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가치와 지역학의 연구방법론

        김상욱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8 대학교양교육연구 Vol.3 No.1

        This paper studies the area studies and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e regional studies. What is the regional studies? We have to research wha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aim of the regional studies is the finding of the regional value. This paper approaches the regional value from three aspects, language, culture, and economy. In the international regional studies, the language plays important role in the finding of the regional value. In the domestic regional studies, the culture respectively plays important role in the finding of the regional value. And in the relation between the regional studies and the regional value, this paper explains three aspects, the regional identity, the locality, and the regional value. In the international regional studies, the regional value has relations with national benefit, in the domestic regional studies, the regional value has relations with regional benefit. And this paper suggests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e regional studies, include the theme region and the target region. 본 논문은 지역가치와 지역학의 연구방법론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지역연구란 무엇인가 이 문제에서부터 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가치의 발견을 언어, 문화, 그리고 경제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국제지역연구에 있어서는 언어가 지역가치의 발견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내지역연구에 있어서는 문화가 지역가치의 발견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논문은 지역학과 지역가치의 관계를 지역정체성, 지역성 그리고 지역가치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다. 즉 국제지역연구에 있어서 지역가치는 국가의 이익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국내지역연구에 있어서 지역가치는 지역의 이익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학의 연구방법론을 대상과 지역 그리고 주제와 지역 두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창원 지역연구의 동향 분석 : 최근 10년간 KCI 등록 논문을 중심으로

        이성호(Lee Sungh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통합 창원시 출범 이후 최근 10년간 ‘창원’이라는 지역이 연구대상으로서 어떠한 관점과 주제로 다루어졌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연구’를 지역 내에서 이루어진 특정 활동이나 집단을 대상으로 한 학술연구 전체로 정의하고, 창원이라고 하는 지역적 범위를 대상으로 한 연구 현황과 변화의 동향 전반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행정구역 통합 이후의 창원시를 내·외부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통합 창원시의 지역성이 어떠한 방향으로 형성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활용된 지역연구 성과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총 10년간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 등록된 정규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근 10년간 창원 지역연구는 지역개발 관련 분야와 행정학을 중심으로 한 사회과학과 역사학 중심의 인문학 등을 기반으로 연간 30편 이상의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다. 지역적으로는 마산, 내용적으로는 행정구역 통합과 마산만, 항만 등의 연안해양도시의 특성이 연구 동향에서 두드러지며, 특히 지역 내 주요 대학의 연구비 지원을 받은 지역 대학 소속의 연구자들이 활발하게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 있었다. 하지만 여러관심과 이슈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창원 지역연구는 양적 측면에서 대체적으로 정체 내지는 침체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인문학 분야의 감소와 행정구역 통합 등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면서 특정한 주제나 지역특성이 부각되지 않아 시기별로 연구 성과의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즉 아직까지 창원시는 행정구역에 따른 지역성의 새로운 변화양상이나 이에 따른 지역연구의 새로운 흐름이 전개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역연구의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향후 창원 지역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통합 이후 유기적으로 결합된 새로운 지역성의 확립이 선행되어야 하며, 특히 100만 대도시로서의 현재의 다양한 삶의 공간 특성을 반영한 지역성을 고민하여야 한다. 또한 외부 연구자와 신규 연구자들을 지속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지원사업의 모색과 지역자료 구득을 위한 연구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통해 새로운 연구자들이 창원이라는 지역 자체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regional studies for the recent ten years in Changwon after launching a consolidated administrative district. This study defined regional research as entire academic research targeting specific activities or groups within a particular region and identified the trend of recent research papers in Changwon.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y examined how Changwon is recognized internally/externally after administrative consolidation and which direction Changwon’s regionality forms. Regular papers registered in the Korean academic journal citation index(KCI) from 2010 to 2019 were reviewed for the analysis. In the past ten years, more than 30 research papers about Changwon’s regional studies have been successfully conducted per year based on Social Sciences centering around regional planning and public administration and Humanities centering around history. Masan region was investigated remarkably on a local ba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and maritime cities were examined prominently on a content basis. In particular, researchers affiliated with and funded by local universities have made successful results. Howev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current regional research in Changwon has been stalled or declined, although increased attention and issues in the region. Significantly, the number of successful research results largely fluctuated due to reduced studies in the humanities field and lack of attention to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In other words, Changwon has not yet discovered new flows of regional studies and new localities after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It entails a difficulty of vitalizing Changwon’s regional studies. Henceforth, an establishment of a systemically combined new locality emerging after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should be preceded. Particularly, contemplating regionality reflecting the divers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resent living space as a metropolis of a million population is needed. In addition, vigorous support, such as diverse support projects and construction of research databases, should be employed in order to bring external and new researchers consistently and engage researchers’ interest in Changwon.

      • KCI등재

        지역연구의 동향과 전망

        김영정 ( Young Jeong Kim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4 한국사회 Vol.15 No.1

        ‘지역연구’는 연구자의 관점과 이론적 지향의 차이에 따라 세 가지로 범주화될 수 있다. (1) 가치중립적 입장에서 접근하는 ‘지역(region) 연구’, (2) 중앙과의 비대칭적 권력관계에 기초하여 지역의 문제를 바라보는 ‘지방(local) 연구’, (3) 정치경제학적 공간이론의 관점에서 지역문제에 접근하는 ‘공간(space) 연구’ 등이 그것이다. 본 논문은 이 프레임에 기초하여 한국사회학계의 지역연구의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분석의 텍스트는 지난 20년 동안 지역사회학회 공식 저널에 실린 논문들이다. 분석 결과 얻은 가장 두드러진 점은 다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우선, 전통적인 지역연구 분야인 ‘region 연구’(가치중립적인 지역연구) 영역의 주제가 그동안 이 분야 연구를 주도해 왔던 농촌/도시사회학의 전통 주제를 크게 뛰어 넘어 정보화, 시민사회, NGO, 자원봉사, 다문화, 외국인 노동자, 로컬푸드 등의 문제로 확장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2000년대 이후 한국사회 변화의 큰 흐름을 반영하고 있는 이들 문제들이 지역차원에서도 논의되고, 분석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나타난 당위적 결과이다. 다음으로, 연구자들의 관점이 ‘region 연구 관점’으로부터 ‘local 및 space 연구 관점’(지방 및 공간사회학적 관점)으로 급격하게 변동하는 패러다임 이동(paradigm shift)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지방자치가 도입된 지 20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프라이비티즘(privatism)’으로 개념화되는 ‘자치 패러독스’ 현상과 ‘특정 집단의 극단적인 이익중심주의’ 현상이 만연된 지역현장을 주목해왔던 지역사회학자들에게 그 실상을 고발하고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관점과 프레임이 필요했던 현실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특히 이들 관점에 근거한 규범적 연구들이 봇물처럼 쏟아져 나온 것은 참여정부가 이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었고, 뒤이은 MB정부는 물론 현 정부까지도 이를 주요 국정과제로 다룰 수밖에 없는 지방 대 중앙의 대결국면이 장기화되면서 정책 친화적 관점이 활황을 누렸던 덕분으로 보인다. Regional studies can be classified in 3 categories. Those are (1) ‘region study’ from the point of value-free perspective, (2) ‘local study’ based on non-balanced power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s, and (3) ‘space study’ from the point of theoretical perspectives of political-economy.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 sociology according to the frames above. The analyzed texts in this research were published in the official journal of Korean Reg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 for last 20 years.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subject of research on ‘region study’, a conventional field in regional studies, is expanding from the traditional rural/urban sociological topics to the contemporary social issues such as informationization, civil society, NGO, volunteering, multi-culture, foreign worker, local food etc. This seems to be an appropriate outcome since these issues, which reflects the flow of changes of Korean society from 2000s, need to be analyzed and discussed in terms of regional dimension. Also, a radical paradigm shift on the perspective of researchers is emerging, from ‘region study’ to ‘local/space study’, This seems to result from the need of a new theoretical perspective and frame to explain and warn the reality of which ‘privatism’ is prevalent in the Korean regional society, to the researchers who paid attention to it, even when local autonomy has been.

      • KCI등재후보

        지역학의 교양교육 방법론에 대한 연구

        김상욱, 이혁구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대학교양교육연구 Vol.1 No.1

        본 논문은 지역학의 교양교육 방법론에 대해서 연구한다. 지역학은 지역성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연구를 통칭한다. 공간적인 범위에서 지역학은 국내지역을 연구하는 지역학과 해외지역을 연구하는 지역학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내지역을 연구하는 지역학은 외국어 조건이 필요하지 않지만 해외지역을 연구하는 지역학은 외국어 조건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지역학은 언어 즉 외국어와도 관련이 깊다. 외국어는 해외지역학의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니다. 대학의 전공 교육에서 지역학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양교육에서 지역학을 개설할 경우 어떠한 교육방법론이 필요한가에 대해서 고민한다. 전공은 관련 외국어 기반을 필수적으로 요구할 수 있지만 교양에서는 이러한 요구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양에서의 지역학 특히 해외지역학은 외국어보다는 지역성에 더욱 중점을 두는 것을 제안하다. 지역성은 해당 지역을 설명할 수 있는 특성을 말한다. 이러한 특성에는 지역사회, 지역경제, 지역문화, 지역관계, 지역역사, 지역지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지역학은 개념적으로도 융⋅복합적인 학문의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교양으로서의 지역학은 이와 같은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역할이 필요하다. 특히 교양교육에서는 이들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지역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liberal education methodology in area studies. In general, the area studies means the area research which based on the regional specification. From spatial viewpoint, the area studies can divide the domestic area studies and the global area studies. The former don’t need the foreign language, but the latter needs the foreign language, and then the area studies related to the language, especially the foreign language. This paper studies the liberal education methodology when the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open the area studies. The major’s area studies necessarily need the foreign language, but the liberal education’s area studies don’t need.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liberal education’s area studies not emphasis on the foreign language, not on the regional specifications. The regional specification can explain the region’s characteristics, includes regional society, regional economies, regional culture, regional relation, regional history, and regional geography.

      • KCI등재

        2010년대 수도권 대도시의 지역연구 동향 분석: 수원, 고양, 용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성호(Lee, Sungho) 한국지역지리학회 2020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수도권의 수원, 고양, 용인시를 대상으로 최근 10년간의 지역연구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지역연구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사례로 살펴본 세 지역은 기본적으로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지역이라는 특성을 반영하여 사회과학 분야를 위주로 수도권 소재 기관, 특히 대학 소속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지역연구가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최근 10년간 특별한 변화양상이 나타나지 않는 고양과 용인에 비해 수원의 지역연구는 약 2배 이상 증가하면서 두 지역과의 격차를 확대하였는데, 특히 역사학을 중심으로 한 인문학 분야의 강세, 지역 내 연구자, 연구기관 소속 연구자, 그리고 지역 내 기관의 연구비 지원 역할이 두드러졌다. 수원은 수원화성이라고 하는 지역 고유자산 이외에도 다양한 도시정책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활성화되는 한편, 지역연구기관의 설립을 통한 전문연구자의 증가와 학술지원사업 등으로 지역연구의 활성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연구의 진흥을 위해 지역 기반 연구자의 확대 필요성과 함께 지역학의 학문 영역적 확대를 통해 종합적 지역연구로서 재정립하는 것 역시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regional studies in the past ten years for Suwon, Goyang, and Yongin, and sought directions in order to vitalize regional studies. The regional studies of three cities were done mainly in the social science field and showed a trend that most studies were conducted by researchers affiliated to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Compared to Goyang and Yongin, where there was no notable change in the past ten years, the number of Suwon"s regional studies has more than doubled. In particular, it is remarkable to notice that there were domination of humanities field research centered around historical studies, high numbers of local and institutional researchers, and sizable research fundings from local institutions. Suwon city established the scaffolding to vitalize regional studie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rofessional researcher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by supporting academic projects. Given the result of the analysis provided abov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regional study as a comprehensive and interdisciplinary study by expanding the academic scope.

      • KCI등재

        지역학 연구와 구술자료 활용

        이창식(Lee Chang-sik) 역사문화학회 2016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9 No.2

        ‘지역학’이 지역사회의 연구 진전과 활성화에 기여해 왔으나, 30년 동안 ‘지역학’의 정립이 이상적 모형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연고지역 기관의 ‘지역성’의 부족과 지역주체에서도 ‘지역’에 대한 인식은 ‘중앙’이라는 스케일로 집중되어 지역주의와 지방색 한계로 비춰져, 인식하는 공유성을 지속적으로 확장하지 못하였다. 지역학의 미시적 국면과 거시적 국면을 상생시켜 가되 ‘로컬리티’의 소통과 배려에 대한 담론을 개발해야 한다. 지역의 연구자들 간의 세대융합을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지도 고민해야 할 과제이다. 지역학 인재 키우기도 학술적 주요화두가 되어야 한다. 지역학의 이론과 실천 담론을 모색할 수 있다. 지역학의 실제 조사담론은 ‘지역학’에 대한 학문적 성취 뿐 아니라 지역사회와 주민들의 삶에 기여할 수 있는 실용적 성취-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소스 영역-를 이룰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나가야 한다. 구술자원 조사 영역에서도 장소성과 지역성을 우선해야 한다. 지역문화자원에 대한 공공자산의 창조적 국면이 강조되어야 한다. 지역학의 활용 방향은 지역학 연구물을 지역주민이 향유해야 할 공공문화, 정신적 자원이라 전제해야 한다. 지역학 연구 결과물이 학자들의 손 안에서만 머무는 게 아니라 다양한 방식의 자료나 콘텐츠로 제공되어 지역주민들이 향유할 수 있다면, 지역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수요가 확대되면서, 궁극적으로는 지역학이 활성화 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지역학의 정치적 관련성 문제다. 지역에 있는 인문학 전문가도 반성해야 한다. 인문학의 본질도 중요하지만 인문학의 외연 확장론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지방정부는 지역학연구소를 새롭게 개편하여 인문학의 활력을 통해 지역다운 제품과 기술을 뒷받침할 수 있는 싱크탱크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 학문성과의 사회적 환원, 지역적 소통이라는 차원에서 지역학 연구자들 간의 소통과 지역적 실천 방안도 성찰해야 한다고 보았다. Despite the contribution of the ‘regional(area) studies’ on the promotion of local communities the discipline has faced numerous challenges for the past 3 decades. The lack of ‘locality’ of respective regions and the misguided perception of a ‘region’ that is often referred to as ‘centralization’ have become a major impediment to creating a sense of co-ownership in a constant way. Under the circumstance, it is imperative to encourage a social discourse about communication and consideration of ‘locality’ while promoting microscopic and macroscopic aspects of the regional studies. Finding a way to remove the generation gap among intellectuals in the academia is equally important. At the same time, the significance of nurturing the next leaders in the field should also not be ignored. By doing so, it is expected that a social discourse about the regional studies will be enhanced both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Such a discourse on regional studies should encompass a wide range of areas including practical achievement-cultural content and storytelling source that can contribute not only to academic achievements but the lives of locals. The efforts to discover verbal resources should be made, focusing on location and locality. Also, the creativity of the local, public cultural resources should be enhanced. Where the discipline will be headed in the years to come should begin from a new perception of the regional studies as public culture and psychological resources. Given that the study results are produced in various forms that can benefit local people,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n increase in the popularity of and demand for the discipline, ultimately helping to further promote the study area. Another challenge can be found in the political aspects of the discipline. Humanities intellectuals in the region should be blamed on this too. They should make concerted efforts not only to value the fundamentals but to support the spread of the benefits that the studies can bring about. For its part, the local government should overhaul existing regional studies research institutes to encourage more participation of think tanks with technical competitiveness into the movement. In addition, ways to communicate with local intellectuals and have local communicates enjoy the benefits of the promotion in the context of giving back to society should also be considered.

      • KCI등재

        지역관련 학문의 맥락적 이해와 관계론적 접근방법

        한주성(Han, Ju-Se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지역, 영역, 공간을 각각 바탕으로 하는 지역지리학 · 지역학, 지역연구, 지역과학에 대한 맥락적 이해와 이들에 관계론적 접근방법의 적용을 검토한 문헌적 분석이다. 이에 분석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지역(영역 · 공간)을 미리 정해 두고 연구하는 종래의 지역지리학, 지역연구, 지역과학과 지역학은 지역성과 영역성, 공간성을 각각 밝혔으나, 이들 학문이 서로 관계를 가진 지역(영역 · 공간)의 공간적 범위인 관계적 관할영역을 대상으로 여러 현상에 상호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관계성을 분석하는 관계론적 접근방법에 의해 학제적, 종합적으로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관계적 관점을 보완하면서 관계가 갖는 우연성, 자발성과 창의성, 복잡성을 아우르는 視點으로 최근 사회과학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느슨하게 결합된 다양한 연결과 관계 시스템의 집합인 아상블라주 개념을 원용한 연구도 수행해야 할 것이다. One of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iscuss contextual understanding of closely related academic fields of regional geography, regional studies, area studies and regional science. The study object of regional geography and regional studies is region, while it is area for area studies and locational space for regional science. The 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pplication of relational approaches on these academic fields. This study was perform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s a result, two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s: First, interdisciplinary and comprehensive studies based on relational approaches are needed. Traditionally, different academic fields of spatial studies have their own defined spaces as study objects. The spaces, however, need to be approached with relational perspective because there are factors influencing each other in different spaces, contributing to relational territory. Second, special studies need to employ the concept of assemblage, which is recently drawing attention in social sciences. Assemblage is a collective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contingency, creativity and complexity in relational approach.

      • 지역문제 대응에 있어 지역연구의 역할과 정책적 함의 : 전주시를 사례로

        노영순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23 地理學論叢 Vol.69 No.-

        현재 지역이 처한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발전의 기회를 가지고 위하여 지역의 역사와 장소성, 주민들의 삶에 방식에 대한 고찰, 현재 처한 여건과 미래전망에 대한 분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이에 관련 학계나 연구 집단은 물론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도 지역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아카데미즘에 입각한 회고적 접근이라는 비판에서 벗어나 앞으로 지향해야할 지역연구의 접근방향은 역사·지리·문화·경제 등 다분야간의 융합을 꾀하고 지역주민의 참여와 소통이 기본 전제가 되어야 하며, 지역사회의 현안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정책 지역연구’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주시의 사례를 통해 현 시점 지역연구의 실천적 의미를 기억(Remembrance), 회복(Resilience), 재생(Regeration) 등 ‘3R’로 규정하고 지역정책과 지역연구 간의 선순환 관계를 제시한다.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the current problems of the region and have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consideration of the history and placeness of the region, the way of life of the residents, and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and future prospects are of paramount importance. Therefore, interest in regional studies is increasing not only in related academic and research groups, but also at the level of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Moving away from the criticism of retrospective approach based on academism, the approach direction of regional research that should be pursued in the future should seek convergence among various fields such as history, geography, culture, and economy, and th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local residents should be the basic premise. It should aim for ‘policy regional studies’ that actively responds to current issues. Through the case of Jeonju, this study defines the practical meaning of regional research at the present time as ‘3Rs’ such as Remembrance, Resilience, and Regeneration, and presents a virtuous circl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policies and regional studies.

      • KCI등재후보

        중국 산동 지역 한국학 현황과 전망

        고홍희,고자적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33 No.-

        Since ancient time, Shandong Region has kept an inseparable cultural and economic relation with south Korea.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political tie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1992, communic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become more frequent, leading to an increasing need of Korean talents. In 1992, three universities, including Shandong University, have established Korean major and begun to recruit students. Since then, education and research on Korean studies in Shandong Region have begun officially. Education on Korean studies in Shandong Region has experienced three stages: initial, developmental, and sophisticated. Till now, talents boasting historical, cultural,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knowledge of Korean studies have been cultivated. Currently, a total of 16 four-year universities in Shandong Region have set up Korean major, nine of which provide postgraduate courses. Three decades on, Shandong Region has witnessed great achievements in education on Korean stud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course establishment, textbook compiling, and faculty constru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on Korean studies, research on Korean studies has also received attention. Numerous theses and work on Korean studies have been published. To enhance interdisciplinary research, several universities have opened research institutes for Korean studies, producing abundant research on Korean studies. Despite the fact that great achievements have been made in education and research on Korean studies, problems have been found, such as difficulty in student recruitment and employment, insufficiency of some textbooks, and the simplification of the research area of Korean studies. By analyzing the achievements and problems in current education and research on Korean studies, the current study proposes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 and research on Korean studies. To begin with, education and research talents in Korean studies ought to be cultivated and courses and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opened in accordance with each university’s characterization. Then, professional textbooks for Korean studies are supposed to be compiled an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nd research and online education ought to be strengthened. Finally, excellent Korean studies video courses should be introduced. 산동 지역은 고대로부터 문화, 경제 분야에서 한국과 불가분의 관계를 유지해 왔다. 1992년 중한수교를 계기로 여러 분야에서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한국어 인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으며 1992년에 산동대학교를 비롯한 세 개의 대학교에 한국어학과가 설립되어 학생 모집을 시작하게 되면서 산동 지역의 한국학 교육과 한국학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산동 지역 한국학 교육은 초창기, 성장기, 성숙기 세 발전 과정을 거쳐 현재까지 역사, 문화, 사회, 정치, 경제 등 지식을 갖춘 한국학 고급 인재들을 배출하였다. 현재 산동 지역에는 한국어학과가 개설된 4년제 대학교가 총 16개가 있고, 그 중 9개의 대학교에 대학원 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30여 년의 발전을 거쳐 산동 지역 한국학 교육은 교과목 설정, 교재 편찬, 교수진 확보 등 여러 면에서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다. 한국학 교육의 발전과 더불어 한국학 연구도 활성화되어 한국학 관련 논문, 저서 등 연구 성과들이 쏟아져 나왔고, 학제 간 연구를 강화하기 위해 여러 대학교에서 한국학 관련 연구소를 설립하여 한국학 연구 성과들을 산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국학 교육과 한국학 연구가 많은 성과를 거두었지만 학생 모집의 어려움, 졸업생들의 취업난, 일부 교과목의 강의 교재 부족, 한국학 연구 분야의 단일성 등 문제점들도 나타났다. 본고에서는 현재 한국학 교육과 연구에서 거둔 성과들과 나타나는 문제점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한국학 교육과 한국학 연구의 발전 전망을 한국학 제 분야의 교육 및 연구 인재 확보, 대학마다 자체의 특색을 살린 교과목 개발과 교육 방안 모색, 전문성을 갖춘 한국학 교육용 교재 개발, 학제 간 교류와 연구 강화, 우수한 한국학 화상강의 도입과 온라인 교육 개발 등 발전 전망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역연구 대상으로서 환동해 지역의 설정

        권세은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2

        This paper reviews the East-Sea rim as a research region in the field of area studies based on the level of normative and epistemological perspective. When a area specialist investigates regional problems, he/she needs to answer a few of questions relates to normative and epistemological perspective, for instance, why do I need to study about a certain region? How do I conduct the research with this specific region?The concept of East-Sea rim as a research agenda has not been seriously recognized in scholarly field and seems to be used as an abstract terminology in social and natural science. However, the existential meaning of the East-Sea rim region tends to arouse researchers' interest and have become a generalized concept from the last decade. Therefore, the concept of East-Sea rim is regarded as a specialized research agenda which includes the necessity of systematized study. The purpose of East-sea rim research, as a whole, i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the regional mechanism which could be revealed in terms of the very existence of regional reality. I regard East-sea rim region as one of regions implying ‘complex adaptive system’ at the primary category, and presume the unit level of this region which cannot be reducible to the level of element. I also assume that the whole system of the region is not the same as a sum of independent parts. In sum, I emphasize, the East-Sea rim region needs to be recognized as a composite of multi-layered properties. In other words, it shouldn't be understood as a strictly hierarchical system organized in mechanistic manner, rather, it can be better represented as a form of ‘complex adaptive system.’ Such a system in which the behavior of the whole system cannot be predictable by focusing on the analysis of its components' behaviors, and each property of the whole system tends to emerge from the initial level into the next level - these multi-leveled analysis can be overlapped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이 논문의 목적은 환동해 지역연구의 기초적 단계로서 환동해 지역을 규범적 차원과 인식론적 차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지역연구는 특정 지역을 왜 연구하는가라는 규범적 차원의 질문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사회적 실재를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의 문제인 인식론적 차원의 논의가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게 된다. 환동해권에 대한 관심은 아직 사회적으로나 학문적으로 확대되지 못하고, 환동해 용어가 추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더라도 지금은 환동해 지역의 존재가 사회적으로 점차 통념화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환동해라는 개념은 그 현실성을 부여받음으로써 환동해라는 지역단위는 연구의 실천적 의미를 부여받게 되었다. 환동해라는 지역은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작용하고 구성되는 세계이다. 이 지역은 단순한 공간이 아닌 능동적인 주체가 환경과 상호 교류하며 역동적으로 형성되고, 자기조직화되는 장(場)이다. 이러한 지역은 특정 요소로 환원하는 방법을 통해 특정 부분을 이해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 그것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복잡적응체계로서 환동해 지역은 존재론적으로 창발되기 때문에 그 복잡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중층구조를 가정하고, 근본적으로 세계는 층화되어 있다는 인식을 전제해야 한다. 환동해 지역은 정체성 및 그 유지양식, 메커니즘에 따라 타 체계와 구분되는 체계로 볼 수 있다. 이런 공간은 ‘개념’, ‘메커니즘’을 통해 우리가 인식할 수 있다. 결국 복잡한 현상을 궁극적인 차원으로 설명하는 환원주의를 벗어나 현상을 존재론적 층위에 따라 구분하고, 각각의 층위를 고유한 분석수준으로 삼아 고유의 메커니즘을 밝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