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지역간 산업연관모델(IRIO)를 이용한 인바운드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종로지역을 중심으로-

        이충기 ( Choong Ki Lee ),송학준 ( Hak Jun Song ),문지효 ( Ji Hyo Moon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1 觀光硏究 Vol.26 No.5

        본 연구는 지역간 산업연관모델(IRIO)을 이용하여 2011년 서울시 종로구 인바운드 관광산업이 서울시와 타지역에 발생시킨 경제적 파급효과를 측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은행(2009)의 지역산업연관표를 서울시와 타지역으로 구분된 두 지역간 산업연관표로 통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생산, 소득, 부가가치, 취업승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외래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종로 방문 경험율을 도출하고, 1인당 지출액을 도출하였으며, 수요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총 종로 방문 외래관광객 수와 총 지출액을 추정하였다. 지역산업연관 분석결과, 2011년 종로 방문 외래관광객의 지출액으로 인하여 서울시와 타지역에 직·간접적으로 발생시킨 생산파급액은 약 2조 7,124억원(서울시: 약 2조 1,065억원, 타지역: 약 6,059억원), 소득파급액은 약 5,990억원(서울시: 약 5,223억원, 타지역: 약 767억원), 부가가치파급액은 약 1조 3,820억원(서울시: 약 1조 1,383억원, 타지역: 약 2,437억원), 취업파급자수는 약 40,862명(서울시: 약 32,956명, 타지역: 약 7,906명)으로 예측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economic impact of the inbound tourism industry for the year of 2011 on the economies of the Jongno-gu, metropolitan Seoul and other region. To this end an Inter-Regional Input-Output(IRIO) model was employed to derive tourism multipliers in terms of output, income, employment, value-added, and tax using the regional I-O transactions tables developed by Bank of Korea (2009). Also,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to inbound tourists in order to estimate visit experience and per capita expenditure, and predicted inbound tourists in 2011 using forecasting techniques. Based the results of surveys and forecasts total tourist expenditures were estimated for Jongro-gu. The results of IRIO reveal that in 2011, total expenditures of inbound tourists visiting Jongno-gu would generate approximately 2.7 trillion Won of output impact (Seoul city: 2.1 trillion Won, other region: 606 billion Won), 600 billion Won of income impact (Seoul city: 522 billion Won, other region: 77 billion Won), 1.4 trillion Won of value-added impact (Seoul city: 1.1 trillion Won, other region: 244 billion Won), and 40,862 non-paid and full-time jobs(Seoul city: 32,956 jobs, other region: 7,906 jobs) throughou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 KCI등재후보

        지역산업연관모델을 활용한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의성마늘국제연날리기대회를 중심으로

        이정훈,김성우 대한지방자치학회 2014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6 No.2

        1991년 지방자치제가 부활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의 한 방법으로 각 지방자치단체들은다양한 지역축제를 발굴하여 지역의 이미지 제고를 통한 지역관광수익사업을 활발하게추진하여 왔다. 본 연구는 지역축제가 지방자치단체의 경제활성화에 크게 기여한다는 인식하에,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하여 “2012의성마늘국제 연날리기대회”의 경제적 파급효과를분석하고자 한다. 지역축제의 총 경제성 분석을 위해 한국은행(2009)에서 직접 작성한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산업승 수(생산유발계수, 수입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를 살펴보았다. 2012의성마늘국제연날리기대회가 의성지역에 미치는 총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축제기간중 방문 객의 총 지출액인 16억 4천만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 21억1천만원으로 산출되었고, 수입유 발효과는 1억 2천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0억 2천만원으로 나타났다. 의성마늘국제연날리기대회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문화유산 중 ‘연’이라는 컨셉을 잘살린 지역축제로서 평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은 지역축제를 기획하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지 역경제정책의 수단으로 매우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축제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확장 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의 관광지, 문화유적지, 식당, 숙박업 등의 산업들과 밀접한 연계관계를 구축함으로 써 관광객이 더욱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이지석(Ji-Seo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연구는 지역축제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하여 ‘2008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지역축제의 총 경제성 분석을 위해 한국은행(2009)에서 직접조사를 통해 작성한 ‘지역산업연관표’를 사용하여 산업승수(생산유발계수, 수입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를 도출하였다.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하여 2008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개최로 안동지역에 미치는 총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축제기간중 방문객의 총 지출액인 237억 5천만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309억 6천만원으로 평가되었고, 수입유발효과는 158억원, 부가 가치유발효과는 143억 1천만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보편적인 문화유산인 ‘탈’이라는 컨셉을 잘 살린 축제기획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은 지역축제를 기획하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estimate the economic impact of 2008 Andong Maskdance Festival, using an Input-Output(I-O) model. For the research, the 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was used, which makes it easy to grasp the economic impact of the tourism industry and other industries in Andong. Based on the regional I-O transactions tables which were developed by Bank of Korea(2009), the industry multipliers were derived with respect to output, income, and value-added. The results show that in 2008 Andong Maskdance Festival receipts generated output impact of 30,961 million won and 15,800 million won of income impact, 14,310 million won of value-added impact, respectively. I think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objective indicator to help to establish and implement regional festival policies for the local government.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종로구를 사례로

        이은지,이충기 한국호텔관광학회 2019 호텔관광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종로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종로를 방문한 내국인들의 빅데이터(지출액)를 활용하고, 서울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빅데이터의 활용은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보다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신용카드 매출액을 통한 2017년 종로 내국인 관광객의 총 지출액은 약 1조 726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한국은행에서 발간하는 서울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관광산업의 총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출한 결과, 2017년 종로를 방문한 내국인 관광객의 지출로 인해 우리나라 전체 경제에 약 1조 9,536억 원의 생산파급효과(지역 내: 1조 3,614억 원, 지역 간: 5,922억 원), 약 3,854억 원의 소득파급효과(지역 내: 2,952억 원, 지역 간: 902억 원), 약 8,056억 원의 부가가치파급효과(지역 내: 6,217억 원, 지역 간: 1,839억 원), 약 151억 원의 간접세 파급효과(지역 내: 134억 원, 지역 간: 17억 원), 18,568명의 고용창출효과(지역 내: 14,980명, 지역 간: 3,588명)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자료수집의 효율성과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서울지역 내에 파급된 효과와 타 지역으로 누출된 효과(지역 간)를 분석함으로써 정확도를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종로 관광산업의 경제적 중요성을 계량화함으로써 관광실무자나 정책입안자를 위한 객관적 지표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전통시장 활성화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서울 수유마을시장을 중심으로 -

        이충기,송학준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5

        Using an regional input-output(I-O) model, this study estimated the economic impact of traditional market revitalization project on the economy of Seoul, To this end traditional market related sectors were derived from transactions tables developed by Bank of Korea(2009) and their multipliers were calculated in terms of output, income, value added, and employment. Onsite surveys were also conducted for merchants in the Suyu traditional market to estimate sectoral revenues and margin.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2010, the Suyu traditional market generated 7.8 billion Won of net output impact, 1.4 billion Won of net income impact, 3.3 billion Won of net value-added impact, and 123 net non-paid and full-time jobs throughou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ese impacts exceeded 0.4 billion Won of initial investment by Korean government, indicating economically successful proje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시범사업(문전성시)이 서울시 경제에 미친 경제적 효과를 측정하는데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은행(2009)에서 작성한 서울지역산업연관표로부터 전통시장과 연관된 산업부문을 분류하고, 부문별 생산, 소득, 부가가치, 그리그 취업승수를 도출하였다. 전통시장의 업종별 매출액과 마진을 추정하기 위해 서울 수유마을시장의 상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2010년 문전성시 사업을 통해 수유시장에서 발생한 순 경제적 파급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생산파급액은 약 78억원, 소득파급액은 약 14억원, 부가가치파급액은 약 33억원, 그리고 취업파급자수는 123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제적 파급효과는 수유시장에 대한 정부의 문전성시 지원액인 4억원을 초과하여 경제적으로 성공적인 활성화 프로젝트였음을 지적해준다.

      • KCI등재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크루즈관광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중국 인센티브 크루즈관광객을 사례로 -

        이충기,권영현,김혜선 한국관광학회 2015 관광학연구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conomic impacts of Chinese incentive cruise tourists on three ports of call(Busan, Jeju, and Yeosu) using regional Input-Output (I-O) model. An onsite survey was conducted for 1,000 Chinese incentive cruise tourists to estimate per capita expenditure. Also, tourism sectoral multipliers were derived from the regional I-O tables for three ports of call in terms of output, income, value added, indirect tax, and employment. The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per capita expenditure for Chinese cruise tourists was estimated to be 1.15 million Won and spending on shopping represented the largest amount with 82.7% of per capita expenditure. The results of regional I-O models reveal that Chinese cruise tourism generated 21.7 billion Won of output impact, 5.6 billion Won of income impact, 12.7 billion Won of value-added impact, 0.6 billion Won of tax impact, and 564 jobs of employment impact, respectively. Busan generated the largest economic impact, followed by Jeju and Yeosu(Jeonnam).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하여 3개 기항지(부산, 제주, 여수)를 방문한 중국 인센티브 크루즈관광객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측정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인당 지출액을 추정하기 위하여 중국 인센티브 크루즈관광객 1,000명을 대상으로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3개 기항지에 대한 지역산업연관표로부터 생산, 소득, 부가가치, 간접세, 그리고 고용 측면에서 관광부문별 승수를 각각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결과 중국 인센티브 크루즈관광객의 1인당 지출액은 약 115만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이중에서 쇼핑비가 전체의 82.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지역산업연관모델을 분석한 결과 중국 인센티브 크루즈관광객의 지출액으로 인하여 3개 기항지 내에 순수하게 파급시킨 생산파급액은 약 217억원, 소득파급액은 약 56억원, 부가가치파급액은 약 127억원, 순간접세파급액은 약 6억원, 그리고 취업파급자 수는 564명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국 인센티브 크루즈관광으로 인하여 부산 기항지에 발생시킨 경제적 파급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제주와 여수(전남) 기항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산업간 연계를 고려한 전략산업 성장요인과 발전방향 :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이연호,김관희,권태현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1

        1990년대 후반부터 범국가적 차원에서 지역전략산업을 집중 육성해 오고 있으나 특정 지역의 전략산업 성장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흔치않다. 본고는 충북 전략산업의 성장요인을 식별하고 전략산업 발전방향을 도출한다. 전략산업 성장요인으로 지역내 소득, 교육·교통·산업·정주 여건, 행·재정 요인 등 다양한 지역 인프라를 고려한다. 본고는 계량경제모형과 산업연관모형을 개별적으로 분석한 대부분의 선행연구와 달리 이 두 모형을 통합해 산업간 수요(전방연관효과)가 전략산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였다. 본고는 충북 4개 전략산업의 17개년(1993∼2009년)의 실질생산 자료를 이용하여 동태적 패널모형을 추정한다. 추정결과, 충북 전략산업의 생산은 지역내 수요 보다 다른 산업의 생산을 위하여 중간재로 판매되는 전방연관효과에 의하여 더 큰 영향을 받고 있다. 또한 지역 인프라 중에는 지역내 대학생 수, 공장용지 면적, 도로연장 길이 등이 전략산업 생산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전략산업을 효과적이며 효율적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산업간 연관효과를 증가시키는 정책이 요망되며, 인력과 산업용지 공급 및 교통여건을 개선시키기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전략산업 발전전략이 요구된다. While nationwide efforts have been made to foster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since the late 1990’s, few studies have analyzed growth factors of strategic industries of a specific region. We employ dynamic panel models to estimate growth factors of strategic industries in Chungbuk during the years of 1993∼2009. Most previous researches have separately applied input-output models or econometric models, but our study, based on Rey and Dev(1997), integrates the two models into a framework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industry demands(forward linkage effects) on growth of strategic industries. Regression results reveal that outputs of strategic industries are affected significantly by inter-industry demands. In addition, the number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 size of factory site, and the length of roads also significantly enhance production of strategic industries. In order to effectively promote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therefore, local government should adopt policy measures to strengthen inter-industry linkages and to improve supply of human resources, industrial park, and transportation.

      • KCI등재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보령머드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이충기 ( Choong Ki Lee ),최영준 ( Young Joon Choi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觀光硏究 Vol.2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직접추계에 의한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하여 2009년 보령머드축제가 지역경제에 미친 경제적 파급효과를 측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충남지역산업연관표를 토대로 생산, 소득, 취업, 부가가치, 그리고 간접세 승수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1인당 지출액을 추정하기 위하여 보령머드축제 참가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직간접효과를 통하여 보령머드축제가 지역경제에 발생시킨 총생산파급액은 약 2,126억 원, 총소득파급액은 약 414억 원, 총부가가치파급액은 1,012억 원, 총간접세파급액은 약 133억 원, 취업파급자수는 약 4,028명으로 분석되었다. 더욱이 관광부문의 생산승수는 타산업부문에 비하여 낮은 반면, 소득, 취업, 그리고 부가가치 승수는 타산업부문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의 시사점은 충청남도의 관광산업은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보령머드축제가 열리는 지역에 비교적 많은 소득과 고용을 창출시키고 있다는 점을 제시해준다. 또한, 전방효과와 후방효과를 분석한 결과 충남지역의 관광산업은 영향력과 감응도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conomic impact of the 2009 (12th) Boryeong Mud Festival on the economy, using a direct survey-based regional input-output(I-O) model. To this end tourism multipliers were derived with respect to output, income, employment, value-added, and indirect tax based on the regional I-O transactions tables. This study also conducted festival visitors` survey in order to estimate per capita expendi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hosting of the 2009 Boryeong Mud Festival generated 212,621 million Won of output impact, 41,431 million Won of income impact, 101,220 million Won of value-added impact, 13,269 million of tax impact, and 4,028 part-time and full-time jobs throughou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Furthermore, tourism sectors had relative lower output multipliers a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whereas they had larger multipliers of income, employment, and value-added than any other industries. The findings imply that the tourism industry of Chungnam province was labor-intensive industry, generating large impact of income and employment to the communities of the Boryeong Mud Festival. The results of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also indicate that the tourism industry of Chungnam province was relatively low linkage effects.

      • KCI등재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2011 서울모터쇼’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김대관(Dae-Kwan Kim),한연주(Youn-Joo Han),이상민(Sang-Min Lee),최영배(Yeong-Bae Choe),송수엽(Soo-Yeop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0

        본 연구는 전시회 개최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011년 4월 1일부터 10일까지 일산 KINTEX에서 열린 ‘2011 서울모터쇼’의 참관객을 대상으로 지출액 조사를 실시하여 ‘2011 서울모터쇼’ 참관객들이 경기 지역 및 기타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지역산업연관모델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경제에 파급시킨 총 생산 유발액은 약 531억 원이며, 총 소득유발액은 약 117억 원, 총 부가가치 유발액은 약 241억 원, 총 취업유발효과는 1,030명, 총 세수유발액은 약 26억 원 등으로 추정되었다. 이 밖에 전시산업의 생산유발승수는 다른 산업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득유발승수, 부가가치유발승수, 취업유발승수는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전시산업이 지역경제에 비교적 많은 소득, 부가가치와 고용을 창출시키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conomic impact of the ‘2011 Seoul Motor Show’ using a direct survey-based regional input-output(I-O) model. Based on the regional I-O table, Exhibition multipliers were derived with respect to output, income, employment, value-added and indirect tax. Attendees‘ survey was conducted to estimate per capita expendi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ll attendees of ‘2011 Seoul Motor Show‘ generated 53.1 billion Won of output impact, 11.7 billion Won of income impact, 24.1 billion Won of Value-added impact, 2.6 billion Won of tax impact, and 1,030 part-time and full-time jobs throughou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nother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output multiplier of the exhibition industry was similar with other industries, however, income, employment and value-added multipliers were relatively larger than those of other industries.

      • KCI등재후보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지역간 산업연관효과 분석

        이춘근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7 대구경북연구 Vol.16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inter-regional and inter-industrial linkage effec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using the 2013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 For the analysis, 16 regions were reclassified into five regions, Daegu, Gyeongbuk, Capital Metropolitan region, South-East region, and Other regions, and various industrial linkage effects were re-estimated.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as the second highest specialized sector following electronic industries among manufacturing industries in the region, and the portion of intermediate inputs and demands was very high.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average of the entire 30 industrial sectors, and far higher than those of the steel industry in South-East region, Capital Metropolitan region, and Daegu region. The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showing forward linkage effect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as 3 times higher than average of the entire industries, and impact factor showing backward linkage effect was higher than 1. Therefore,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is an intermediate-demanding and manufacturing industry. When the price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is rising 10%, its effects on other regions were highest in Daegu region, and then Capital Metropolitan region, South-East Region, and Gyeongbuk region followed in order. For the entire Korea, it affected higher price-rising pressure of 24.8%. The linkage effec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ere more highly linked with Capital Metropolitan region or South-East region than Daegu region, it is necessary to seek more actively industrial collaboration with these regions. 본 연구는 한국은행에서 최근 발표한 2013년 지역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지역간, 산업간 연관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을 위해 16개 권역을 대구와 경북, 수도권, 동남권, 기타권 등 5개 권역으로 재분류한 후 여러 가지 산업연관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북지역 철강산업은 타 지역, 타 산업에 비하여 중간투입과 중간수요의 비율이 상당히 높고, 생산유발계수는 30개 부문 전체 산업 평균보다도 상당히 높으며, 동남권이나 수도권, 대구 등에 비해서도 훨씬 더 높았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감응도계수는 전체산업 평균보다 3배 정도 높았고, 영향력계수도 1보다 높아 상대적으로 전체산업 평균보다 높았다. 따라서 경북지역 철강산업은 중간수요적 제조업형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물가가 인상될 경우, 대구지역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수도권, 동남권, 경북권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이 타 지역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수도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동남권, 경북권 등에 영향을 미쳤다. 산업별로는 철강제품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고, 석탄 및 석유제품, 전력·가스 및 증기제품, 도·소매 서비스, 운송 서비스 등에 높은 영향을 미쳤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