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리스 코린트 만(灣)의 1995년 에기오(Aigio) 지진과 지진 전조현상- 가스 방출 메커니즘 -

        변정심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8 서양고대사연구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1995 Aigio earthquake and its precursors. To perform this study, in the first place the aspects of the earthquake occurrence as well as its damages and features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precursors, which happened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were analyzed. The cause of precursors was explained through gas emission mechanism.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used to predict earthquake phenomenon. On June 15, 1995, a magnitude 6.1 earthquake struck off the northern coast of the Corinthian Gulf in western Greece. The town of Aigio, 14 km south of the epicenter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Gulf, was hardest hit. In terms of deaths, this is the worst earthquake Greece since 1980. This earthquake caused 26 deaths in the town of Aigio and surrounding villages and an estimated $600 million in damages. The 1995 Aigio earthquake presented a wide range of macroscopic precursors similar to those reported prior to earthquakes in other parts of the world. Credible witnesses reported a loud sound of wind just before the shock, earthquake lights, gas emission from the sea, and the bizarre behavior of animals. And substantial uplift of the land may have occurred a few hours before the Aigion earthquake. Many precursory phenomena of this kind might be understood as symptoms of gas venting from the ground before an earthquake. According to this hypothesis, the ascending gas can inflate any vulnerable faults thereby reducing the static friction across such a fault and triggering an earthquake. Of course, outgassing is not the only trigger of earthquakes. And not all earthquakes will exhibit outgassing precursors. However there remains a substantial correlation between gas emission and earthquakes. This may provide a basis for practical earthquake prediction in certain regions, such as the active extension zone in the western Gulf of Corinth, where the conditions appear to be most favorable. 본 논문은 그리스 코린트 만(灣)의 1995년 에기오 지진과 지진 전조현상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가스 방출’ 메커니즘을 통하여 지진 전조현상의 원인을 설명하고, 지진 예측의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1995년 6월 15일 새벽 3시 15분 규모 6.1(ML)의 지진이 발생하여 에기오의 5층 아파트와 발리미티카의 4층 호텔 건물이 붕괴되어 26명이 사망하였고, 600만 달러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진원깊이 약 26 km의 천발지진이었고 진앙과 거리가 14km로 근접하였으며 지진이 주민들이 잠들어 있던 새벽 시간에 발생한 관계로 인명손실이 커졌다. 1995년 에기오 지진은 고대부터 현재까지 코린트 만(灣)에서 발생한 역사 지진을 이해하고 재구성하는데 중요한 연구 사례가 되었다. 1995년 에기오 지진은 인명・재산 피해가 큰 지진이었고, 지진을 예측하고 지진 피해 규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첫째, 지진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건물의 내진 설계 뿐 아니라 도시 건설 계획시 지반 조사와 구조물 설계에 반영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지진 발생 전 목격된 다양한 전조 현상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려는 노력이 이뤄지게 되었다. 셋째, 지진 전조현상과 지진 재난 발생과의 연관성을 밝히려는 계기가 되었는데, 바로 ‘가스 방출’ 메커니즘 모델을 통한 설명이다. 1995년 에기오 지진은 세계 여러 지역들에서 지진 발생 전 관측・보고된 광범위하고 다양한 전조현상과 유사한 사례들을 제공하였다. 지진 발생 전후로 지역 주민들이 바람 소리・동물 이상행동・ 지진광・해수 이상・해안 융기 등 전조현상을 목격하였다. 이것은 지구 내부에서 높은 압력으로 발생한 가스가 지표면으로 방출되는 현상의 피상적인 징후를 나타낼 수 있다. ‘가스 방출’ 메커니즘에 의하면 암석이 오랜 기간 응력을 받아 변형되고 마침내 그 변형을 지탱할 수 없는 한계에 이르면 가장 약한 부분이나 변형이 가장 큰 부분이 단층면을 따라 순간적으로 깨지면서 응력이 방출되고 이때 깨진 부분에서 지진이 발생한다. 깊숙한 곳에서 상승하는 가스는 연약한 단층을 팽창시킬 수 있고 단층을 통과하여 정지 마찰(靜止摩擦)을 유도하고 지진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가스 방출’이라는 지역적인 현상이 모두 지진을 야기하지는 않는다. 또한 모든 지진들에서 ‘가스 방출’과 같은 전조현상들이 나타나지도 않는다. 하지만 ‘가스 방출’과 지진 사이에는 실질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이 ‘가스 방출’ 메커니즘은 코린트 만(灣)의 서쪽 활성 단층의 신장 지대에서는 실제 지진 예측에 관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는 모델로 유용할 것이다.

      • KCI등재

        지진 전조인자로서 지하수내 라돈 및 화학성분의 상관성 연구

        정찬호 ( Chan Ho Jeong ),박준식 ( Jun Sik Park ),이용천 ( Yong Cheon Lee ),이유진 ( Yu Jin Lee ),양재하 ( Jae Ha Yang ),김영석 ( Young Suk Kim ),오송민 ( Song Min Ou ) 대한지질공학회 2018 지질공학 Vol.28 No.2

        한반도 지진에 대한 전조인자 연구를 위해 대전, 청원지역 지하수 관측정에서 심도별(-60 m, -100 m)로 화학성분과 라돈, 수위변화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였다. 관측정 특정심도 지하수의 pH와 전기전도도 값이 포항지진 발생에 따라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비교적 뚜렷한 상관성을 보였다. 주요화학 성분 중에는 대전관측정에서는 HCO<sub>3</sub><sup>-</sup>, Cl<sup>-</sup>의 농도가 지진과의 연관성 있는 변동을 보이며, 청원지역 관측정에서는 Mg<sup>2+</sup>, Cl<sup>-</sup>, NO<sub>3</sub><sup>-</sup>의 농도가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지하수의 주요 화학성분의 변화는 지진발생과의 상관성이 명확하지는 않다. 대전관측정 지하수내 라돈 함량은 지진 발생 전 최저 162 Bq/L에서 지진발생 직후 573 Bq/L로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지진과의 뚜렷한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지하수위의 경우에는 지진발생과의 상관성은 확인되지 않고 갈수기로 인한 지속적인 하강의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포항 진앙지 10 km 이내 국가 지하수 관측정에서는 지진발생 직전 뚜렷한 지하수위의 하강 현상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포항지진 진앙지와 약 180 km 이상 떨어진 지역이지만 대전 관측정에서 라돈가스는 지진과 가장 뚜렷한 상관성을 보여 지진전조인자로서의 신뢰성할 수 있는 후보로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H, 전기전도도, HCO<sub>3</sub><sup>-</sup>, Cl<sup>-</sup> 성분은 지진과 일정 부분 상관성을 보여주었지만 보다 더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지진전조로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n order to study the earthquake precursor in the Korean peninsula, long-term variations of chemical composition, radon-222, and water level were measured at depths (-60 m, -100 m) in the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of the Daejeon and the Cheongwon area. The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groundwater in the monitoring wells showed some relationship with the Pohang earthquake. The HCO<sub>3</sub> <sup>-</sup> and Cl<sup>-</sup> concentration of groundwater in the Daejeon and Mg<sup>2+</sup>, Cl<sup>-</sup> and NO<sub>3</sub> <sup>-</sup> in the Cheongwon showed some relation with the Pohang earthquake. However, it is not distinct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variation and earthquake. The radon-222 concentration in Daejeon was observ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a minimum of 162 Bq/L prior to the earthquake to 573 Bq/L right after the earthquake, that indicating a strong correlation with earthquakes. In the case of groundwater levels, it can not find some correlation between earthquakes and continuous decreasing trend in the monitoring wells of Daejeon and Cheongwon area. However, water level of a national groundwater observation well within 10 kilometers of Pohang epicenter was recorded as an abrupt drop right before the earthquake. Conclusively, although the location of monitoring wells is more than 180 kilometers apart from the epicenter of the Pohang earthquake, the radon gas in groundwater can be considered as a reliable candidate among earthquake precursors. The pH, electrical conductivity, HCO<sub>3</sub> <sup>-</sup> and Cl<sup>-</sup> among hydrochemicals showed some correlation with earthquake should be monitored during a longer term to recognize distinctly as a precursor of earthquake.

      • KCI등재

        지하수위 이상 변동에 나타난 2016 ML5.8 경주 지진의 전조 가능성

        이현아(Hyun A Lee),함세영(Se-Yeong Ham),우남칠(Nam C. Wo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8 자원환경지질 Vol.51 No.4

        Despite some skeptical views on the possibility of earthquake prediction,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precursory changes have been continued throughout the world. In Korea, the public concern on the earthquake prediction has been increased after 2016 ML5.8 and 2017 ML5.4 earthquakes occurred in Gyeongju and Pohang, the southeastern part in Korea,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abnormal increase of groundwater level was observed before the 2016 ML5.8 Gyeongju earthquake in a borehole located in 52 km away from the epicenter. The well was installed in the Yangsan fault zone, and equipped for the earthquake surveillance. The abnormal change in the well would seem to be a precursor, considering the hydrogeological condition and the observations from previous studies.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pecialized council to support and evaluate the earthquake prediction and related researches for the preparation of future earthquake hazards. 2016년 9월 12일 발생한 ML5.8 경주 지진과 2017년 11월 15일 ML5.4 포항 지진은 국내에 지진 예측가능성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지진 예측의 가능성에 대한 회의적인 의견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는 지진 발생 전 이상 변동을 보이는 인자들의 관측과 평가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산단층대의 지하수위 정밀 관측을 위해 시범 운용 중인 양산 지하수 정밀관측공에서 2015년부터 관측된 지하수의 비정상적인 상승 사례를 보고하였다. 이 이상 변동은 다양한 수리지질학적 인자들을 고려하였을 때 지진 전조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단일 관정의 단일 요소에서 나타난 자료만으로 지진 전조를 섣불리 판단할 수 없다. 장기적으로는 전조 현상 연 구와 평가를 위한 전문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지하수 내 라돈 변동성을 활용한 지진발생 전조현상 관측에 대한 기초연구

        이재경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2 Crisisonomy Vol.18 No.6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arthquake occurrence and radon anomal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arthquake precursor manifestation zone and groundwater observatory and the correlation with earthquake occurrence.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radon concentration and hydrometeorological factors (rainfall and groundwater level) was examined,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radon concentration, groundwater level, and rainfall was very low, so it was analyzed that rainfall and groundwater hardly impact on the variability of radon concentration.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arthquake occurrences and radon concentration variability was analyz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variability of radon concentration was very relevant to earthquake occurrences because radon concentration fluctuated according to earthquake occurrences. Last, earthquake precursor manifestation zone (RE), distance between epicenter and observation stations (RD ), and ratio (RE/RD ) were analyzed, and the RE/RD values showed relatively large (8 or more) in the radon anomaly section. Accordingly, radon is expected to be the precursor for earthquakes. 본 연구에서는 지진발생과 라돈 이상의 상관성을 분석하였고, 지진 전조징후 영역 및 지하수관측소와의 거리와 지진발생과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라돈 농도와 수문기상인자(강수와 지하수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라돈 농도, 지하수위, 강수 간 상관성이 매우 낮아 라돈 농도 변동성에 지하수위와 강수가 미치는 영향이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로 지진발생과 라돈 농도의변동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지진발생에 따라 라돈 농도의 변동성이 매우 크게 나타나 지진발생과 라돈 농도 변동과 상관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진 전조징후 영역(RE), 진원지와 지하수관측소 간의 거리(RD), 영역과 거리의 비율(RE/RD)과 지진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라돈 이상으로 분석된 구간에서 RE/RD값이 상대적으로 크게(8 이상) 나타났다. 결론적으로라돈을 지진발생 선행인자로도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국내 지진 감시·예측을 위한 지하수관측망의 활용 방안

        이현아,함세영,우남칠,Lee, Hyun A,Hamm, Se-Yeong,Woo, Nam C.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7 자원환경지질 Vol.50 No.5

        To prevent the damages from earthquakes,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around the world focusing on earthquake prediction and forecasting for several decades. Among various precursory phenomena, changes in groundwater level and quality are considered to be reliable for estimating the time of earthquake occurrence and its magnitude. In effects, some countries impacted by frequent earthquakes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the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for earthquake surveillance and prediction. In Korea, recently researches have begun for using groundwater monitoring techniques for earthquake prediction. In this paper, the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s of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facilities and results of researches to deduce the tasks for earthquake prediction researches using groundwater monitoring techniques in Korea. In results, research needs are suggested in the implementation of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s for specifically earthquake surveillance with the real-time monitoring and the measures to quantify the degrees of abnormal changes in the relationship of distance from the earthquake epicenter. 지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진 예측과 예보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시도되어 왔다. 지진예측지표 중, 지하수 수위 및 수질의 장기관측자료에서 지진 전에 나타나는 이상변동은 지질매체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와 매체 내 균열의 발달에 의한 것으로 지진의 발생 시기와 규모를 추측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국외에서는 지하수 관측시스템을 지진감시 관측망의 보조관측망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실제 지진 예측에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에서야 지하수를 활용한 지진예측연구가 시작되었으며, 그 가운데 발생한 2016년 9월의 경주지진 전후로 나타난 지하수의 변동은 많은 관심을 불러왔다. 이 연구는 지진감시 및 예측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하수관측시설을 운용하고 있는 중국, 일본, 미국의 관측시설 현황 및 연구 사례를 분석, 검토하고 최근 우리나라에서 수행되기 시작한 지진예측 연구의 연구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앞으로 고품질의 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지진감시 전용의 단층대 지하수관측시설 구축과 주요 관측인자의 실시간 감시, 이상변동의 폭과 관측되는 거리에 대한 정밀한 평가 및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지하수위 이상 변동에 나타난 2016 M<sub>L</sub>5.8 경주 지진의 전조 가능성

        이현아,함세영,우남칠,Lee, Hyun A,Hamm, Se-Yeong,Woo, Nam C.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8 자원환경지질 Vol.51 No.4

        2016년 9월 12일 발생한 $M_L5.8$ 경주 지진과 2017년 11월 15일 $M_L5.4$ 포항 지진은 국내에 지진 예측가능성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지진 예측의 가능성에 대한 회의적인 의견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는 지진 발생 전 이상 변동을 보이는 인자들의 관측과 평가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산단층대의 지하수위 정밀 관측을 위해 시범 운용 중인 양산 지하수 정밀관측공에서 2015년부터 관측된 지하수의 비정상적인 상승 사례를 보고하였다. 이 이상 변동은 다양한 수리지질학적 인자들을 고려하였을 때 지진 전조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일 관정의 단일 요소에서 나타난 자료만으로 지진 전조를 섣불리 판단할 수 없다. 장기적으로는 전조 현상 연구와 평가를 위한 전문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다. Despite some skeptical views on the possibility of earthquake prediction,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precursory changes have been continued throughout the world. In Korea, the public concern on the earthquake prediction has been increased after 2016 $M_L5.8$ and 2017 $M_L5.4$ earthquakes occurred in Gyeongju and Pohang, the southeastern part in Korea,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abnormal increase of groundwater level was observed before the 2016 $M_L5.8$ Gyeongju earthquake in a borehole located in 52 km away from the epicenter. The well was installed in the Yangsan fault zone, and equipped for the earthquake surveillance. The abnormal change in the well would seem to be a precursor, considering the hydrogeological condition and the observations from previous studies.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pecialized council to support and evaluate the earthquake prediction and related researches for the preparation of future earthquake hazards.

      • KCI등재

        국내 지진 감시ㆍ예측을 위한 지하수관측망의 활용 방안

        이현아,함세영,우남칠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7 자원환경지질 Vol. No.

        To prevent the damages from earthquakes,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around the world focusing on earthquake prediction and forecasting for several decades. Among various precursory phenomena, changes in groundwater level and quality are considered to be reliable for estimating the time of earthquake occurrence and its magnitude. In effects, some countries impacted by frequent earthquakes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the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for earthquake surveillance and prediction. In Korea, recently researches have begun for using groundwater monitoring techniques for earthquake prediction. In this paper, the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s of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facilities and results of researches to deduce the tasks for earthquake prediction researches using groundwater monitoring techniques in Korea. In results, research needs are suggested in the implementation of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s for specifically earthquake surveillance with the real-time monitoring and the measures to quantify the degrees of abnormal changes in the relationship of distance from the earthquake epicenter. 지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진 예측과 예보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시도되어 왔다. 지진예측지표 중, 지하수 수위 및 수질의 장기관측자료에서 지진 전에 나타나는 이상변동은 지질매체에 가해지는 압력의변화와 매체 내 균열의 발달에 의한 것으로 지진의 발생 시기와 규모를 추측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국외에서는 지하수 관측시스템을 지진감시 관측망의 보조관측망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실제 지진 예측에 활용되고있다. 우리나라는 최근에서야 지하수를 활용한 지진예측연구가 시작되었으며, 그 가운데 발생한 2016년 9월의 경주지진 전후로 나타난 지하수의 변동은 많은 관심을 불러왔다. 이 연구는 지진감시 및 예측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하수관측시설을 운용하고 있는 중국, 일본, 미국의 관측시설 현황 및 연구 사례를 분석, 검토하고 최근 우리나라에서 수행되기 시작한 지진예측 연구의 연구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앞으로 고품질의 자료를 생산할 수있는 지진감시 전용의 단층대 지하수관측시설 구축과 주요 관측인자의 실시간 감시, 이상변동의 폭과 관측되는 거리에 대한 정밀한 평가 및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안동지진 (2009년 5월 2일) 발생 기간 지자기장 자료의 변동성 분석

        오석훈 한국지구과학회 2009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0 No.6

        Geomagnetic variation around May 2, 2009 when Angdong earthquake broke out was analyzed using the data recorded at the Cheong-yang geomagnetic observatory, KMA. Firstly, we predict the geomagnetic variation by PCA analysis of geomagnetic data, and then compare the predicted value with the observed data to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iduals. Secondly, wavelet semblance technique is applied to compare the time series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Some meaningful change is detected in the Z-field. Thirdly, eigen value analysis for the 3 component geomagnetic data is performed. The location of the observatory was too far from the epicenter and the magnitude was too small to find decisive precursory phenomenon. Nevertheless we can detect som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arthquake and the variation of the geomagnetic field. Various signal processing methods applied in this study will give some opportunity to find precursory effects in the future 2009년 5월 2일 규모 4.0의 안동 지진이 발생한 시기에 기상청 청양 지자기 관측소에 기록된 자료를 이용하여 지자기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지자기 관측자료의 주성분을 이용하여 지자기 예측을 수행하고, 지진이 발생한 전후 로 예측한 지자기장과 실제 관측된 지자기장 사이에 유의미한 변화량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지진 발생일과 다른 날의 지자기장을 웨이블릿 셈블런스 기법을 통해 상호 비교하였다. 이 결과에서는 자기장의 수직성분에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3성분 자료에 대한 고유값 분석을 통해 지진 발생 시기 부근에 고유값의 변화가 발생 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청양 관측소의 위치가 지진 발생지점과 매우 많이 떨어져 있고 규모가 작아서 명확한 전조 현상 을 발견할 수는 없었으나, 지진과 상관성이 높은 지자기 변동성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다양한 지자기 신호 처리 기술은 향후 전조현상 탐지를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 GPS 데이터를 이용한 전리층 지진 전조현상 연구

        정광섭,채장수,유기훈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4

        이 연구의 최종 목적은 지진이 발생하기 전에 이를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다. 첫 번째 단계로서 지진 예측에 대한 전조 매개변수를 도출해 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지진 발생 전 전리층 전조 현상에 대한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 전리층 상태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직 총 전자수와 GPS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수직 총 전자수는 지진 발생 전에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상대적인 경사 전리층 지연은 지진 발생 전에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직 총 전자수와 상대적인 경사 전리층 지연이 전조 매개변수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e final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dict earthquake prior to the event occurred. As a first step, it is necessary to derive precursor parameter on earthquake prediction. To achieve this,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ionosphere precursor phenomenon prior to the earthquake. Vertical Total Electron Content (VTEC)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data were used to analyze ionosphere state variation. This research found that VTEC increased before earthquake and relative slant ionospheric delay showed sudden variation before earthquake. These findings have revealed potential that VTEC and relative slant ionospheric delay can be used as precursor parameters.

      • KCI등재

        지난 3년 동안(2009-2011) 한반도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의 지자기 변동성 분석

        오석훈,지윤수 한국지구과학회 2014 韓國地球科學會誌 Vol.35 No.6

        Recent three years of geomagnetic data were analyzed using a method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and Wavelet Based Semblance Analysis to investigate any geomagnetic variation caused by earthquakes. This methodpredicts the geomagnetic variation using the PCA analysis of geomagnetic data, then compares the predicted geomagneticfield with the observation of finding any significant residual. Although it is well known that geomagnetic variation isrelated with earthquake, most analyses have been limited to some specific cases reflecting the correlation. In this study,we analyze seventeen cases of earthquakes that occurred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rom 2009 to 2011 and thatshow the precursory and co-seismic relation between the earthquakes and geomagnetic variations. 최근 3년간 지진과 연관된 지자기 변동성을 파악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 및 웨이블릿 기반 셈블런스에 기반한분석 기술을 적용하였다. 이 기술은 지자기 관측 자료의 주성분을 이용하여 지자기 예측을 수행하고, 지진이 발생한 전후로 예측한 지자기장과 실제 관측된 지자기장 사이에 유의미한 변화량이 있는지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지자기자료가지진에 의한 변동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특정 지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관성을 증명한 것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한반도 및 주변에서 발생한 총 17차례의 지진에 대해 다양한 지자기 변동성을 분석하여 지진 전조 및 지진 동반 신호를 성공적으로 발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