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유위 『論語注』 속 근대적 사유 고찰 -자유, 평등, 박애를 중심으로-

        이경인 한국종교학회 2020 宗敎硏究 Vol.80 No.2

        This study examines the explanatory system that Kang Youwei(康有爲, 1873∼ 1929) elaborated on liberty(liberté), equality(égalité), and fraternity(fraternité) which are key words of western modern thought. He tried to establish the origin of these three modern concepts in Eastern philosophy, to change the western perception of western thoughts to an eastern perspective through the Commentary on Analects of Confucius(論語注). The research is a review of Kang Yuwei’s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representative ideas of western philosophy. In highlighting ‘Di(禘), a ceremony of sacrifices of ancient China’, Kang Youwei emphasized three things as follows. Firstly, all human beings(萬人) are free before Tian(天). Secondly, not only all human beings, but all things(萬物) are equal before Tian(天)’. Thirdly, to love all sentient being(衆生) from Tian(天) that is, fraternity which has the same meaning as Benevolence(仁). And he asserted that all of the grounds for these three modern ideas, which he accepted, originated from the Confucius school(孔門). This is exactly Kang Yuwei’s transformation of the Confucian Analects(論語), which was reinterpreted from the viewpoint of ‘Chinese Learning as Substance, Western Learning for Application(中體西用)’. In conclusion, Kang Yuwei reflected these three modern ideas in the Confucian Analects(論語) and transformed the fixed Western frame of perception into an oriental one, which brought it to life within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Furthermore, it made Asians familiar with the unfamiliar concept of ‘liberty, equality, and fraternity’ and eventually recreated the contents and meaning of the Confucian Analects(論語) that lay on the horizon of the past with these modern concepts 본 연구의 목표는 강유위가 『論語注』를 통해서 서양 근대 사상의 핵심어라고 할 수 있는 자유, 평등, 박애에 대하여 어떤 설명체계를 가지고 그 근원을 동양 철학 가운데에 자리매김했는지를 고찰해보는 것이다. 기존의 서양 일변도의 근대적 사유의 양태를 그가 어떻게 동양적 관점으로 인식의전환을 시도했는지 살펴보면서 ‘자유, 평등, 박애’라는 서양 근대의 대표 사상에 대한 강유위의 수용과 변용을 검토한 것이다. 하늘에 대한 제사인 ‘체제사(禘祭祀)’를 부각하며 강유위는 ‘하늘[天] 앞에 모든 인간은 자유롭다.’, ‘하늘[天] 앞에서 만인(萬人)도 만물(萬物)도 평등하다.’ 그리고 ‘하늘[天]로부터 나온 모든 중생(衆生)을 사랑하라’는 박애를 강조한다. 여기서 박애는 공자가 말한 인(仁)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그가 수용한 이러한 근대 사상의 근거는 예외 없이 모두 공문(孔門)에서 나온것으로 귀결된다. 이것이 바로 강유위가 공자의 『논어』에 적용한 중체서용(中體西用)의 변법(變法)이다. 결론적으로 강유위는 자유와 평등, 박애를 『논어』 안에 투영시켜 고착된서구적 인식의 틀을 동양적인 것으로 전환하면서 중국의 정신사 안에서 되살아나게 했다. 더 나아가 동양인에게 ‘자유, 평등, 박애’라는 낯선 개념을 친숙하게 만들었으며 종국엔 이러한 개념어로 과거의 지평에 놓여 있던 『논어』의 내용과 그 의미를 근대적으로 재창조했다.

      • KCI등재후보

        현대 신유학의 형성과 그 특징- 양대 논쟁을 중심으로 -

        송종서 한국유교학회 200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24 No.-

        The scope of this article as: ①cultural consciousness of intelligentsia during May 4th. era, on which formative period of New Confucianism; ②cultural viewpoint of New Confucian during two dispute period ; and influence of Liang Qichao, who is connected directly with formation of New Confucianism.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early New Confucian understanding relationship of Confucian tradition and western culture. Remarkable characteristics as: their assertion of Zhong Ti Xi Yong(中體西用); and dualism in which devide the world into a symbolized as scientific realm of the fact, the reality, the nature, the necessity and a symbolized as philosophical realm of the value, the transcendence, the owe, the liberty. New Confucian regarded western culture as the material object, and essence of Chinese culture as moral subject[Liang Zhi; 良知], so as to protect Chinese root from western shock. 이 글의 범위는 ①현대 신유학의 형성기인 5. 4시기의 보편적 문화론, ②두 차례의 논쟁에 나타난 현대 신유학의 문화의식, ③그리고 신유학의 생성과 직접 관련된 양계초의 영향 등이다. 이 글은 초기 현대 신유학의 유가전통과 서구문화에 관한 견해를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씌어졌다. 초기 현대 신유학의 두드러진 특징은 서구문명에 대한 中體西用 의식, 그리고 ‘과학’으로 상징되는 사실현실자연필연의 세계와 ‘철학’으로 상징되는 가치초월당위자유의 세계를 구분하는 二元論이다. 현대 신유가는 서구문화를 주로 물질적 대상으로 간주하고 중국문화의 정수를 도덕주체(良知)로 파악하여, 이원론적 문화관으로써 서구의 충격으로부터 중국의 뿌리를 지키고자 했다.

      • KCI등재

        양무파(洋務派)와 유신파(維新派)의 중체서용(中體西用)

        임춘성,馬小朝 한국중국학회 2002 중국학보 Vol.46 No.-

        'Chinese substance and Western function' has been firstly proposed by Zhang, Zhi-Dong(張之洞) who was subordinate 'Yang-wu' group. In this paper, I take his view as a deformation of Sino-centric theory. From the viewpoint of the relations between Chinese learning and Western learning, Min, Du-Gi(閔斗基) put forward an excellent opinion that 'Chinese Substance and Western Function' is "a theoretic structure which is generally happened when one culture accepts a different culture." In this meaning, it can be interpreted as 'a epochal paradigm of the modernization and the nationalization'. In opposition to Min, Du-Gi, Li, Ze-Hou(李澤厚) evaluated it negatively. Because he knew that Chinese traditional learning has had a strong power enough to overwhelm Western modern learning. So he holds a firm belief in 'Western substance and Chinese function' instead of 'Chinese substance and Western function'.

      • KCI등재

        근대 중국에서 중학,서학의 위상변화와 중체서용 -장즈둥의『권학편』을 중심으로-

        송인재 ( In Jae Song ) 한림과학원 2010 개념과 소통 Vol.0 No.6

        19세기 중반 이후 서학은 점차 중국 근대인에게 필수 불가결한 신학(新學)으로 위상이 높아졌다. 반면, 학(學) 혹은 문(文)이라는 말로만 표현되던 중국의 기존 학문은 중학(中學)이나 구학(舊學)으로 불리면서 상대화되었다. 장즈둥(張之洞)의『권학편(勸學篇)』에 등장하는 ``구학위체, 신학위용``이라는 구절은 바로 이런 지식지형의 변화를 반영했다. 훗날 이 구절은 ``중학위체, 신학위용``으로 변용되면서 중체서용론을 대표하는 명제로 인식되었다. 다른 한편으로『권학편』에서 중학은 내학(內學), 서학은 외학(外學)이라 불리며 그 담당 영역이 명확히 구분되었다. 아울러『권학편』에서는 중학과 서학의 핵심내용과 습득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 구상에서 중학의 지분은 서학 수용의 필연성 속에서 줄어들 수밖에 없다. 장즈둥은 중학의 본질성과 근본성을 역설하면서도 중학의 핵심내용을 빠른 시일 내에 습득하는 일종의 다이제스트식 학습방안을 제시했다. 반면 서학에 대해서는 관리 선발 시험에서 서학 도입, 서학 교육 보급 확장, 유학, 신문구독, 번역 등 실질적으로 서학의 확장을 도모하는 구상을 제시했다. 이런 구도는 중학의 영역을 내면으로 수렴하고 서학의 영역을 점점 확장시키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권학편』의 중체서용 개념에서는 서학이 근대 중국에서 영역을 점차 확장하고 있고 중학은 독존적 지위를 상실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중체서용은 용어의 축자해석에 근거하여 중학을 우선시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그보다는 중국 문화의 근대전환 과정에 서 지식의 중심이 서학으로 이동하는 흐름에 부응하여 형성된 개념으로 파악해야 한다. 장즈둥이『권학편』에서 이를 말하고 있다. After the middle of 19th century, Western learning rose as new learn for Chinese gradually. On the contrary to this, existing learning of China was called as Chines learning or Old learning. The phrase, The old is to form the basis and the new is for practical purpose in China`s Only Hope (『勸學篇』) reflected this change of the composition of knowledge. After this times, the old and new in this phrase was changed to Chinese and Western, and this phrase has been known as representative phrase of Zhongtixiyong (中體西用) thesis. On the other hand, in China`s Only Hope Chinese learning is regarded as moral, Western learning is regarded as practical. Through this way, the realm of each learning is separated clearly. Besides, China`s Only Hope introduce the core and learning method of Chinese learning and Western learning. In this conception, the importance of Chinese learning can be reduced. Although Zhang Zhidong(張之洞) regarded Chinese learning as essence and basis, but he suggested the way of ``digest`` as learning method. In this suggestion, he explained that this method can make students learn as quickly as they can. In the contrary, he suggested importing Western learning, studying abroad, extensive translation, newspaper reading, etc. This plan can extend the realm of Western learning. This composition gives Western learning opportunity for extension. It is contrary to Chinese learning. So we can find that Western learning can grow as new main knowledge and Chinese learning can lose its absolute position gradually in the concept of Zhongtixiyong of China`s Only Hope. In conclusion, it is more resonable that definite the concept of Zhongtixiyong as weight shift of the knowledge-subject in modern transition of civilization than criticizing or protecting through the lens of cultural conservatism.

      • KCI등재

        근대 초기 국어 교과서의 中西倂用的 양상 - 淸末民初 初等小學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강설금(Jiang, Xuejin) 한국중어중문학회 2019 中語中文學 Vol.- No.7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Zhongxibingyong(中西倂用)’ - Equal Importance between China and the West - aspects of early modern chinese textbooks. Generally “Yang-wu” group officials are considered ‘Zhongtixiyong(中體西用)’ - Chinese Substance and Western Function - and the "Wei-xin" group has a ‘Zhongxibingyong(中西倂用)’ mindset. Textbook writers created modern textbooks by using ‘Zhongxibingyong(中西倂用)’ in a timely manner. Chinese-language textbooks fully accepted the English classifications law. Chinese characters were divided into nine parts. It also imitated Western text. Each section is composed of the form "core plus body". In the 1920s, the Chinese phonetic symbol "Zhuyinfuhao(注音符號)" was invented and used. It shows that the elements of heavy study and literature are converging evenly. In terms of content, Chinese studies in Chinese textbooks are focused on ethics and morality all the time. Western studies stayed in science, technology and military history from 1897-1911. It has expanded to a political system since 1912. The launch of the Republic of China is a crucial opportunity. Beginning in 1917, coeducational school was emphasized in earnest. Western studies have expanded to include educational ideas. In short, Chinese-language textbooks started with the ‘Zhongtixiyong(中體西用)’ attitude in 1897, and have changed to the ‘Zhongxibingyong(中西倂用)’ attitude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Republic of China in 1912. The goal of modern education was to foster a modern people with patriotism. What modern textbook publishers want from their students was clear. It is for students to learn the traditional culture and history of China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s Chinese, learn new culture and play their role as modern people. It was emphasized that jobs must be acquired in order to become a self-reliant modern people. The textbook writers" efforts were successful. Schools and students grew at a rapid pace. At the same pace, textbooks containing modern and new knowledge spread throughout China. And the way of ‘Zhongxibingyong(中西倂用)’ thinking has made a decisiv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중국의 근현대화 방략과 체용(體用) 논쟁

        신동준(Shin, Dong Jun)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8 문화와 정치 Vol.5 No.1

        중국이 개혁개방을 실시한 지 불과 30년 만에 ‘G2’의 일원이 된 데에는 『논어』첫머리에 나오는 ‘학이시습(學而時習)’의 문화전통이 크게 작용했다. 한때 한간(漢奸)으로 매도되었던 쩡궈판(曾國藩) 및 리훙장(李鴻章) 등에 대한 호평이 지속되고 있는 현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급속한 경제발전의 성과를 토대로 잃어버린 ‘천조(天朝)’의 자부심을 되찾고자 하는 열망의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다. 현재 종신집권을 꿈꾸는 중국의 시진핑(習近平) 정부는 ‘중국몽(中國夢)’을 전면에 내세우며 G1으로의 등극 의도를 공공연히 드러내고 있다. 향후 어떻게 진행될지 여부는 예측하기 어려우나 중국이 본격적인 서구화를 추진하지 못해 실패했다는 기존의 주장은 일부 수정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서체중용(西體中用) 행보를 보인 루쉰(魯迅)의 혁명노선과 중체서용(中體西用)의 행보를 보인 옌푸(嚴復)의 개혁노선에 대한 비교 등을 통해 이를 확인코자 하는 취지에서 나왔다. China once had an outstanding history of leading the world in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the Opium Wars of 19th century, however, even the diehard nobilities came to realize emerging necessities of studying the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Since the beginning of their Modernization Movement, disputes over the Modernization Strategy have been continuing around the conceptions of Lu Xun’s Xiti-Zhongyong and Yan Fu’s Zhongti-Xiyong. ‘Zhong’ means China while ‘Xi’ means West; ‘Ti’ signifies thoughts and idea while ‘Yong’ means science and technology. Then, various discourses on the Modernization Strategy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different ways of combining the four factors: China, West, thoughts and idea, science and technology. Although it is hard to determine the accurate form of Chinese Dream, China has steadily created a political model of their own modernization based on the four types of discourses. In this light, this study suggests that in the near future, China can propose an alternative model of democracy reflecting its own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중국 근대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상 —청말민초 소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강설금 한국중국어문학회 2019 中國文學 Vol.101 No.-

        The images of women in modern Chinese language textbooks in China show that they have developed from the ‘wise mother, good wife’(賢母良妻) to the Women Students, Nuguomin(女國民). And the pace of evolution is very fast. The three kinds of Chinese textbooks covered in this paper deserve to represent women’s images of early modern education, and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 1901 textbook contains the Chinese people’s desire to leap from traditional to modern education. The 1907 textbook is an early female textbook that shows the image of a woman recognized by the time. The 1914 textbook describes the women’s image during the revolutionary era that women’s social roles should be fully expanded after the republic’s inauguration. This paper used the “role analysis” method to more effectively compare the appearance of women appearing in each textbook. A woman’s story is divided into four elements: the main character, space, role and counterpart. Using this method, the authors of textbooks can understand the intended female image more clearly. As modernization progresses, the space, roles, and types of people who appear in textbooks vary. The characteristic of women in textbooks during this period is to develop from incidental to self-reliant. From being limited to a woman who raised her child and helped her husband, it develops into a general who defeats the rebels. The women’s image in modern Chinese textbooks has changed from ‘Chinese Substance and Western Function’ (中體西用) to Zhongxibingyong in both its content and its formal aspects. 중국 근대 소학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상은 현모양처에서 출발하여 여학생, 여국민으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그 진화 속도가 대단히 빠르다. 본고에서 다루는 3종의 국어 교과서는 초기 근대 교육의 여성상을 대표할만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1901년의 교과서는 전통 교육에서 근대 교육으로 도약하고자 하는 중국인들의 열망을 담고 있다. 1907년의 교과서는 초기 여성 교과서로, 당시 왕정 체제가 수용한 근대 여성상을 보여준다. 1914년의 교과서는 공화국 출범 이후 여성의 사회적 역할이 전면적으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혁명 시기의 여성상을 표현한다. 본고에서는 각 교과서에 나타나는 여성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역할 분석’ 방법을 활용했다. 여성이 등장하는 이야기를 주인공, 공간, 역할, 상대라는 4개의 요소로 나누어 보는 것이다. 이 방법을 활용하면 교과서의 저자들이 의도하는 여성상을 보다 선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근대화가 무르익어가며 교과서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활동 공간, 역할 그리고 상대하는 사람들의 부류가 다양해진다. 이 시기 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상의 특징은 부수적 존재에서 주체적 존재로 발전하는 것이다. 자녀를 키우고 남편을 돕던 여인으로 한정되던 모습에서 반란군을 물리치는 장군의 모습으로 탈바꿈한다. 한편 중국의 인물로 한정되었던 사례가 중국과 서양 여성 인물의 병행하는 양상도 보였다. 중국 근대 교과서의 여성상은 그 내용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 모두 중체서용적 태도에서 중서병용적 태도로 변화해 갔다.

      • KCI등재

        엄복의 근대인식과 중·서학의 회통

        윤지원 한국유교학회 201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6

        At the last reign of Qing dynasty, the Great west Powers' intruder has made their culture attack on Chinese native culture strongly. At that time, the intellectual class had to react to the attack. One of the most essential factors that made up the culture is value. The core distinction in different cultures is the diversity of value concept and value system. Facing with the huge attack of western culture, chinese were bound to reconstruct own value in that time. YanFu is an intellectual who represents modern China. He lived the tradition and a modern time of China from late 19th to early 20th. He studied and experienced the West more eagerly than anybody else. After returning to Chinese from studying in England, he analyzed Chinese society with base of principle and value of the wes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ollowing 1)YanFu's perception of Modernity 2)Attitude of YanFu to Chinese traditional studies and Western studies 3)Criticism of YanFu for theory of Chinese culture in western use(中體西用) 엄복은 청나라 말기 중국에서 태어나 중국의 근대를 장식했던 지식인이다. 1870년대 중국인으로서 최초 영국의 왕립해군학교에 유학했으며, 해군 항해사가 되어 중국의 국방을 담당했던 근대적 군인이었다. 또한 그는 과거 시험에도 응시했던 전통적인 유학자였다. 그의 삶은 20세기 전환기의 중국에서 살았던 지식인의 인생 역정을 보여주며 동시에 서양의 사상과 문화가 융합된 중국의 근대를 보여준다. 본 글은 중국 근대 인문지식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친 엄복의 근대인식과 중학과 서학 그리고 중체서용에 대한 엄복의 태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일전쟁 패배의 충격 속에 서양의 지식이 중국의 진보적 지식인들에게 어떻게 수용되었고 또 그것이 어떻게 극복되었는지 엄복의 사유 체계 속에서 그 논리 구조의 단편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망국의 위기로부터 출발한 서구지식의 수용은 중국으로 하여금 자신들과 다른 세계를 의식하게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 서구지식에 대한 극복은 중국이 자신을 변화시키고 정체성을 확립할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 KCI등재

        중국 현대신유가의 성립배경에 관하여

        이경규 ( Lee Gyeong Gyu ) 대구사학회 2004 대구사학 Vol.74 No.-

        代表中國傳統文化的儒家思想歷史上受到嚴格的批評與試驗. 在魏晋南北朝和隋唐時代佛敎與道敎代替了儒家思想, 阿片戰爭發生以後儒家思想越來越面臨危機. 而因當時知識人受到西毆的衝擊, 因此他們爲了中國的近代化提出一些方案. 洋務派和變法派他們都提昌 `中體西用`, 但5·4新文化運動期的多數學者們提昌 `全般的反傳統主義` 他們利用西方的物質文明來改造中國人的倫理觀念, 而把西方的物質和宗敎文化要搬到中國. 但我們應該注意的不是東西文化中나個此較好的問題視10億以上的中國人能구適應的問題. 西方人不能完全受容中國文化一樣, 中國人也不能完全受容中國文化. 因此梁수溟認爲爲了解決中國的文化危機是支持中國傳統精神而傳統的基礎上建設新社會. 繼承從梁수溟開始的現代新儒家的傳統是港臺的新儒學者們. 1950年以來他們形成了現代新儒學學派,發表了 `宣言`. 他們主張返本改新興儒家的內聖外王, 而强調儒家心性學的本體論. 就是以儒家心性學的本體論爲中心來融合西方思潮(科學·民主的外王事業). 總體上, 我認爲現代新儒家的確繼承中體西用論. 改革·改放以後, 爲了解決中國社會的道德的危機注目了儒敎的復活. 最高指導者江澤民也積極的推動儒敎, 而强調孔敎可以防止不正與腐敗. 所以我覺得5·4以後出現的現代新儒家給我們的義意非常大.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