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교류체제, 지식공유와 지식활용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문중,권기환 한국기업경영학회 2015 기업경영연구 Vol.2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ransactive memory system and knowledge sharing/knowledge application influence on performance within a general team system by means of empirical analysis.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related effects of team learning behaviour on transactive memory system and the latter on performance. Also, it verifies the role of transacitve memory system as a mediator between team learning behaviour and performance, while recognizing its effect on team cohesive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of manufacturers based on the Seoul Capital Area and were analyzed to find out both correlation and causation among variables by using SPSS Ver.18.0 and AMOS Ver.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of professionalism and task coordination of TMS have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Second, both of professionalism and task coordination of TMS have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application. Third, knowledge sharing influences on knowledge application. Fourth, task coordination of TMS have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Fifth, only knowledge applic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erformance, but not in the case of knowledge sharing. The result implicates that knowledge sharing per se does not have to do with performance, but that knowledge should be shared and applied in order to ameliorate performance. Last but not least, th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application shows that knowledge application, knowledge sharing and the indirect effect of knowledge application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professionalism and task coordination of TMS.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problem with the generalization of results, constraining of time and cost, sampling is limited in metropolitan manufacturer by applying the extraction method opportunistic. Second, as collection of data was done by survey method and self-report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 there is a risk on the data by the respondent’s social desirability in this research. 현대기업조직에서 팀제가 보편화되고 팀 역량의 향상을 위해 정보교류체제와 지식의 공유와 활용이 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정보교류체제는 구성원간에 지식교류를 사회적 네트워크로 인식하고 구성원간 지식과 정보가 어떻게 공유되는지를 설명하는 유용한 개념이 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팀제 구성원을 대상으로 정보교류체제와 지식공유/지식활용이 팀 성과와의 관계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교류체제와 지식공유 간의 검정결과에서 정보교류체제의 전문성과 지식공유(가설1.1), 과업조정과 지식공유(가설1.3)는 정(+)의 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성원들의 전문적 지식과 다양한 지식의 조합능력은 팀구성원들이 직무를 수행하거나 목표달성을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지식, 경험 등을 상호간 공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둘째, 정보교류체제의 요인들과 지식활용간의 검정결과에서 정보교류체제의 전문성과 지식활용, 과업조정과 지식활용은 정(+)의 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종업원들의 역량을 높이고 조직에 공헌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원들의 지식공유와 지식활용을 강화하려면 정보교류체제의 전문성과 과업조정요인에 초점을 맞추어야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지식공유는 지식활용에 정(+)의 효과를 미치고 있어 이는 구성원간 지식이 활용되려면 지식공유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정보교류체제와 팀 성과간의 관계에서는 정보교류체제의 과업조정만이 정(+)의 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식공유와 지식활용의 성과와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에서 지식활용만이 성과에 정(+)의 효과를 미치고 있다. 이는 구성원들간 지식의 공유가 공유만 될 뿐 성과와 무관하며, 공유된 지식보다는 지식활용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지식공유와 활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에서 지식공유의 간접효과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며, 지식활용, 지식공유/지식활용의 간접효과 영향은 정보교류체제의 전문성과 과업조정요인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6, 가설7, 가설8의 매개효과검증에서 가설6의 지식공유요인이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은, 이는 단순히 구성원들의 지식공유(knowledge sharing)는 지식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는 과정으로, 구성원사이에 지식의 공유 자체로 끝나기 때문으로 해석되어진다. 그 반증으로 지식활용과 지식공유/지식활용은 전문성과 과업조정요인에서 매개역할이 존재하는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므로 정보교류체제와 성과사이에서 구성원들이 보유한 기존 지식이 활용될 때 조직공헌도가 높아지며 성과도 개선되므로, 지식의 공유가 아닌 활용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과학기술자 지식 교류 서비스 활성화 요소 비교 연구

        김재훈(Jayhoon Kim),윤정선(Jung-Sun Yoon)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2

        학문 분야의 융·복합화가 진행되고 웹 2.0 등장에 따른 온라인 협업 환경이 조성되면서 연구자들의 온라인 지식 교류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도 다양한 과학기술자 커뮤니티가 존재하나 단순 자료 교환 수준의 교류는 활발하나 고급 지식의 교류는 미약한 편이다. 글로벌 무한 경쟁 시대에 지식을 습득하고 자산화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연구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과학기술자들의 온라인 지식 교류 활성화가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자 지식 교류 서비스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참여 활성화, 지식 품질 제고, 교류 신속성을 주안점으로 하여 국내외의 다양한 지식 교류 서비스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특히 국내의 대표적 사례인 KOSEN What is? 서비스 운영 사례를 집중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류되는 지식의 품질은 필수 조건이며 보다 활성화된 지식 교류를 위해서는 전문가 참여 유도, 전문가 매칭 시스템 개발, 지식 교류의 신속성 강화, 사용성 편의성 증진, 재미 요소 도입 등 다양한 운영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With the convergence of disciplines in progress and Web 2.0 online collaborative environment, online knowledge exchange activities of researchers are increasing. Quickness of acquiring knowledge highly impacts on research productivity in the global era. Online knowledge exchange is critical service for researchers. In this study, knowledge exchange service model was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activate participation, knowledge quality improvement, quickness of exchanges. A variet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knowledge exchange services were analyzed, particularly Korean domestic service KOSEN What is? as for operational practice. It is confirmed that in order to stimulate researcher knowledge exchange the quality of the knowledges exchanged is essential and variety of operating activities are needed such as expert matching systems, enhancement of speed in knowledge exchange, ease of usability, and elements of fun.

      • KCI등재

        이업종교류와 지식 네트워크조직 : X-inefficiency 개념의 확장을 중심으로 based on enlarging the concept of X-inefficiency

        이재규 한국중소기업학회 2002 中小企業硏究 Vol.24 No.3

        지식이 자본과 노동을 대신하여 핵심 자원으로 인식되는, 소위 지식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기업은 자사의 핵심역량을 강화하는 것과 동시에 비교열위에 있는 자원은 아웃소싱하고 있으며, 자사가 소유하지 못한 자원은 시장에서 직접 구입하거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조달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일본에서 출발하여 우리 나라에서도 비교적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중소기업 이업종교류 활동을 지식사회에 적합한 일종의 지식 네트워크조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업종교류는 1970년대 산업사회적인 접근이었으므로 지식을 주요 생산요소로 하는 시대에는 적합하지 않는 측면도 있다. 다시 말해 라이벤스타인이 X-inefficiecy를 주장할 무렵에는 기업경영자는 내부의 비효율성을 해결할 수 있는 도구들이 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지식수준이 높아지고 코스의 거래비용이 극도로 낮아지면 외부효과의 내부화, 그리고 비효율적 자원의 아웃소싱이 가능해지므로 기업간 이업종교류 활동을 X-inefficiecy를 감소하는 지식네트워크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업종교류는 초기 단계에서부터 공동 활동 단계로까지 진화를 목적을 추진하지만 실적은 미미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이업종교류 활동을 지식사회의 중소기업들에 적합한 지식 네트워크 조직으로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으로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살려 이업종교류를 공동 개발형 이업종교류까지 진화를 추진하지 않는 대신, 정보와 지식의 상호교류 및 보완을 주로 하는 지식네트워크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이업종교류와 지식 네트워크조직을 종합적으로 비교하고 향후 이업종교류 활동의 방향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Instead of capital and labor, knowledge becomes the main production factor. That means we are entering into knowledge society. In knowledge society, corporate must on the one hand enhance it's core competence, and on the other hand outsource the weak area. And it purchases what it has not from outside. Or it makes a network. So coporate can reduce the degree of x-inefficiency. Likewise, Technology Mix can be used to lower x-inefficiency through using knowledge of others. In this point, the Technology Mix of Medium and Small Business developed in Japan 30 years ago can be considered as one of network organizations in knowledge society. But the original Technology Mix was based on and came out from industrial society in 1970s. So in many cases, it does not match with the corporates whose main resource is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Technology Mix as knowledge based network organization for medium and small business of Korea.

      • KCI등재

        글로컬 시대가 요구하는 지식의 새로운 지형도 - 동서사상의 간발적(間發的) 교류를 위한 시론 -

        박치완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논집 Vol.38 No.-

        오늘날 지식정보는 사람과 사람, 매체와 매체, 국가와 국가, 문화와 문화 간의 ‘사이’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우리 시대를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로까지 논정 (論定)되고 있다. 지식을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해 정보공시가 필요하다는 국내외적 요구는 이러한 지식의 변화를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지식의 디지털화와 정보화는 창의적 지식생산의 본래 목적에 부합한다고 간주하기 어렵고, 지식의 공적 사용과 향유에도 위배된다고 할 수 있다. 지식의 디지털화와 정보화가 오히려 지식의 독점화라는 역설을 낳고 있으며, 이는 곧 새로운 유형의 지식의 식민화라 볼 수 있다. 질 들뢰즈의 ‘지리철학’ 개념이며, 조너선 색스의 ‘문 화적 특수성’, 클리포드 기어츠의 ‘지식의 장소성’에 대한 논의가 적지 않은 사람들 로부터 설득력을 얻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지식, 특히 인문지식은 자연과학적 지 식이나 기술적 지식과 달리 문화적 로컬리티를 모태로 생산되고 소비된다는 특징이 있다. 예나 지금이나 동서사상 간에 ‘간발적 교류’가 원활하지 않았던 것도 이 때 문이다. 양자 간에 가로놓인 문화적 장벽이나 지식 격차가 디지털시대가 되었음에 도 불구하고 극복되기 쉽지 않은 것도 같은 이유 때문이다. 따라서 서구유럽의 지 역지(savoir local)가 마치 보편지나(savoir universel) 세계지(savoir global)처럼 포 장돼 문화적 개입을 일삼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다. 지식이 글로벌 강자들의 지배 의 논리로 전락하거나 지식의 식민화를 정당화하는 무기로 사용되어서는 곤란하다. 모름지기 지식은 온 인류에게 유익한 공공재, 인류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 본질이 있다는 것을 잊어선 안 된다. ‘글로컬 시대’를 맞이해 지식의 공공성, 즉 지 식의 공적 공유가 얼마나 중요하고 시급한지를 우리 모두가 되새겨보아야 할 때다.

      • KCI등재

        17세기 전반 北人系 南人 文士들의 교유 - 지식교류의 일 양상 -

        김효정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硏究 Vol.- No.83

        The 17th century was the period when national crisis called Horan(胡亂) swept Joseon after the Waeran(倭亂) and people strived to overcome the plight. Namin intellectuals originated from Bukin interacted acoss Geungi, Yeongnam(嶺南) province, and parties and promoted active knowledge exchange. Enthusiastic intellectual debate continued between Han Bae-gyeom(韓百謙) and Jeong Gyung-sae(鄭經世), and Lee Su-gwang(李睟光) and Jeong Gyung-sae by exchanging correspondence a couple of times. In this way, they expanded knowledge scope by revising and improving knowledge as they accept or rebut opinions of their counterparts. In addition, Kim Se-ryeom(金世濂) strived to spread Sung-Confucianism(性理學) knowledge in northern regions with Lee Sik(李植) by revising Seongrijaeui(性理字義) brought from Japan and publishing this book. 본고는 17세기 전반 북인계 남인 문사들의 교유 활동을 고찰하여 지식교류의 일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이루어진 글이다. 17세기는 왜란을 겪은 후 얼마 되지 않아 호란이라는 국가적 위기를 맞이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던 시기였다. 연이은 전쟁으로 인해 기존의 성리학적 질서가 흔들리면서 이를 재건할 새로운 사상과 지식이 요구되었다. 이 시기 북인의 사상을 지니고 남인의 당색을 띤 북인계 남인의 등장은 근기남인의 지식체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북인계 남인 문사들은 근기와 영남 지역, 당파를 넘나드는 폭넓은 교유를 통해 활발한 지식교류를 전개해 나갔다. 지식교류는 지식이 전달되고 수용과 변이 과정을 거쳐 새로운 지식으로 재생산되는 근간이자, 지식이 확장되는 원동력이 된다. 본고에서는 17세기 전반 북인계 남인 문사들의 지식교류 양상을 서신을 통한 지식의 수정과 보완, 서적을 통한 지식의 유입과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한백겸과 정경세 그리고 이수광과 정경세는 수차례의 서신 왕래를 통해 열띤 지적 토의를 이어나갔고, 상대방의 의견을 수용하거나 반박하는 등 지식의 수정과 보완을 통해 지적 영역을 확대해 나갔다. 또한 김세렴은 이식과 함께 일본에서 가져온 『성리자의』의 교정을 보고 이를 간행하여 북방지역에 성리학적 지식을 확산시키는데 노력하였다.

      • KCI등재

        知識交流와 經濟成長

        鄭鎭根 한국경제학회 2002 經濟學硏究 Vol.50 No.4

        이 논문은 새로운 지식을 생산함에 있어서 자국지식과 상대국 지식이 기여하는 바의 차이를 감안함으로써 국가간 지식의 교류로 인하여 각국의 장기경제성장률이 높아지는 경우 이외에 오히려 낮아지는 경우도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양국 지식이 각국의 새로운 지식생산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필연적으로 시장에서 결정되는 R&D 노동의 크기가 그 최적크기와 비교하여 차이나는 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1인당 GDP수준을 최적수준보다 더욱 크게 혹은 더욱 작게 변화시킨다. 이는 현실적으로 국가간 지식의 교류가 이루어지고 이들 지식의 내용과 기능이 서로 같지 않음에 비추어 볼 때 이와 같은 현실을 반영하여 지식생산함수를 규정하는 것이 R&D(지식생산)에 기초한 성장모형이 성장정책수립에 기여하는 바를 높이는 데에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argues that flows of knowledge between countries can make the growth rates in the steady-state lower as well as higher even in a R&D-based endogenous growth model, depending on the relevancy the accumulated knowledge of countries has to produce new knowledge in each country. It shows also, through a numerical analysis, how the gap between the size of R&D investment determined by market economy and the optimal R&D investment size changes due to assuming foreign knowledge have different magnitudes of externality from those of home country knowledge on producing new knowledge in each country.

      • KCI등재

        『국역 해행총재』를 통해 본 지식 교류의 두 층위

        김경남 ( Kim¸ Kyung-nam ) 부경역사연구소 2021 지역과 역사 Vol.- No.49

        이 글은 『국역해행총재』를 대상으로 시대 상황에 따른 지식 교류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 작품을 사행 기록과 피로·표류 기록으로 나누어 공식적인 절차를 밟아 이루어지는 지식 교류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지식 교류의 두 층위가 갖는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해행총재』는 조선 후기 일본 사행 기록(일기)을 모아 엮은 책으로 조엄의 『해사일기』에 따르면 洪啓禧가 처음 편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徐命膺의 『식파록』이 나왔다고 한다. 그러나 이 두 종류의 책은 그 실체를 알 수 없고, 또 『월봉해상록』이 간행될 당시 조엄이 쓴 ‘발문’에서는 그 당시 윤봉조가 일본 사행 기록을 모아 『해행 총재』를 편찬했다고 하나 이 또한 실체를 확인하기 어렵다. 그 이후 1914년 조선고서 간행회에서 『해행총재』 4책을 간행하였으며, 1975년 민족문화추진회에서 다수의 작품을 추가하여 이를 국역하였다. 이 점에서 『국역해행총재』는 조선시대 한일 지식 교류의 양상과 특징을 살피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지식 교류의 두 층위를 고려할 때 사행단과 피로·표류 기록은 공식성과 체험의 생동감 여부에서 차이를 보인다. 『국역해행총재』를 통해 볼 때, 근대 이전 일본과의 지식 교류에서 ‘사행단 기록’은 공식성을 띠며 그를 통한 서적 유입 등의 지식 유입이 이루어지는데 반해 ‘피로·표류 기록’은 격식적인 면보다 체험을 바탕으로 한 생동감이 잘 나타나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spect of knowledge exchange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for the GUKYEOK(Korean translation) HAEHAENGCHONGJAE(國譯海行摠載), and divides these works into meandering records and fatigue-drifting records to clarify the formal procedures for knowledge exchange and knowledge that takes place in unintended situations. It star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layers of exchange. According to JO EOM(趙曮)’s HAESAILGI(海槎日記), HONG GYEHEE(洪啓禧) compiled the first book, and based on this, SEO MYEONGEUNFG(徐命膺)’s SILPARPK(息波錄) was compiled. However, the reality of these two types of books is unknown, and in the BALMUN(concluding remarks) written by JO EOM at the time the WOLBONGHAESANGROK(月峯海上錄) was published, it is said that YUN BONGJO compiled the HAEHAENGCHONGJAE(海行摠載) by collecting Japanese meandering records at that time. It is difficult to ascertain the reality. After that, in 1914, the JOSEONGOSEOGANHAENGHOI(朝鮮古書刊行 會) published 4 books of the HAEHAENGCHONGJAE, and in 1975, the MINJOKMUNHWACHUJINHOI(民族文化推進會) added a number of works and translated them into Korean. In this regard, this books are a good resource for examining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during the Joseon Dynasty. Considering the two levels of knowledge exchange, the meandering group and the fatigue-drift record show differences in the formality and liveliness of the experience. According to these books, in the knowledge exchange with pre-modern Japan, record of the diplomatic mission(使行記錄) are formal and knowledge flows through them, such as inflow of books, whereas records of fatigue and drift had a vitality based on experience rather than formality.

      • KCI등재

        강위(姜瑋)의 연행록(燕行詩)에 나타난 한중(韓中) 지식인의 교류양상

        주승택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6 한국문화연구 Vol.11 No.-

        20세기 동아시아 각국에 근대국가가 설립하기 이전 동아시아 지식인들은 자국어 이외에도 한문(漢文)이라는 공통문어(共通文語)를 습득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들은 외교의 현장에서 마주쳤을 때 통역의 개입 없이도 의사소통에 별다른 지장을 받지 않았다. 그들은 필담(筆談)을 통하여 의견을 교환하고 화답시(和答詩)를 통하여 자신의 입장이나 감정까지도 무리 없이 전달할 수 있었다. 그들은 또 일정한 유교적 교양을 갖추고 있었고 불교나 도교, 중국의 제자백가(諸子百家)들의 사상에 대해서도 상당한 지식과 이해를 공유하고 있었다. 본고는 19세기 말엽 조선을 대표할 만한 시인이자 학자였던 강위(姜瑋, 1820~1884)의 두 차례에 걸친 중국 방문 과정에서 지어진 연행시(燕行詩)와 필담 기록인 담초(談草)를 통하여 두 나라 지식인들의 교류양상을 고찰하여 보았다. 강위는 제1자 중국여행인 1873~1874년의 중국여행에서는 어릴 적 친구인 정건조(鄭健朝)의 수행원 자격이었다. 그리하여 정건조를 수행하여 중국의 양무파(洋務派) 관리인 장세준(張世準)을 만나 국내외 정세에 관하여 여러 차례 필담을 나누었다. 또한 오홍은(吳鴻恩)과 만나서 교류하며 퇴직 고위관료인 그의 부친과 임명을 기다리는 예비 관료인 그의 동생을 소개받기도 하였다. 강위는 자신의 시집인『고환당수초(古歡堂收草)』와 자기의 제자인 이건창(李建昌), 정기우(鄭基雨), 홍기주(洪岐周), 이중하(李重夏) 네 사람의 공동시집인 『한4객시선(韓四客詩選)』의 비평을 장세준과 오홍은의 부친인 오겸복(吳謙福)에게 부탁하였다. 그런데 장세준으로부터는 시간이 부족하다고 거절당하였고 오겸복은 아들인 오홍은에게 지시하여 자세하게 비평하여 주었다. 강위는 기대와는 달리 중견 관리인 장세준, 오홍은과 교류하는 것으로 제1차 중국여행을 마칠 수밖에 없었다. 1874~1875년에 걸친 강위의 제2차 중국여행은 자신의 제자인 이건창의 수행원 자격이었다. 신분이 낮아 관직을 갖지 못한 강위는 수행원 자격이 아니면 중국에 갈 수 있는 기회 자체가 주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이 여행은 19세기 후반기 한국을 대표하는 네 시인 가운데 두 사람인 강위와 이건창이 함께 중국을 방문하는 특별한 경우였다. 그런데 1년 전에 자신들의 시집을 통하여 중국에 이름이 알려진 강위와 이건창은 1년 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중국 지식인들로부터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특히 당시 중국 지식인 사회의 중심인물인 서부, 황옥(黃鈺)과의 교류는 한중 지식인 교류 역사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뜻 깊은 교류였다. 그리하여 박제가(朴齊家), 박제가의 제자인 김정희(金正喜), 김정희의 제자인 강위 3대에 걸쳐서 한국과 중국의 정상급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100여 년의 기간에 걸쳐서 의미 있는 교류의 역사가 쓰여질 수 있었다. 강위의 스승인 박제가와 김정희가 주로 학문과 예술을 주제로 교류한 데 비하여 강위는 문학과 국제정세가 토론 주제였다는 사실은 시대의 변화가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Before the modern states were established in each countries of East Asia till 20th century, the intellectual people in East-Asian countries had acquired the common literal language of Chinese character as well as their own languages. Therefore, they had little difficulties in mutual communications without interpreters when met together in diplomatic conditions. They could discuss through literal communication and expressed their own standpoint or feelings through 'Hwadapsi(和答詩)', the replying poem, without any trouble. They also had some Confucian educations and considerable knowledges and comprehensions about Buddhism, Taoism or all philosophers and scholars in ancient China in common. In this study, the aspects of intellectual intercourses between scholars in Joseon and Ching are inquired through 'Yeonhaengsi(燕行詩)', poems of travel to Beijing, and 'Damcho(談草)', record of literal communications, written by Gang Wee(姜瑋, 1820~1884), the outstanding poet and scholar at late 19th century of Joseon, during two times of his travel to Beijing. Gang Wee was accompanied with Jung Geon Jo(鄭健朝), his old friend from childhood, as an escort at first travel to Ching from 1873 to 1874. And he met Zhang Shi Zhun(張世準), a government official and a member of Yang Wu Pai(洋務派), and discussed international state through literal communications accompanying Jung Geon Jo. He also met Wu Hong En(吳鴻恩) for intellectual intercourse and was introduced to Wu's father, a retired high-ranking official, and younger brother, a reserved official waiting appointment. Gang Wee asked Zhang Shi Zhun and Wu Quian Fu(吳謙福)(Wu Hong En's father), to comment about his own poetry, 'Gohwandangsoocho(古勸堂收草)' and 'Hansagaeksiseon(韓四客詩選)', poetry of co-work by his four disciples, Lee Geon Chang(李建昌), Jeong Gee Woo(鄭基雨), Hong Gee Joo(洪岐周), Lee Joong Ha(李重夏). But, Zhang Shi Zhun refused for the lack of time, and Wu Quian Fu ordered his son, Wu Hong En to comment in detail. Gang Wee returned from first travel to Joseon, satisfied with the intellectual intercourses just with Zhang Shi Zhun and Wu Hong En. For second travel to China, Gang Wee was accompanied with. Lee Geon Chang, his disciple, as an escort from 1874 to 1875. Due to his low social status, he had no chance to travel to Ching except accompanying as an escort. This travel was very special, as Gang Wee and Lee Geon Chang visit Ching together, for they were two of four outstanding poets at late 19th century in Joseon. They were, however, welcomed enthusiastically by the intellectual people in Ching incomparable with the situation of an year before because they were well known in Ching by their poetries introduced an year before. Especially, the intellectual intercourse between Xu Fu(徐부), Huang Yu(黃鈺) and Gang Wee, Lee Geon Chang was the last significant intercourse between scholars in Joseon and Ching, for Xu Fu and Huang Yu were the important opinion leaders in Ching. With Park Je Ga, Kim Jeong Hee(Park Je Ga's disciple), and Gang Wee(Kim Jeong Hee's disciple), there could be the significant intellectual intercourses between scholars in Joseon and Ching for one hundred years or so. While Park Je Ga and Kim Jeong Hee had the intercourses about scholastic pursuit and arts, Gang Wee discussed literature and international state, and this difference was the result of periodic change.

      • KCI등재후보

        어느역사교사의‘가르치기 위한지식’연구 -내용교수지식(PCK)과교수학적 전환(DT), 그리고실천지식-

        천은수 한국역사교육학회 2009 역사교육연구 Vol.- No.10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hed light on what pedagogical knowledge is and its theory and practice are. Pedagogical knowledge of history teacher can be defined as the one used to transform the key points of each theme of history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m well, which is combined with content knowledge, knowledge of learners, curricular knowledge, knowledge of educational contexts, knowledge of educational method, and so on. Teachers with highly developed pedagogical knowledge can link historical contents with daily experience of students and reconstruct them through appropriate comparisons and examples and guide students to the intended direction by easily catching which part students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To teach effectively, teachers should accumulate their own teaching experiences and share the practical knowledge with other history teachers. The text provided a brief insight into“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and “Didactic Transposition”as well as some pedagogical knowledge I’ve given a lot of thoughts on and tried. Although my practical knowledge is individual and hard to bridge with the theory, I tried to introduce some pedagogical knowledge and examine them not only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but promote this Action Research. Every history teacher has their practical“ pedagogical history knowledge”in real classes, which makes teachers give quite different lecture even with the same content. Limited to teachers’individual experiences and studies, pedagogical knowledge drawn from them is neither being accumulated nor shared effectively among teachers. It is desperate to open history teachers’ personalized pedagogical knowledge and share them to offer more alive and concrete history class to students. It is recommended that by keeping monitoring their own class, teachers try to find out what kind of questions motivated students, what kind of themes were too simplified or distorted and what kind of contents could be easily explained though comparison, metaphor and examples. Through this process, teachers should share what they have found reasonable and effective. It is also necessary to compile these individual history teachers’ “practical pedagogical knowledge”and theorize it.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교사의‘가르치기 위한 지식’이 무엇인지 그 이론과 실제를 살펴 보는데 있다. 역사교사의 가르치기 위한 지식이란 역사 주제별 핵심 내용을 학습자에게 잘 이해시키도록 변환하는데 동원하는 지식으로, 그것은 역사내용지식· 학생이해지식· 교육 과정지식· 교실상황지식· 교육방법지식 등의 혼합물이다. 가르치기 위한 지식이 발달된 역사교사는 역사내용을 학생들의 일상적인 경험과 연결시키거나 적절한 비유나 예시를 통 해 학생에게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자유롭게 변환시키고, 본인이 설명한 내용 중 학생들이 무엇을 어려워하고 이해하지 못하는지를 알고 이를 지도할 수 있다. 잘 가르치기 위해 교사 는 경험을 축적하고, 동료교사와 실천 지식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본문에서는 먼저 가르치기 위한 지식과 관련되는 이론이라 할 수 있는“내용교수지식 (PCK)”과“교수학적 전환(DT)”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필자가 고민하고 실천해 보았던 가르치기 위한 지식을 소개하였다. 실천 지식은 구체적이고 개별적이기 때문에 이론과 바로 연결하기 힘든 점도 있지만‘가르치기 위한 지식’의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줄이고 실천 연 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이를 함께 살펴보는 형식을 취하였다. 모든 역사교사는 교실수업을 통해 자신만의‘가르치기 위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그래 서 같은 교과내용이라도 교사마다 다른 수업을 펼치게 된다. 가르치기 위한 지식은 현재, 교사 혼자만의 고민과 실천으로 그쳐 축적되지 못하고 있다. 실제 교실에서 실천해 본 개별 사례를 공개하여 구체성과 현장성을 가진 역사교사의 가르치기 위한 지식을 함께 나누는 것이 절실하다. 교사는 자신의 수업을 끊임없이 반성하며 호응이 좋았던 발문이나 은유·비 유 예시로 이해 가능하도록 조직한 내용, 지나치게 단편화하거나 왜곡해서 가르친 주제 등 을 기록· 발굴하여 동료교사와 공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교사들의 실천 지식을 귀납적 으로 수렴하여 교수학습 이론으로 정리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