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김정원,최소린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reflection journals and project output collected from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la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pre-service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 education in N-gu, Seoul, Korea. To analyze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ir reflection journals and project outpu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felt uncomfortable at first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but came to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various materials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e future.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ir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me to understand the need for a fundamental change of life style as responsible members of society and future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의 과정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4년제 유아교원 양성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40명이 8주간에 걸쳐 진행된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에 참여하면서 작성한 반성적 저널과 프로젝트 결과물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예비유아교사들은 본 연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에 참여하면서 초기에는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하여 막연한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으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필요성을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업이 진행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해보는 기회를 통해 지속가능발전의 의미와 중요성을 깨닫고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은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특히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으며,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용으로는 환경적 영역, 사회적 영역, 경제적 영역과 관련된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은 본 연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과정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사회를 이루고 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사회구성원으로서, 그리고 미래의 유아교사로서 스스로가 지속가능한 방식의 삶을 살아야 할 필요성을 깨닫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리교육의 역량 고찰

        이민부 ( Minboo Lee ),김걸 ( Kirl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5 No.3

        1972년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UN 인간환경회의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이 제시되었고, 1992년 브라질의 리우 데 자네이루에서 열린 UN 환경개발회의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이 주요 의제가 되었다. UN의 권고에 따라 2000년 9월 한국에서도 정부 주도의 대통령 직속 자문위원회 격인 지속가능발전위원회가 발족되었다. 지속가능발전위원회에서 제시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은 `사회통합, 환경보호, 경제성장`의 연계였다. 그 동안 한국 지리학자들이 수행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에 대한 연구 주제들은 주로 도시와 지역의 개발과 촌락의 보전에 대한 것이다. 지속가능한 발전이나 지속가능성의 현실적인 적용에 대한 비판을 보면, 경제성장을 우선시하고 환경이 부차적으로 인식되거나 개념 중심의 형식적인 구호가 될 가능성 높다는 점과 선진국 중심의 개념이라는 점 그리고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담론만을 다루었다는 점 등이다. 즉 이론적 담론에 머물러 실질적인 정책 실현으로 구체화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지속가능성 및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 지리교육과 지속가능한 발전의 관계성을 서지학적으로 고찰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리교육의 역량을 제시하는데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 혹은 지속가능성교육은 지역, 공간, 장소를 주제로 하는 지리교육과 지리학에 매우 적합하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은 글로벌 지리(세계지리)와 국가지리(한국지리), 지역지리가 공간적으로 연결이 되면 더 많은 성과를 이루어 낼 것이다.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was first suggested at the UN Conference on Human and Environment(UNCHE) in Stockholm, Sweden in 1972. In 1992, the main agendum of the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UNCED) held in Rio de Janeiro, Brazil was sustainable development. On September in 2000, Korea had founded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PCSD) under the government leadership as suggested by the UN. The concepts of PCSD were `social integra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nomic growth.`The study topics on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geographers have most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ities and regions, and the preservation of villages. Considering the criticism on the realistic appli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or sustainability, it may prioritize economic development and put the environment behind it or become a formal slogan, a concept for the advanced countries only, or Neoliberalist globalization discourse. These criticisms should be considered when realizing the relevant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the concep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ility,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y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bibliographicall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r sustainability education is very suitable for geography education focusing regions, spaces, and places. Geograph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ould be more effective when global geography, national geography, and local geography are spatially connected.

      • KCI등재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 전략

        황혜연(Hwang Hey Yeon),김윤정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문제연구 Vol.18 No.1

        본고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의 주된 관점을 설명하고, 학교내에서 이루어지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사례를 분석해봄으로써 그에 적합한 교육전략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속가능한 사회속에 포함되어져야만 하는 요소들에는 자연, 전체로써 집단, 사람들의 삶의 형태들이며, 지속가능한 발전의 원리는 환경적인 문제를 넘어서 모든 인간의 삶속에 도입되어져야 한다. 지속가능발전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공동체의 미래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룩할 수 있도록 지역공동체의 관련 영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변화시키며 모험화시킬 수 있는 비판적 사고능력을 필요로 한다. 둘째, 한국 학교내에서는 다양한 동아리 활동과 학교 특성화 사업 등을 통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동아리 활동과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그램속에서,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적 문제를 교육과 연계하여 고민해보고 해결해보도록 함으로써 비판적사고의 향상을 꾀하고, steam수업을 통해 경험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하고 통합적인 사고력향상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좋은 프로그램들에 대해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자료를 찾아보는데 약간의 어려움이 있었고, 단기적인 프로젝트로 끝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한국의 학교교육현장에서 적절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발전과 실행을 위해서, 정부와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의 협력을 필요하다. 또한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기적인 국가 계획수립이 필요하며, 프로젝트 수업, 전략적 질문, 경험학습, 스토리텔링, 독서를 이용한 다른 교과목과 관련된 학습방법등과 같은, 학교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그것을 잘 운영할 수 있는 적절한 교사교육과 교사의 배치, 그리고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ain the main poi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xamine and analyze the example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hich has been practiced in education circumstances of Korea and think over appropriate strategies. The conclusions are following: First, sustainable development approach can be a framework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erms of whole society. The factors which should be included in the sustainable society are, at least, nature, group as an aggregate, mode of living existence of people. And the principle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introduced in all around human life area beyond environmental principal. To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we needs the critic abili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hange of community for the sustainable future and make model for sustainable social development amid dynamic changes and various risk in our society. Seco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done at school in Korea throughout various activities of groups and special projects. Various activities of groups and programs, which is connected with communities, improve critical thinking by worrying about problem associated with things around the children and searching solutions. Throughout Steam, children can obtain experienced knowledges and improve integrated thinking abilities. Also, children can extend the range of thinking through reading and obtain the mind of care, supporting each other. However searching materials about great programs shared with one another is a little difficult, and usually they are short-term projects. Third,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n Educational circumstances, we need the cooperation of the government, schools and local community. We need a long-term policy which is continued for period and we need to develop appropriate methods and apply to education environment in our school such as project learning method, strategic Questioning, experience learning, storytelling, the learning methods which is associated with other subjects using reading and so on. Also we need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to opera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ell and appropriate arrangements of teachers and support.

      •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의 역량평가 지표 틀 탐색

        유의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정책자료 Vol.- No.-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20세기 후반의 세계의 경제성장이 인류의 주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세계화로 대표되는 오늘날의 자본주의 경제 하에서 환경성·사회성·경제성이 통합되는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다. 하지만 지속가능발전과 과학기술을 연결하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의 국내외 지속가능발전 평가에서 과학기술 측면은 간과되거나 일부분에 그쳐 심층적 진단 및 분석이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의 과학기술이 지속가능발전에 이바지하도록, 과학기술의 지속가능발전 기여 역량을 평가하는 지표와 틀을 탐색한다. 주요 연구내용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과 과학기술의 관계를 조망하였다. 지속가능발전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지구 자연 및 사회경제 환경 변화와 지속가능발전 이슈를 정리하고 지속가능발전 기여 과학기술의 궤도도 추적하였다. 이어서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의 지표 틀을 모색하는 동시에 국내외 지속가능발전 지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 기여 과학기술의 지표 틀을 추구하였다. 결론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과 과학기술의 연결을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수행하였다. 그러한 논리적 토대 위에 지속가능발전 이슈, 특히 우리나라의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기술들의 내용이 필요한 지 드러냈으며, 그 기술들의 역량평가 지표와주요 세부기술을 시안적으로 소개하였다. 정책제언본 연구의 지표 틀은 기술영향평가, R&D 자원배분에 활용하여 지속가능발전 기여 과학기술에 더 많은 자원이 배분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국가 전략 측면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의 주요 테마인 기후, 에너지, 수송, 국토, 자원 및 폐기물 관리를 통합하는 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이어서 경로의 통합 전략 전략도 추천하였다. 지속가능발전의 핵심 경로인 분리(Decoupling), 혁신, 합리의 통합전략이다. 요 약 제1장 서론 23 제2장 지속가능발전과 과학기술의 관계 29 제1절 지속가능발전의 개념과 특징 29 제2절 지구 자연 및 사회경제 환경 변화와 지속가능발전 이슈 35 제3절 지속가능발전 기여 과학기술의 궤도 53 제3장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의 지표 틀 73 제1절 국내외 지속가능발전 지표 분석 73 제2절 지속가능발전 기여 과학기술의 지표 틀 탐색 92 제3절 정책적 시사점 130 참고문헌 133 부록 137 A. 선진국의 지속가능발전 헤드라인 지표 137 B. UN의 지속가능발전 테마와 지표의 연관도 143 C. 지표 배합 적절성 점검 매트릭스 예 145 D. 과학기술의 역량요소의 다양한 매트릭스 146 E. 지속가능발전 기여 과학기술의 세부 내용 147 URL : http://www.stepi.re.kr:8080/app/report/rss.jsp?cmsCd=CM0013

      • KCI등재

        지속 가능한 교양으로의 전환

        오혜림(Hyerim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의 기본원리와 가치에 입각한 고등교육을 통합시킨 독일의 고등교육 사례를 탐색하여 지속가능발전 관점에서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 발전 방안 개발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대학 교양교육의 실천 가능성에 중요성을 두고, 지속가능발전교육 이행을 위한 운영 체계를 개관하였다. 우선, 독일이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기관 전체적 접근을 적용하여 대학에 적합한 지속가능발전 가치를 내재화한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후 지속가능발전 관련 기관 전체적 접근 방안에 대한 전략을 이행하고 있는 독일대학 사례를 우선 실천영역에 따라 검토하였다. 결과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가치를 실현하는 독일 고등교육체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지속가능발전교육 이행을 위한 독일 고등교육 운영 체계는 ‘ESD 국제 실천 프로그램’, ‘지속가능발전교육 2030’와 같은 국제 운영 체계를 토대로 정립되었다. 독일 연방 교육 연구부의 재정 지원을 통해 운영된 대학 공동 연구 프로젝트는 고등교육기관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대학은 대학의 특성과 발전 방향에 적합한 지속가능성의 공통 개념과 실천영역별 이행 전략을 대학기관 전체 관점에서 발전시키고 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 대학 교양교육 과정에 적용 가능한 전략적 실천방안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article explores a German university case that integrates the principles and valu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principles into all aspects of the German higher education system. The study sets out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strategies from a sustainable development perspective to support general education in South Korea. Methods This paper gives an overview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for implementation whi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 in the practice and possibilities of general education. Theses are examined to probe how Germany adapts and applies a whole-institution approach to embed the value of sustainable development. A German university case of adapting the whole-institutional approach towards sustainability is then provided. Priority action areas are reviewed for the analysis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action through the approach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illustrative cas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rman higher education system that realizes the value of sustainable development are as follows. A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builds upon the global framework for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ch as the Global Action Programme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Towards achieving the Sustainable Developing Goals(SDG). A joint research project funded by the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BMBF) is to establish guidelines for highe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the guideline each university develops a common concept of sustainability and transformative action program that promote the whole-institution approach. Conclusions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provide insights for general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This approach will prove useful in expanding our understanding of how apply to the whole-institution approach to general education in South Korea.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실과교육의 관계

        이건남,정남용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1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실과교육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실과교육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목적 및 내용을 분석하였고, 기존에 수행하였거나 수행중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고찰하였으며,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실과교육의 비교 분석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실과교육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이 달성하고자 하는 교육적 이념과 방법은 거의 일치하고 있다. 둘째,실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용은 보다 깊은 관련을 맺고 있어 실과교육을 이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행 가능성은 매우 높다. 셋째, 실과교과를 근거로 하여 다양하게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할 수 있다. 넷째,지금까지의 결론을 바탕으로 볼 때 실과교육은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므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the relations betwee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evaluating and analyzing both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objectives an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analyzed, previous and still conducting programs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and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deology and the methods for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almost identical to each other. Second,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very highly related, so that it is very likely succeed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in performing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ird, there were various ways to develop the programs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the Practical Arts subject. Forth,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could take a pivotal role in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due to the close relations betwee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지속가능 HCI: 한국 HCI 학회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기여 분석

        Carl Hannes Lohmander,이기현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본 연구는 지속가능 HCI 측면에서 한국 HCI 학회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기여를 분석한다. 지속가능발전은 현재와 미래 세대의 필요를 모두 충족하는 개발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United Nations (UN) 은 지속가능발전 목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만들어 우리가 지속가능발전에 구체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UN의 지속가능발전 목표 17 개에 대한 내용을 기초로 기계학습 분류기를 만들어 한국 HCI 학술대회 논문의 지속가능발전 기여 정도를 측정한다. 이를 통해, 한국 HCI 학회가 지속가능발전 목표 달성에 고르게 기여하고 있는지, 지속가능발전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한국 HCI 학회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그 결과, 한국 HCI 학회는 그동안 지속가능발전에 기여를 하고 있었지만, UN SDGs 측면에서 고르지 못한 기여를 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발전과 SDGs・ESG 실천에서 문화의 의미와 역할

        이창언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1

        Meaning and Role of Culture in Sustainable Developmentand the Practice of SDGs·ESG Changeon Lee* Abstract: This article provides a forum for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citizens, to identify as subjects aiming for a sustainable society and to think together about how culture can contribute to a “sustainable society”. This means that young people, citizens, and various stakeholders of society are not passive customers of social activities, but are actively involved in the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of the earth-state-city and play a role as producers and policy actors of a sustainable development culture aimed at a sustainable city. This article discusses the role of culture in improving citizens’ well-being and realizing a “sustainable society” through democratic development while identifying citizens as a sustainable city-oriented policy or a subject of cooperation and governance. Key Words: Sustainable Development (SD), Sustainable Development Cultur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ESG, Mecenat □ 접수일: 2024년 2월 10일, 수정일: 2024년 2월 18일, 게재확정일: 2024년 2월 28일* 신경주대학교 SDGs·ESG 경영학과 교수(Professor, Singyeongjoo Univ., Email: satyagraha21@naver.com) 지속가능발전과 SDGs・ESG 실천에서 문화의 의미와 역할 이 창 언 연구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지속가능한 사회를 지향하는 지속가능발전과 문화의 관계를 살펴보고. 둘째, 지속가능발전(SD)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실행에서 문화의 중요성을 고찰한다. 연구 방법: 지속가능발전문화와 관련한 국내외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논의를 수행하였다. 연구 내용: 문화와 지속가능발전의 관계, 문화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지속가능발전목표)을 포착하는 것은 어떻게 가능한지, 사회의 문화와 문화적 다양성은 ‘지속가능발전’,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어떻게 연결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결론 및 제언: 문화예술과 지속가능발전을 전체적으로 구성하는 시스템의 구조에 주목하여 SDGs의 이행과 실천과정에서 문화의 위상의 중요성을 제언했다. 사회, 경제, 환경 기둥의 통합적 발전이라는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전제로 지속가능발전문화전략, 메세나(Mecenat)와 ESG 등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문화적 실천과 이를 장려하는 문화 관리 메커니즘의 구현을 지원하고 촉진하기 위한 정부-지방정부, 기업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핵심어: 문화, 지속가능발전(SD), 지속가능발전문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ESG 경영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