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 연구의 경향과 과제

        김광철 東亞大學校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5 石堂論叢 Vol.35 No.-

        지역사는 지역의 경제 · 정치 · 이데올로기 영역을 총체적 · 계기적으로 파악하여 민의 구체적인 삶의 모습을 드러내는 학문 영역이다. 지역사는 민족사 전체를 구성하는 한 부분으로서의 의의를 갖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독자적인 특징과 가치를 가지며 민족사 보다는 좀더 구체적이고 사실적이다. 민족사 또는 국가사가 자칫하면 제도나 구조의 문제에 치우쳐 사회의 구체적 모습을 결여하기 쉽지만, 지역사는 이를 생동감있게 서술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역사가 지역이라는 공간을 매개로 하여 살아온 인간들의 역사여야 함에도 지금까지 드러난 지역사의 내용과 그 유형은 일정치 않다. 지역공동체의 구조와는 상관없이 유물이나 특정사건을 자기 취향에 따라 수집하고 나열식으로 서술한 경우가 있는가 하면, 국가사 연구의 보조수단으로 삼으려는 이른바 '擬似지역사', 지역사를 독립적인 학문분야로 설정하여 공동체 전체의 역사로 이해하려는 '정통지역사'가 있다. 그동안 지역사 연구는 지방행정, 지역조직 또는 향촌사회조직, 지방세력, 지역문화. 지역별 민중운동과 민족해방운동 등을 대상으로 폭넓게 진행되어 왔다. 그럼에도 아직까지는 지역주민의 생생한 삶의 모습을 담은 민중 생활사로서의 지역사를 드러내는 데 성공을 거두었다고 볼 수는 없다. 그 까닭으로는 먼저 지역사 연구가 여전히 국가사 또는 민족사 연구 일환으로 시도되고, 그것도 사례연구로서의 성격을 지니는 것들이 많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지역사 연구가 연구자의 관심 영역에 따라 개별 분산적으로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지역의 구조와 특징을 총체적으로 드러내는데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과제들이 어느 정도 해결될 때, 지역사는 지방행정사 또는 지방정치사로서의 성격을 극복하고 지역공동체의 역사, 민중 생활사로서의 모습을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사의 인식 및 연구방법과 서술체계를 심도있게 모색해나가야 할 것이며, 자료의 수집과 정리, 그리고 채록을 통해 지역사 연구의 토대를 마련해야 하고, 지역사연구 전문단체의 설립, 지역사의 대중화라는 과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Regional history is an academic genre that shows the realistic lives of people through the general and momentary understanding of the economical, political and ideological aspects of an area or region. Regional history has not only its significance as a part of whole ethnic history but also represents its own original characteristics and values, and might be more concrete and real than ethnic history. Ethnic history or national history is likely to fail to show the concrete aspects of a society due to its institutional or structural problems, while regional history has the advantage of describe them virtually. Although regional history should describe real people in the space of a local community, its content and style up to now have been inconsistent. Some cases describe events after collecting and arranging certain vestiges or events in a row according to describer's intention regardless of the community's systematic structures and other cases as pseudo-regional history play an assistant role in researching national history. However, orthodox regional history as an independent genre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whole community history. Research on regional history has widely been conducted on the subject of local administration, local system, the social system of country villages, local powers, local culture, regional popular movements and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In spite of these studies, regional history has not succeeded to express its identity as popular residents. The reason is because research on regional history is still conducted as part of research on national history or ethnic history and futhermore, most of them are case studies. The next reason is because the research is limited to describ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generally owing to conducting research individually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er's interest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unless these problems are solved, regional history can never overcome the limitations of local administrative history or local governmental history and contribute as the history of local community and people's lives. In order to do th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cognition of regional history, approaches to it and a narrative system of describing it should be made, so that the foundation of research on regional history should be made by collecting, selecting, arranging and recording data and that professional organization for research on regional history should be established for its popularization.

      • KCI등재

        부마민주항쟁을 주제로 한 초·중등 지역사 교재 계열화 방안

        김민수(Minsu, Kim)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39

        지역사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소동 이후 민주시민교육과 지역사 교육의 관련성에 주목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지역사 교육을 통해 다원적 관점의 역사와 개인이 가진 다층적인 정체성을 배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기를 수 있다는 것이다. 2020년을 전후하여 각 시도교육청들이 지역사 교육 활성화 조례를 발표하여 지역사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도 불구하고 학교의 지역사 교육은 활발하지 않다. 교육과정에서 초·중·고등학교에 걸쳐서 지역사 교육을 명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3, 4학년만 지역사를 배우게 교육과정이 편성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 지역사 교육의 의미와 현 상황을 확인한 후, 이를 바탕으로 부마민주항쟁을 주제로 한 초등용과 중등용 지역사 교재 구성안을 마련하였다. 지역사 교육의 지향점으로 나로부터 출발하는 역사, 지역의 관점으로 본 역사, 지역사 하기를 설정하였다. 또 지역사 교육에 대한 초·중등 계열성을 설정하였다. 초등은 사실 이해를 목표로 가족과 이웃 등의 경험을 이야기로 구성한 교재를 제작하였고, 중등은 자신만의 역사관을 형성하기 위해 인과관계 및 탐구활동을 중심으로 한 교재를 제작하였다. 지역사 교재를 개발하는 과정을 통해 초중등에 걸친 지속적인 지역사 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역사 교육을 위해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에 지역사 교육의 당위성을 명시하고, 이를 역사교과서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사수업으로 실현해야 한다. 본 논문은 교육과정에서 초·중등에 걸친 지역사 교육의 계열성을 구상할 때 참고할 수 있다. Interest in local history education has increased. There was a study on the education of local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after the government s case of publishing a state-authored textbook. Recently, the education offices announced an ordinance to promote local history education. However, local history education in schools is not active. Because local history education is not properly specified in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nly third and fourth graders learn local history.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I checked the status and meaning of local history education. Next, I made a local history textbook for elementary and middle-high school students about Busan-Masan Uprising. I made textbooks that included history starting from m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gion, and local history. The textbook was based on the sequence of local history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learn history as a fact,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uld form their own view of history. It was confirmed that continuous education on local history, which led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possible. It should be described in the curriculum to educate local history. This study will be a reference to describing the affiliation of local history education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기록물을 활용한 지역사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 부산광역시 중등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도윤지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6

        The local history research started from the 1960’s postmodernism neted in the local history as the subject of diversity instead of National history. The local is being magnified as a new research theme among history scholar. In these circumstances, the local history research shows sign of activity and the movement that used in various ways at education has become more active. Compared to the contents business of local history, development of education contents what serviced for student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development plan of local history education contents using archives which efficient tool of history education. Students can grow the ability of historical inquiry, thinking, insight through archives-assisted learning. Also, self-learning is possible instead of a lecture by teacher. This research shows a development of archival contents for local history education though literature research, abroad case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 with history teachers. Concepts of the local history, local history education, education contents are examined at literature research. Local history education of the State Archiv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web site is analyzed. These state archives have been providing the web based service of archival contents for local history education for a long time. With these theoretical background, carry out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middle school history teachers. It draw conclusion that 14 category and 35 subcategory and these ar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archival contents for local history education. 1960년대의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출발한 지역사 연구는 국가사 중심의 역사를 지양하고 다양성의 주체인 지역에 주목하였다. 지역화가 사회의 주요한 현상으로 등장하면서 지역사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으며 이를 문화콘텐츠로 활용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이러한 지역사를 콘텐츠화 하는 사업에 비해 지역사 학습이 필요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콘텐츠 개발은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학습의 기본 도구인 기록물(사료)를 활용한 지역사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해외사례분석,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을 통하여 기록물을 활용한 지역사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지역사, 지역사 학습, 교육콘텐츠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고 정리하였다. 해외사례분석에서는 지역사 교육콘텐츠를 활발하게 서비스하고 있는 미국, 영국, 호주의 주립기록보존소들의 지역사 교육콘텐츠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들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부산 지역의 중학교 역사 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 지역사 교육콘텐츠 개발에 반영되어야 할 14개의 범주와 35개의 하위범주를 추출하였다. 이론적 토대와 사례분석, 면담을 통하여 지역사 교육콘텐츠의 개발 원칙과 절차를 제안하고 이 절차에 따라 부산의 지역사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역사, 지역사의 특성, 그리고 지역사회의 정체성 만들기

        이훈상 ( Hoon Sang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9 嶺南學 Vol.0 No.16

        이 연구는 지역사 연구의 절편화 경향의 문제점과 관련하여 지역사 연구의 이론과 실제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한국에서 지역사 연구들이 출현한 이래 방대한 성과들이 축적되고 있지만, 동시에 적지 않은 문제들이 산견된다. 특히 오랜 중앙 집권 체제의 역사적 전통을 배경으로 한국사의 지식 생산 시스템이 중앙의 헤게모니를 재생산하고 있음에도 지역사 연구들에서는 사실상 그 같은 현실에 대한 긴장감이 여전히 결여되어 있다. 지역사의 정체성을 모색한다는 구도 아래 이루어지는 지역사 연구의 절편화 경향도 이 같은 양상을 촉진하고 중요 요인이라고 믿어진다. 이 같은 지적 곤경을 넘어서려는 구도 아래 이 연구는 지역사에서 중앙과 지방이라는 이분 구도의 문제점을 보다 분명하게 드러내도록 전근대한국사회의 동질화, 지역적 상대성, 그리고 중재 기제라는 세 개념에 주목하고 그 같은 시점을 동래 지역사를 사례로 논의하였다. 기본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사에서 오랫동안 정착한 중앙집권체제에 대응하여 지방사회는 어떠한 방향으로 생존 방식을 키워왔는지에 무게의 중심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외면적으로는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시행하여 모든 지역사회에 대한 중앙 중심의 표준화를 고도로 성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지역사회와의 지속적인 절충이나 타협을 통하여 중앙집권 체제가 존속하였으며 여기에는 중재라는 기제가 근간이 되었음을 밝혔다. 중재는 조선왕조에서 하위 규범으로 간주되었으나 이것은 지역사회의 생존에 필수적인 이른바 변통의 중요 원리였다고 이해한다. 이러한 면에서 지역 사회는 중앙에 대립하기 보다는 중앙의 헤게모니를 인정하면서도 타협과 절충을 통하여 자신들의 이해를 도모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같은 작업 가설을 통하여 이 연구는 전근대 한국을 지역을 경계로 한 자족적인 사회로 상정하는 지역사 연구의 절편화 경향을 비판하고 새로운 조망을 제공하려 하였다. 즉 외부와의 연망과 중앙의 헤게모니도 지역사의 중요 속성임을 고려하면서 지역사의 특성을 도출하려 한 것이다. 요컨대 지역사의 특성도 늘 중앙과의 상관관계 아래 논의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지역적 상대성과 문화적 동질성과 같은 개념을 지역사 연구의 중심에 놓고 이것이 지역적 특성으로 전화하는 양상을 주목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구도야 말로 지역의 정체성 찾기라는 현재의 요구에도 지역사 연구가 부응할 수 있을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s the theory and practice of local history in Korean Studies. Because of long history of centralism, Korean Historiography has still strong tendency towards centralized hegemony. Even the local history as a new trends of Korean historiography has same problems. This study focus on making clear the concept of characteristics of local history. Unlike previous approaches, I employed three concepts as a analyze tool for local history. These concepts are cultural homogeneousness, local relativity, and practice of mediation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society. In the end, I suggest that the study of local history has need of creative tensions between center and locality reflecting the problems of centralism in Korean Studies.

      • KCI등재

        지방사를 넘어, 지역사로의 전환

        허영란(Hur, Young-Ran)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2

        이 논문에서는 지역사를 지방사와 예각적으로 구분할 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밝히고, 한국 근대 지역사 연구의 현황을 검토하여 ‘지역사로의 전환’이 갖는 적극적 의미를 제시했다. 지역사로의 전환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서는 첫째 중첩되고 교차하는 미시적 경험, 둘째 혼종적 사람, 혼종적 장소, 혼종적 문화, 셋째 식민지에서 ‘지역’의 발견과 재현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지방사 연구는 1980년대 이후 민중운동의 성장과 민주화, 냉전 종식과 더불어 수용된 ‘새로운 역사학’의 확산이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활성화되었다. 지방이 국가 또는 중앙에 종속되거나 주변화된 개념이기 때문에 지방사보다는 지역사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을 가진 연구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렇지만 지방사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연구자들 가운데도 지방을 자율적인 역사문화적 공간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므로, 지방사와 지역사를 혼용해도 무방하다는 의견 역시 강력하게 유지되고 있다. 그런데 지방이라는 용어에 지역 개념이 포함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연구 대상으로서의 공간적 범주와 ‘지역사가 추구하는 역사인식의 관점’을 구분하는 것은 담론의 측면에서 중요하다. ‘지방사’는 국민국가나 민족공동체 같은 거시사적 표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때문에 보편사로 수렴되지 않는 이질적이고 미시적인 역사들은 동질화되거나 삭제 또는 배제당할 처지에 놓이기 쉽다. 여기서 다원적인 시간과 문화가 중첩되어 있는 삶의 장소, 공동체와 개인의 적극적인 행위에 주목하는 ‘지역사(라는 관점)’를 설정해야 할 필요성이 생겨난다. 나아가 그것을 통해 마을이나 도시만이 아니라 국가까지도 지역사의 범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지역사 역시 지방이 처한 현실의 위계에서 자유롭지 못하지만, 학문적 실천으로서 ‘지역사라는 관점’은 현실의 변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현실의 모순구조가 완화되어 권력의 지역화와 분권화가 함께 병행되어야만 지역사 연구도 더욱 확실하게 발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shed light on the advantages of distinguishing regional history from local history at an acute angle, to review the current state of regional history research in modern Korea, and to propose the operational meanings of a transition to regional history. Local history research became active in the background of the times that included the spread of new historical studies, which was accepted along with the growth of popular movements, democratization, and the end of the Cold War since the 1980s. Today, more and more researchers state that it is valid to use the term regional history instead of local history since it is the concept of an area being subordinated or marginalized to the state or the center.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cases in which researchers use the term local history to set an area as an autonomous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is increasing. As a result, the opinion is consistently maintained that it is fine to use local history mixed with regional history. Even though the concept of region can be included in the term area, it is important for the discourse aspect to distinguish the space category as an object of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awareness sought after by local history.” Local history is not free from such macro-historical expressions as a nation-state and ethnic community. Thus, it is easy for heterogeneous and microscopic history that does not converge on universal history to be homogenized, eliminated, or excluded. Here there is a need raised to set (a perspective of) local history to focus on the place of life where multidimensional time and culture overlap each other and are on the active actions of the community and individuals. It can further work to even figure out states as well as villages and cities within the category of regional history. In addition, the “perspective of regional history” is important to reveal the contradictions of the reality in which areas are even called colonies, and search for ways to overcome it. There should be an active perspective and academic practice for the object of research beyond a directive in order to gain the power of changing the reality without neglecting or misleading it.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대비한 초등학교 지역사 학습 교재 개발 연구

        허영훈(Young-hoon, He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2

        필자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역사영역에서 지역사의 비중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내실 있는 지역사 학습을 위한 교재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하고, 지역사 학습 교재 개발 사례로서 하나의 실험적인 실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필자가 근무하고 있는 경기도 안성을 사례로 주제 중심의 지역사 학습을 위한 교재화를 시도하였다. 먼저, 교육과정 문해력을 발휘하는 가운데 지역에 소재한 문화유산, 역사적 인물, 옛이야기 등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가공하여 이를 주제 중심의 지역사 학습 교재로 변환해가는 과정을 실천적인 입장에서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다음으로, 지역사 학습 교재 개발의 결과를 제시하고 교육적인 의의를 밝혔다. 교육적 의의로는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을 앞두고, 지역사 학습 교재 개발의 과정을 정식화하여 제시했다는 점이다. 둘째, 교육과정 문해력을 발휘하여 아래로부터 만들어나가는 지역사 학습의 교재화 사례를 제시한 점이다. 셋째,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고, 자기 주도적인 지역사 학습이 가능하도록 주제 중심의 지역사 학습을 추구했다는 점이다. 넷째, 주제 중심의 지역사 학습을 통해 우리 고장에 대한 정체성을 인식하고, 애향심과 자긍심을 고취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타 지역에서도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다양한 주제 중심의 지역사 학습 교재화의 실천을 기대해 본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history learning materials of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 for regional history learning as the proportion of regional history in the history area of the social education curriculum of 2015 has significantly increased. Based on this consciousness, this study composed a textbook for the subject - centered local history learning in the case of Anseong, Gyeonggi Province. First,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transforming cultural heritage, historical figures, and old stories in the local area, while transforming the literacy of the curriculum, into a textbook based on the subject was initiated. First, we presented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local textbook and expressed educational significanc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is that the model of the development of the textbooks for the local company was presented before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applied. Second, this study presented the case of teaching textbooks of local history learning that is produced from below by demonstrating literacy of the curriculum. Third, students were interested in and pursued subject-centered local learning to enable self-directed regional learning. Fourth,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identity of our breakdown through theme-centered local history learning, and to promote a sense of self-esteem. Based on this study, we look forward to the practice of teaching textbooks based on various topics in other areas in the future.

      • KCI등재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 개발 방향과 적용

        민윤(Min Yun)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0

        역사교육의 대중화와 함께 새로운 지역사가 주목받고 있으며 지역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공공 역사를 통해 찾을 수 있다. 공공 역사는 공적인 역사 서술과 재현의 모든 형식을 포괄한다. 박물관, 미술관, 기념관을 포함해 모든 형태의 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역사하기가 포함된다.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은 지역민으로서의 정체성 형성의 측면과 민주시민으로서 자신의 삶과 연결되는 지역에 대한 학습을 통하여 역사적 행위의 주체로서 시민 지향의 역사를 추구한다. 또한, 공공 역사 기반 역사는 과거의 사건 또는 역사 과정을 경험한 참여자, 증인의 인터뷰를 통해 증언을 채록하고 역사를 서술하는 구술사 연구 방법과 만나게 된다. 또한 마을과 학교를 학생이 주도적으로 탐구하면서 학생 주도의 역사탐구가 가능해진다. 공공 역사를 통한 지역사 교육과정을 구성하면서 지역교육과정 체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지역교육과정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가지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권한을 지역/학교/교사에게로 돌려주는 것을 의미하며, 지역 수준에 맞게 내용과 방법을 선정하고 운영할 수 있는 체제를 의미한다.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 적용의 사례로 경기도교육청에서 추진한 구술사 프로젝트와 지역 근현대사 교육자료 개발 사례를 제시하였다. 구술사 프로젝트는 구술사 방법론을 중심으로 학교사 아카이브 구축, 구술 생애사, 일제 잔재 청산 등 다양한 활동과 다원적 관점의 역사하기가 적용되었다.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과 사례를 제시하면서 새로운 지역사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의미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이 내실화하기 위한 한계 혹은 개선점 또한 존재한다. 우선은 시민 지향, 다원적 관점의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을 초·중·고 학교급별로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Along with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education, new local history is drawing attention, and new horizons of local history research can be found throughout public history. Public history encompasses all forms of public historical narratives. The public history-based local history curriculum pursues citizen-oriented as a subject of historical activit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identity as a local citizen and the learning of areas connected to one s life as a democratic citizen. Public history-based history also meets oral research methods that record testimony and describe history throug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or witnesses who have experienced past events or historical processes. In addition, student-led historical exploration will be possible as students take the initiative in exploring villages and school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local curriculum system while forming a curriculum for local history through public history. A local curriculum means transferring the authority to organize and operate curriculum from the national level to the local community/schools/teachers, and establishing a system in which content and methods can be selected and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level. As an example of the application of public history-based local history curriculum, an oral history project performed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the region are presented. The oral history project focused on the oralist methodology, and applied various activities such as building archives of school history, oral life history, and liquidation of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 rule. With the direction and examples of the development of a public history-based curriculum for local history, the possibility and meaning of a new curriculum for local history were identified. On the other hand, there are limitations or improvements to the public history-based local history curriculum.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to systematically promote a public history-based local history curriculum based on citizen-oriented and pluralistic views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 KCI등재

        대학에서 지역사 교육의 방안 모색: 위키를 활용한 지역사 쓰기 사례

        이민우 청람사학회 2024 靑藍史學 Vol.39 No.-

        대학 역사 교육에서 지역사 교육의 방향과 구체적인 수업 방안에대해서는 초⋅중등 과정에서 지역사 교육에 대한 것만큼의 관심이기울여지지 않았다. 2022년 2학기 A대학 사학과 “안동생활문화사” 수업에서는 위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지역사 쓰기라는 방법을 통해대학에서 지역사 교육을 위한 방안을 시험하였다. 이 글은 수업의 문제의식과 목표, 실제 수업의 구성과 진행 내용을 소개하고, 수업을진행한 교수자와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평가를 제시함으로써 대학역사 교육에서 지역사 수업의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지역사 쓰기는 학생들이 지역사에 대한 지식을습득하고 역사학이라는 학문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하이퍼링크(hyperlink)를 통해 여러 문서들을 연계할 수 있는 위키의 특징은 지역사의 문제의식을 구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In university history education, not as much attention was paid to the teaching methods of local history education as to local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the “Andong Life and Cultural History” class at the Department of History at A University tested a method for teaching local history in university through a writing local history using Wiki software. This article introduces the problem setting and goals of the class, the structure and progress of the class, and presents evaluations of the class by instructors and students to provide reference materials needed to prepare a plan for local history classes in university history education. Writing local history is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acquire knowledge about local history and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of history.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of Wiki, which allow linking multiple documents through hyperlinks, can contribute to realizing critical awareness of local history.

      • KCI등재

        지역사 수업의 실행과 정체성 교육

        황현정(Hwang Hyu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0

        현재 중등 역사 교과에서는 지역의 역사를 교육 내용으로 다루고 있지 않고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지역사가 역사 수업에서 동기 유발이 용이하고, 학생들도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다. 또 교육의 목표 차원에서도 지역 정체성 형성을 통해 국가 정체성 교육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지역사 수업을 실행하여 정체성 교육의 역할과 의미를 재고해 보고자 한다. 기존의 정체성 교육은 국가 정체성 형성이라는 협소한 의미에 국한되어 있는데, 지역사를 통한 지역 정체성 형성은 애향심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활동으로 발현될 수 있다. 이는 민주시민으로서 가져야할 사회 참 여 의식을 기를 수 있으며, 민주시민 교육의 한 방법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제기에 따라 이 글은 지역사를 수업의 내용으로 가져와 수업을 구상 하고 실행하여 그 결과를 정리한 실행 연구이다. 지역 소재 학교에 근무하는 역사 교사가 해당 지역의 역사를 연구하고, 이에 근거하여 지역사 수업을 구상하고 계획 하여 진행하였다. 본 글에서는 이렇게 실행된 수업의 결과를 정리하여 기존 정체성 교육의 논의를 확장하고 의미를 넓히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classes of teaching local history in the middle school in Anseong city. The classes are aimed of the formation identity of the local category for connecting the civic identity or nation identity. For that all, teacher arranged the result of the local history studies during 4 years and then planed the classes using those for identification education in history subject and taught tally 5 times in 8 classrooms during 1 semester. And the conclusion of these classes is from the teacher s thought and the students responses in the planning and processing. Generally speaking, the history teaching and the Korean language class in public education was good for the formation identity, at this time, pointed the nation identity. But in the studies trend the identification vary in category by group, in acting by the status, in burdening the roll and as developing individual life time. So the public education have to emphasize on the variety of identity and considering the category or group. This study attention to this point. As a result in this study, the participation democracy in local is from the comprehension of local history partially and then such experiences and training in a classroom is possible in growing up the student s the citizenship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강원학에서의 地域史 연구 위상과 과제

        김정현 강원사학회 2017 江原史學 Vol.0 No.29

        As enforcing a local self-governing system, the local area was emerged as an autonomous main agent and the interest of area was high. As the interest of area was high, Regional Studies came to the fore during the situation of trying to find cultural excellence. In the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Gangwon area studies started up in 21C but it was not activated. Now, An institutional basis for the promotion and establishment of Research on Gangwon Studies was established, and it will be finished soon. Local history was a basis of Gangwon studies. Local history accord with the lives of local people and seek cultural identity through the primary purpose of the Gangwon studies. Local history and tradition that has existed from the past is published and has succeeded so far. Gangwon province and other institute complied a Local history in order to look for the root of independent capability and the symbol of future. As considering the core and interest of Gangwon studies, the status and proposition of Gangwon area history is very high. Gangwon studies have a practical aspect of suggesting future vision and helping the life quality. Thus the studies should not be stopped in basic studies. Now Local history showed the progress but the research result of the aspect of usefulness is very inadequate. Now it is just the fundamental frame of studying basic studies. It is also important but high stage of studying should be required. For example, diverse area such as education, study, creation, festival, cultural industry, intelligent industry should be required and used in order to made a added value of history. 지방자치화가 시작되면서 지역이 자율적 주체로 부각되고,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아졌다. 지역의 정체성 확립과 문화의 우수성을 발견하고자 하는 성찰 속에서 지역학이 대두되었다. 강원도에서는 2000년대 초 강원발전연구원의 강원학연구센터 설립으로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활성화되지 못하고 사장되었다가 2017년 현재 강원학 연구기관 설립과 진흥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고, 연구기관 재설립을 앞두고 있다. 강원학 연구 분야 중 지역사는 강원학 연구의 모태가 되는 학문이다. 지역사 연구는 지역민의 삶과 문화를 통해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강원학의 근본적 취지에 매우 부합된다. 지역사 연구와 편찬은 과거부터 있어온 전통이고 지금까지도 계승되고 있다. 강원도와 소관 자치단체는 주민의 자주적 역량의 근간을 찾고 미래의 표상을 제시하고자 주기적으로 지역사 연구와 편찬을 추진하고 있다. 강원학 연구의 본질과 관심을 고려할 때 그 연구 중심에서 강원지역사가 차지하는 비중과 위상은 매우 높다. 강원학은 도민 삶의 질 향상을 돕고, 미래비전을 제시한다고 하는 실용학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강원학 연구에 있어 지역사는 기초연구로 그쳐서는 안 된다. 현재 지역사는 양적·질적인 면에서 연구의 진척을 보이고 있으나, 활용가치 측면에서의 연구 성과는 매우 미비하다. 기초학문 육성차원에서 연구되어야 한다는 근원적 틀 속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정체성을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연구 결과를 활용하고 적용하여 강원도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지역사 연구 자료를 集積하여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교육·연구·창작·축제·문화산업·지식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역사자원으로서의 부가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