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지(地方誌)와 구술사 : 경기남부 지방지를 중심으로

        윤택림 한국구술사학회 2012 구술사연구 Vol.3 No.2

        이 글은 최근 지방지 편찬에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구술사 연구가 지방사 연구에 서 필수적인 구술 기록 수집을 동반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필자는 최근 경 기 남부 지방지에서 활용되고 있는 구술사가 지방사 연구에 어떤 기여를 하고 있으며 어 떤 과제를 남기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로 한국 지방사 연구의 성과와 쟁점들을 검토한다. 두 번째로 지방사 연구에서 지방지의 위치를 자리매김하면서 지방지의 과제를 정리한다. 세 번째로 필자가 집필자로 참여했던 과천시지, 광주시지, 군 포시지, 수원시지, 수원서둔동지, 의정부시사에서 어떻게 구술 자료가 수집되고 활용되었 는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지방지가 진정한 지방사 연구가 되기 위해서는 지방의 공동체 아카이브 구축과 더불어 편찬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설문원 한국기록학회 2012 기록학연구 Vol.0 No.3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strategies to build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for documenting localitie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chapter one, the chapter two deals with categorizing participation types of persons and organizations for documenting localities, analysing characteristics and benefits of each type, and listing up the requirements of participatory archive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e chapter three focuses on the analyses of digital archives especially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organizations such as collecting institutions and community archives in USA, Canada and UK. The cases of participatory archives are divided into two types; i) digital archives based on archival collections of institutions such as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ii) digital archives mainly based on various community archives. Online Archives California(OAC’ and Calisphere of University of California, MemoryBC of British Columbia of Canada, and People’s Collection Wales of UK as the first type cases, and Connecting Histories of Birmingham, ‘Community Archives Wales(CAW), Cambridgeshire Community Archive Network(CCAN), Norfolk Community Archives Network(NORCAN) as the second type cases are selected for comparative analyses. All these cases can be considered as archival portals since they cover collections from various organizations. This study then evaluates how these digital archives fulfill the requirements of participatory archives such as : i) integrated search of archives that are to be distributed, ii)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nd iii) providing broader contextual information and representation of context as well as contents of archives. Lastly the final chapter suggests the implications for building participatory archives in Korean local areas based on following aspects : host organizations and implementation strategy, networks of collection institutions and community archives, preserving and reorganizing contextual information, selection and appraisal, and participation of records users and creators. 이 논문은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방안을 개인과 조직의 참여라는 관점에서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로컬리티 기록화에 있어서 참여의 유형을 구분하였고 각 유형별 특징과 편익을 검토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참여형 아카이브의 조건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조직의 참여를 통해 구축된 아카이브 사례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개인의 참여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지역기록 보존에 대한 인식이 아직 광범위하게 확산되지 않은 우리의 조건에서는 우선 지역 내 공공기관이나 발굴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조직 참여형의 경우, 수집기관의 소장물이 중심이 되고 다수의 수집기관들이 참여하여 구축된 디지털 아카이브, 다수의 공동체 아카이브를 기반으로 구축된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분하였다. 영국과 미국에서 구축된 아카이브들 중에서 이러한 두 가지 유형에 해당하는 사례들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수집기관 기반의 아카이브 사례로는 캘리포니아의 OAC(Online Archives California)와 Calisphere, 캐나다의 MemoryBC, 영국의 People’s Collection Wales를, 공동체 기반의 아카이브 사례로는 Connecting Histories, CAW (Community Archives Wales), Cambridgeshire community archive network (CCAN), Norfolk Community Archives Network(NORCAN)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례들은 모두 다수의 수집기관이나 공동체 소장기록을 서비스하는 아카이브 포털의 성격을 가진다. 참여형 아카이브의 조건으로는 △분산소장 및 통합 활용, △수집기관 및 이용자의 참여, △맥락의 제공과 기록의 의미 있는 재현을 설정하였고, 이러한 조건을 중심으로 각 사례 아카이브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특히 유형에 따라 어떤 측면에 강점과 취약점이 있는지도 검토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국내 환경에서 참여형 로컬리티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데에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추진주체 및 방식, △수집기관 및 공동체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생산맥락의 보존과 재맥락화, △평가 선별, △이용자 참여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공동체의 기억을 담는 아카이브를 지향하며-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 아카이브의 성과와 과제

        김주관 한국기록학회 2012 기록학연구 Vol.0 No.33

        Group for the People without History(GPH) was launched at September 2002 and had worked for around five years with the following purposes; Firstly, GPH collects first-hand data on people’s everyday lives based on fieldworks. Secondly, GPH constructs digital archives of the collected data. Thirdly, GPH guarantees the accessibility to the archives for people. And lastly, GPH promotes users to utilize the archived data for the various levels. GPH has influenced on the construction of archives on everyday life history as well as the research areas such as anthropology and social history. What is important is that GPH tried to construct digital archives even before the awareness on archives was not widely spreaded in Korea other than formal sectors. Furthermore, the GPH archives proposed a model of open archives which encouraged the people’s participation in and utilization of the archives. GPH also showed the ways in which archived data were used. It had published forty seven books of people’s life histories and five photographic books, and held six photographic exhibitions on the basis of the archived data. Though GPH archives had contributed to the ignition of the discussions on archives in various areas as leading civilian archives, it has a few limitations. The most important problem is that the data are vanishing too fast for researchers to collect. It is impossible for researchers to collect the whole data. Secondly, the physical space and hardware for the data storage should be ensured. One of the alternatives to solve the problems revealed in the works of GPH is to construct community archives. Community archives are decentralized archives run by people themselves to preserve their own voices and history. It will guarantee the democratization of archives.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은 2002년 7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약 5년 동안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진행되었다. 첫째 현지조사에 기반하여 일차적인 자료 수집을 지향한다. 둘째, 수집된 자료를 디지털 방식으로 아카이브한다. 셋째, 아카이브에 접근성을 확보한다. 넷째, 아카이빙된 자료를 다양한 층위에서 활용한다. 특히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은 인류학이나 사회사 등과 같은 연구 분야뿐만 아니라 생활사와 관련된 아카이브의 구축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국내에서 생활사와 관련된 아카이브에 대한 논의뿐만 아니라 아카이브 일반에 대한 논의마저도 일반적으로 확산되기도 전에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은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았다는 점에서 아카이브 구축의 전형을 보이려는 시도를 하였다. 또한 아카이브 구축의 과정에서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그 결과물을 시민들에게 공개하고 공유한다는 원칙을 제시함으로써 국내에서는 최초로 개방적인 아카이브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아카이브의 활용과 관련하여서도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은 모범적인 사례를 보여준다. 2002년 7월 출범한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은 연구자들이 직접 현지조사를 수행하여 수집한 자료를 디지털 방식으로 아카이빙하였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2006년부터 2011년까지 47권의 한국민중구술열전시리즈를 출간하였다. 또한 아카이빙된 자료를 바탕으로 여섯 번에 걸쳐 사진전시회를 개최하였으며, 이 결과물 역시 다섯 권의 사진집으로 출간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결과물들은 아카이빙된 자료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명쾌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처럼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은 생활사 아카이브의 구축에 있어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그러한 선도적인 지위로 인해 일정 부분 한계를 갖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의 이러한 시도에 대한 평가나 이를 바탕으로 생활사 아카이브가 궁극적으로 어떠한 형식과 내용을 가져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반성적 혹은 비판적 성찰도 없이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이 해체된 지 5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의 작업을 계승하여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회가 창립되었지만 이전만큼 활발한 활동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이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긴 문제는 자료 수집과 관련된 방법론적 한계, 그리고 (원)자료의 보존과 관련된 공간적이고 기술적인 미비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래로부터의 자발적인 참여와 위로부터의 정책적인 지원이 있어야만 해결 가능한 문제인 것이다. 즉 자료수집의 방법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학자들의 연구나 조사의 대상이 되었던 제보자들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자료를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한 해결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며, 원자료의 보관 및 보존과 관련하여서는 지금까지 국가기록원을 중심으로 한 공공기록물 중심의 중앙집권적인 아카이브 관행을 벗어나 지방분권적인 아카이브의 설립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공동체 아카이브의 설립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기록의 민주화와 함께 기록에서 소외되었던 사람들에게 정당한 권리를 찾아주는 작업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공동체에게 다가가기 : 공동체아카이브, 복수의 주체의 가능성 - 동탄 신도시 원주민 구술기록 수집을 사례로

        최정은 한국구술사학회 2017 구술사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최근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는 공동체아카이브에 대한 기록학계의 논의를 검토하고 인류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공동체에 대해 새롭게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복원’의 대상으로서의 공동체라는 시각을 넘어 행위주체로서의 공동체에게다가가는 일종의 ‘태도’가 선행되어야 함을 주장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기록학계에서 다루었던 공동체아카이브의 논의와 접근방식의 조정을 필요로 한다. 2000년대 이후 지방지 작업에 있어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구술사의 발전과 궤를함께 한다. 구술사를 통해 지방사, 지역성에 접근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촉발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기술지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경기도 화성의 동탄 신도시원주민과의 구술을 토대로 지방지를 집필했던 경험을 사례로 제시한다. 이를 통해 외부자로서의 연구자 혹은 아키비스트가 내부자로서 공동체 구성원과 어떻게 만나고, 그들이 복수의 주체로서 어떻게 공동체 아카이브를 만들어 갈 것인지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scussion of community archives within the academia of archival studies and proposes a new approach to the community by applying anthropological research methodologies. A community should be considered beyond a target of ‘restoration’ and have a kind of ‘attitude’ towards it as a subject of action being preceded. This requires adjusting the existing discussion of and approach to community archives by the academia of archival studies. New trends appear in local papers since the 2000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oral history. Through oral history, efforts have been made to gain access to local and regional communities. This research shares the experience of writing for a local paper based on oral interviews with the natives of Tongtan New Town in Hwaseong, Gyeonggi Province, employing the ethnographic method. Ultimately, this research proposes how an archivist or researcher as an outsider meets with community members as an insider, and how they, as multiple subjects, create community archives.

      • KCI등재

        지방아카이브의 역할 : 일본 지역협의체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이경용 한국기록학회 2019 기록학연구 Vol.0 No.59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 records management activities and meanings of the regional council of the Gunma Prefectural Archives and the Tottori Prefectural Archives. Gunma Prefectural Archives and the Tottori Prefectural Archives have established a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municipalities and the municipalities and have promoted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onal archives and developed various methodologies to improve the records management. This case study of the Japanese local archives will provide insights on the direction of the archives of the Korean local archives in the new transition period and the work design, especially the ‘cooperation and cooperation’ program with the local government. 이 논문은 일본 지방아카이브 중에서 군마현립문서관과 돗토리현립공문서관의 지역협의회 사례를 중심으로 특징적인 기록관리 활동과 의미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두 지방아카이브는 광역 자치체와 기초 자치체간 협조 체제를 구축하고 기초 자치체 아카이브 설립을 촉진하는 한편 기록관리 개선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론을 개발해서 제시하였다. 이러한 일본 지방아카이브 사례는 새로운 전환기에 들어선 한국 지방아카이브의 기록정책 방향과 업무 설계, 특히 자치체와의 ‘연계·협력’ 프로그램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소셜미디어 기록관리 지침 마련을 위한 구성요소 도출 연구: 국외 정책·사례 중심으로

        이정민,이정은,신청룡,오효정 한국기록학회 2020 기록학연구 Vol.0 No.65

        Social media, also known as the ‘revolution of communication’, has become a major means of communication and service in contemporary society. Unlike existing media,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liver interactive information is already beyond the level of use between individuals and government efforts to use it. In fact, local governments in Korea operate one or more social media services for various purposes, which promotes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or provides prompt information to local residents. These social media records are based on public business and should be managed as records. However, the legal basis for managing records of social media in the area of public records management is currently small, and each local government does not recognize the need for records management. Social media operate by local governments are not only of different types but also difficult to manage as standardized guidelines. Nevertheless, minimal guidance is needed to manage and preserve social media rec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out the least common elements in the preparation of guidelines for social media record management. For this purpose, the guidelines and policies established by advanced countries that already systematically manage social media were analyzed and the items and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guidelines were checked for application by comparing actual social media records with social media archiv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compon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social media records in local governments through the actual status of social media archive operations. 일명 '소통의 혁명'으로 불리는 소셜미디어는 현대사회의 주요한 소통과 서비스 수단으로 자리매김 한다. 기존의 미디어와는 다르게 쌍방향적인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은 이미 개인 간의 이용 차원을 넘어 정부 차원에서도 활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실제 우리나라 지방자치 단체에서는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하나 이상의 소셜미디어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치단체의 정책을 홍보하거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신속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이러한 소셜미디어 기록은 공공의 업무 수행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기록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공공 기록관리의 영역에서 소셜미디어 기록관리를 위한 법적 기반이 미미하여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기록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소셜미디어는 그 유형도 다를 뿐만 아니라 표준화된 지침으로 관리되기가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셜미디어 기록을 관리하고 보존하기 위한 최소한의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주목하여 소셜미디어 기록관리 지침 마련 시 최소한의 공통 요소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이미 소셜미디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선진 국가가 제정하고 있는 지침 및 정책을 분석하였으며,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항목과 특징을 도출하였다. 또한 실제 소셜미디어 기록을 수집하여 운영하고 있는 아카이브와 비교하여 지침의 적용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실제 소셜미디어 아카이브 운영 현황을 통해 지방자치단체 소셜미디어 기록관리를 위한 지침 개발에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지방아카이브의 역할일본 지역협의체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이경용,Yi, Kyoung-yong 한국기록학회 2019 기록학연구 Vol.0 No.59

        이 논문은 일본 지방아카이브 중에서 군마현립문서관과 돗토리현립공 문서관의 지역협의회 사례를 중심으로 특징적인 기록관리 활동과 의미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두 지방아카이브는 광역 자치체와 기초 자치체간 협 조 체제를 구축하고 기초 자치체 아카이브 설립을 촉진하는 한편 기록관 리 개선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론을 개발해서 제시하였다. 이러한 일본 지 방아카이브 사례는 새로운 전환기에 들어선 한국 지방아카이브의 기록정 책 방향과 업무 설계, 특히 자치체와의 ‘연계·협력’ 프로그램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 records management activities and meanings of the regional council of the Gunma Prefectural Archives and the Tottori Prefectural Archives. Gunma Prefectural Archives and the Tottori Prefectural Archives have established a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municipalities and the municipalities and have promoted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onal archives and developed various methodologies to improve the records management. This case study of the Japanese local archives will provide insights on the direction of the archives of the Korean local archives in the new transition period and the work design, especially the ‘cooperation and cooperation’ program with the local government.

      • KCI등재

        일본의 지방기록관리 연구: 기록관리 조례 제정과 아카이브 정비 사례를 중심으로

        이경용 한국기록학회 2016 기록학연구 Vol.0 No.50

        이 논문은 2009년 제정된 일본의 「공문서등의 관리에 관한 법률」의영향으로 새롭게 변화하고 있는 지방 기록관리의 모습을 도도부현과정령지정도시의 사례 연구 방식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포착하고자 하였다. 일본 지방자치체에서의 기록관리는 지금까지 기록관리에 관한기본법이 존재하지 않았던 상황에서 행정기관 내부의 ‘문서관리규정’에근거하여 이루어졌다. 법 제정을 계기로 지방에서도 ‘법률의 취지’를반영한 ‘적정한 기록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기록관리 법령 정비와 아카이브 정비가 추진되었다. 지방마다 처한 조건으로 인해 그 내용과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기록관리 조례의 제정을 통해서 법에서 규정한 ‘현용과 비현용을 아우르는 일원적인 기록관리체계’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지방아카이브의 기록관리에 관한 권한과 기능의 강화·확대를 꾀하였다. 또한 기록물처리일정표와 기록목록의 공표, 제3 자적 관점 확보 위한 공문서관리위원회의 운영 등을 통해 조례에서 정한 기록관리 내용의 법적 준수를 철저하게 지킨다. 이러한 일본의 지방자치체의 변화는 행정기관의 기록이 주민공유의 지적재산이라는 점과 이를 적정하게 관리하여 주민에 대한 설명책임을 달성하려는 공문서관리법의 취지를 충실하게 반영한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local records management under the influence of the Public Archives Act established in 2009 through a case study of prefectures and large cities with prefectural level dominions in Japan. The records management in local government has been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 document management rule’ in administrative agencies without the public archives management law. Modification of laws and ordinances in relation with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nd reorganization of archives are proceeding to realize ‘proper records management’ in local government. Even if the content and levels are varied due to the situational conditions of local governments, the unitary records management system covering ‘current and non-current’ records is being adopt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records management ordinances. In the process, local archives are pursuing strengthening and extension of their authorities and functions on records management. In addition, it is identified that observation of the provisions of records management ordinance is reinforced with public announcement of retention schedule and operation of public records management committees. These changes in local governments reflect the thought that administrative records are the intellectual property of the public and the intent of the law that accountability for the public should be achieved through the proper records manageme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생활사 아카이브의 건립 가능성과 역할

        정선영 ( Sun Young J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8 嶺南學 Vol.0 No.14

        생활사사료는 당 시대인 들의 생활 모습과 양식을 기술한 기록물로서, 대부분 고문서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존가지가 있는 기록물이다. 공공기록물은 민간의 생활과 갚은 관계가 있는 공적으로 생산된, 흑은 공적 활동과 관계있는 기록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생활사사료와 실질적으로 성격은 같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생활사 아카이브는 지방기록물관리기관에 함께 안치되어 서비스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록물관리기관이 설치되기 쉽지 않고 현재 공공기록물과 함께 소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어떤 방법으로 보존하는 것이 효율적인지에 대해 방법을 모색해 보고, 생활사 아카이브의 역할을 무엇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활사 아카이브의 설립방법에 대해서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나, 각각 장단점이 있다. 첫째, 각 지역의 대표도서관에 공공기록물관리기관과 함께 설치하는 방안, 둘째, 대학도서관에 대학 기록관과 함께, 흑은 고서실 등 종래 고전자료를 취급하는 곳에 설치하는 방안 셋째 단독으로 생활사 아카이브를 설치하는 방안이다. 어느 형태나 재정적인 지원여부에 따라 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 2. 생활사 아카이브는 일실되고 있는 사료를 수집하여 보존하는 것, 그리고 사료형태 자체를 보존하여 기록유산을 전승하도록 하는 보존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3. 사료를 활용, 다양한 콘텐츠를 구성하여 학생·교사, 혹은 지역민에게 교수학습자료와 정보를 지원하여 지역문화에 대한 이해증진을 꾀하는 교육기관의 역할을 해야 한다. 4. 생활사사료를 수집하고 평가하며, 번역, 해석, 해제 등 연구의 기반이 되는 정보제공에 힘을 기울이며, 지방사 편찬, 지역에 관한 부분에 대한 교과서 편찬의 참여 등 학술중심가관이어야 한다. Historical records of the lives of people are a collection of documents that describe the life style and trend of the times. Therefore, they should be permanently preserved due to in the fact that they are key elements to study the lives of people. Historical records of the lives of people are very close to public records when it comes to its meaning because public records are officially announced documents which are regarded as the ones closely connected to the lives of people. Therefore, these historical records should be housed in regional archives. However, it should be throughly considered to build archives due to the fact that there could be difficulties to a certain extent: constructing archives are a difficult job and historical records are separately preserved from public records until now. Here is some of my point of view when it comes to the roles of archives. 1. Most historical records of lives of the people are consisted of old manuscript. 2. There could be some ways to construct archives: constructing inside the regional library, constructing at the places which traditionally store old documents such as university libraries or constructing independent archives itself. The effects of any forms shown above c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financial support. 3. Archives should contribute to cultural traditions collecting and preserving old manuscripts. 4. Archives have to have the role of an educational site which enables teachers, students and locals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s providing diverse historical information and point of view. 5. It should be academic places which concentrate their efforts to collect, evaluate, translate and interpret historical records and participate in publishing textbooks about regional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