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보 : 외국의 해외지명 결정 관련 조직 현황에 대한 연구 -영토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김종연 ( Jong Yeon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6 No.4

        지리교육 분야에서 우리 영토의 교육은 그 중요성에 비하여 간과되어온 측면이 크다. 독도와 동해와 관련한 국제적인 논쟁이 발생할 경우 영토교육의 강화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어 왔으나, 이에 대응하는 학교교육을 위한 교육 자료 제공 등은 역사적 자료에 치중되어 왔다는 지적이 있다. 이는 지리분야에서의 자료의 부족 등에 기인한 측면도 있다. 특히 지명은 문화적 유산으로 지리학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었으며 영유권과 관련한 국가간의 논쟁에서 중요한 증거 자료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 정부는 지명과 지명 표기의 중요성에 대한 큰 강조점을 두지 않아 왔으며, 학교교육에서도 이에 대한 교육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아 왔다. 또한 외국의 지명 결정 관련 기관에 대한 연구와 이의 학교 교육에의 전파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영국의 지명 표기 관련 기관인 `미국지명위원회`, 영국의 `영국정부의 공식적 이용을 위한 지명에 대한 영구 위원회` 그리고 `국제연합지명전문가회의`의 역사와 역할, 조직 현황을 살피고자 한다. 이러한 자료의 제공을 통하여 현장 지리교육에서의 영토교육에 요구되는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우리 정부의 독도 및 동해 관련 대응과 영토에 대한 학교 교육에 기여하고자 한다. Education on territory is the important issue in geography education, however most of study materials for territory education has been biased on historic document rather than geographic facts, even in the geography curriculum of school. It is partly caused by the lack of information on the territory and international context of the issue. Geographical name or toponym is the cultural heritage of specific cultural group and has been an important part of geographical research. However, Korean government`s activities on territorial dispute has been focused on the aspect of international law rather than holistic approach to the issue. There is strong need to review Korean government`s policies on geographical name after the conflict between U.S and Korea caused by the USBGN`s decision on display of the sovereignty and toponym over Dokdo island in the East Sea on their geographical name search service through internet. In this paper, the history,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role of the US and UK governmental bodies on foreign geographical names were examined to provide information for territory education. The role and activities of UNGEGN also investigated. In addition, cooperation between the USBGN and PCGN of UK also be examined.

      • KCI등재

        지리 교육에서 해양지명의 학습 방안과 의의

        윤옥경 한국지도학회 2007 한국지도학회지 Vol.7 No.1

        국제적으로 해양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위치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해양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해양교육은 해양에 대한 관심과 국민적 소양을 넓히는 것에서 출발하여, 해양에 대한 기본 지식 교육을 바탕으로 인성교육, 영역(영토)교육, 경제교육, 자원 및 환경교육 측면을 고려하여 해양교육의 틀이 구성될 수 있다. 해양지명의 학습은 지명학습, 지도학습의 차원에서 지리교육과의 접점을 찾을 수 있으며 특히 영역(영토)교육의 차원에서 접근하여 지리 교육에서 다루어 질 수 있는 소재이다. 현행 교육과정 체제에서 해양지명의 학습은 교육내용 및 교과서의 구성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다. 현실적으로 지리교육 내용 중 해양관련 단원을 학습할 때 탐구활동, 읽기자료의 형식으로 소개할 수 있다. Together with increasing of international importance on the sea, new recognition of the sea surrounding around the Korea territory is rising to get attention from major academic circle. In fact, a basic education on the marine affairs is widely covered with many subjects like character, territory, education,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s well as the promotion of general knowledge and concerns on the sea. Particularly, instruction on the marine geographical names is closely related to geography teaching in terms of toponymy and cartography teaching including territory education. At the same time, under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it is possible for practical instruction of the marine names to formulate an important contents of teaching in the school text. Also, it can be introduced its marine aspects as a part of reading materials and class research activities.

      • KCI등재

        사회과 지리 영역에서 지명교육의 현상과 필수지명의 선정

        심정보 ( Jeong Bo Sh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사회과 지리 영역에서 지명교육의 현상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학교『사회』 교과서에는 1학년 지리 영역에서 가장 많은 지명이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한국과 세계의 기초 지명에 대한 기억과 위치를 묻는 설문조사에서는 매우 낮은 결과가 나왔다. 이 사실은 국제화와 지구촌화 시대에 충격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지리적 문맹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과제의 하나로 국가 수준의 사회과 지리교육과정에「필수지명」을 선정해야 한다. 그것은 사회과 지리교육 및 생애학습 시대의 기초·기본이 되는 유용한 지식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서 교과서 빈출 지명, 사회적 실용성, 지역적 균등성에 근거하여 한국과 세계의 지역상을 형성하기에 필요한 좌표축으로서 필수지명을 각각 사례로 제시했다. 이와 관련하여 더 다양한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geographical names education and seeks ways to improve geographical names education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geography field. In South Korea, most geographical names are taught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asked thi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fundamental geographical names in Korea and the world, the score turned out to be surprisingly low.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f geographical illiteracy, it is necessary to select minimum essential geographical names in geography education because it is basic and useful to know minimum essential geographical names in geography field and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and life-long learning. This paper suggests an example of minimum essential geographical names, based on their frequency of appearance in textbooks, social use and regional balance. However, the issue of selection and determination of minimum essential geographical names requires more discussion and further research from various perspectives.

      • KCI등재

        지리교과서의 내용 구성 방식에 따른 지명 사용의 비교 분석

        전보애 ( Bo Ae Chun ),윤옥경 ( Ok Kyong Yo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4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2 No.2

        이 연구는 지명에 대한 학습이 단순한 지식전달과 사실적 정보의 나열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극복하고,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역적 접근에서 주제적 접근으로 변화되고 있는 교육과정에 따라 기술된 교과서에서 ‘제주’ 단원을 비교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명이 교과서의 맥락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문 텍스트 뿐 아니라 지도나 탐구활동에 사용된 지명에 대해 질적 분석을 도입하였다. 분석 결과, 지명은 지역지리적 서술방식의 교과서에서는 지리학적 지명이 많이 사용되었고, ‘다름’과 ‘특별함’을 서술하는 내용과 관련하여 주로 언급되었다. 주제적 접근방식의 교과서에서는 행정지명이 많이 사용되었고 본문보다 지도, 탐구활동 자료에서 지명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적 접근, 주제적 접근에서의 지명사용에 관한 이분법적 사고를 극복하고, 지명을 맥락적 사고의 매개체로 활용하기 위한 아이디어와 함의를 도출할 필요를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ossible solution to overcome the criticisms levelled at the learning of geographical names, which has long been stigmatized as conveying simple knowledge or practicing rote memory. In this study, a comparative method is used to analyze the description of place name ‘Jeju’ in the actual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accordingly by eac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where the thematic approach has been substituted for regional approach recently. We explored the difference of the way of describing place names in the junior high school geography textbooks. In particular, three sections of the text, maps, and course activities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Results show that in the regional approach textbook geographical names are much more used than other types of place names and described to emphasize ‘difference’ and ‘specialty’. On the other hand, administrative place names are more often used and place names are much more exposed in maps and activity materials than text in thematic approach textbook.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eed for overcoming the dichotomy of regional approach and thematic approach in relation to geographical names and utilizing place names as media of contextual thinking arise.

      • KCI등재

        『대동수경』의 경제지리 인식: 사회과교육의 관점에서

        손용택(Sohn, Yong-tae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4

        정약용이 1814년에 저술한 『대동수경(大東水經)』은 한반도 북부지방의 ‘하계망’을 중심으로 계통서술 방식을, 유역별 세세내용은 지역지리 서술방식을 취한 통합내용의 인문지리서이다. 중국과 달리 하천이름 어미에 ‘-수(水)’를 붙여 독자성을 보였다. 제목에 ‘대동’을 걸었으나 북부지방만을 다루어 절반의 미완은 여러 추측을 남긴다. 본 연구는 『대동수경』에서 사회과교육 관련내용을 추출하여 해석을 시도했다. 연구결과, 산과 하천 및 마을의 지명유래, 지정학적 변방 정계(定界), 하천지형을 활용한 전략적 대첩(大捷), 하안(河岸) 마을의 입지, 교통(수로,육로) 등은 경제지리적 인식을 함유하는 동시에, 통합 사회과교육 관점의 의미있는 내용들임을 입증할 수 있다. 그 외에 대수(帶水,임진강)가 빚어낸 경승과 이에 대한 문사들의 유담(遺談)을 통해 당시 서민들의 애환과 윤리관 등 시대상을 살필수 있다. 신경준의 『동국문헌비고』 ‘여지고’에서 변방 두 마을(온성, 경원)의 물산을 살피고 시설(창고, 목장 등)의 배치를 통해 변방마을 방어기능 등 경제지리 인식을 살필수 있다. 결국, 정약용의 『대동수경』은 당시 동양의 많은 문헌의 고증을 통해 북부지방 하계망을 주제로한 전반적인 계통지리 서술방식을, 유역별 상세내용은 지역지리(=지지)적 서술방식을 취한 훌륭한 인문지리서이다. 『대동수경』은 지명, 경제지리, 지정학 내용을 두루 담아낸 훌륭한 실학서이기도 하다. Daedongsukyoung(大東水經) is a book of human geography written by Jeong Yak Yong(丁若鏞) in 1814, which compiled a collection of the distinctive water systems in the northern Korea. That the writing covers just half of‘Daedong(大東,Korea)’has left a variety of controversies to the following fellows. The method of research and the major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focusing on the border, the account of the Noksu (淥水, the Amnok, the Yalu River) and the Mansu (滿水, the Dumangang, Tumen river) comes in on extracting and interpreting the contents of the boundary. Secondly, targeting the historical sweeping victory by using its topography, the account of the Salsu (薩水,the Cheongcheongang) comes in on doing such relevant contents. Thirdly, taking the focus on such a point as a major factor for developing Pyongyang, the account of the Paesu (浿水, the Daedonggang) comes in on doing such relevant ones. Fourthly, the account of the Daesu (帶水, the Imjingang) comes in on doing the beautiful formed rocks and various shaped stones furthering the excellent scenery. Lastly, the account of two encompassing Gyeongwon and Onsung boundary villages comes in on doing then the well-developed produce and economic activities proliferated by the midstream and downstream of Mansu(滿水, the Doomangang). In the end, the conclusion comes up as summing up such ones. So rich and excellent are the values and meanings for a social studies education that can be given to Daedongsukyoung(大東水經) which holds such fluent accounts as the geopolitical contents of the border as well as the ones of historical, economic geography and geopolitics.

      • KCI등재

        세계 지리 교과서에 기술된 분쟁 및 갈등 지역의 지명 표기 현황과 쟁점

        안종욱(Ahn, Chong U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1

        독도 영유권 및 동해 명칭 표기와 관련한 일본의 무리한 주장이 반복되면서, 국가 간 영유권 분쟁이나 갈등 관련 내용의 비중이 지리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에서도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분쟁 및 갈등 지역에 대한 현 교과용 도서의 지명 표기는 일관성·논리성 면에서 많은 한계를 갖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독도나 동해 표기 문제와 관련해서 국제적 지지를 받지 못하는 외교적 불이익을 초래하거나, 교육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시각을 학생들에게 심어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세계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기반으로 교과용 도서의 지도 표기와 내용 기술시 분쟁 및 갈등 지역의 지명 표기와 관련한 현안과 쟁점을 검토하였으며, 교과용 도서 편찬과 관련된 정부 기관, 외교부, 국토부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전문 협의체 구성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roportion of contents related territorial disputes or conflicts between nations has been enhanced in the Geography Curriculum and Textbooks, because of Japan’s unreasonable claims on the sovereignty of Dokdo and the name ‘East Sea’. Until recently, Textbooks have a number of limitations about naming of foreign geographical feature in consistency and logicality aspect. For that reason, our country’s rational arguments about the sovereignty of Dokdo and the name ‘East Sea’ are not accepted by international society. Furthermore, students can have an undesirable perception in the educational aspects. This study deals with current state and issues about naming of foreign geographical feature in the compilation of the Curriculum Books such as the School Atlas and World Geography Textbooks used in high school. In addition, this suggests professional council should consist of specialists in the field and the officials of government departments, for instance,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government agencies related to the compilation of the Curriculum Books.

      • 지역 교육 자료 구축을 위한 경상남도 지명의 언어지리학적 연구 방법

        곽재용 한국지명학회 2007 지명학 Vol.13 No.-

        It is not easy that a number of materials of place names are turned into educational ones for localizing. First of all, we need to survey the place names for educational materials, to get assistance from specialists in the related literature and to perform a long-term stud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esearch methodology of Gyeongsangnam-do place names as educational materials through 3-year-research of a learning system including derived tales and geograph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end, the former study performed by three researchers whose majors were Korean linguistics, tradition literature and geography is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expressed and the annual research plan is suggest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correct the errors of the place names and to find teaching ways in Korean language class and so on. Through supplying CD and DVD materials manufactured based on this research for elementary schools, Gyeongsangnam-do place names can be shared. 우리 주변의 풍부한 지명 자료가 지역화를 지향하는 교육적 자료로 거듭날 수 있는 방법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우선 지명 자료를 구축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고, 관련 학문간 연구를 통해 여러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하며, 거시적인 측면에서 장기적인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경상남도의 전체 지명을 대상으로 연기 설화와 지리학을 포함한 학제간의 연구를 3년 동안 진행하여 교육적인 자료를 구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언어학, 구비문학, 지리학 등 3인의 전문 연구자가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으며 연차적인 연구를 계획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및 활용 방안으로는 지명 자료의 오류를 수정하여 구축한 자료를 교육 현장에서 국어과를 비롯한 교과 시간에 활용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이 때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CD나 DVD로 제작하여 각급 학교에 보급함으로써 경상남도 지명에 관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육부장관 인사청문회의 효과성 연구

        유동훈(Yoo, Dong-hoon)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통령의 후보자 지명 과정, 후보자와 청문위원 측의 청문회 준비 및 실제 공방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교육부 장관 인사청문회의 효과성을 검토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통령은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효과적으로 지명하고 있는가? 둘째, 후보자와 청문위원들은 인사청문회를 효과적으로 준비하고 있는가? 셋째, 후보자와 청문위원들은 인사청문회를 효과적으로 진행하고 있는가? 넷째, 인사청문회는 효과적으로 종결되고 있는가? 분석 결과, 첫째, 대통령의 교육부 장관 후보자 지명 단계에서는 대통령의 후보자에 대한 부실한 사전 검증, 청문회 통과 가능성만을 염두에 둔 후보자 인선 등으로 목표달성도와 효율성 측면에서 문제가 되고 있었다. 둘째, 청문회 준비 단계에서 후보자는 교육부 고위 공무원들의 청문회 통과 지상주의 및 이로 인한 후보자의 소극적 답변 태도 등으로 인해 목표 달성도와 효율성 측면에서 본래의 목적 달성에 지장을 받고 있었다. 또, 청문위원들의 여방야공적 태도, 후보자에 대한 고압적 입장과 수직적 관계 인식, 강한 이념 지향성, 정치적 의도 과잉 등으로 인해 인사청문회의 목표달성도·효율성·공정성·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있었다. 넷째, 청문회 종결 단계에서는 인준 투표 규정의 미비,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 기준 모호, 청문회 결과와 상관없이 대통령의 후보자 임명 가능 등의 문제가 인사청문회의 목표달성도와 공정성을 위협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confirmation hearing for the Secretary of Education by analyzing the hearing process for the Secretary of Education by the nominees and hearing committee memb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Does the president effectively nominate candidates for the Secretary of Education? (2) Are candidates and the committee members effectively preparing for confirmation hearings? (3) Are candidates and the committee members effectively conducting personnel hearings? (4) Is the personnel hearing effectively conclud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rignal purpose and efficiency of hearings was harmed because the nomination process could cause the President to nominate a nominees just based on the moral character and possibility of passing the hearings. Second, the orignal purpose and efficiency of hearings was harmed from being achieved because of high-ranked officials’s attitude just to complete the hearings without any difficulties and nominees’passively responding to questions. Third, the committee members used the hearings as a place to play bipartisan competition. In addition, the purpose, the efficiency, impartiality, and satisfaction seemed to be damaged due to committee members’overbearing attitudes towards the nominees, and hierarchical attitudes towards the nominees, strong bias towards one’s affiliated ideology, lack of opportunities given to the nominees to answer, and excessive expression of political intention. Firth, different from the United States, the hearing report can be accepted without vote on the ratification of the hearing, and the President can appoint the nominee as the Secretary regardless of the result of hearing. These aspects of hearing process in Korea can threaten its purpose and impartiality.

      • KCI등재후보

        초․중등 교사의 ‘해양지명과 해양교육 연수’ 경험에 대한 연구

        김태형,윤옥경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학교와 수업 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training is to establish maritime territorial sovereignty through understanding of ocean and marine names, and to understand marine resources and importance, understanding of marine resources and marine environment, and acquisition of marine information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course covers topics such as utilization, maritime safety, the meaning of marine names, and the establishment of maritime territorial sovereignty. Participation Teachers applied for this training based on their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the ocean in a situation where mandatory training was required. For the contents of marine education at the school site, the maritime safety of social studies and science and comparative education The center was attracting attention as a content of experiences and safety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training program and responded that their awareness of maritime education and maritime nomination was improved. However, they preferred to experiment, practice, and experience-based training rather than lecture-type training. Rather, it was hoped that the content that could be used for the field education (class) would be covered. In the future, follow-up support and monitoring should be continued through the provision of customized training and post-training education materials, textbooks, and digital contents using the curriculum and net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