative job demand consists of workload and time pressure. This analyses are based on the matching hypothesis of DISC(demand-induced strain compensation) model, which argues that each job demand and job resource has various dimensions respectively, and the buffering effect usually exists when the dimension of job demand and the dimension of job resource are matched. This study also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follower. First of all, the empirical examination confirmed the matching hypothesis as follows. The work time autonomy mitig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 job demand and job stress of the follower. The buffering effect of work time autonom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 job demand and job stress was greater than its buffer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job stress of the follower, and also was greater than its buffer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conflict and job stress of the follower. Second, the role ambiguity had no relationship with the job stress of the follower. Third, the job stress induced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follower.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직무요구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직무통제와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

        임광모,탁진국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9 No.2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를 예측하는 변인들을 파악하고, 그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직무요구를 양적요구와 질적요구로 구분하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둘째, 양적요구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질적요구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직무통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셋째, 양적요구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질적요구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다양한 기업,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직장인 4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437명의 설문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양적요구와 질적요구 모두 직무스트레스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질적요구가 양적요구보다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통제가 커질수록 양적요구와 직무스트레스 간의 정적인 관계는 완화되었으나, 절차공정성이 커질수록 양적요구와 직무스트레스 간의 정적인 관계는 강화되는 것으로 나왔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직무요구-자원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오아라,김성환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6 경영컨설팅연구 Vol.16 No.4

        기업은 생존을 비롯하여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 우수한 인적자원을 확보해야할 뿐만 아니라 이들의 열의와 몰입을 증대시켜서 창조적이고혁신적인 업무성과를 달성하도록 관리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전략적인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하겠다.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바탕으로 직무열의를 유발하는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직무담당자의 직무열의가 이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는 동시에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직무요구, 직무자원)과 직무담당자의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기업체에서 팀장과 그의 팀원을 쌍(dyad)으로 선정하여 324쌍을 수집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인 직무요구 중에서 양적요구는 직무열의와 역U형의 관계를, 직무자원 중에서 직무특성자원과 상사지원은 직무열의와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담당자가 지각하는 양적요구는 이들의 직무열의에 역U형의 형태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직무관련자원인 직무특성자원의 보유 정도와 직무수행 상황에서대인관계적인 자원인 상사지원의 지각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열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담당자의 직무열의는 이들의 혁신행동과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열의는 직무특성자원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고, 상사지원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직무담당자의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 요인이 이들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구성원 직무열의 증대를 위한 직무설계 및 관리 방안이 무엇인지 이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ceding factors of job engagement, as well as the effects that job engagement may take on innovative behavior. Furthermore, we attempt to verify the how mediating effects by job engagement take place between preceding factors of job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1) that job demand (quantitative demand and qualitative demand) and job resources (job characteristics resource and supervisor support) are preceding factors of job engagement by attempting to identify factors that lead to employee job engagement; (2) on how employee job engagement has influence over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3) and whether job engagement is in fact a mediating factor between the preceding factors before job engagement, and the eventual innovative behavio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each from a pair of one employee and their supervisor (a dyad) for empirical analysis, and a total of 648 survey responses from 324 pairs were gathe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quantitative demand and job engagement were in fact related to the reverse U-shape. Moreover, job-characteristics resource and supervisor support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to job engagement if and when the two factors are identified as preceding factors to job engag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ative demand and job engagement, howev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job engagement has been shown to be positively cor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 (3) job engagement has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its preceding factors and innovative behavior. More specifically, job engagement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resource and innovative behavior, an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support and innovative behavior.

      • KCI등재

        사무직 근로자의 운동부하검사 시 직무요구도가 심혈관계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송영규 ( Young Kyu Song ),김석희 ( Seok Hee Kim ),이강구 ( Kang Koo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9 체육과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의 직무요구도가 신체구성과 심혈관계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고혈압이 없으며 심혈관계와 대사성 질환이 없는 119명의 중년남성으로 선정하였으며, 직무요구도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신체구성 변인은 직무 요구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심혈관계 요인 중, 상위군에서 직무 요구도와 최고 심박수(p<.05), 최고 수축기 혈압(p<.05), 최대 심근산소소비량(p<.01)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운동부하검사 중 심박수의 변화는 마지막 단계에서 직무요구도 상위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이완기 혈압은 직무요구도 상위군에서 마지막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그리고 심근산소소비량의 변화는 직무요구도 상위군이 3, 5단계, 그리고 최고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05), 6단계는 직무 요구도 상위군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직무 요구도에 따라 운동 중 최대 심박수(r=0.260, p<.01), 안정 시 심근산소소비량(r=0.183, p<.05), 그리고 최고 심근산소소비량(r=0.! 276, p<.01)이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유무에 따라 최대산소섭취량(r=-0.394, p<.01), 무산소 역치(r=-0.334, p<.01), 안정 시 심박수(r=0.198, p<.05), 안정 시 수축기 혈압(r=-0.234, p<.05), 그리고 안정 시 이완기 혈압(r=-0.189 p<.05)이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급에 따라 최대산소섭취량(r=0.222, p<.05), 최고 심박수(r=0.470, p<.01), 그리고 최대 심근산소소비량(r=0.308, p<.01)이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기간에 따라 최대산소섭취량(r=-0.259, p<.01), 무산소 역치(r=-0.1843, p<.05), 최고 심박수(r=-0.425, p<.01), 그리고 최대 심근산소소비량(r=-0.316, p<.01)이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직무 요구도는 운동량에 따라 심근산소소비량에 영향을 미치며, 점증적으로 운동량이 증가하여 혈압에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 요구도가 심혈관계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at job stress(job demand) is related to body 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functions. The subjects were 119 male white collar workers without heart,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job demand level. Blood pressure, body composition test, and graded exercise test was performed to measure heart rate variability and cardiovascular fun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independent-test and repeated measure of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Job demand level was not related to body composition. Cardiovascular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ly in VO2 max and AT. During exercise induced SBP and DBP were significant(p<.05). Therefore job demand level were associated with blood pressure. In cardiovascular variables, job demand level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Rmax(r=0.280, p<.01), MVO2 rest(r=0.183, p<.05) and MVO2max(r=0.276, p<.01). Exercise habi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O2max(r=-0.394, p<.01), AT(r=-0.334, p<.01), HR rest(r=0.198, p<.05), SBP rest(r=-0.234, p<.05), and DBP rest(r=-0.189 p<.05). Job posi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O2max(r=0.222, p<.05), HRpeak(r=0.470, p<.01), and MVO2 max(r=0.308, p<.01). Work career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O2max(r=-0.259, p<.01), AT(r=-0.1843, p<.05), HR peak(r=-0.425, p<.01), and MVO2 max(r=-0.316, p<.01). In conclusion, job demand level affects myocardial energy efficiency in overall activity intensity which is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risk.

      • KCI등재

        요구분석 기반 산업체 기초직무역량 비교 분석 : 대학의 계열별 진출 산업체를 중심으로

        김대중(Kim, Daejoong)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1 핵심역량교육연구 Vol.6 No.2

        비록 기초직무역량이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주어진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있어 공통으로 요구되는 역량이지만, 모든 기초직무역량이 산업체별 또는 업종별로 동일 가중치로 적용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직무 수행에 필요한 공통으로 요구되는 기초직무역량이 대학의 계열별 연관 산업체에서 그 우선순위가 실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탐색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수행을 위해 먼저 문헌고찰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14개의 기초직무역량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대학의 계열별 연관 대표 산업체 총 174개를 대상으로 14개의 기초직무역량의 요구도를 파악하였다.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3가지 요구도 우선순위 기법인 중요도 분석, Borich 요구도 분석기법, 그리고 IPA 기반 요구도 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계열별 연관 산업체에서 상대적 중요성이 있는 기초직무역량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계열을 떠나 모든 산업체에서 인성과 책임감이 기초직무역량으로서 우선하여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셋째 당장 집중투자가 돼야 할 기초직무역량은 계열의 특성이 반영되는 것이 확인된다. 이공학 계열 연관 산업체에서의 경우 문제해결능력과 전공실무능력(전문성), 사회 계열 연관 산업체에서는 책임감, 협동능력 그리고 창의력, 인문 계열 연관 산업체에서는 책임감, 문제해결능력, 협동능력 그리고 창의력, 예체능 계열 연관 산업체에서는 도전정신과 문제해결능력이 집중투자 요구 기초직무역량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이 도출된 계열별 연관 산업체의 기초직무역량에 대한 우선순위 요구분석 결과는 먼저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구축, 점검 또는 개선을 모색하는 데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산업체 관점에서는 산업체 종사자의 기초직무역량 결핍 정도 진단, 인재채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개선 등과 같은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meaning of basic job competencies refers to the competencies that are commonly required to successfully perform jobs in most occupations regardless of job type or position, it will not be applied with the same weight for each industry.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exploratory conducted on how the priority of basic job competencies actually appeared in related industries for each academic field of the university. To conduct this study, 14 basic job competencie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review. The needs priority for 14 basic job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for a total of 174 representative industries related to each academic field of the university. In order to analyze the needs priority, the three priority techniques--importance analysis,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IPA-based needs analysis were used in this study. To summarize the main analysis results, first, basic job competencies were different by industries related to each academic field of the university. Second, in all industries tenacity and responsibility are prioritized and considered important as basic job competencies. Third, it is confirmed that the basic job competencies that should be invested immediately are reflecte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field, such a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rofessionalism in science and engineering related industries, responsibility and collaborative ability in social science related industries, responsi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in humanities related industries, and the spirit of challenge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arts and sports related industries. The result of needs priority analysis for basic job competencies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establishing, inspecting, or improving the university s competency-based curriculum. Next, from the industrial perspectiv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ompetency-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such as diagnosing the degree of lack of basic job competency of workers, hiring talent people, and developing and improving training programs.

      • KCI등재

        직무요구와 자원이 직무소진, 직무열의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설계엔지니어링 기술직 사원들을 대상으로

        김형태,이금희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9 산업혁신연구 Vol.35 No.3

        날로 심화되는 기업의 경쟁 환경은 높은 생산성 향상을 요구하고 있고 이에 따라 가중되는직무요구는 종업원들의 직무소진을 초래하고 있다. 설계엔지니어링 기술직 사원들의 경우 다른산업들과 다르게 작업에 대한 강도가 높고, 인재를 양성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이 분야 노동시장의 유연성 때문에 쉽게 직무소진을 경험하게 되고 이직이 많은 특징을보인다. 본 연구는 설계엔지니어링 기술직 사원들의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이 직무소진, 직무열의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요구-자원 모형에 기초하여 파악함으로써 설계엔지니어들의 인적자원관리에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총 161명의 설계엔지니어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기초로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경로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과부하, 고객요구와 경력개발 지원은 직무소진과 직무열의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둘째, 직무소진은 직무요구(업무과부하/고객요구)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 및 경력개발 지원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열의는 고객요구/경력개발 지원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oday's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 requires a high productivity in corporations, and accordingly the increased job demands for employees are causing high job burnout for them. In the case of Korean architectural design firms, its work intensity is very high and the labor market in this field is very flexible. As such,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re very high in these firm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on job burnout, job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a survey data from 161 architectural designers, we used Amos 18.0 to analyze the causal effects among these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job demands(work overload, client demands) and career development significantly affect both job burnout and work engagement. Second, job burnout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work overload, client demands) and turnover intention as well as between career develop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work engagement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demands/career development and turnover intention.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som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architectural design firms.

      • KCI등재

        직장과 가정에서의 요구가 직장인의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홍진승(Hong, Jinseung),이영선(Lee, You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이 지각하는 직장 및 가정에서의 요구가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기효능감이 지연행동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인천에 소재한 대기업에 종사하는 직장인 총 353명이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양적직무요구, 양적가정요구, 직장역할기대, 가정역할기대, 일반지연행동, 능동지연행동 그리고 자기효능감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변인 간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직무요구는 일반지연행동에 부적 영향을 가정역할기대는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양적가정요구와 직무역할기대는 일반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직무역할기대와 가정역할기대는 능동지연행동에 부적영향을 미쳤으며 양적직무요구와 양적가정요구는 능동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역할기대와 일반지연행동 간에는 자기효능감이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적직무요구, 양적가정요구, 가정역할기대와 일반지연행동 간에는 조절작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끝으로 양적직무요구, 양적가정요구, 직장역할기대, 가정역할기대와 능동지연행동 간에는 자기효능감이 조절작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장과 가정에서의 균형있는 삶을 위한 심리 지원 및 정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which perceived work and family demands of employees have on procrastination while it examined whether self-efficacy has a moderating effect. Three hundred fifty three employees working in large construction corporations in Seoul and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which work and family demands have on procrastin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Research outcomes showed that, first, work demand had a negative effect on general procrastination; family demand had no effect on general procrastination. Moreover, work role expectation had no effect on general procrastination, while family role expec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general procrastination. Second, work demand and family demand, respectively, had no effect on active procrastination. On the other hand, work role expectation and family role expec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active procrastination. Third, a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found between work role expectation and general procrastination. However, self-efficacy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procrastination and work demand, family demand, and role expectation, respectively. Lastly, self-efficacy did not have moderating effects between active procrastination and work demand, family demand, and work expectation,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직무요구, 조직몰입, 직무탐색행동: 직원협동조합의 조절적 역할

        박노근 한국인사조직학회 2017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

        직무요구가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근로자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조직행동과 인적자원관리 분야에서 직원협동조합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직무요구와 직무탐색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조직 몰입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본다. 또한, 직무요구와 조직몰입 사이의 관계에서 직원협동조합이 조절적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2016년 수도권에서 영리기업과 직원협동조합에서 실시된 설문지를 분석하여 설정된 가설들을 검증해 보았다. 다수준 조절된 매개모형(multi-level moderated mediation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조직몰입이 직무요구와 직무탐색행동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직원협동조합이 직무요구와 조직몰입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영리기업에서는 직무 요구와 조직몰입 사이의 부적 관계가 유의하였지만, 직원협동조합에서는 그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직무요구가 어떻게 직무탐색행동으로 이어지는지, 그리고 직무요구가 근로자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직원협동조합이 어떻게 완화시키는지에 대한 함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백화점 판매사원들의 판매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요구 요인들에 대한 연구 : 직무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호택,정연승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2

        최근 들어 국내 백화점 업계는 동종업태 간 경쟁을 비롯하여 다른 유통업태 사이의 경쟁까지 심화됨에 따라 영업점에 근무하는 직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 활동을 요구하고 있다. 백화점은 ‘고객만족 경영’을 강화하면서 미스테리 쇼퍼를 통해 판매사원들의 행동을 점검하고 점수를 매기고 있으나, 이와 같은 행동은 영업사원들에게 규격화된 감정을 표현하게 강요하고 있어 판매사원들의 감정부조화에 따른 직무스트레스가 발생하게 된다는 주장도 있다. 본 연구는 직무요구-직무자원 모델을 바탕으로 백화점 판매사원들의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요구 요인과 직무요구와 직무소진 사이에서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 직무자원 요인들을 규명하고 있다. 백화점 판매사원들을 대상으로 200개의 설문을 회수하였고 이 중 194개 판매원의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백화점 판매사원들의 직무요구 중 감정요구와 일과 삶의 갈등은 직무소진을 증가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판매사원의 직무소진 증가는 직무만족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판매사원의 직무요구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줄여주는 직무자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판매지원 활동은 감정요구와 직무소진 사이의 관계를 줄여주는 요소로 밝혀졌으며, 경력개발기회는 업무과부하와 직무소진 사이의 관계를 줄여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근무시간과 복리후생 등의 근로조건은 업무과부하와 직무소진 사이에서 조절적 효과를 보였으며, 마지막으로 휴가 및 휴직제도 등은 감정요구와 직무소진 사이의 관계를 줄여주는 조절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recent years, the domestic department store industry has been increasingly competing with other retailers as well as similar retail format companies. In this condition, most of department stores are strengthening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as checking and rating of salespeople 's behavior through mystery shoppers. To reinforce customer satisfaction is a tool of competitive strategy in saturated market, however, this activity forces salespeople to express standardized emotions, so it increases salespeople's job stress and burn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actors affecting sales people’s burnout in department store and the job resource factors that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job demand and burnout based on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hypotheses using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of 194 salespeople in 5 department stores, salespeople 's emotional demand and work & life conflicts were found to increase their burnout. Moreover, the increase of burnout reduces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job resource that reduces the influence of salesperson job demands on burnout. Sales support activities have been found to reduc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emand and burnout. In addition, working conditions such as working hours and welfare benefits have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work overload and burnout, and vacation and leave of absence schemes have a moderating effect that reduc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emand and burnout.

      • KCI등재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미치는 영향 분석: -잠재조절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윤익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4

        Purpose: Based on the Job Demands-Resources theor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eachers'perceived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could predict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utilized TALIS 2018 Korean teacher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Organizationfor Economic Cooperation (OECD). A total sample size was 6,138. The latent moderated structuralequation model was applied as the main analysis technique to verify the individual effects andmoderating effects of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Result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job demand predicts job stress positively and job satisfactionnegatively at a significant level. Second, job resource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predicted job stress. Third, job resource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job stress. Fourth, through this moderating effect, the mediating effect from job demands to jobsatisfaction was also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moderated by job resource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discussion of various policy implications as well as the theoreticalimplications in terms of job demands-resource theory.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 이론(Job Demands-Resources)을 바탕으로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어떠한 방식으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예측할 수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제협력기구(OECD)에서 수집한 TALIS 2018자료 중 대한민국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의 설문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총 대상 사례 수는 6,138명이었다.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의 개별 영향 및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잠재조절구조방정식(Latent moderated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주요 분석 기법으로 적용하였다 . 연구결과 분석 결과 첫째, 직무요구는 유의한 수준에서 직무스트레스를 정적으로, 직무만족도를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직무자원은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직무자원은 직무요구가 직무스트레스에 끼치는 영향을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러한 조절 효과를 통해 직무요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매개효과 또한 직무자원에 의해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으로 조절되었다. 결론 본 논문은 이상의 분석 결과에 대한 직무요구-자원 이론적 측면에서의 함의와 더불어 여러 정책적시사점에 대한 논의를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