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 혁신 저항, 사전지식 및 광고유형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홍식,부이응옥중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혁신 저항성의 정도에 따라 그들의 사전지식 및 광고유형이 혁신제품에 대한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실제로 본 연구를 통해, 수신자로서의 소비자의 특성뿐만 아니라 송신자의 광고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다양하고 실증적인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보여 주었다. 첫째, 소비자의 혁신저항성 정도와 광고유형 사이에 소비자의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최적의 전략에 대해, 혁신저항이 높은 경우 비비교광고가, 혁신저항이 낮은 경우 비교광고가 더 높은 광고태도나 구매의도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둘째, 사전지식의 정도와 광고유형사이에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측정한 결과, 사전지식이 높은 경우 비교광고가, 사전지식이 낮은 경우 비비교광고가 더 평균적으로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태도의 경우 광고유형과 사전지식 모두에서, 구매의도는 광고유형에서, 사전지식과 광고유형사이의 상호작용은 두 개의 반응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입증했다. 특히 사전지식의 유형별 수준에서 비교하는 쌍별비교의 검증 결과, 사전지식이 높은 경우 비교와 비비교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전지식이 낮은 경우 광고유형의 차이에 따른 유의성은 검정되지 못하였다. 또한 사전지식 정도와 광고유형사이에서 구매의도에 대한 상호작용비교(사전지식 높고 낮음 경우에 비교와 비비교의 평균적 차이)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혁신저항성, 사전지식, 및 광고유형에 따른 혁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묻는 연구에서, 혁신 저항성이 낮은 경우, 광고태도와 구매의도 영향을 주는 사전지식, 광고유형, 및 사전지식과 광고유형사이의 상호작용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혁신저항성이 낮고 지식수준이 높은 정도에서 비비교광고 보다 비교 광고가 더 효과적인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형성했다. This study was to be designed to provide insights regarding the effects of innovation resistance(IR), prior knowledge(PK), and advertising appeal(ADA)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TA) and purchase intention(PI). Firstly, we examined attitude toward ATA and PI in two methods of ADA (i.e., comparative and non-comparative advertising) on the level of consumers' innovation resista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DAs for high IR and low IR separately. Secondly, we found that both the PK main effect and the ADA main effect are significan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PK and AA is significant.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IR, PK and ADA on ATA and PI and represented a difference in menas between comparative ad and non-comparative ad for high PK minus a difference in means between comparative ad and non-comparative ad for low PK while being low IR. And the practical as well as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지식의 유형과 국어과의 지식 범주

        김경남(Kim Kyung nam)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8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2 No.1

        이 연구는 지식의 정의와 유형에 대한 개념적 접근으로부터 지식사회학의 관점에서 국어과 교육과정의 지식 유형과 구조에 나타난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식 교육의 가치와 한계를 논의하는 데 목표를 두고 출발하였다. 지식은 철학 분야에서 시작하여 모든 학문 분야로 확산된 개념인데, 심리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지 또는 그 결과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된다. 지식의 유형은 분류 기준에 따라 다양성을 띠나 국어과에서 사용하는 지식 유형은 ‘명제적(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다. 이 유형에 따른 지식이 체계화된 것은 제7차 교육과정부터로 볼 수 있는데, 이 교육과정에서는 영역별 ‘본질 - 원리 - 태도’를 범주화하여 ‘실제’에 적용하는 방식을 취했다. 이 범주에 나타난 ‘본질’과 ‘원리’는 지식 범주에 해당한다. 2007 교육과정의 ‘실제’ 범주에 대한 ‘지식- 기능- 맥락’의 구조화를 비롯하여 2015 교육과정까지 지식이 국어과의 범주에서 배제된 적은 없었다. 그럼에도 지식 교육 무용론이자 지식 교육의 한계를 비판하는 지적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는데, 2015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 일반화된 지식 – 내용 요소 – 기능’의 재구조화가 기존의 지식 담론과 이론상 일치하지 않는 점과 같이, 국어과에서의 지식 교육은 그 나름대로 가치를 갖고 있으면서도 적지 않은 한계를 갖고 있는 분야이다. 이 연구에서는 지식 유형론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를 극복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concept of knowledge and to divide these knowledge into several types. These works contribute to discour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ategories theories. The concept of knowledge originated from philosophy that spread all the academic arena. In the field of education, curriculum is called ‘the structure of knowledge’. The category of knowledge appeared in the 7th curriculum. This curriculum structured three categories; essential, principal and attitude. These three categories act practical category. The 2007 curriculum structured Knowledge, function and context categories find out practical category inductively. The type of knowledge are classed as various criteria. The categories of educational knowledge divided into proposition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The 2015 curriculum emphasized on conceptional knowledge. The typology of knowledge is contribute on the value of knowledge education.

      • KCI등재

        지식기반 기업의 사무공간 구성에 대한 연구 : 핵심 업무유형에 따른 공간 면적비율의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우승현,최효식,윤혜경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5

        본 연구는 지식기반기업의 업무유형에 따른 공간구성과 업무효율에 관한 연구로써 연구의 목적은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켜 기업의 성공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사무공간 디자인을 위한 지침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의 방법은 겐슬러가 2008년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분류한 네 가지 핵심 업무유형인 집중(Focus), 협업(Collaborate), 학습(Learn), 친화(Socialize)의 공간이 전체 업무공간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비교분석의 대상은 외국기업의 사무실 네 곳과 국내의 사무실 네 곳으로 도면분석과 면적비율의 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비교․분석의 결과 국내사무실 네 곳 모두에서 집중공간의 면적이 전체 업무공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해외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협업공간과 학습공간에서는 큰 편차로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국내 지식기업은 개인적인 업무활동에 치중되어있으며, 팀 작업이나 자기개발을 위한 배움에 대한 공간적 배려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친화공간은 한 곳을 제외한 세 곳에서 해외사와 근소한 차이를 보이며 유사한 비율을 보였다. 이는 국내 지식근로자들의 유무선상의 커뮤니티를 통한 활발한 사회활동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국내 기업의 사회적 활동 정도는 해외기업에 상당히 근접해 있다고 파악된다. 결론적으로 국내의 지식기업들이 생산성 향상과 물리적인 사무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네 가지 핵심 업무유형에 필요한 각각의 업무공간 확보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지식기업의 사무공간 디자인에 필요한 근거가 되는 연구로써 향후 지식기반 경제에서의 업무공간 계획에 대한 기틀을 마련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민속 지식의 기록, 유형(有形) 자료의 존재 양상과 기능

        김태우(Kim, Tae-woo)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5 民俗硏究 Vol.0 No.31

        이 연구는 민속 현장에서 전승되고 있는 유형(有形) 자료에 주목하여 그 유형 자료들에도 민속지식이 반영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그 자료들의 존재 양상에 따라 민속지식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유형 자료의 기능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 공동체 의례와 관련된 자료들로 한정하였다. 이때 민속지식은 ‘민(民)들의 사고․언어․행동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된 유형․무형 일체의 문화현상 중에 일정한 사고 과정을 거쳐 분석 또는 체계화된 것’으로 정의하였다. 먼저, 유형 자료는 기록물과 물적 증거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에 기록물은 크게 집단에 의해 기록된 것과 개인에 의해 기록된 것, 공식적으로 기록된 것과 사적으로 기록된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집단에 의해 기록된 것으로는 족보, 동계문서, 현판, 비석 등과 지역의례와 관련해서는 좌목, 윤첩, 축문, 물목단자, 동제당 중수기, 회계장부 등이 있다. 개인에 의해 기록된 것으로는 문집류, 일기류, 분재기, 매매문서, 자서전류, 가계부 등이 있는데 이들 기록물은 지역의 사정을 잘 반영하고 있어 지역지식의 성격도 지닌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공식적으로 기록된 것에는 사서(史書), 군읍지, 고지도류, 신문․잡지류, 사전․보고서류 등이 있는데 사전․보고서류와 같이 민속지식을 적극적으로 수집․편찬하는 경우도 있다. 사적으로 기록된 것에는 국가나 관에서 발간한 것을 제외한 모든 것에 해당된다. 이렇게 사적으로 기록을 남기려는 목적은 후계자들에게 그 지식을 전수하기 위한 것과 의례를 공식화하고 그 전통적 권위를 획득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았다. 그 다음, 의례와 관련된 유형 자료에는 의례나 제당의 유래, 의례의 절차와 시기, 의례의 목적과 의미, 제물의 종류와 진설의 방법, 제당의 역사, 의례의 경제적 규모 등의 다양한 의례와 관련된 지식이 반영되어 있음을 알았다. 마지막으로, 유형 자료는 지역사를 재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유형 자료에 기록된 인물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역민들의 계층과 직업, 집거 성씨, 입향 시기, 유력 집단 등을 알 수 있다. 이는 유형 자료가 지닌 중요한 기능 중에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notices the tangible materials which are being transmitted in field of folklor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how reflected folk knowledge at the materials as existing aspect. Moreover, this paper addresses the function of the material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materials connected the regional community rituals in Seoul. At first, the tangible materials are classified records and material evidence. And records are classified the things were written by group and individual person. Secondly, the tangible materials are classified the things were written officially and privately. In the latter case is everything except for publications of the nation or the government office. Thirdly, the tangible materials connected the regional community rituals are reflected the history of the ritual or ritual building, the procedure and the date and time, the goal and mean of the ritual, a kind of ritual food and the way arranging the ritual food, the economic size of the ritual, and so on. Finally, the tangible material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constructing the regional history. Namely, the materials can show the class and job of the residents, the families which lived in generations, the time when came in the region, the powerhouse, and so 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eople recorded in the tangible materials. This is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 in the tangible materials.

      • KCI등재

        러시아 소비자들의 소비체험과 소비성과의 관계 -소비유형과 지식유형을 중심으로-

        김분태,공희숙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2 마케팅관리연구 Vol.17 No.3

        Using the data from a survey, this paper explores how consumption experience affects consumption performance when consumption types and knowledge types are different. Consumption experience wa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such as external and internal based on the industry classification index and ethnographic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each of dimensions of consumption experience has the influence and pretty much same weight on consumption performance. But upon the types of consumption and knowledge, the result was different. for hedonic consumption, internal experience affects the consumption performance more than external, on the type of practical consumption, external experience affects on performance more than internal. For knowledged consumers, both external and internal experience make effects on the judgement. But for the consumers in paucity of information on the product or service, managers need to mainly focus on inducing internal experience. Through these foundations, marketers need to manage consumers' experience and give different weights on each specific consumption experience following consumption type. And they also need to consider the consumers's knowledge intensity and the way it was formed to pursue the performance. These results accounts for Russian culture on the loose opportunity of consumption experience and the way of knowledge formation. 본 연구는 러시아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로 소비체험의 영역을 발견하고, 각 체험영역과 소비성과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소비유형은 소비자들이 방문한 곳에 대해 러시아표준산업분류 및 ethnographic 인터뷰를 통해 쾌락적 소비와 실용적 소비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러시아 소비자들의 소비체험은 내적 체험과 외적 체험으로 구분되며, 두 유형의 소비체험은 소비성과에 비슷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비유형에 대해서는 쾌락적 소비의 경우, 상대적으로 내적 요인이 소비성과에 크게 작용하는 반면에 실용적 소비의 경우, 외적 체험이 소비성과에 더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소비자 제품관련 지식에 대해서는, 높은 지식을 가진 소비자들은 지식유형에 상관없이 외적 체험이 중요하였으나, 낮은 개념지식의 소비자들의 경우, 내적 체험만 유의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영향력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러시아 소비자들에게 소비체험은 소비유형에 따라 다르게 관리되어야 하며, 체험의 세부 영역의 상대적인 고려도 달리 해야 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소비자지식이 실제 경험 혹은 간접지식으로 형성되었는가에 따른 성과의 차이가 크지 않음으로 인해 소비자지식유형의 차이는 고려하지 않아도, 지식의 정도에 따라 소비성과에 미치는 소비체험을 다르게 관리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체험의 기회 및 지식형성의 방식에 대해 다소 느슨한 러시아 문화에 기반 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의사결정 유형에 미치는 영향

        오은희(Ohe Eun Hee),김미애(Kim Mi Ai)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9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의사결정 유형의 차이를 탐색하고 현직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의사결정 유형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사의 실천 속에서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는 데 도움을 주는 실천적 지식의 기능과 역할을 파악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대전 · 충남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과 학생 중 교육실습을 다녀온 3 ‧ 4학년의 예비 유아교사 150명과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현직유아교사 2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사용하여 두 집단의 비교를 위해 두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실천적 지식수준과 의사결정 유형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현직교사가 예비교사에 비해 높은 실천적 지식을 지니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반면, 예비교사는 현직교사에 비해 실천적 지식 수준이 낮고 직관적, 즉각적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직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로 실천적 지식은 연령과 경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의사결정 유형 중 합리적 유형은 대학원 학력 이상의 교사들이 높았으며, 의존적, 회피형 유형은 어린 연령의 교사들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현직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합리적, 의존적 의사결정 유형과 정적인 상관성을, 직관적, 즉각적 의사결정 유형과는 부적인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현직교사의 교육환경지식과 유아이해는 교사의 합리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교육환경지식은 교사의 의존적, 회피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교육과정지식, 교육학습지식, 그리고 유아이해는 교사의 즉각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예비· 현직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과 교육경험을 활성화하여 유아교사들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도움으로써 유아교사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practical knowledge and decision-making types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preschool teachers. It also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in-servi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nd their decision-making types and how the practical knowledge have an influence on the types. 150 pre-service teachers who completed their practicum and 200 in-service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D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data analysis,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two group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levels and their decision-making styles using SPSS 22.0. The results showed first, in-service teachers have higher practical knowledge and reasonable decision making than in-service teachers, while pre-service teachers have lower practical knowledge level and make intuitive and immediate decisions than in-service teachers. Second, the rational type of decision-making was higher for in-service teachers with higher education than a graduate level, and the dependent and avoidance type were higher for younger age teachers. Finally, the practical knowledge of in-service teach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ational and dependent decision-making types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uitive and immediate decision-making types. In-service teacher s educational environment knowledge and child understanding influence their rational decision-making style, and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knowledge influences teacher s dependent and evasive decision-making styles. In addition, teachers’ curriculum knowledge, educational learning knowledge, child understanding have effects on their immediate decision-making style. It was discussed that it is importa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to help the teachers develop their practical knowledge so they can play important roles as rational decision-makers.

      • KCI등재후보

        비구조적 과제수행에서 나타나는 개인 지식창출활동의 분석

        고진경,강명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비구조적과제수행에서 나타나는 개인 지식창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과제수행시기와 학습자특성, 그리고 과제유형에 따라 변화되는 각 지식창출활동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제 영역에 대한 지식수준이 다른 연구참여자들이 비구조적 형태의 협력 및 개별과제를 수행하는 30개의 사례를 선정하고, 과제수행 과정을 관찰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내적, 외적 활동의 관찰을 위해서 성찰저널, 인터뷰, 설문, 학습시스템의 게시판메시지 등 다양한 형태의 질적자료를 수집하고 내용분석을 통해 빈도자료로 변환하였다. 도출된 양적자료는 ANOVA, Mann-Whitey 검정, Kruskal-Wallis 검정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0개 사례의 과제수행시기 간 지식창출활동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기의 활동 빈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4개의 지식창출활동 유형 간에는 유의한 빈도차가 나타났고, 그 중에서 의미화 및 지식창출 유형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과제수행시기와 지식창출활동 유형 간 상호작용 효과도 있었다. 학습자의 지식수준에 따른 지식창출활동 분석결과, 초심자 집단이 전체 지식창출활용 빈도가 더 높았던 반면 경험자집단에서는 시기와 유형에 따른 빈도변화의 폭이 컸다. 마지막으로 과제유형에 따른 지식창출활동 분석 결과 협력과제를 수행할 때 학습자들에게서 보다 많은 활동이 관찰되었으며 협력과제와 개별과제 모두에서 지식창출활동의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phenomenon in activity-based learning environment by identifying specific activities composing th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and analyzing how they work differently according to participant' knowledge levels, the types of tasks, and time periods. The concret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research purposes we as follows. When performing ill-structured task : Do the times, Participants' prior knowledge and the task types affect the utilization of activities for the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1) Do the times affect the utilization of activities for the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2) Do the times and participants'prior knowledge affect the utilization of activities for the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3) Do the times and the task types affect the utilization of activities for the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bove questions, I selected 30 cases in which collaborative/independent tasks were performed by the participants with different levels of knowledge in educational technology, respectively. While they performed the tasks, I observed their inside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To observe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diverse kinds of data were collected, such as interviews, reflective journals, surveys, and messages on the bulletin board in the learning system. They were converted to the frequency data according to category by content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frequency data, the utilization for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were analyzed by using ANOVA,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As for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eriods of tim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knowledge levels of participants and the periods of time. The Beginners Group showed a higher utilization in the sum of activity types.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Group recorded radical change in utilization of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with laps of tim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in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according to task type: the Collaborative Task showed higher utilization than Individual Task In both Task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between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 KCI등재

        국가지식정보 자원 분류 체계 표준화 연구

        고영만,서태설,조순영,Ko Young-Man,Seo Tae-Sul,Cho Sun-Yeong 한국문헌정보학회 200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정보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관리하고 서비스하는 국내의 모든 공공 기관과 민간 기관에서 공동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자료유형과 매체유형을 포괄할 수 있는 국가지식정보 분류표준(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기초 작업으로서 문헌분류 체계와 지식정보자원 분류 체계의 차이, 지식정보자원의 분류사례 및 지식정보자원 분류에 대한문헌분류 체계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기초 분석에 이어 국가지식정보 표준분류 체계 개발에 필요한 지식의 분야별 분포, 분류의 계층과 유연성 확보 방안, 지식정보 자원의 자료유형과 매체유형, 국가지식정보의 포털서비스 방안 등이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주제 분류표, 자료유형 분류표, 매체유형 분류표로 구성된 다원적 국가지식정보 분류 표준(안) 모형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out a draft for the standard classification of the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named "Knowledge Classification 'KC' is suggested. KC consists of 3 classification systems classification by subject, type of resources and type of media. The classification by subject has 12 main classes, and each main class has divisions. Main classes consist each of major discipline or group of related disciplines. The type of resources is classified by 10 types of content, likewise numbered 0-9, and the media of knowledge are classified by 8 types. likewise 0-7. In the Practice the notation always consists of 2 characters and 2 digits. The first character designate main class and the second character designate division. The first number designate the type of resources and the second number designate the type of media.

      • KCI등재

        공공조직 구성원의 신뢰기반에 따른 신뢰유형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 지방공무원의 인식수준을 중심으로

        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정보화정책 Vol.20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and to develop the optimal model about an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source-based trust and knowledge sharing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based calculative trust in organization, cognition-based trust in organization, cognition-based trust in supervisor, cognition-based trust in coworkers, and emotionbased trust in coworkers were set up as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research model, and sharing of tacit knowledge and explicit knowledge based on the knowledge content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shows that the suitability of each model has approximate value to the required level, and that emotion-based trust in coworkers significantly affects knowledge sharing for both the individual and integrated factors in hypothetical influential relationship.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o enable knowledge sharing in various situations by dividing the concepts of trust that affect knowledge sharing into a few types, and deriving the influential model of knowledge sharing by types. 이 연구는 공공조직 구성원의 신뢰기반에 따른 신뢰유형이 지식공유(암묵지식과 명시지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경험적으로 살펴보고 최적모형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모형의 구성변수로는 신뢰기반에 따른 신뢰유형을 조직의 절차적 및 분배적 공정성에 기인한 타산적 신뢰, 조직과 상사 그리고 동료에 대한 인지적 신뢰, 동료에 대한 감성적 신뢰요인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지식내용을 중심으로 암묵지식 공유와 명시지식 공유로 구분하였다. 분석 과정에서는 신뢰기반에 따른 신뢰유형과 지식공유를 구성하는 개별요인은 물론 이들 개별 요인들의 상위개념을 통합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 모형의 적합도는 요구수준에 근사하게 도달되었으며, 가설적 영향관계에서는 통합요인 및 개별요인 모두에서‘동료에 대한 감성적 신뢰’가 지식공유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의 정책적 함의로는 첫째,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신뢰 개념을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유형화하고 유형별로 지식공유의 영향모형을 도출함으로써 상황에 적합한 지식공유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과 둘째, 지식공유를 암묵지식과 명시지식으로 구분함으로써 지식공유의 내용에 따른 차별화된 지식공유의 촉진 방안을 모색하는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융합수업의 학습환경 설계와 ‘지식’의 의미에 관한 실천적 해석

        김선미(Kim, SeonMee)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미래교육학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융합수업 설계 과정에서 교과 지식 재구성에 관한 문제로부터 출발하여, 교사들이 지식을 어떻게 이해하고 수업 설계에 적용해야 하는지 논의하고자 하였다. 먼저 지식에 관한 다양한 견해들 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지식의 유형들이 융합수업에서 갖는 의미들을 고찰하였다. 구성주의 학습 의 관점에서 볼 때, 다양한 유형의 지식들의 의미와 그 형성과정이 융합수업 설계에 반영되어야 하 며, 교사의 전통적인 지식관에 따른 관점의 변화가 아울러 이루어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융합수업 설계는 교과서의 명제적인 지식의 융합과 재구성을 넘어서, 실천적 지식과 내러티브 지식, 암묵적 지식, 절차적 지식, 근경적 지식 등의 다양한 지식의 유형들과 연계된 학습 경험이 수업의 전 과정 속에 분산, 배치, 형성될 수 있는 수업의 학습환경 설계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교사의 융합수업 설계는 교과 지식과 학습자의 교과 융합적인 경험의 가교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며, 학습 자에게서 융합적 사고의 경험이 일어나도록 지원할 수 있는 학습환경 설계이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roblem of structuring knowledge for integrated curriculum, and tried to figure out how teachers needed to understand various meaning of knowledge. It is tried to comprehensively survey various types of knowledge an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m on the integrated classroom. From a constructivist point of view, it is discussed the types of knowledge should be reflected during the knowledge organization and a change of teacher’s traditional point of view on knowledge should be made. The teacher s integrated class design needs to go beyond the integration and reconstruction of declarative knowledge. The knowledge integration should be placed on the design of a classroom environment in that various types of knowledge can be dispersed, arranged, and formed in the entire process of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such as practical knowledge and narrative knowledge, tacit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and rhizome knowledge. It is emphasized that designing integrated curriculum should not be restricted in fusion and documentation, but rather in constructing a integrated class environment that supports learners to take place integrated thinking exper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