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정학의 재발견과 비판적 재구성: 비판지정학

        지상현,콜린 플린트 한국공간환경학회 2009 공간과 사회 Vol.31 No.-

        This paper investigates critical geopolitics, one of the most prominent approaches in geopolitics since the 1980s. A group of political geographers, most prominently Gearóid Ó Tuathail, were influenced by postmodernism and reconstructed geopolitics with a critical perspective by problematizing the political neutrality of so called ‘classical geopolitics’. They defined geopolitics as a cultural phenomenon and investigated how diverse geopolitical agents strategically used geopolitical representations at multiple scales of space beyond a state-centric description of geopolitics. Critical geopolitical scholars have exposed the assumptions and political intentions of classical geopolitics and foreign policy by deconstructing discourses. Critical geopolitics is evaluated as a new research paradigm for geopolitics to overcome its tainted historical ties to imperialism. However, critical geopolitics has been challenged by feminist perspectives that argue it failed to overcome a patriarchal and western-centric world view and that critical geography scholars ignore the politics of everyday life and economic factors. Critical geopolitics has evolved by absorbing these critics. The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critical geopolitics may be a useful perspective to explore Korean geopolitics. 본 논문은 1980년대 이후의 지정학 연구에서 중요한 흐름을 차지하는 비판지 정학에 대한 검토를 주 내용으로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받은 Ó Tuathail 과 일단의 정치지리학자들은 고전지정학의 정치적 중립성과 연구방법에 대한 문 제 제기를 통해 지정학을 비판적 시각으로 재구성했다. 이들은 지정학을 문화적 현상으로 규정하고 국가 중심의 지정학 기술에서 벗어나 다양한 지정학 주체가 다층위의 공간 속에서 어떻게 지정학을 전략적으로 이용했는지 분석했다. 비판지 정학자들은 담론 분석을 통해 고전지정학 이론과 현대 외교정책을 비판적으로 연 구했으며 제국주의로 얼룩진 과거를 극복하고 지정학의 새로운 연구의 장을 열었 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페미니즘 학계로부터 가부장적·서구 중심적 세계 관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비판지리학 그룹으로부터는 지정학의 경제적 요인을 간 과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 KCI등재

        지정학의 신사고와 그레이트 게임

        김용신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2 글로벌교육연구 Vol.14 No.4

        Traditional geopolitics is a geopolitics of concentration based on nation states and military power. The competition for space has been a struggle in behalf of possession for good territory. Sovereign states have been a physical and legal violence historically. Geopolitics is an academic discipline of super powers only that have a dominant position in a global world. This means balance of power system among nations and it causes the murder of a human life and destruction of a human dignity in a real world. Globalization does need transformation of a traditional geopolitics because of its multi-level orders. This paper pursues to change from military power centered geopolitics with hard resources to human centered it with soft resources composed of economy, culture, thought, information, and intelligence technology. The era of new thinking on geopolitics is coming beyond geopolitics by violence and war. From perspective of upon geopolitics of intervention-diffusion and the more, the better space to human life can be formed via peaceful methods and devices. In this respect, the possibility of human centered global geopolitics is searched through reinterpretation process of great games as an ideal type. 전통적인 의미의 지정학은 국가 중심의 군사력을 토대로 하는 권력 지향적인 집중의 지정학이다. 가치 있는 지구상의 공간을 향한 경쟁은 좋은 영토 점유를위한 투쟁이었으며, 여기에 적합한 주체는 합법적으로 물리적 폭력을 동원할 수 있는 주권 국가이기에 당연한 귀결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지정학은 공간 확보에 유리한 권력적 위치에 있는 강대국들의 전유 학문으로 논의되어 온 것이다. 하지만 전통적인 지정학은 세력균형이라는 지정 전략을 구사하는 강대국 중심의논리를 현실세계에 구현하는 과정에서 비문명적이고 비인간적인 인명 살상과 인간의 기본적인 존엄성을 파괴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지정학의 전환은 글로벌화에 따른 질서의 다층 다양성 현상으로부터 비롯된다. 기존의 군사력 중심의 지정학이 경제력과 문화, 사상, 정보, 지능 기술과 같은 연성자원의 혁신에 의해 개입·확산의 지정학과 그 이상의 지정학으로 변이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군사력 중심의 경성권력적 지정학으로부터 인간 중심의 연성권력적지정학으로의 전이 과정에 주목한다. 고전적인 지정학의 방향성이 현실적으로는 물리적 군사력을 전제로 하더라도 이것을 넘어서는 새로운 지정학의 신사고를수용해야 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사람들에게 더 좋은 공간의 확보가 평화적 수단에 의해 가능해진 세계에서 사람들에게 더 나쁜 전쟁과 같은 폭력적 수단에의존하는 지정학은 전환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는 이념형으로써 그레이트 게임의 변화 과정을 재해석하는 국면에서 인간 중심의 글로벌 지정학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기로 한다.

      • KCI등재

        한국사회의 통일론과 신지정학적 인식

        이상근(Sangkeun Lee)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6 동서연구 Vol.28 No.3

        Unification theories inevitably reflect geopolitical thoughts. They take affinity with either traditional or new geopolitical thought depending on the type of unification the theory pursues. The new geopolitical thought criticizes state and territory-oriented geopolitics and analyzes the power that operates across multiple layers of space among various individuals and groups. Following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unification theories of the Korean government have been in line with the traditional geopolitical thoughts that stress recovery of territory, increase of national strength, competition, and confrontation. Meanwhile, as the government attempted to monopolize unification discussions, there was little opportunity for private unification theories to be discussed publicly. Since the 2000s, however, the civil society in South Korea has suggested new unification theories. Some were influenced by the traditional geopolitics though most of them reflect new geopolitical thoughts. Advocates of the new geopolitical unification theories do not regard North Korea as a geopolitical competitor, and argue that the unification should be centered on the people rather than the State, thereby benefiting the citizens. Moreover, they oppose excessive emphasis on nationalism and underline the idea of creating an economic and social community that respects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diversities instead of building a homogeneous nation state. 영토의 경계를 넘어선 통합을 다루는 통일론은 지정학적 인식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 통일론은 어떤 통일을 지향하는지에 따라 전통적 지정학과 신지정학 중 어느 한편과 친화성을 갖는다. 신지정학은 국가와 영토 중심의 지정학을 비판하며, 다양한 개인들과 집단들 사이에서 여러 층위의 공간을 넘나들면서 작동하고 있는 권력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다. 분단 이후 한국 정부의 통일론들은 영토 회복, 국력 신장, 경쟁, 대결 등을 중시하는 전통적 지정학과 궤를 같이 하였다. 한편, 통일논의를 정부가 독점하려 하였으므로 민간의 통일론들은 공식적으로 논의될 기회가 적었다. 2000년대 이후 남한의 시민사회에서는 새로운 통일론들이 제시되고 있다. 전통적 지정학의 영향을 받은 통일론도 있지만 대다수 통일론들이 신지정학적 사고를 반영하고 있다. 이 통일론 들은 북한을 지정학적 경쟁자로 인식하지 않으며, 국가가 아닌 시민이 중심이 되어 이들에게 이익이 되는 통일을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민족주의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을 반대하며 단일한 민족국가를 건설하는 것보다 집단과 개인의 다양성이 존중되는 경제적, 사회적 공동체를 구성하는 것을 중시한다.

      • KCI등재

        비판지정학과 지리학적 지정학의 비교 연구

        이대희 ( Daehee Lee ) 대한정치학회 2021 大韓政治學會報 Vol.29 No.1

        2차 세계대전 후에 나치의 학문으로 규정되어서 학술계에서 퇴출된 지정학을 1980년대에 부활시킨 주역은 영어권의 비판지정학과 프랑스의 지리학적 지정학이다. 두지 정학은 서로 학술적인 교류가 없었기 때문에 여러 면에서 당연하게 차이점을 보이고 있지만 또한 흥미롭게도 유사성도 발견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두 지정학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규명함으로써 두 지정학이 정치학에 주는 시사점을 밝히고자 한다. 우선 두 지정학은 소위 전통지정학을 비판하는데 그 바탕에는 후기구조주의와 탈근대론의 영향을 받은 지리와 공간에 대한 관계적이고 비본질적인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두 지정학에는 고유한 이론이 부재하고 오히려 각각 담론분석과 지리학적 논리라는 방법론으로 차별화된다. 비판지정학이 국제정치 영역의 지정학적 담론을 주요한 연구주제로 삼고 있는 반면에 지리학적 지정학은 국내외를 초월해서 지정학적 갈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비판지정학과 지리학적 지정학은 지리학과 국제정치학에 지정학 연구의 새로운 방법과 영역을 제시하고 정치학에 지리적 공간을 재성찰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Critical geopolitics in Anglosphere and French geographical geopolitics played a major role in the 1980s in the resurrection of the geopolitics dismissed out of the academic world from the second world war because it was accused as Nazi science. The absence of academic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geopolitics led to a differentiation in many features but they interestingly have several features in common. This paper aims to show some features of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m so as to find some implications to the politics. The two geopolitics criticize so-called classical geopolitics on the basis of relational and anti-essentialist perspective on the geographical space, affected by post-structualism and post-modernism. They are not theory-based disciplines but analysis approaches or methodologies. While critical geopolitics focuses on geopolitical discourses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geographical geopolitics focuses on multi-dimensional geopolitical conflicts. The two geopolitics provide geograph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new scope and analysis method to geopolitical study and ask the politics to reflect on the geographical space.

      • KCI등재

        “북중관계의 지정학” : 중국 지정학 전략의 ‘변화’와 대북 지정학 인식의 ‘지속’을 중심으로

        차정미(Cha, Jung-Mi)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9 동서연구 Vol.31 No.2

        21세기 중국의 부상은 중국 스스로 자국의 힘과 위상에 부합하는 새로운 지정학 전략을 모색하게 하고 있다. 중국은 2017년 19차 당대회 보고에서 “육해통합 견지와 해양 강국 건설(坚持陆海统筹,加快建设海洋强国)”을 제기하였다. 이는 과거 대륙국가에만 머물렀던 중국의 지정학적 인식을 탈피하고 해양국가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육해통합(陆海统筹)”은 대륙국가와 해양국가로서의 인식과 전략을 통합하는 중국의 새로운 지정학 담론이 되고 있다. 중국은 21세기 중엽 글로벌 강대국이 되겠다는 중국몽과 함께 이에 부합하는 자국의 지정학적 정체성을 만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의 지정학 전략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에 대한 지정학적 인식과 담론은 과거 ‘순망치한’이라는 방어적 담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018년 평창올림픽 이후 지속되고 있는 한반도 평화정세에도 불구하고 중국에게 한반는 여전히 강대국의 침략을 방어하는 ‘완충지대’라는 전통적 지정학 인식이 지배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한반도 정세변화 속에서 중국이 북한의 전략적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환기하고 대북 우호외교를 강화하고 있는 모습은 전통 지정학의 지속을 보여주고 있다. 청조말기 중국대륙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동방세력의 도전을 막아주는 완충지대로서 한반도를 인식하였던 중국은 이후 중국을 둘러싼 강대국경쟁에 있어서 한반도가 적대적 혹은 경쟁적 강대국의 대중국 침탈을 방어하는 완충지대라는 인식을 견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이 국력의 부상과 함께 ‘육해통합’이라는 새로운 지정학 정체성을 모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반도에 대한 지정학적 인식은 전통지정학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데 주목한다. 이에 본 논문은 청조말기부터 1980년대초 중소분쟁 시기까지의 한반도와 북한에 대한 중국의 지정학적 인식과 전략, 21세기 미중경쟁 시기 북한에 대한 지정학적 인식과 전략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국의 강대국화에 따른 지정학 전략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변화하지 않고 있는 중국의 대북 지정학 인식을 고찰한다. China s rise in the 21st century is prompting China itself to seek a new geopolitical strategy that conforms to its power and status. In its report to the 19th Party Congress in 2017, China raised the view of land and sea integr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a maritime powerhouse. The move is aimed at breaking away from China s geopolitical perception, which has stayed only in continental countries in the past, and strengthening its identity as a maritime state. This land and sea integration has become China s new geopolitics discourse that integrates perceptions and strategies as continental and maritime states. Along with China s dream of becoming a global power in the middle of the 21st century, China is creating a corresponding geopolitical identity for itself. However, despite these changes in China s geopolitical strategy, geopolitical perceptions and discourse on the Korean Peninsula have not escaped the defensive discourse of pure in the past. Despite the ongoing peac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2018 PyeongChang Olympics, the traditional geopolitical percep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precipient zone still defends the invasion of the powerful nation is working for China. Amid the changing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China is once again evoking the strategic importance of North Korea and strengthening friendly diplomacy with the North, which shows the continuation of traditional geopolitics. China, which recognized the Korean Peninsula as a buffer zone to fend off the challenges of Eastern powers seeking to advance to the Chinese continent at the end of the Qing Dynasty, has maintained the view that the Korean Peninsula is a buffer zone to defend the invasion of China by hostile or competitive powers in the competition over China. This paper notes that despite China s search for a new geopolitical identity of land and sea integration with the rise of its national power, its geopolitical perception of the Korean Peninsula still remains beyond traditional geopolitics.

      • KCI등재

        전간기(1918-1938) 동유럽의 지정학적 가치와 위기: ‘완충지대(Buffer Zone)’ 역할과 그 상실

        김철민 한국유럽학회 2023 유럽연구 Vol.41 No.4

        2014년 3월 러시아의 크름반도 합병과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은 동유럽의 지정학적 가치와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각인해준 계기가 되었다. ‘유럽의 관문’으로 지칭되는 동유럽의 지정학적 가치와 중요성은 21세기 신냉전의 첨예한 갈등 속에서 그 의미를 더해가는 중이며, 국제관계사적으로 보더라도 한반도의 지정학적 운명과 그 유사성을 같이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연구 가치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국이 된 동유럽 국가들은 양차 대전 사이인 전간기(1918-1938) 동안 ‘서유럽-독일-러시아 간 완충지대’로서의 지정학적 가치와 그 역할을 부여받았다. 하지만, 전간기 대두된 대내외적인 위기 요소들로 인해 동유럽 국가들은 그 지정학적 가치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 채, 오히려 강대국에 의한 ‘지정학의 덫’에 갇혀 위기를 초래해야만 했으며, 그 결과 동유럽에서 또 한 번 세계대전이 발발하는 중요 원인이 제공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간기 보인 ‘완충지대’로서의 동유럽의 지정학적 가치와 그 역할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매킨더의 지정학 이론을 중심으로 동유럽 지정학과 그 가치를 논의해보고, 전간기 동안 완충지대 활용이란 측면에서 동유럽의 지정학적 가치를 분석해보았다. 제3장에서는 전간기 동유럽의 지정학적 위기를 초래한 대내외적인 세 가지 핵심 요소를 제시하고 당시 상황과 근거를 설명해 나가고자 한다: 첫째, ‘내적 취약성’과 이에 따른 통일된 국가 전략 수립 어려움, 둘째, 1929년 경제대공황 이후 독일의 영향력 확대 및 이에 따른 ‘편승 전략 선택과 그 위기’, 셋째, 1938년 뮌헨협정 체결이 가져다준 ‘완충지대로서의 동유럽 역할 상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지정학적 접근에 따른 동유럽의 가치를 재조명해보고, 지정학적으로 동유럽과 그 운명이 매우 유사한 한반도의 미래 생존전략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고자 한다. In this study, I aim to analyze the geopolitical value, role and crisis of Eastern Europe as a ‘buffer zone’ during the interwar period(1918-1938). In the Chapter II, I discuss about the geopolitics of Eastern Europe, focusing on Mackinder’s geopolitical theory, and analyze the geopolitical value of Eastern Europe in terms of utilizing the ‘Buffer Zone’ during the interwar period. In the Chapter III, I present three keys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 that caused the geopolitical crisis in Eastern Europe during the interwar period, and explain the situation of Eastern Europe at that time: First, ‘internal vulnerability’ and the resulting difficulty of establishment of a unified national strategy; Second, after the ‘Great Depression of 1929’, Germany’s economic dependency expansion in the Eastern Europe and the ‘Bandwagon strategy choice’ towards Germany; Third, with the aftermath of the Great Depression, ‘loss its role as a buffer zone’ after the signing of the Munich Agreement in 1938. Lastly, in Chapter 4, I would like to reexamine the value of Eastern Europe according to a geopolitical approach and conclude by suggesting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urvival strategy of the Korean Peninsula, whose fate is very similar to that of Eastern Europe geopolitically.

      • KCI우수등재

        1970년대 이란의 핵 개발 동인: 비판 지정학을 중심으로

        박장호(Jangho Park),김은비(Eunbee Kim) 한국국제정치학회 2020 國際政治論叢 Vol.60 No.4

        이란이 왜 핵을 개발하였는가에 대한 연구는 주변국의 안보 위협에 의한 것, 혹은 국내 정치적 다이나믹에 의한 것이라는 설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1970년대 이란의 국내외적 상황은 그러한 설명에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비판적 지정학’의 관점에서 1970년대 이란의 핵 개발 원인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기존 강대국 중심의 전통적 지정학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지정학적 상상력을 중시하는 ‘비판적 지정학’은, 각 국가는 ‘지정학 코드(Geopolitical Code)’와 ‘지정학 비전(Geopolitical Vision)’을 통해 국가의 지정학적 이익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그 핵심으로 한다. 이란은 국제적 수준에서는 미국과의 협력을 이룬 한편, 지역적, 국지적 수준에서는 지역 패권을 노리는 국가들을 잠재적 적으로 돌리며 이익을 최대화 하려는 지정학 코드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으로 정당화되면서 핵 개발을 위한 동인이 되었던 것이다. 한편, 이란 국민들은 외세로부터의 자주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지정학 비전을 갖고 있었으며 이는 외세 트라우마의 극복과 석유자원의 공정한 분배, 수자원에 대한 생존권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강화되었다. 국제적 수준에서의 지정학 코드는 이란 국민이 가졌던 지정학 비전과 충돌을 일으켜 1979년 이슬람 혁명으로 이어지면서 핵 개발에 대한 동력을 감소시켰으나 국지적, 지역적 수준에서의 이란의 지정학 코드와 비전은 이란이 자주적으로 자원안보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핵을 개발해야 한다는 정당성을 제공해주었다. 핵 개발 동인 연구는 지정학적 경쟁의 중심에서 북한 핵 위협을 안고 사는 우리에게 주는 의의가 크다. 이란의 핵 개발에 대한 비판 지정학적 접근은 핵 개발의 본질적인 동인을 입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비핵화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해줄 수 있다는데 가치가 있다. The literature on why Iran developed nuclear weapons mainly has focused on security threats from neighboring countries or domestic political dynamics. But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 in Iran in the 1970s shows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such an explanation. In respons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auses of Iran’s nuclear development in the 1970s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Geopolitics.” Critically looking at traditional geopolitics centered on existing superpowers and placing importance on geopolitical imagination, “Critical Geopolitics” is considered as a tool for each country’s creation of geopolitical interests through “Geopolitical Code” and “Geopolitical Vision.” Iran had a Geopolitical Code to maximize profits by turning countries seeking regional hegemony into potential enemies at the regional and local levels, while achieving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at the international level. This was justified by the “peaceful use of nuclear power” and became the driving force for nuclear development. Meanwhile, the Iranian people had a Geopolitical Vision to secure independence from foreign powers, which was strengthened in terms of overcoming foreign forces trauma, fair distribution of oil resources, and ensuring the right to survive in water resources. Geopolitical Codes at the international level clashed with the Geopolitics Vision the Iranian people had, leading to the 1979 Islamic Revolution, but Iran’s Geopolitical Code and Vision at the local and regional levels gave Iran justification for developing nuclear weapons in order to establish resource security independently. The research on nuclear development is very meaningful to us since we have never been out of geopolitical competition and are living under the threat of North Korea’s nuclear threat. Therefore, this relatively new approach to the causes of nuclear development provides a clue for denuclearization by analyzing the essential drivers of nuclear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포스트식민 한국에서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의 전유 - 초기 현대 지리학에서 ‘한국의 위치’의 사례 -

        이진수,지상현 대한지리학회 2022 대한지리학회지 Vol.57 No.5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ormation of the Korean geopolitical narrative through the text of the early Korean geographers who seek to explain the ‘location of Korea’. The ‘location of Korea’ is a sort of geographical knowledge that has been naturalized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However, the literature on ‘geographical knowledge’ points out that it is transmitted, applied, and transformed by specific elites at specific places. In this sense, the formation of geographical knowledge about the ‘location of Korea’ is a vignette of modern Korean geography that can be understood under the influence of naturalized geopolitics. Introduced from the modern West through Imperial Japan to colonial Joseon, the naturalized geopolitics affected the reconstruction of the geopolitical narrative of a newly independent Korea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transmitting from colonial geopolitics to Cold War geopolitics. But the texts produced by the early Korean geographers indicate that they appropriate the naturalized geopolitics in the context of post-colonial Korea. In sum, they described the Korean Peninsula as a very location bringing about the invasions of the historically great powers around it, but also emphasized the capacity of Korea (or the Korean) to well-utilize its geopolitical location while evading the overdetermination of the environment. Such an intellectual practice was to Koreanize the naturalized geopolitics. Ironically, it implies the westernizing of Korean geopolitics, which means that the newly independent Korea with the colonial experience paradoxically pursues the ‘geopolitics of a weak state’ longing for being a great power. 본 연구는 현대 지리학의 여명기, 지정학 서사의 형성 과정을 ‘한국의 위치’를 설명하려는 초기 지리학자들의 텍스트를 통해 분석한다. ‘한국의 위치’에 대한 이해는 한국 사회에서 당연하게 여겨지는 지리적 지식에 속한다. 그러나 지리적 지식에 관한 기존 논의는 그것이 특정 장소에서 특정 엘리트에 의해 이동, 적용, 변형됨을 강조한다. 이런 의미에서, 한국의 위치에 대한 지리적 지식의 형성 과정은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의 영향 속에서 이해될 수 있는 초기 현대 지리학의 한 장면이다.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은 근대 유럽에서 형성 및 발전되고 일제강점기 동안 식민지 조선에 도입되어 식민 지정학에서 냉전 지정학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독립한 한국의 지정학 서사를 재구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그러나 초기 지리학자들의 텍스트는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을 전적으로 적용하지 않고 식민 상태에서 갓 벗어난 한국의 시대적 맥락에 따라 전유하였음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는 초기지리학자들이 그들 텍스트에서 한반도는 역사적으로 주변 강대국의 침략을 야기시켜왔던 지리적 위치라고 설명하면서도, 환경의 과잉결정성을 회피하면서 그 위치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한국(혹은 한국인)의 역량을 강조하였음을 드러낸다. 이러한 지적 실천은 잠정적으로 식민적 지식이었던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을 포스트식민 한국의 맥락에 맞게 ‘한국화’하는 과정이었다. 그러나 동시에 이 과정은 포스트식민 한국 지정학의 ‘서양화’를 암시하는데, 식민 지배로부터 독립을 쟁취한 한국이 역설적으로 강대국이 되기를 갈망하는 ‘약소국의 지정학’을 지향해왔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지정학적 SF’ 연구를 위한 시론

        임태훈 반교어문학회 2023 泮橋語文硏究 Vol.- No.63

        Geopolitics has been a significant driving force in shaping global SF literary history since the 19th century, surpassing the influ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its impact has been largely overlooked in Korean SF studi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literary history, SF is often discovered and evaluated based on its relevance to science and technology, while the importance of SF in relation to the imagination spurred by the geopolitical conditions and crises of the Korean peninsula, surrounded by major powers, has not been fully acknowledged or investigated.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origins of various imaginative and historical movements incorporated into science fiction and the reasons behind the repeated stifling and overlooking of science fiction creation in South Korea. To achieve this, we propose a problem-setting framework called ‘Geopolitical SF’. This framework envisions potential war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curity crises, and radical social changes in the future, based on the hegemonic plans and territorial constraints of major powers. The threshold of imagination that constrains both creators and readers also arises from geopolitical crises. In the theoretical stage, we will first address three questions. Why should it be called ‘SF’ instead of ‘Science Fiction’? What specific evidence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geopolitics’ in the early formation of SF? How does geopolitics both enable and suppress ‘extrapolation’ as a creative technique in SF? Subsequently, this paper will summarize the issues of ‘geopolitics’ present throughout Korean SF created and publish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while rediscovering the genealogy of 'Choi In-hoon's wr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geopolitical SF. Through Choi In-hoon's 「The Governor's Voice」(1967-1976), Lee Moon-yeol's 「The General and the Doctor」(1989), and Ko Jong-seok's 「They Don't Say That in My Hometown!」(2008), we will explore the connections of ‘geopolitical SF’ in South Korean literary history. Engrossed in speculative writing experiments influenced by the gravitational pull of geopolitical fatalism, the Cold War, and colonialism on the Korean peninsula, Choi In-hoon's writing serves as a progress report on the impossible imagination and thought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emergence of colonial modern literature to the 1960s. Choi's writing deserves credit for the intermittent publication of science fiction in South Korean literary history, as it actively embraces geopolitical risks and underdevelopment complexes while confronting history and reality. ‘지정학’은 19세기 이후 세계 SF 문학사의 형성 과정에서 과학기술 이상으로 중요한 발생 동인이었으나 한국 SF 연구사에선 외면받아온 주제였다. 한국 근현대 문학사에서 SF는 과학기술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발굴되고 평가받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열강에 둘러싸인 한반도의 지정학적 조건과 위기로부터 추동된 상상력과 SF의 상관성은 그 존재감이 충분히 인식되지 못했고, 연구 역시 미진한 단계다. 이것은 SF에 혼융된 여러 상상력과 역사적 정동의 원류를 묻는 작업인 동시에, 남한에서 SF를 창작하는 일이 반복적으로 위축되고 우회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밝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 설정의 틀을 본 연구에선 ‘지정학적 SF’로 정의한다. ‘지정학적 SF’는 열강들의 패권 구도와 영토의 제약에 근거하여, 다가올 미래에 벌어질 수 있는 전쟁, 국내외 안보 위기, 그로 인한 급격한 사회 변동을 상상한다. 창작자와 독자 모두를 억압하는 상상력의 임계점도 지정학적 위기에서 비롯된다. 시론적 단계에선 세 질문에 우선 답한다. ① 어째서 ‘Science Fiction’이 아니라 ‘SF’라고 써야만 하는가? ② SF 초기 형성 단계에서 ‘지정학’의 중요성을 증명할 구체적 사실은 무엇인가? ③ 지정학은 SF의 창작 기법인 ‘외삽법’을 어떻게 활성화하는 동시에 억압하는가? 이어서 식민지기에 창작 발표된 한국 SF 소설을 관통하는 ‘지정학’의 문제를 정리하는 동시에, ‘최인훈적 글쓰기’의 계보를 지정학적 SF의 관점에서 재발견한다. 한반도의 지정학적 운명론, 냉전과 식민주의를 중력처럼 의식하며 사변적 글쓰기 실험에 몰두했던 ‘최인훈적 글쓰기’는, 식민지기 근대 문학 형성기부터 1960년대에 이르는 동안에 한반도에서 불/가능한 상상력과 사유에 관한 중간 결산 보고에 해당한다. 지정학적 리스크와 저개발 콤플렉스를 적극적으로 끌어안고 역사와 현실을 직시하는 SF가 남한 문학사에서 단속적(斷續的)으로나마 발표될 수 있었던 것 역시 ‘최인훈적 글쓰기’의 공이었다. 최인훈의 「총독의 소리」(1967~1976), 이문열의 「장군과 박사」(1989), 고종석의 「우리 고장에선 그렇게 말하지 않아!」(2008)를 통해 남한 문학사에서 ‘지정학적 SF’의 연결선을 발굴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지정학적 위험과 원가의 하방경직성

        김채현(Kim, Chaehyun),김선미(Kim, Seonmi),이은서(Lee, Eunsuh) 한국회계정보학회 2021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21 No.1

        [연구목적] 지정학적 위험(geopolitical risks)은 미래성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이고 기업운영과 그 효율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정학적 위험이 기업의 원가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것은 기업운영 효율성 제고 측면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는 금융업과 공공재 산업을 제외한 1985년-2019년 미국상장기업-연도 표본을 대상으로 지정학적 위험지수와 원가비대칭성의 관련성을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지정학적 위험은 기업의 원가 하방경직성을 완화함을 발견하였다. 즉, 지정학적 위험이 클 때는 전년 대비 매출액이 감소하는 경우 매출액이 상승하는 경우보다 원가의 변동 폭이 크다는 연구결과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매출액과 관련성이 높은 매출원가와 운영원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또한, 추가로 고려하지 못한 기업특성을 기업 더미로 통제한 분석결과에서도 기존결과가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정학적 위험을 지정학적 위협과 지정학적 행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도 지정학적 위험 구분과 상관없이 원가 하방경직성을 완화함을 발견하였다. 이는 경영자들이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증가할 때 유휴자원 유지비용을 유지하려는 유인보다 원가를 감소하려는 유인을 더 강하게 가지기 때문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기업 외부요인으로 지정학적 위험이 원가관리 측면에서 경영자의 비대칭적 원가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발견하여 기존 연구에 추가적인 의미가 있다. 또한, 투자자들의 기업평가 요인으로 지정학적 위험이 기업의 자원활용 측면에서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다. [Purpose] Geopolitical risks are known to influence managerial decisions by raising uncertainty on future firm performance. Thus, investigating the effect of geopolitical risks on the cost behavior of firms can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Methodology] Using a sample of 123,177 U.S firm-year observations during the period from 1985 to 2019, we examines the effect of geopolitical risks on cost stickiness. Specifically, we conduct regression analyses with change in sales and general administrative costs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geopolitical risk as the key variable. [Findings] We find that geopolitical risks mitigate cost stickiness. Results are robust when we control for firm fixed effects and use different types of costs, such as total operation costs and cost of goods sold to measure cost stickiness. We also decompose geopolitical risks into geopolitical threats and geopolitical acts and find that both types of risks affects firms’ cost stickiness behavior in similar way. [Implications] Overall, our findings suggest that geopolitical risks are one of important determinant of firms’ cost behavior. In addition, our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 to investors that they should aware of geopolitical risks when they truly understand cost behavior of fi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