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맞춤형 낙후지역 정책을 위한 지역 유형구분 및 특성 분석

        이원호(Won Ho Lee),안영진(Young Jin Ah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7 No.1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산업화 및 도시화 과정에서 발생한 낙후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해 왔으나, 일부 성과에도 불구하고 적잖은 한계를 노정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 그간의 낙후지역 지원사업을 4개 지역(도시지역, 농산어촌, 성장촉진지역, 특수상황지역)으로 통폐합하고, 그 중에서도 낙후도가 심한 지역을 ``성장촉진지역``으로 지정하여 육성하는 정책을 시행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성장촉진지역 육성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성장촉진지역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분석 한 뒤, 지역 특성에 알맞은 차별화된 정책 및 사업의 추진이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기 선정된 70개 성장촉진지역을 유형화하고 이에 따른 지역 맞춤형 낙후지역 정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우리나라 성장촉진지역은 공간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구조의 차이에 따라 4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육성을 위해서는 각 유형별로 차별적인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In spite of arduous policy efforts to address the deprived region problem emerged in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rocesses since the 1960s, it is well acknowledged that there are some policy limitations. In a recent effort to improve the policy for the deprived regions, the national territory is divided into 4 groups such as urban, rural, growth promotion, and special situation areas and various policies for the deprived regions have been consolidated into a policy for the growth promotion area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ssify the already-designated 70 growth promotion areas and examine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in order to propose more regionally situated policy approach to the deprived areas. The study shows that the types of the 70 growth promotion areas are much differentiated one another in terms of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It is therefore further argued that the policy efforts need to be area-specific in order to address the policy demand for the deprives regions in a more efficient way.

      • KCI등재

        지역노동시장의 유형구분과 유형별 고용정책의 방향

        김홍배(Kim, Hong Bae),이민기(Lee, Min Gi) 한국도시행정학회 2014 도시 행정 학보 Vol.27 No.1

        최근 고용정책의 수립 및 집행에 있어 지방정부의 역량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지역은 기본적으로 인구 및 산업구조와 같은 사회?경제적 제반여건에 있어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특성에 대한 이해 없이는 유효한 정책수립이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고용정책 역시 이와 마찬가지로 지역노동시장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지역노동시장의 진단은 고용의 기회와 같은 양적인 평가뿐만 아니라 고용의 안전성과 같은 질적인 평가가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고용의 질적수준은 지역의 경제성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현재 우리사회는 ‘고용 없는 성장(jobless growth)’의 국면에 접어들어 고용의 양적성장과 더불어 질적성장에 대한 정책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국 16개 시?도를 지역노동시장으로 정의하고 고용의 양적?질적 측면에서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지역노동시장 진단지표를 개발하였다. 지역노동시장의 진단지표는 문헌고찰과 전문가 사전의식조사를 통해 특성부문 및 평가항목, 지표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지역노동시장의 특성부문과 평가항목의 가중치는 전문가 설문조사와 AHP분석을 통해 결정하였고, 산출된 가중치를 바탕으로 지역노동시장의 종합지표를 산출하였다. 또한 산출된 종합지표를 이용하여 지역노동시장을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하고 유형별 특성분석 및 고용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s crucial in making and implementing employment policies. This recognition means that local governments must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ir labor market and make policies accordingly.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local labor market,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dicators that can evaluate employm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develop the indicator for evaluating employment characteristics of 16 regions including metropolitans and provinces in Korea. Also,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obtained, 16 regions are classified into four-type regions by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 of employments. Finally, the paper provides policy direction of employment for typed regions.

      • KCI등재

        지역유형구분을 위한 요인점수의 군집분석

        이종상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2 國土計劃 Vol.37 No.4

        지역은 매우 다면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역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를 요인분석 후, 고유치가 큰 소수의 요인점수를 군집분석하여 그 결과를 기초로 지역유형을 구분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요인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군집분석하는 것은 지역유형의 해석을 용이하게 하고, 요인점수간에 상관관계가 0이기 때문에 지역유형구분을 명료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각 요인의 설명분산은 요인에 따라서 서로 다르지만, 모든 요인점수의 평균과 분산은 각각 0, 1이기 때문에 군집분석에서 각 요인의 설명분산의 크기는 전혀 고려되지 않는다.이 연구의 목적은 요인점수를 군집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지역유형을 구분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요인점수를 군집분석하는 경우에 요인의 수에 따라서 각 유형에 포함되는 지역은 매우 다르게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군집분석에서 몇 개의 요인을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기준을 사전에 설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군집분석에 사용한 요인수에 따라서 지역유형의 구분결과는 매우 다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유치가 큰 소수의 요인점수를 입력데이터로 군집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지역유형을 구분하는 것은 지역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요인의 설명분산 크기가 군집분석의 거리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반영이 될 수 있도록 요인별로 가중치를 설정해서 사용해야 한다. 요인의 설명분산을 군집분석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각 요인의 설명분산(root {lambda_j`'}

      • KCI등재

        농촌어메니티 자원분포와 유형별 자원의 특성 분석 - 전북 순창군을 대상으로-

        박재철,Park, Jae-Chul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4

        본 연구는 2005년부터 농촌진흥청에서 전국적인 농촌어메니티 자원 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화 하고 있는 바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전수조사가 이루어진 순창군을 대상으로 읍 면별 어메니티 자원 특성이 나타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분류하여 지역 어메니티 자원 특성을 반영한 지역 활성화 방안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 데이터 마련을 위하여 현지조사와 면접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인터넷 자료를 취합하였다. 읍 면별 어메니티 자원 특성 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 회귀분석, 상관분석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광역인 전라북도, 전국 및 진안군과의 어메니티 자원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순창군 어메니티 자원과의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더 나아가 읍 면지역의 유형을 구분하기 위하여 순위 분석 방법이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어메니티 자원 유형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menities available in Sunchang-gun, Jeonbuk province in Korea through ananalysis of survey data of rural amenity resources. This survey was performed over 4 years(from 2005 to 2008). The data were collected by field survey, interview, and Internet search. Descriptive statistics,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up-Myun in Sunchang County. A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compare provincial, national and other county data. Furthermore, a rank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ssify the type of each region. Through this, the type of rural amenity resources was identified.

      • KCI등재

        지역유형 구분과 농촌지역의 유형별 특성

        성주인,송미령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3 농촌경제 Vol.26 No.2

        The ve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classify rural areas and then following this classification scheme, delve into their area-specif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concentrating upon their relationships to cities. Upon factor analysis, non-agricultural regional-economic factors, urban area factors, and suburbanization factors are found to be major determinants in classifying rural areas. Accordingly rural areas in Korea are classified into four major groupings; rural areas with strong emphasis on non-agricultural sector, areas with high degree of self-sufficiency, areas with strong interaction with cities, and finally, typical rural areas. Finally, after studying and comparing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demography, farming households, and land uses, strong interaction with cities is judged not to be a propellant of their growth.

      • KCI등재
      • KCI등재

        미군기지 주변지역의 유형별 특성에 따른 발전방안 연구

        한인영 ( In Young Han ),오은주 ( Eun Joo Oh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4 地方行政硏究 Vol.28 No.4

        In 2006 “Special Act on Support for Areas, etc. Adjacent to Districts Granted to the United States Armed Forces in Korea” was legislated and since then, “comprehensive plans for development of areas, etc.” have been implemented. However, the plans for every sixty-two regions (Si and Gun) are monotonous across regions, ignoring variety in regional characteristics. Most projects in the plans have concentrated on the physical policy approach such as road building and park construc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differentiated policy direction on the basi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ixty-two regions. In order to comprehensively identify regional classification, seventeen indicators are developed to embrac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 cluster analysis on the factor scores of the indicators is utilized. Sixty-two regions are classified into five-type regions. Finally, this study offers policy suggestions for five regional group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