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장애와 심리적 외상 - 지적장애인의 ‘특징적’ 행동에 대한 새로운 시선

        채기화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6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1

        It is found that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more inclined to have mental issues than people without handicap. In addition to the circumstances that they are usually treated differently and left out, they live in an environment where they face ordeals such as violence and that might cause them trauma. The mental health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owever, has rarely been considered among the special education or rehabilitation field. Their behavioral and emotional changes are considered to be the typical symptoms of their disabilities, not the results their stressful situations. Such limited recognition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may threaten their mental health again.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aumatic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typical’ behaviors. The study further discusses what kind of attitude is needed for the caretakers who are looking after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study, there are many dangerous factors that can cause trauma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ir surroundings. So-called ‘typical’ behavior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ch as aggressive behavior, self-injury, depression, and helplessness are very similar to the neurophysiological reactions of trauma. Therefore, the caretakers who are looking after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st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ir life to engage with their emotions and behaviors. The caretakers are also needed to be more sensible to traumas so they can empathize with the expression of internal agon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hange the causes of their traumas. That way the caretakers can alleviate their mental sufferings. 지적장애인들은 비장애인들보다 정신적인 문제를 갖게 될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지적장애인들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차별과 배제 외에도 폭력을 비롯한 여러 위험이 잠재되어 있는 환경에서 살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정신건강은 이제까지 장애 관련 분야에서조차 별다른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지적장애인이 보이는 행동과 정서의 변화는 스트레스 상황의 결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단지 지적장애의 ‘증상’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다. 지적장애에 대한 이러한 제한된 인식은 다시금 지적장애인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지적장애인의 외상적 삶의 상황과 그들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적’ 행동의 연관성을 조명해보고, 이에 의거해서 지적장애인들을 돌보는 사람들에게 요구되는 태도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장애인의 생활환경에는 외상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요인들이 편재되어 있다. 또한 외상경험에 따른 신경생리적 반응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지적장애인의 ‘특징적’ 행동과 정서라고 이해하는 타인에 대한 공격행동, 자해행동, 우울, 무기력 등과 매우 유사하다. 이런 결과를 놓고 볼 때 지적장애인들을 돌보는 사람들이 지적장애인들의 정서와 행동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들의 삶의 맥락을 이해해야 한다. 아울러 외상에 대한 감수성을 높여 지적장애인들의 내적 고통의 표현에 공감하고 외상요인을 변화시킬 수 있어야 이들의 정신적 고통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지적장애인의 결혼생활 실태와 평생교육적 지원방안 탐색

        조창빈(Cho Chang-Been)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8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결혼생활 실태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안정적인 결혼생활 유지를 위한 평생교육적 지원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유형을 구분하여 결혼생활 실태를 조사한 2008, 2011,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의 결과 중 지적장애인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여 지적장애인 결혼생활 실태 변화 추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기혼 지적장애인 1명, 지적장애인 부모 1명, 장애인 성교육 전문가 1명, 특수교사 1명, 사회복지사 1명 등을 포함한 5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결혼생활 변화 추이의 세부적 내용을 파악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10여 년간 지적장애인의 미혼 비율은 70%이상이었고, 장애가 있는 배우자와 결혼하는 비율은 감소, 같은 지적장애인과 결혼하는 비율은 늘어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은 재정적 지원 부족, 보호자의 장애자녀 결혼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을 원인으로 주장하였다. 둘째, 최근 10여 년간 지적장애인의 유자녀 비율은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낮게 유지되고 있었고, 장애자녀의 비율과 지적장애자녀의 비율이 점차 늘어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은 지적장애인의 임신과 양육에 대한 교육 부족을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 셋째, 최근 10여 년간 본인의 장애로 인한 자녀의 성장발달 지장여부에 대해 지장을 매우 많이 받았다고 느끼는 경우가 가장 많고 점차 늘어나고 있었다. 또한 자녀 양육 시 주로 자녀와의 의사소통과 교육비에 어려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은 지적장애인의 자녀양육 기술에 대한 교육 부족, 장애부모에 대한 비장애자녀의 부정적 태도를 주된 원인으로 지목했다. 넷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한 평생교육적 지원방안은 지적장애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발, 지적장애인의 결혼생활 기술, 자녀 양육기술 등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 개발 등이 탐색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적장애인의 안정적인 결혼생활을 위한 평생 교육적 지원방안에 대해 몇 가지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trends of the change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rried lives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explore the plans for the life-long education support for the maintenance of the stable, married lives. For this, among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handicapped in 2008, 2011, and 2014, which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rried lives by classifying the types of the handicaps, the details related to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organized and the trends of the change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rried lives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understood. Also, the details of the trends of the changes of the married lives were understood by carrying out the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5 research participants, including 1 married intellectual disabilities, 1 parent of an intellectual disabilities, 1 expert on the sex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1 special teacher, and 1 social worker. And the main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ly, the ratio of the unmarried among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over 10 years of the recent was over 70%. And the ratio of marrying a spouse with a handicap had been decreasing and the ratio of marrying an intellectual disabilities had been increasing. Regarding this, the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argued that the causes were the insufficiency of the financial support, the negative awareness of the marriage of a handicapped child of a guardian, etc. Secondly, the ratio of having the children among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over 10 years of the recent had been maintained low compared to the other kinds of handicaps. And the ratio of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the ratio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children had been increasing gradually. Regarding this, the research participants pointed out the insufficiency of the education on the pregnancy and the rearing for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the main causes. Thirdly, the cases in which one felt that very much hindrance was received with regard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 child due to one s own handicap in the over 10 of the recent was the most and had been increasing gradually. And it appeared that, when rearing a child, there were the difficulties mainly with the communication with, and the education expenses for, the child. Fourth, as the methods of supporting the life-long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ior studies, the development of program targeting the parents having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on the topics such as technique for the marriage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and the technique for growing child have been studied. In addi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ies, several discussions and suggestions have been proposed.

      •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1차 산업분야 일자리 창출방안 : 농업분야 고용사례 및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현정훈,진홍섭,홍자영,안수향,최종철,이효성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7 연구개발 Vol.- No.23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전체장애인의 평균 취업률은 76.94%인 반면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평균 취업률은 27.32%로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다.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고용있어서 문제점은 단순히 실업률이 높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흥미나 적성과 무관한 단순제조업 분야로 고용이 편중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 근로자의 70%이상이 단순제조업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국내 제조업체들은 1990중반 이후 구조조정을 통해 중국 등 동아시아로 생산기지를 이전 하거나 자동화기계를 도입함에 따라 제조업의 고용비중과 고용창출력이 해마다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다. 또한 제조업분야 비정규직 근로자의 수가 증가하고 근로조건이 악화되는 등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고용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제조업분야 고용편중 현상을 전환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즉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고용이 2차 제조업 중심으로 치우치지 않고 1차와 3차 산업관련 직종에까지 종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1차 산업분야는 그 특성상 물주기, 비료주기, 가지치기, 작물의 수거 등 누구나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는 단순한 직무가 많기 때문에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에게 적합한 직업분야가 될 수 있다. 더욱이 최신농법의 출현과 농촌인구 노령화에 따른 노동인력 부족현상은 장애인 고용창출이 가능하도록 기반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농업분야 고용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고용실태는 어떠하며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그리고 그 대안으로서 농업분야가 갖는 장점과 전망 및 농업분야 일자리 확대를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논의하는데 있다. II. 연구문제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위한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에게 농업분야 일자리는 적합한가? 둘째,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농업분야 일자리 창출 제약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농업분야 일자리 확대를 위한 지원방안은 무엇인가? III. 연구방법 본 연구는 참여자들의 풍부하고 주관적인 경험을 이끌어내기 위한 질적연구 방법으로 시범사업과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시범사업은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농업분야 일자리 적합성을 살펴보고자 장애인 7명을 모집·선발하여 토마토와 팬지를 직접재배 하고 그 성과를 살펴보는 일련의 직업재활과정을 직접 수행하였다. 농업분야 일자리 적합성은 선행연구 분석에 근거하여 '농업분야 직무와 장애특성간의 일치성'과 '농업분야 직무가 장애인의 직업적 능력향상 미치는 효과성'으로 살펴보았다. 사례조사는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농업분야 고용실태 및 일자리 창출 제약요인을 밝히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내부전산망 자료,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자료, 연계고용대상 사업체자료 등 장애인 고용과 관련된 대부분의 사업체자료를 수집·분석하여 농업분야 14개 사업체를 선정하였다. 14개 사업체중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 장애인이 근로하고 있는 농업분야 사업체이면서, 최저임금이상을 지급하고 있는 사업체 6곳을 재선정하고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IV.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농업분야 일자리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범사업 수행결과 토마토와 팬지재배에 필요한 직무는 초등수준의 학력을 요구하였으며, 3개~4개 단위의 단순한 직무로 이루어져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장애특성에 적합하였다. 참여장애인의 직업태도(WPP), 심리측정(EPS), 운동성측정(MAND) 결과 직업태도가 향상되고, 심리적 안정을 보였으며, 운동성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시범사업 성과를 통해 볼때, 농업분야는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에게 적합한 일자리로 나타났다. 둘째, 농업분야 일자리 창출 제약요인을 도출하였다. 농업분야 일자리 창출 제약요인을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제도적 기반 미비로 인해 자영농 또는 가족농 형태로 근로하고 있는 대부분의 장애인은 어떠한 제도적 지원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업분야 일반사업체는「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을 통한 다양한 지원제도를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법인 산하 사업체는 법인체라는 이유만으로 농업용 전기사용, 면세유사용, 기타 비료구입 시 일반적으로 주어지는 세재혜택조차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농업분야는 직무가 단순하지만 작업수행을 위한 활동 반경이 넓고, 생물을 다루며, 계절과 기후에 따라 직무가 변화한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재배과정에 대한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을 위해 오랜 기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농업분야 근로장애인에게 적합한 교육매뉴얼이나 능력향상을 위한 직업훈련서비스를 받을 수 없었다. 다섯째, 농업분야 근로장애인의 생산성 향상이나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위해 다양한 보조공학기기들이 필요하였지만 보조공학기기의 활용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대다수의 사업체들은 고소득 재배작물 선정의 어려움, 경쟁력 강화를 지원할 시스템 미비, 판매 및 마케팅을 지원할 지원시스템의 미비로 이윤창출 및 장애인 일자리 창출에 한계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업분야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농업분야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분야 사업체의 정의를 새롭게 해야 한다. 또한 농업분야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근로환경이나 근로조건 등에 대한 기준마련이 필요하고 관련법상 취업확정에 대한 개념 재정립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제도적지원을 통해 '가족농 형태로 고용되어 있는 장애인', '자영농 형태로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장애인', '지역작목반 등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 등에 대한 다양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현실적인 제도 보안이 필요하다. 현행법상 직무지도원 활용, 무상임대, 무상지원 제도들은 농업분야 장애인 고용사업체가 활용하기에 농업분야 현실에 맞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농업분야 사업체들은 국유지 등 토지임대 지원, 농업기술지원, 친환경인증지원, 경영합리화지원, 판로지원 등에 대한 제도적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직무지도원의 경우 현행법상 자격기준 및 활용방법 등이 농업분야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무상임대, 무상지원 등 다양한 지원제도가 국유지임대, 친환경인증비용지원 등 농업분야 사업체가 실제로 필요로 하는 지원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장애인 근로자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장애인근로자에게 요구되는 과제증가분, 작업 및 환경요건, 수행방법과 기술 등에 대한 체계적인 직무분석을 실시하고 참여장애인에 대한 직업평가를 실시하여 어떤 장애인에게 어떤 품목에 종사하게 하고, 어떤 역할을 어떤 식으로 할당할 때 가장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관리 및 훈련매뉴얼이 개발과 직업훈련 등이 필요하다. 또한 보조공학기기는 장애인의 노동생산성향상과 고용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농업분야 장애인 보조공학기기개발과 실용화 사례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분야 보조공학기기 개발·보급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넷째, 사업주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농업분야 장애인 고용사업주 지원방안은 크게 농업분야 사업체 경영컨설팅 실시, 생산품 특화를 통한 기업농 육성 지원, 경영활성화를 위한 지원제도 마련, 공동판매, 공동마케팅 등을 통한 판매지원, 연계고용 등을 활용·육성하는 지원책,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 마련 등이 필요하다. V. 연구의의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장애특성에 적합한 농업분야의 일자리 가능성과 고용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농업분야가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장애특성에 적합한 일자리로서 가능성과 전망을 갖기 위해 제도적 기반마련과 농업분야 장애인 지원방안 그리고 사업주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제조업 분야로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는 장애인고용의 문제와 양질의 노동인력 감소에 따른 국내농업분야 경쟁력 상실이라는 두 가지의 국가적 과제를 동시에 해결 할 수 있는 대안제시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지적장애인 실종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남성희,유정아,정익중,김지현,이승진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5 No.55

        In this study, three analyses were conducted. First, the overall status of the missing people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confirmed by analyzing profiling data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the intellectual disability, who reported missing of their children through the FGI. Third, through interviews with police officers who are in charge of missing person, we tri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missing perso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main result was that the rat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not found after missing was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with non-disabilities. In addition, the number of reports of missing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relatively high.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of the parents of the missing disabled, 15 sub-theme, 6 mid-theme, and 3 major-theme were derived. Discussions were made on the lack of support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efforts of police and families to find missing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reventive education, and the use of devices etc. In an interview with a police officer, th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finding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ings to do at home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were made, such as leaving a mark whereve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go, enhancing the sensitivity to the charactieristics of disabilities in the situation of missing. and utilizing scientific technology to prevent and find missing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tc.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vising the law and developing policies and programs related to the missing people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인 실종에 관한 다각적 이해를 위하여 세 가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경찰청 실종아동등 프로파일링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적장애인 실종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확인하였다. 둘째, 가족의 실종을 경험한 지적장애인 보호자들과의 초점집단면접(FGI) 통해 지적장애인 가족들의 실종에 대한 경험과 욕구를 조사해 보고자 한다. 셋째, 지적장애인 실종 예방과 찾기 등 실종업무를 수행하는 경찰들의 면접을 통해 현재 경찰들이 경험하는 지적장애인 실종 업무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따르면 지적장애인은 실종 후 미발견되는 비율이 비장애 18세미만아동보다 높았으며, 성인 지적장애인의 실종신고건수가 많았다. 실종장애인 보호자의 면접결과 15개의 소주제, 6개의 중주제, 3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지적장애인의 상황과 지원의 부족, 경찰과 가정에서의 찾기 노력, 예방교육, 기기의 활용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실종수사경찰관과의 면접에서는 지적장애인 찾기과정의 어려움 및 가정에 대한 요구사항들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인의 실종예방과 찾기과정을 위해 일상생활에서 흔적 남기기, 실종전담기관의 지적장애인 민감성 증진, 과학기술의 활용 등 제언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다각적 분석의 결과와 제언은 지적장애인의 실종 관련하여 법을 개정하고 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경기도 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 분석

        조창빈(Cho Chang-Been)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8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현황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장애인복지관, 장애인보호작업장,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등 장애인관련 기관에서 운영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성인 지적장애인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영역별 참여 현황을 살펴보면, 성인 지적장애인이 가장 많이 참여한 프로그램 영역은 `문화예술교육(1.57개)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목적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목적을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심리적 만족감(26.2%)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기관을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장애인복지관(38.8%)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시간을 분석한 결과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시간을 조사한 결과 `평일 낮(92.9%)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집 방법에 대해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교육훈련기관(37.8%)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위한 주 교통수단을 조사한 결과`대중교통(38.2%) 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는 `시설의 제공차량(25.3%)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발전 방향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current state of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life-long program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41 intellectual-disabled adults having experienced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hich have been operated in disabled people relevant institutions including rehabilitation centers, sheltered work places, and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The results of surve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t looking into current state of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by field,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field that the response of `culture, art & education (1.57) was the highest. Next, at asking the purposes of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sponse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26.2%) was the highest in the format of multi responses. And, at asking the life-long program institutions that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ed in, it was found that the response of rehabilitation center (38.8%) was the highest in the format of multi responses. As the result analyzing the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time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t was shown that the response of `daytime in weekdays (92.9%) was the highest, and at investigating their ways collecting the information about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ormat of multi responses, it was appeared that the response of `education & training institution (37.8%) was the highest. Finally, as the result investigating the main transportation type who intellectual-disabled adults commonly used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sponse of public transportation (38.2%) was the highest.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and provided some sugg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for intellectual-disabled people to go toward.

      • KCI등재

        지적장애인 자녀의 결혼에 대한 부모의 태도 분석

        이민규 ( Min Kyu Lee ),김경미 ( Kyung Mee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 자녀의 결혼에 대한 부모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 · 경인 지역 소재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근무하는 19세 이상 지적장애인들의 부모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개인요인, 가족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는 지적장애인 자녀의 연령이 낮을수록, 자녀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결혼욕구가 높을수록, 자녀의 도구적 일상생활능력이 좋을수록, 자녀의 성에 대한 부모의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지적장애인 자녀의 결혼에 대한 부모의 태도가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지적장애인에게도 결혼이란 비장애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삶의 과업 중 하나라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다. 지적장애인들의 결혼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지적장애인의 건강한 성에 관한 당사자에 대한 성교육과 부모에 대한 교육이 동시에 필요하다. 또한 지적장애인의 임금이 실질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며, 지적장애인의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지원하는 서비스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predict the parents` attitudes towards the marriag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00 parents who have above 19 year ol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orking at the facilitie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Seoul and Kyunggi-do province.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support factors were regressed on the parents` attitudes towards their children`s marriage.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positive attitudes were associated with age, income, needs for marriage, instrumental daily life activities of thei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own attitudes towards their children`s sexuality.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e marriag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s to be regarded as one of the life tasks as with people without disabilities. For making the marriag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ore possible, healthy sex education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well as their parents, substantial income support to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rvices for increasing the marriage rat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keeping on their marriage life are needed.

      • KCI등재

        일반학교 졸업 지적장애인과 특수학교 졸업 지적장애인의 취업 영향요인

        박주영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3

        This study analysed factors affecting the acquisition of employment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who have graduated general and special school. Thes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disabilities-related factors, psycho-social factors, household-related factors. Data from 507 individuals with ID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second wave of the second year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First, The General schools ID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communication ability, higher cognitive ability, higher self-expression than special schools ID group. Second,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of individuals with general schools ID group include The household income level, family supports. And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of individuals with special schools ID group include communication ability, family supports. Base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uggested for the acquisition of employment supports of individuals with ID who have graduated general and special schools. 본 연구는 일반학교 졸업 지적장애인과 특수학교 졸업 지적장애인의 취업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변수는 장애특성 요인, 심리사회 요인, 가구관련 요인이다.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2차 자료를 활용하였고, 카이스퀘어 검증, 이분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연구대상자는 507명으로, 일반학교 졸업 지적장애인 352명, 특수학교 졸업 지적장애인 155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학교 졸업 지적장애인은 특수학교 졸업 지적장애인에 비해 의사소통능력이 좋은 경우, 인지능력이 높은 경우, 자기효능감이 높은 경우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학교 졸업 지적장애인의 취업 영향요인은 가구소득, 가족의 취업지지로 나타났고, 특수학교 졸업 지적장애인의 취업 영향요인은 의사소통능력, 가족의 취업지지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학교 졸업 지적장애인과 특수학교 졸업 지적장애인의 취업지원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들의 지적장애인의 지역사회생활 태도에 관한 연구

        남연희,이승준,채인석 한국자치행정학회 2013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7 No.3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들의 지적장애인의 지역사회생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복지학 전공 4 학년 24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인의 지역사회생활의 의미를 찾아보고 지역사 회생활에 대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태도는 어떠한지와 지적장애인의 지역사회생활에 대한 태도의 차이 그리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지적장애인의 지역사회생활 태도 하위개념인 권한부여(empowerment), 배제(exclusion), 보호(sheltering), 유사성(similarity) 중에서 배제(exclusion)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 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지적장애인의 지역사회생활의 태도에서는 연령, 결혼상태, 봉사경험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셋째, 상관관계분석에서는 결혼상태, 봉사경험유무와 지역사회생활 태도 간에 높은 상관이 나타났으며, 넷째,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연령, 결혼상태, 봉사경험유무가 지적장애인의 지역사회생활 태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생활 태도 하위척도에서 지적장 애인의 임파워먼트와 배제는 장애유무, 보호는 연령, 결혼상태, 봉사경험유무, 유사성은 성별, 연령, 결혼상태, 종교유무, 장애유무, 봉사경험유무가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지적장애인의 지역사회생 활에 대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긍정적인 태도 함양을 위해 다양한 현장체험학습과 봉사활동 활성화, 장 애인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인식개선 등 예비사회복지사로써의 사회복지실천 역량강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결과는 장애인에 대한 이론적 이해뿐만 아니라 장애인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소통이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로써 향후 사회복지 교육과 장애인복지 정책의 방향성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자기선택과 지역사회통합의 기회가 성인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승현,황환 국립특수교육원 2010 특수교육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oice and community involvement on quality of life in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lilities, and to lay a ground for a wholistic intervention to promote quality of life in the disabled intellectually.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 surveyed 247 clients who lived in Sung Nam and analyzed the data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on choice, community involvement, quality of life, and other related variables. The major results and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factors in community involvement examined, a factor, community servic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quality of life in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lilities. Second, age and susso had a positive effect on quality of life in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ird, it turned out that activity frequency and acc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the intellectual disabled. In summary, the study confirmed that choice, which is comprised of community service, and community involvement, which is made up of activity frequency and acces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on quality of life in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controlling for sex, age, and three related factors. These result call for a social work practice that focuses on strengthening such factors, as practitioners attempt to improve quality of life in the intellectual disabled. A variety of intervention measures that take activity frequency, access, and community service into consideration can be developed as an alternative model of practice. 본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의 선택, 지역사회 통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항을 연구하여, 성인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 증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성남시에 거주하는 성인기 지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성남지역 장애인복지관,종합복지관,장애인 직업 재활시설, 주간보호시설, 장애인부모회 등을 통하여 진행하였으며, 조사 방법은 우편조사 방법 과 면접 방법을 병행하였다 전체 247부를 수거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기술통계,t- 검정,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선택 영역 중 ‘서비스 선택 ( ß=.568)’,‘수급자 여부(ß= .456)’,‘연령 (ß=.369)’,‘접근성(ß=.300),’, ‘참여성 (ß=.266)’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성인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전략 모색을 위하여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지적장애인과의 공동 연구 실태와 과제: 국내 학술지 연구를 중심으로

        박재우 ( Park Jaewo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3

        본 논문은 국내 장애 연구에서 지적장애인과의 공동 연구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향후 연구들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지적장애인들의 연구 참여를 촉진하고 이들과의 공동 연구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이 목적으로 본 논문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3단계의 선정 과정을 거쳐 총 18개의 연구 논문들을 선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정된 연구 대상 논문들을 통한 국내 지적장애인과의 공동 연구의 실태와 이에 따른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지적장애인과의 공동 연구 상황은 당사자와 이들의 주변인들을 포함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50세 이상 장 · 노년 지적장애인들과 공동으로 하는 연구는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장애인 연구 참여자를 전 연령층으로 확대하여 50대 이상 장 · 노년층의 관점도 포함할 수 있는 공동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국내 지적장애인과의 공동 연구 결과는 2000년대 말부터 장애인 복지 관련 학술지를 위주로 산발적으로 게재되고 있으며 그중 특수교육 분야의 학술지에서는 지적장애연구에서 주로 게재되었다. 주된 연구 주제는 주거 관련 주제를 다루는 연구들이 가장 많았고 성이나 학령기에 관련한 주제들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 연구들에서 참여자 모집은 주로 시설 및 기관을 중심으로 한정되었다. 따라서 특수 교육 분야의 주제들도 당사자적 관점으로 구체화 되고 분석될 수 있도록 다양한 참여자의 확보 및 접근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의 전 과정에서 지적장애인들이 자기 결정권 행사를 통한 참여와 다양한 역할 수행을 할 수 있도록 연구 방법론에서 참여자의 구체적이고 다양한 역할 규정이 필요하며 이들의 역할 분배를 위한 적극적인 연구 방법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eality of collective researches conducted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tudie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n propose tasks for future researches, and furthermore, encourage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researches and contribute to promotion of their collective researches. With this in mind, a total of 18 researches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 articles were selected through 3 stages of selection process. In Korea, the reality of collective researches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asks are as follows : First, collective researches in Korea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mostly composed of those involving the researchers and their acquaintances. Of those, researches on those over 50 years of age were extremely rare.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age range of the subjects in collective researches to cover the viewpoints of those 50 years or older. Second, collective researches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sporadically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specifically on welfar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mostly dealt with studies on intellectual disability. Residential issue was the most common topic followed by gender and school ages. Moreover, in collective researches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cruiting participants was mostly approached by facilities and institutions. Hence, it is important to promote collective researches that actualize and handle the subjects on speci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cerned persons. Third, in the entire process of research, participating through exercise of self-determination and taking various roles build core foundation of the collective research. Therefore, in terms of research method,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regulations on more specific and diverse roles of participants and dynamic discussions on how to distribute these ro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