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도시 디자인 지원센터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조원철(Cho, Won Chul)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본 연구는 국가 경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소도시 소재의 기업체들이 효과적이고 시기적절한 디자인을 지원받아 회사의 이미지는 물론 제품의 디자인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중소도시디자인센터(DCMC: Design Center for Midium-sized City)’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이다. 광역도시들과는 달리 지역의 특성을 보다 선명히 가지고 있는 중소 도시들 중, 포항시를 대상으로 하여 기업체들이 실질적으로 요구하는 디자인이 무엇인지를 도출하여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삼았다.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국내의 디자인 센터들의 발전과정 그리고 비전과 설립목적, 주요 지원 사업 등을 관련 보고서와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하여 정리하여 중소도시의 디자인 지원 사업에서 간과해서는 안 될 기본적인 사항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영국, 일본 등 선진한 외국의 사례들 중, 지방 도시의 중소기업들에 대한 디자인 지원사업과 디자인 교육프로그램 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가 포항시를 중소도시 디자인 센터의 모델로 설정한 만큼 포항시의 일반적인 산업 현황을 요약, 정리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설문에 응한 85개 업체의 응답 내용을 정리하였다. 포항지역의 기업체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최초의 디자인관련 설문이라는 점과 중소도시 디자인 센터의 필요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디자인 현황에 대한 기본적인 질문으로 제한하여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그래프로 작성하여 분석, 제시하였다. 기존의 디자인 센터들은 권역 내에 소재한 디자인 업체들 중에서 협업업체를 선정하고 디자인을 필요로 하는 중소기업을 연결해주는 지원 방식을 가지고 있지만 중소도시는 전문 디자인 업체가 거의 없다. 따라서 중소도시 디자인센터는 지역의 디자인 필요를 발굴하고 직접 디자인을 개발하는 기능과 디자인 전문 인력육성을 통해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 벤처기업들을 태동하는 모체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지방의 지역 발전과 국가경쟁력 향상의 중요한 기초가 될 중소도시 디자인센터에 대한 연구가 지역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지역 대학들과 지자체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지기를 소망한다. This research presupposes the necessity of Design Center for Medium-sized City(DCMC) that will help medium-sized city business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Korean economy, to be provided effectively and rapidly with necessary design. This, in result, will help improve the businesses’ reputation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design. Based on Pohang City, one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at tend to have more clear characteristics compared to metropolitan cities, the needs of practical design of corporations have been drawn. For the methods and range of this research, concerned reports and Internet searches about domestic design centers’ process of development, vision and purpose of establishment, and main supporting business have been made, and the basic guidelines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design supporting business have been organized. Moreover, among the examples of advanced countries like England and Japan, design-supporting business and design-education program in respect of small businesses located in provincial cities have been investigated. Since this research has selected Pohang city as the model for DCMC, Pohang’s general industrial condition has been summarized and organized, and based on this information, 85 Pohang corporations were chosen to survey. Due to the fact that this was the first design-related survey targeting businesses in Pohang area and its purpose was to grasp whether or not DCMC is necessary, the questions were limited to basic subjects related to the current design statu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later made as a graph, analyzed, and proposed. Most of the existing design centers choose the design corporations located within the region as their collaborating enterprise and connect them with small businesses that need design. This, however, is not an appropriate model to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where design-specialized companies are nonexistent. Therefore, it is vital for DCMC to detect the necessity of design in regional businesses and create the design personally. Through this, the raise of design-related labor force for the region will naturally accomplish, and design-venture companies will be able to promote.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about Design Center for Medium-sized City, which will play an important role for both the local development of the region and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o be continually hel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regional universities that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ct.

      • KCI등재

        지방 중소도시 유출·유입인구 특성 비교에 대한 연구- 쇠퇴지역을 중심으로 -

        안아림(Ahn, Ah-Rim):임보영(Im, Bo-Yeong),마강래(Ma, Kang-Rae) 대한부동산학회 2019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7 No.2

        본 연구는 지방 중소도시의 유출 인구와 유입 인구 특성을 인구통계학적, 사회경제적, 거주 특성 측면에서 규명하고,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 중소도시 인구 정책에 대한 기초적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지방 중소도시에 타 지역으로 이동한 사람들의 특성에 대한 분석(ModelⅠ)과 지방 중소도시로 거주지를 이동한 사람들에 대한 분석(ModelⅡ) 을 진행하였다. 핵심 분석 결과, 전문대·대학교 졸업 학력 수준을 가진 사람일수록 지방 중소 도시에서 타 지역으로의 이동확률이 높았다. 가구원 수와 혼인상태의 변화 역시 지방 중소도 시에서 타 지역으로의 이동을 촉진하였으며, 특히, 개인의 혼인상태 변화는 지방 중소도시에서 타 지역으로 이동 가능성을 높였다. 또한 전문직·사무직 종사자에 비해 농업·기능·장치기 계조작 및 조립직·단순노무직에 종사할수록 지방 중소도시에 잔존하려는 힘이 강하게 나타났 다. 반면, 농업·기능·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직·단순노무직 종사자들이 지방 중소도시로 들어오 려는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산 2분위에 해당되는 사람들의 지방 중소도시로의 유입 확률이 높았으며, 저소득자에 비해 고소득자에 해당할수록 지방 중소도시로의 유입 가능 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outflow and inflow populations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in Korea.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ways: The first analysis identifies characteristics of people who moved from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to other regions(Model I) and the second analysis identifies characteristics of people who moved to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Model II). Our findings show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utflow and inflow populations. ModelⅠ found that the younger and the higher educated people had a higher probability of moving from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to another regions.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the change in marital status were also promoted to move to other regions. On the other hand the agricultural workers and simple labor workers compared with professional and office workers were more likely to stay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In Model II, the probability of moving to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was higher people with a university degree or higher than secondary educated people. Beside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 income people were less likely to move to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have average level of financial assets had a higher probability of moving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lso, The probability of moving to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was higher agricultural workers and simple labor workers than professional and office workers.

      • KCI등재후보

        중소도시의 지역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이민관,이주형 대한지방자치학회 2010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중소도시의 인구이동을 순이동과 전입을 기준으로 유형화했을 때 어떤 인구이동이 나타나고, 각각의 인구이동에 어떤 지역특성이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지역특성은 시기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중소도시의 도시계획 및 인구 유입 정책 수립을 위한 실증적인 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수도권에 속하는지의 여부가 1995년, 2000년, 2005년의 시기에 구분 없이 공통적으로 중소도시의 인구이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전입이 많은 지역에 있어서 특히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995년에는 주택 및 공공재 등의 물리적 시설 공급과 관련된 변수와 취업환경과 관련된 변수들이 중소도시의 인구이동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도기적인 성격의 2000년을 거쳐 2005년에는 물리적 시설 공급과 관련된 변수와 취업환경과 관련된 변수들의 영향은 상당부분 감소한 반면에, 지역의 문화?의료 및 사회복지, 지자체의 재정과 관련된 변수들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환경과 관련된 변수들 역시 취업환경과 관련된 변수와 더불어 전통적으로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중소도시의 도시계획 및 인구 유입 정책 수립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이러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시스템이 요구되며, 지역의 특성과 인구이동의 유형 등에 부합하는 계획 및 정책의 수립과 지역의 문화?의료 및 사회복지 측면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인구 유입과 더불어 중소도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내발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을 형성해야 할 것이다.

      • 도시재생정책 수립을 위한 지방 중소도시 실태분석

        임준홍,윤정미 충남연구원 2008 충남연구 Vol.1 No.1

        최근 국가적 차원에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도시쇠퇴에 대한 재생 연구가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도시재생사업에서는 지방 중소도시재생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여,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써, 지방중소도시 실태를 파악하고 정확히 진단함으로써, 도시재생정책 결정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통계자료를 통한 실태조사, 전문가 의식조사, 관련 법 및 정책조사를 통해 지방중소도시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지방 중소도시는 정주환경, 산업기반, 재생역량 모두 열악하였으며, 특히 수도권에 비해 더욱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중소도시의 점차 진행될 침체와 쇠퇴를 우려하였고, 그 중에서 구도심 상점가의 침체와 도시 전체 쇠퇴를 우려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책분석 결과 대도시를 위한 정책들이 대부분 추진되고 있어, 이를 지방 중소도시에 적용하는데 많은 한계점이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즉, 지방중소도시 재생을 위해서는 수요창출과 규제완화 측면의 접근(대도시 정책) 보다 정부의 적극적인 직접 투자(지원)가 필요하다. 특히, 지방은 수도권과 차별화된 정책지원 및 법제도 정비와 정책적 고려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Regeneration research regarding urban deterioration has recently been regularized on the national level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program. This research, which is now under way, is widely recognized as necessity for the regeneration of small and middle sized cities. As part of a fundamental study to establish an urban regeneration program, this research would provide the basic data on formulating the urban regeneration program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small- and mid-sized cities and examining their problems. The following methods are applied for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small- and medium-sized local cities: a statistical analysis, an attitude survey of expert panels, and an examination of policies and regulations. It is concluded from the study that small- and mid-sized cities are inferior to metropolitan areas in all categories: residential neighborhoods, business districts, and regeneration capability. The expert panel expresses, in the survey, serious concerns about the slackness of shopping mall development in the old downtown areas and the decline of small- and mid-sized cities through the country. As well, governmental policies on urban regeneration are designed for the metropolises, so these policies have limitations when applied to small and mid-sized cities. For these reasons, we assume that governmental investment is more essential than metropolis policies like creating demand and revising regulations. Additionally, support through distinctive regulations and legislation must precede the urban regeneration of small and mid-sized cities.

      • KCI등재후보

        삶의 질 측정에 관한 연구

        이경태(Lee Kyeong-Tae),권영주(Kwon Young-Joo)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경기도 주민들에 대한 삶의 질을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를 인구 50만 명 이상의 대도시와 50만 명 미만의 중소도시로 세분화 하였고, 삶의 질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6대 부문(주거환경, 교육ㆍ문화, 교통, 일반 행정, 사회복지, 공공안전) 34가지 지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지표들에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조사를 통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주거환경, 교통, 공공안전 부문에서는 대도시의 삶의 질이 중소도시보다 나은 것으로, 일반 행정 부문에서는 중소도시의 삶의 질이 대도시보다 조금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양자 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리고 교육ㆍ문화 부문에서는 중소도시의 삶의 질이 대도시보다 조금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자 간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사회복지 부문에서는 중소도시의 삶의 질이 대도시보다 조금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자 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따라서 대도시와 중소도시 간 삶의 질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삶의 질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욕구에 적절한 정책적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예산을 배정해야 한다. 특히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를 배려한 지속적인 관심과 정책집행을 수행함으로써 대도시와 중소도시 간 삶의 질에 대한 격차를 완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fe in the residents of Gyeonggi province. For this purpose, it classifies cities in the area into two groups: large ones having more than 500,000 residents, and small and medium ones holding less than such population. Then,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on the quality of life it identifies total 34 indexes in the six policy areas (residential environment, education·culture, transportation, general administration, social welfare, and public safety). In addition, these indexes are given different weight depending on experts' opinions, being allowed various priorities.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areas of residential environment, transportation, and public safety the quality of life in large cities is better than that in small and medium ones. However, in the general administration, education·culture, and social welfare areas the quality of life in small and medium cities is better than that in large ones,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s small.

      • KCI등재
      • KCI등재

        중소도시 구조물 개선을 위한 교량디자인 개발 연구

        김기수(KieS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자생적 경쟁력이 취약한 중소도시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시민의 환경적, 문화적, 경제적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 도시의 지리적 특성과 이동경로, 경제적인 현황파악, 단순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중소주민들이 막연한 문제해결방안을 디자인적 실무방향을 3D 시뮬레이션 렌더링으로 제작하여 도시정책에 대한 가능성이 실질적인 대안으로 거듭날 수 있는 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지역으로 선정한 거창군은 환경적 관점에서 교량이 차지하는 상징적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으로 평가되며 이러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교량의 공공디자인적인 새로운 디자인 개발은 도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핵심역할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좋은 방안으로 평가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중소도시의 도시경쟁력을 재고와 지역과 지역을 연결시켜주는 문화 공간으로서의 교량 재창조사업 방향을 모색하고 지역에 알맞은 교량디자인을 제시하여 향후 공공디자인 개발에 관련된 합리적 유지관리 방향과 그 지역의 상징성 확보를 연구하고 지역개발에서 공공디자인의 역할이 도시의 경쟁력에 대안을 제시하는 사례개발로 실무 디자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교량디자인 연구개발 지역으로 선정한 경남 거창군의 핵심 하천인 위천천을 중심으로 교량을 새롭게 디자인하여 교량중심형도시의 상징성을 부각시키고 도시발전을 향상하고자 한다. As a measure to overcome the limit of small city which is weak in spontaneous competitivenes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environmental, cultural and economic life of dwellers, it analyzed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city, movement path, economic status and other simple problems comprehensively and produced the vague problem solutions for dwellers and the practical direction for design using the 3D simulation rendering in order to suggest the result to change the potential for urban policy into substantial alternative. Geochang-gun selected as research area is evaluated for the place with high symbolic value of bridge in terms of environment, and the new design development for this kind of public design can be the good measure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ity.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the bridge recreation project which provides the cultural space connecting with other areas and improves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city and to suggest the appropriate bridge design in order to provide the reasonable maintenance direction related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public design and the achievement of the symbolism of the region and to suggest the examples of public design for the urban competitiveness. For this purpose, focusing on Wicheon-stream in Geochang County, Gyeongsangnam-do selected a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rea for bridge design, it is to design the concept design bridge newly emphasizing the symbolism of bridge-oriented city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city.

      • KCI등재

        지방중소도시의 도시규모 적정화방안 연구

        윤병훈,이삼수,이남현,권영환,박미규 국토연구원 2023 국토연구 Vol.119 No.-

        지방중소도시는 인구감소 및 산업 유출, 그리고 빈집증가 등 도시쇠퇴를 넘어 지역소멸이라는 심각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하지만 지방중소도시의 인구감소를 고려하지 않고 과도한 계획인구를 근거로 신규개발용지 확보를 위한 도시계획을 수립하고 있어, 계획의 실효성 측면에서 난개발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구감소시대에 맞는 도시관리를 위해서지방중소도시의 특성과 쇠퇴원인을 분석하고, 이를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성장 중심의 계획체계에서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도시의 규모 적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감소시대에 맞게 중앙정부에서추진하고 있는 콤팩트-네트워크 도시를 실현하기 위한 공간계획으로, 도시규모적정화계획의 방향성을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아산시, 전북 익산시, 경북 영주시를 대상으로 지방중소도시 도시규모적정화계획 구역 설정방법을 제시하고, 도시규모적정화계획의 실현방안을 도출하였다. 중앙정부에서추진하는 생활권계획 수립 시 지방중소도시는 도시규모적정화계획구역과 연계하여 설정하고, 유도구역별 기능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적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facing a serious situation of urban decline and regional extinction due to population decline, industrial outflow, and increased vaca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the causes of their decline in order to manage cities with respect to declining population, and to solve such challenge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change the size of cities to overcome the crisis of population decline and rural decline in the existing growth-oriented planning system.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a city size optimization plan, which is a spatial plan to realize compact-network cites that are promo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o respond to demographic decline. For this purpose, the study presents a zoning method city size optimization plan for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Asan, Chungcheongnam-do, Iksan, Jeollabuk-do, and Yeongju, Gyeongbuk-do, and derives the realization of a city size optimization plan.

      • KCI등재

        연구논문 : 인구감소시대의 전라남도 도시계획의 현황과 과제

        박종철 ( Jong Chul Park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1 지역개발연구 Vol.4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사례분석을 통하여 인구감소에 따른 축소도시계획의 내용을 파악하며, 둘째, 앞서의 내용 중에서 전남 중소도시에 적용가능성 있는 것을 도출하며, 셋째, 이를 적용하여 축소도시계획의 유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첫째의 연구사례는, EU, 미국, 일본의 3개 국가와, 각국의 지방도시 1개씩 3개이다. 연구목적 셋째의 연구사례는, 미국의 New Urbanism적용도시 18개와 한국 전라남도의 18개 중소도시이다. 이 연구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전라남도의 중소도시는 지속적인 인구감소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도시정부는 인구 확대 및 토지이용 면적 확대의 도시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행국의 Compact City 이론 및 New Urbanism 이론의 적용사례 분석결과를 통해, 전라남도의 중소도시에 적용할 수 있음을 알았다. 특히, 전라남도 중소도시의 도시공간구조 개편에 유용하게 적용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like the following. First, through preceding example analysis, understand the contents of urban planning for shrinking cities following decrease in population. Second, among the contents above, deduct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small and medium size cities in Jeollanam-do. Third, by applying this, verify the usefulness of urban planning for shrinking cities. The first research examples of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the 3 countries of EU, the US and Japan and 1 city each of provincial cities of each of the countries. The third research examples of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18 cities to which New Urbanism of the US is applied and 18 small and medium size cities in Jeollanam-do Korea.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like the following. The most small and medium size cities in Jeollanam-do shows continuous decrease in population. Nevertheless, these cities` governments are establishing urban planning of expansion of target population and land us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like the following. I could know that Compact City theory and New Urbanism theory of preceding countries can be applied to small and medium size cities in Jeollanam-do through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ir application examples. Especially, it could be applied usefully to reorganization of urban spacial structure of small and medium size cities in Jeollanam-do

      • KCI등재

        중소도시의 스마트 버스승강장의 개념 정립 및 가이드라인 제안에 관한 연구 - 평택시, 당진시 설치 사례를 중심으로 -

        손동주,윤명한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서울시가 발주한 버스정류소 스마트 쉘터 제작·설치 사업에서 스마트 버스승강장을 ‘디지털 인프라 공간으로 조성하고, 기후변화에 구애를 덜 받고, 시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볼 때 스마트 버스승강장은 정보시스템에서부터 다양한 스마트 설비를 설치해 적극적인 편의를 제공하는 교통 플랫폼으로 정의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버스승강장은 단순히 대중교통의 운영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사람들을 지정된 장소로 모이게 하는 시설이며, 소규모의 단일화된 정류장으로 인식되어 왔다. 본 연구는 중소도시에서 설치되고 있는 스마트 버스승강장에 대한 개념 정립과 기본적인 가이드라인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대도시와 달리 중소도시에서는 대중교통수단이 버스가 유일한데 대중교통시설물에 속하는 스마트 버스승강장에 대한 개념이나 정의는 물론 기본적인 가이드라인도 없이사업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형태적으로 보면 밀폐공간을 가지고 있어 보행로에 설치하게 되면 보행로를 직접적으로 간섭하게 되는데 중소도시는 보행로가 넓지 않아 지금의 보행로에 스마트 버스승강장을 설치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을 안게 된다. 대중교통시설물은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행동 패턴을 가지고 직접 이용하는 시설로서 그 어떤 공공시설물 보다 우선적으로 가이드라인의 정립이 필요하다. 연구방법은 평택시와 당진시의 설치 사례를 중심으로 스마트 버스승강장의 개념과 역할을 살펴보고, 정부와 두 도시의 정책, 가로현황,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등을 살펴 분석했다. 버스승강장의 첫번째 변화는 환승센터로의 발전이었으며 대중교통체계를 획기적으로 바꾸는 계기를 마련했듯이 앞으로는 스마트 버스승강장이 대중교통체계에서 두 번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지 않은 채 무분별하게 사업만 지속한다면 변화의 추동력을 잃을 수도 있다. 본 연구는 평택시와 당진시라는 중소도시에 설치된 실증사례를 분석해 스마트 버스승강장의 용어 정리, 개념과 역할 정립 및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 일정한 규모를 가지고 있는 스마트 버스승강장의 설치조건과 스마트 설비에 대한 사항도 정리했다. 이를 통해 앞으로 사업을 시행할 공무원에게대상지 선정에서부터 도움을 주는 것과 더불어 이용자 중심의 관점에서 사업이 실행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