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신화의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과 동아시아 문화적 위상 -『‘산해경(山海經)’과 한국문화』 집필 보고를 겸하여-

        정재서(鄭在書) 한국도교문화학회 2019 道敎文化硏究 Vol.51 No.-

        필자는 일찍이 『산해경(山海經)』 신화를 비롯한 중국신화를 고고학, 문명 기원론에 상응한 상호텍스트적, 다원적 실체로 상정(想定)하였고 이후 고구려 고분벽화, 한국신화, 한국문학 등에 대한 개별 논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신화를 일국주의(一國主義)의 소산(所産)을 넘어선 동아시아 공유의 문화자산으로 천명한 바 있었다. 본고에서는 『‘산해경’과 한국문화』집필을 통해 중국신화와 한국문화 간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드러난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을 근거로 중국신화의 동아시아 공유문화자산으로서의 지위를 재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우선 『‘산해경’과 한국문화』의 집필 동기부터 결과에 이르기까지를 약술(略述)한 후 그 결과를 염두에 두면서 중국신화의 상호주관성과 관련된 필자의 기존 논견(論見)을 검토하였는데 논의는 중국신화의 성립 집단과 전승 집단의 두 가지 층위에서 이루어졌다. 여기에서 중국신화의 성립 주체는 동이계(東夷系) 종족, 전승 집단은 중국민족(혹은 漢族)을 중심으로 각기 다수의 집단이 상호구성적으로 존재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상술한 논의들을 토대로 중국신화의 동아시아 문화적 위상을 최종 확인함으로써 사실상 본고의 연구 목표에 도달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그리스로마신화의 서구 문화적 위상을 거론함으로써 중국신화 위상 논의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부각시키고 동아시아 공유 문화자산으로서의 의미와 문제점, 향후 전망 등에 대해 재검토, 재천명한 후 논의를 종결하였다.

      • KCI등재

        최남선(崔南善) 「불함문화론(不咸文化論)」과 중국 사상 - 중국 신화와 철학의 사유를 중심으로

        이진용 한국도교문화학회 2020 道敎文化硏究 Vol.52 No.-

        Through the concept ‘Bulham’, Choi Nam-seon’s the theory of Bulham culture expresses the origin of Joseon(Korean) culture, its development, and its expansion into the world. Limit the discussion to the mythology,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the acceptance and translation of Chinese Myths. Futhermore, based on this, the Chinese philosophy behind the acceptance of Chinese mythology is intended to be compared and reviewed in terms of worldview.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eory of Bulham culture and the Chinese thoughts is arranged in the following two aspects: the first, Choi Nam-seon embraces Chinese mythology and uses it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Bulham culture, and it borrow two mythological contents, the one is the theoretical opening of the mythical character of the creation of heaven and earth through the "Bango Myth," an open myth of ancient China, and the other is the function of the "axis of heaven and earth" or the "post of heaven"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between heaven and earth through the colorful depiction of mountains. As such, the theory of Bulham culture uses Chinese mythology and its thoughts as the basis for the spread of Buddhist culture, and the world view of ancient Chinese mythology and the acceptance of mythological thinking are both sufficient to gauge the mutual connection between the two.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ncient Chinese myths and Bulham culture, in the question of time before and after, remains a problem to be solved. The second, the creation of heaven and earth or the acceptance of open-wall mythology in the theory of Bulham culture reflects the flow of gradual transition from myth to philosophy thought in ancient Chinese. Choi Nam-sun refers to "Tai-yi" in Huainanzi, which means the foundation of "Tian-ming", it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myth and philosophical worldviews in the Huainamzi and is a chaotic differential as a possible mode that unfolds in all things. In this state of chaos, the world is formed through step-by-step processes. At this time, the "Dao" functions as an order and serves as a basis for the organic unity of the entire world. Such a "Dao" is the fundamental thinking for the idea of "ᄇᆞᆰPărk" as the basis for the same culture as claimed by the Bulham Culture Theory. In addition to the etymological method emphasized by Choi Nam-sun in this regard, it is a theoretical monotonic approach. Choi Nam-sun's Bulham Culture Theory reflects the unique identity and speciality of Joseon(Korean) culture, and it emphasizes universality as the mobilization of different cultures.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Bulham Culture Theory was established based on Chinese mythology and the philosophical worldview of ancient China, which is submerged within it, this article evaluates that Choi Nam-seon's way of thinking has some characteristics of coexistence of mythological and humanities reasons. 최남선은 「불함문화론」의 ‘불함’ 개념을 통해 조선 민족문화의 근원과 발전맥락, 그리고 세계로의 확산 등의 관점을 밝히고자 했다. 이 글은 「불함문화론」의 신화학에 논의를 한정하여 중국 신화의 수용과 변용의 문제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신화의 수용에 침잠되어 있는 중국철학사상을 세계관의 측면에서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불함문화론」과 중국 사상의 상관관계는 다음 두 측면으로 정리된다. 첫째, 「불함문화론」은 중국 신화를 수용하여 불함문화의 이론적 전거로 삼는데, 고대 중국의 개벽신화인 ‘반고신화’를 통해 천지창조의 신화적 성격을 이론적으로 개진한 부분, 그리고 다채로운 산(山)의 묘사를 통해 하늘과 땅의 소통의 매개로서 ‘천지의 축’이나 ‘하늘 기둥’의 기능을 수행하는 점 등의 신화적 내용을 차용한다. 이처럼 「불함문화론」은 불함문화 확산의 근거로 중국신화와 그 사유를 원용하고, 고대 중국 신화의 세계관과 신화적 사고를 수용한 점 모두 양자의 상호 연관성을 가늠하기에 충분하다. 다만 고대 중국 신화와 불함문화의 선후 관계는 여전히 해결해야할 문제로 남는다. 둘째, 「불함문화론」의 천지창조 또는 개벽신화의 수용은 중국 고대 지성사에서 신화로부터 철학사상으로의 점진적 전환의 흐름을 반영한다. 최남선은 천명(天命)의 전거로 『회남자(淮南子)』의 ‘태일(太一)’을 언급하는데, 이는 『회남자』에서 신화와 철학적 세계관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만물로 전개되는 가능태로서의 혼돈미분의 상태를 뜻한다. 이러한 혼돈미분의 상태에서 단계 별 과정을 거쳐 세계가 형성되는데 이때 ‘도’가 질서를 부여하는 기능을 하며, 전체 세계의 유기적 합일의 근거로 작용한다. 이러한 ‘도’는 「불함문화론」에서 주장하는 동일문화권의 근거로서의 ‘ᄇᆞᆰ’ 사상의 원형적 사유를 담고 있으며, 이점에서 최남선이 강조하는 어원학적 방법 이외에 의미론적 접근이 가능한 이론적 단초이다. 최남선의 「불함문화론」은 조선문화 고유의 독자성과 특수성을 반영하면서도 상이한 문화의 동원성으로서의 보편성을 강조한다. 이 글은 「불함문화론」이 중국 신화학과 그 안에 침잠되어 있는 고대 중국의 철학적 세계관을 기반으로 정립되었다는 가설을 바탕으로, 최남선의 사유체계는 일정부분 신화적 사유와 인문적 사유가 공존하는 특징을 지닌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 KCI등재

        광고를 활용한 중국언어문화교육 연구

        엽은현,이종오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3

        Interest in learning Chinese language in Korea started earlier than in other nations and has spread rapidly. Three Kingdoms Period shows evidence of early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with the era’s widespread use of Chinese characters or Hanja. Since 1992, with increased Korea-China diplomatic relations and following the increasing trend to learn Chinese language, there has been more and more research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hinese. Recently, the international status of China has risen and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exchanges and activities between Korea and China. This has sparked more and more Koreans to start learning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To keep up with the demand for Chinese language and Chinese culture learning, there has been much focus in recent years on effective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learner motivation, and teaching methodologies. Scholars responsible for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learning like high school teach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have constantly researched and investigated the essence of Chinese language to establish a wide range of teaching methods. Among these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 of Chinese adverts as an inventive approach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made use of 14 various Chinese adverts from 2001 to 2011.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and analyzed the results to determine if advert usage affected learning and if there were any limitations to advert usage. The study concluded that all scholars responsible for the teaching of Chinese language and learning, including school academic teachers and researchers, need deeper understanding of advert language and culture before using adverts as a method of teaching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한국에서 중국어에 대한 교육은 다른 나라에 비해 비교적 일찍 시작하고 급속히 발전해왔다. 삼국시대 한자의 유입은 한국에서의 초기 중국어교육으로 볼 수 있으나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한국 내 중국어 학습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짐에 따라 중국어에 대한 교학활동 및 연구 활동이 급격한 성장을 이룬 것도 사실이다. 최근 중국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고 한중 양국 간에 갈수록 빈번해진 교류와 활동에 따라 한국에서는 중국어와 중국문화를 배우려는 사람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중국어 및 중국문화의 학습자의 증가에 발맞추어 언어 및 문화교육의 영역에서는 학습의 효율성, 동기 유발, 방법의 다양성 등에 대한 요구와 필요성이 많아지고 높아졌다. 중국언어와 문화교육의 실행자인 고등학교 교사와 대학의 교수, 중국어 본체(本體)나 교육 방법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끊임없이 다양한 중국어 교육방법론을 개발 및 연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방법(론)들 가운데 광고를 활용한 중국언어 및 문화 교육 방법을 고찰하려는 새로운 시도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2001~2011까지 연구된 14편의 광고활용 중국언어문화교육의 현황조사와 분석을 통해 광고활용의 문제점들을 지적함으로써 그러한 교육방법의 한계를 살펴보았으며, 교육과 연구를 담당하는 학자들의 광고에서의 언어와 문화현상에 관한 깊은 이해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 KCI등재

        中國文化ㆍ藝術의 분열과 重心이동 및 森林과의 관계

        천촨시(陣傳席),고연희(번역자) 한국미술연구소 2004 美術史論壇 Vol.- No.19

        중국 문화와 예술의 重心은 黃河 유역의 北方에서 長江 이남의 南方으로 옮겨졌다. 이유는 宋ㆍ元代 이후 중국 경제의 중심축이 남쪽으로 옮겨져 있었기 때문이며, 이는 이미 연구된 바이다. 그럼 경제가 남방으로 옮겨진 근본 원인은 무엇인가. 대개 북방에서 전쟁이 자주 발생하여 경제가 무너졌다고 하는데, 필자는 북방 낙후의 근본원인은 전쟁이라기보다 북방에 펼쳐져 있던 大森林의 파괴였다고 본다. 이것이 이 글의 주제이다. 仰韶文化의 三壘層에 대한 조사와 『史記』ㆍ『尙書』 외 여러 역사서의 기록을 근거로 보면, 黃帝와 炎帝가모두 북방에 거주하였고, 남쪽의 거대세력인 蠻族이 북방으로 옮겨왔다가 황제족에게 패하여 복속된 것을 알 수 있다. 당시 남방 사람들이 죽음을 무릅쓰고 북방으로 옮겨온 이유는 중원이 살기에 좋았고 문화발전에 적당하였기 때문이다. 북방에는 전쟁도 많았지만 이와 함께 경제도 발달하였다. 이에 초기 북방에서 華族이 형성되었고, 이들은 곧 漢族의 기반이 되었다. 북방에서는 중국 초기의 문명발달이 이루어졌고 문자가 창조되었다. 夏ㆍ商ㆍ奏ㆍ漢의 왕조가 모두 북방에서 일어났고, 중국 초기 황제와 聖賢들은 물론 儒ㆍ道ㆍ法家 등의 모든 사상가들 및 十三經의 중요 전적이 모두 북방에서 나왔다. 반면 남방에서는 문화발전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왜 중국 초기에 북방이 살기 좋고 문화발전에도 유리했던 것일까? 세계적 문명이 발달되었던 고대국가들은 모두 유명한 원시대삼림을 가지고 있었으며, 고대문명국의 낙후는 대삼림의 훼손과 연관이 있었다. 바빌론과 이집트 등의 문명성쇠도 삼림의 흥쇠와 관련 있었다. 중국의 초기에도 북방의 황하 유역, 俠西ㆍ山西ㆍ河南ㆍ河北 등지가 모두 대삼림이었다. 오늘날 거대한 석탄매장이 이를 증병한다. 중국 북방에는 탄광이 발달하였지만 남방에는 그러한 대탄광이 없다. 석탄이 만들어지는 지질학적 조건은 고식물(즉 삼림)과 온도, 그리고 습도이다. 3000년 전 북방은 따뜻하고 습윤한 기후의 삼림지대였다. 남방에는 북방과 갈은 대삼림이 없었고, 북방은 남방에 비하여 사립들이 살기에 좋았다. 북방의 삼림에 대하여는 역사서의 기록과 商ㆍ周에서 만들어진 청동기 위의 수많은 동물문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특히 대나무가 많이 나서, 초기의 문자는 죽간에 기록되었고, 야후 북방의 죽림칠현은 분명히 대나무 숲에 살았다. 문화중심이 줄곧 북방에 있다가, 五代에 이르면, 중국문회는 남북으로 분열ㆍ발전하게 된다. 오대 이전 ‘東晋’ 이 南京에 도읍을 정하면서 북방의 상류층 문명이 남방으로 전달되었고 이는 남방문화발천의 기초가 되었다. 여기서 남북문화가 만들어졌는데 이는 아직 문화의 분열은 아니었다. 이후 唐代 말기와 오대에 걸쳐 많은 전쟁을 거치면서, 중국 북방의 경제와 문화는 점차 무너지게 되었다. 한편 남방은 전쟁이 적었고 경제가 점진적으로 나아졌기에 문화도 점차 발전할 수 있었다. 즉 오대부터 중국 경제와 문화의 중심은 점차 남방으로 옮겨졌으며 곧 중국문화의 분열이 시작되었다. 단 이는 북방문화가 남방으로 이동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남방의 독자적 문화가 발전하여 북방을 능가하였기 때문이다. 동시에 중국은 점점 文弱하여졌다. 중국문화의 분열과 남쪽으로의 중심이동은 繪畵와 文學 분야에서 모두 증명되는 일이다. 당대의 회화는 장안을 중심으로 한 북방중심의 문화였다. 오대에 이르면 북방의 荊浩와 關全이 북방산수를 그리고, 남방의 童源과 巨然이 남방산수를 그림으로써, 오대의 산수화풍은 남북문화의 다른 특성을 이루었다. 남과 북, 두 계통의 문화가 생긴 것이다. 문학 또한 당대에는 북방문인들이 우세하였으나, 오대에는 남방의 詞가 크게 일어났다. 남방의 사문학은 화려하고 부드러워 북방시문의 웅장하고 강경함과 완전히 달랐다. 오대의 남북방 문화는 서로 높고 낮음의 구분이 없었으나, 오대가 지나면서 중국의 문화중심은 남방으로 옮겨졌다. 송대 이후 화가와 화파들은 거의 다 남방에서 나왔다. 북송대 문인들은 동원과 거연을 지극히 숭앙하였고, 明代 말기 南北宗論은 남종회화를 정통으로 삼았다. 문학 분야에서도, 당대의 대시인들은 모두 북방 출신이었지만 송대 이후 대문인들과 문학유파는 대개 남방에서 나왔다. 이후 근대에 이르기까지 유명한 문화적 인물들은 대개 남방에서 나오고 있다. 북방이 낙후된 근본원인은 북방의 대삼림이 파괴된 데 있다. 고대국가의 도성건축을 위한 대규모토목공사, 거대한 棧道의 구축ㆍ厚葬의 유행에 따른 목관(棺ㆍ槨) 제작의 풍속 등은 모두 대량의 목재를 필요로 하였다. 게다가 고대의 수렵(狩)은 산을 불태우는 것이었고, 논밭을 만드는 방법도 나무를 베고 산을 불태우는 것이었다. 북방의 오랜 전쟁도 삼림을 크게 훼손시켰다. 오늘날 섬서성과 산서성은 드넓은 황토고원이다. 대삼림은 완전히 사라졌고 문화발전도 없다. 오랜 삼림파괴가 없었다면 지금도 중국 북방은 대삼림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삼림을 잃은 북방은 삼림의 조절능력을 상실하게 되었고 기후는 몹시 추워졌으며 이에 따라 가뭄ㆍ홍수ㆍ풍재 등이 점점 증가하였고 토질은 척박하여졌다. 척박한 토지에서는 선진적 문화발전이 불가능하다. 무릇 나무가 푸른 지역에서 총명한 인재가 난다. 이에서 삼림의 훼손이 문화에 끼친 중대한 작용을 알 수 있다. It's no doubt that the center of Chinese art and culture moved from northern area in the Huanghe (黃河) basin to South in the Yangzi River. After Song Dynasty the center of Chinese culture and economy shifted into the southern China, jiangnan (江南). None could deny that the destruction of economy in northern area led the cultural movement into south China. Although with few research about the cause of economical destruction in north, it has been said that the cause of economical falling in north was so many wars in northern area. Wars, however, could be one reason, but could not be a crucial cause. My approach in this paper is to explore this issue in relation to the forest. The relics of the Neolithic period and old records in China show that many peoples in south moved into north at the risk of their lives to live there. The northern area was better in natural and cultural conditions. In fact, an increase in population might make wars and civilization at the same time. Peoples who gathered in the northern area produced the ancient civilization. They found early old nations, Shang, Chin and Han dynasty, and created the Chinese written language. Various fundamental Chinese thoughts and the thirteen classics were generated there. Meanwhile there is no famous book or person from the southern area. It is apparent that northern area was apt to develope civilization and culture in early China. The first condition for the civilization was great stream and forest. The cradles of civilization in the world, eg. Babylon, Egypt and so on, have had them like the northern China. Besides, the affluent coals in north China at present prove that there were great forest, swamps and a mild climate 3000 years ago. The animals decorated on the maces of the Bronze vessels made in north China are good evidence, too. The change started by the founding a capital at Nanjing (南京) in the Eastern Jin dynasty. From the late Tang dynasty economy in northern China began to fall down and the destruction of the culture ensued. On the other hand, southern China started to develope its own culture. After Five dynasties the cultural situation of northern and southern China has been completely reversed. We can see the reverse in the two aspects of painting and literature. Most of eminent painters were from northern area by Tang dynasty. And then in the Five dynasties there appeared two kinds of painters whose paintings had features of the north or south respectively. Eventually from Song dynasty all of the famous painters were born in the southern region. In literature it is remarkable that the birthplaces of great writers changed to south from north during the Song dynasty. In my opinion, the dramatical shift of cultural center in China followed the breakdown of the great forest in northern area. The forest had been in the process of destruction for a long time by northern Chinese people. They made arable lands and hunt animals only by burning wide forest, Their strategies for fighting were to use big fires in the wood. They cut down an infinite number of big trees to make monumental buildings and big coffins. If were not for the destruction of forests, north China could have continued the great forests even today, The loss of forests gave us serious natural disasters a vast barren land of no population and no cultural process anymore, This result may be a good lesson for us in that we should conserve forests.

      • KCI등재

        중국 문화산업 발전역정과 특징 연구: 정부주도형 시장화 발전모델

        강내영 한국중문학회 2012 中國文學硏究 Vol.48 No.-

        本論文對于中國文化産業的發展歷程和特徵的硏究. 硏究的背景有關大國堀起時代的``文化强國````文化價値``的浮上. 硏究的目的是對于這樣``文化中國``基礎文化産業的批判的分析. 爲了本論文設定硏究範圍10.5規劃和11.5規劃10年期間(2001-2010)進行了硏究. 在本文第一章分析中國文化産業的槪念及特殊性, 在第二章平價文化産業發展階段, 在第三章定義發展歷程的特徵就是<政府主導型市場化發展模式>, 在第四章分析成果和限界, 在最後章展望將來中國式文化産業發展模式的前途. 總結, 中國文化産業是<政府主導型市場化發展模式>, 本硏究進行論證三個方面, 上命下達式政策, 市場化推動, 行政管理部門改革. 因爲中國政府對于文化産業的觀念出了經濟層位以外認識政治意識形態的中層要因. 爲了解決統制``文化``同時發展``産業``的矛盾, 植根中國式<政府主導型市場化發展模式>. 將來展望持續政府主導的文化産業發展模式, 但是從中長期的看法來說, 處在政府-市場之間善循環模式``政府管理型``的過渡時期, 有可能歸結發展以政府中心爲同伴市場和大衆的``協治型``中國式模式.

      • KCI등재

        한류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 한국의 문화산업과 중국의 문화안보

        이지한 대한중국학회 2018 중국학 Vol.64 No.-

        There are two views on the Korean Wave: One is the Korean Wave as a success story of the Korean cultural industry and the other is the Korean Wave as a subject of Chinese cultural security. And the fact that we have turned away, these two views are a function of the inverse relationship. In 2016, since South Korea and the US government decided to deploy the THAAD in Korea, the Chinese government's unofficial ‘Hallyu regulatory policy(限韓令)’ began. This shows the Chinese government’s consistent position on the Korean wave since the late 1990s. The Korean Wave is a success story of our cultural industry and the theme of Chinese cultural security. Chinese cultural security has two aspects: the “defense” of other cultural industries and the “expansion” of Chinese cultural industries. The Korean Wave was accepted as a defense of the spread of Western culture in China and allowed it to play a role in helping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to spread abroad. In order to understand why the Chinese government start ‘Hallyu regulatory policy(限韓令)’, we have to learn about the view of Chinese cultural security. China has transformed from a simple consumer to a capital investor of the Korean wave and has become a its controller. This is the first step in explor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Korean Wave. 한류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이 있다. 한국 문화산업의 성공신화로서 한류와 중국 문화안보의 대상으로서 한류이다. 그리고 우리가 외면해 왔던 사실, 이 두 개의 시선은 반비례 관계의 함수이다. 2016년 한국 내 사드배치 결정으로 촉발된 중국정부의 비공식적인 한류 규제정책 ‘한한령(限韓令)’은 1990년대 후반부터 중국정부의 한류에 대한 일관된 인식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우리 문화산업의 성공신화인 한류는 중국 문화안보의 대상이었다. 중국의 문화안보에는 타국 문화산업에 대한 ‘방어’와 중국문화산업의 대외적 ‘확산’이라는 두 측면이 있다. 이를 통해 한류는 중국정부에 의해 서구문화 확산에 대한 방어기제로 수용되었으며, 중국문화산업의 대외적 확산을 위한 가이드 역할까지만 허용된 것이었다. 이처럼 우리 문화산업 성공신화에 적혀 있지 않은 중국 문화안보의 시선을 전제하여야만, 단순 소비자에서 자본의 투자자로, 그리고 통제자로서 한한령을 발동한 중국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한류의 지속성장을 위한 탐색의 첫걸음이다.

      • KCI등재

        중국의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문화’ 건설에 관한 연구

        공봉진,김창경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4

        2012년에 개최된 중국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 이래로, 시진핑은 중국 해양 사업 발전을 여러 차례 강조하였다. 시진핑은 중국이 ‘해양대국’에서 ‘해양강국’으로의 전환을 강조함과 아울러 ‘해양강국’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시진핑은 “해양강국을 건설한다는 것은 해양에 관심을 가져야 하고 해양을 알아야 하며, 해양을 경영하고 ‘바다’의 잠재력을 분출시켜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 “전 인민이 해양의식을 제고해야 하고, 강대한 해양 역량을 건설하여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해양관’을 형성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한국에서의 중국 해양과 관련된 논문이나 저서는 적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문화’ 건설에 관한 논문은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본 논문은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문화’ 건설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정책’의 주요 내용과 각 지역에서 실시하고 있는 해양정책을 살펴본다. 그리고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문화’ 건설과 관련된 문화사업과 문화산업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시진핑 국가주석이 강조하는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관’과 ‘생태문명사상’을 알 수 있고,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문화 정책과 문화사업 및 문화산업을 알 수 있다. 시진핑은 2022년 4월 하이난(海南)을 시찰하면서 “‘해양강국’ 건설이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실현하기 위한 중대한 전략적 임무”라고 강조하였다. 중국의 ‘해양강국’ 건설과 관련된 정책은 크게 4개 분야, 즉 해양 안전, 해양 경제발전, 해양문화에 대한 자신감, 해양 보호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중 해양문화에 대한 자신감은 ‘중화 해양문화’와 문화사업 및 문화산업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문화’와 관련된 정책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중화 해양문화에 대한 자신감과 ‘통일중국’이다. 이를 위해 중국은 중화 해양문화와 관련된 역사 문명에 대한 조사와 문물 전시 등을 실시하고 있다. 또 ‘통일중국’을 위해 타이완과 관련 있는 마조문화와 정성공의 타이완 수복과 관련된 내용을 부각시키고 있다. 중국의 해양문화사업과 문화산업에 대한 정책은 여러 지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두드러진 것은 해양을 주제로 한 드라마나 영화 및 다큐멘터리가 제작되고 있다는 점이다. 또 박물관 건립, 해양 관광 등의 방면에서도 두드러지고 있다. ‘신시대 중국 특색 해양문화’ 건설은 중국의 전통 해양문화 정수(精髓)를 기반으로 할 것을 강조한다. ‘신시대 중국 특색 해양문화’ 건설의 목표는 중국 해양문화를 새로운 단계로 끌어올리는 것으로, 중국 정부는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문화’ 건설이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의 길로 가는 역사적 임무이자 사명이라 여긴다. Since the 18th National Congress held in 2012, Xi Jinping has repeatedly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China’s marine industry. Xi Jinping suggested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maritime power, saying that China should change from a ‘sea great nation’ to a ‘maritime power.’ Xi Jinping emphasized that “building a ‘maritime power’ means paying attention to the ocean, knowing the ocean, managing the ocean, and unleashing the potential of the ocean.” He also emphasized that “the entire people must raise maritime awareness, build strong maritime capabilities, and form a ‘socialist maritime outlook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for the new era.’” The research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struction of ‘marine cultur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main contents of the marine policy and the marine policies implemented by different regions. It then examines cultural projects and cultural industrie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a ‘marine cultur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Through this paper, we can understand the ‘maritime view of China in the new era’ and the ‘ecological civilization idea’ emphasized by Xi Jinping, as well as the marine culture policy, cultural projects, and cultural industries in the new era.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literature research. In general, we look at what Xi Jinping emphasized or major documents released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State Council. In April 2022, while inspecting Hainan, Xi Jinping emphasized that building a ‘maritime power’ is a major strategic task for realizing ‘the great rejuvenation of the Chinese nation’. China’s policies related to building a ‘maritime power’ largely focus on four areas. The first is marine safety. The second is marine economic development. Third is confidence in marine culture. Fourth is marine protection. And the confidence in marine culture emphasized in China is closely related to Chinese marine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businesses and cultural industries. Particularly prominent in the policies related to ‘marine cultur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is the confidence in Chinese marine culture and a ‘unified China’. To this end, China is conducting research on historical civilizations related to Chinese marine culture and exhibiting artifacts. In addition, it is trying to include Taiwan as part of China for the sake of a ‘unified China’, and emphasizing Taiwan’s related Majo culture and Jung Sung-gong’s restoration of Taiwan. China’s marine cultural projects and policies for the cultural industry are active in many areas. Most notably, maritime-themed dramas, films, and documentaries are being produced, as well as museums and maritime tourism. The construction of ‘marine cultur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emphasizes building on the essence of traditional Chinese marine culture. The goal of the construction of ‘marine cultur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is to take Chinese marine culture to a new level, and the Chinese government considers the construction of ‘marine cultur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to be a historical task and mission on the road to the ‘the great rejuvenation of the Chinese nation’.

      • KCI등재

        근대(近代) 중국(中國)의 지식계(知識界)와 고홍명(辜鴻銘)의 문화(文化) 보수주의(保守主義) -고홍명(辜鴻銘) 사상(思想)의 형성(形成) 과정(過程)과 특징(特徵)을 중심(中心)으로-

        김수영 중국사학회 2017 中國史硏究 Vol.106 No.-

        在近代中國的建設過程中, 特別是鴉片戰爭后西方文明?快地傳入中國的情況下, 中國傳統文化履行着?樣的作用, 是中國知識界需要解決核心問題中的一個. 圍繞這個問題, 當時中國知識界出現了激烈的矛盾, 始與辛亥革命后一群知識分子徹底拒絶傳統文化幷且要求全面接受西方文明. 這些知識分子主張新文化運動, 要對中國社會發揮急速的影響力. 與之對抗的則是呼?傳統文化价値知識人的陣營, 近代中國知識界以“傳統”的作用爲中心明確地分裂開來. 這樣的知識界分裂體現爲從1920年代的`東西文化論爭`到1930年代的`中國本位文化建設論爭`事實上這恰好貫通了中華民國的歷史. 中華民國知識界保持明確的戰線以傳統文化論爭爲中心的理由是, 在同等時期?銜接着自由主義和社會主義尖銳的政治矛盾. 不管是?樣的理由圍繞着`傳統`與`近代中國的建設`問題而展開知識界的對立, 是中華民國期間顯露出最尖銳的事實. 但這樣的對立幷不僅限于中華民國時期, 中華民國之前卽從鴉片戰爭以后開始, 到淸朝末期也是圍繞接受西方文化和傳統文化价値的問題, ?成爲了劃分淸朝知識界的主要指標. 淸末時期的政治勢力洋務派, 變法派, 革命派的知識分子在建設自己理念基礎的時候`傳統文化`常常是重要核心部分內容. 不管??說這是近代中國知識界要完成的作業, 卽近代中國的建設過程中究竟?樣理解“傳統”的意義和作用, 這樣的問題好像依然也持續出現在中華人民共和國的歷史當中. 細看1960年代的文化大革命和1990年代人文精神論爭的話, `傳統文化的地位`依然是將知識界分爲兩部分的論点. 通過觀察近代中國知識界形成的過程中對“傳統”作用的獨特思考方式, 我希望本論文最終能讓我們以新的視角去理解今天的中國. 本論文主要集中傾聽近代中國史上維護傳統文化价値的代表, 文化保守主義家其中之一辜??的主張. 當時文化保守主義陣營里淸流派, 國粹主義, 東方文華派, 學衡派, 論語派等多樣的名稱一樣, 他們之間意見上也存有?大的差異. 他們都是以重視傳統文化作用爲出發点建設近代國家, 但是對于“傳統”具體的机能與內容却有着不同的意見. 本論文在這些衆多文化保守主義學家當中選擇了辜??先生, 主要采取他的主張. 擁有國際聲譽的辜??, 給近代中國知識界的影響, 是他不愿意發揮那樣的影響力, 還是中國知識分子不愿意?, 影響微乎其微. 辜??他國際上的聲譽和他在國內的威望差距?大的根本原因是什??? 到底辜??他向西方的知識分子傳達了什?樣的信息? 爲什?中國知識分子對辜??的見解沒有和歐洲人一樣的反應? 在建設近代國家與傳統文化的作用面前辜??和中國其他的文化保守主義者們的差異究竟在?里? 雖然在當時的中國知識分子那里沒能受到關心, 但是在當時西方知識分子中受到了?熱切的關心, 我認爲通過這種反差現象看出辜??的思想或許超越了近代中國知識界的思想界限.

      • KCI등재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설측음의 권설음화 조음 현상 연구

        박지윤(JIYOON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취학 전후인 7세, 9세 중국계(한국계 중국인 제외) 다문화가정 아동의 설측음 조음 오류 현상을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원인을 고찰하는 데 있다. 아동은 가정에서부터 언어 습득이 일차적으로 이루어지는데 한국어 숙달도가 낮은 중국인 어머니로부터 양질의 한국어 교육을 받지 못한 다문화가정 아동은 또래의 한국인 아동보다 한국어 조음 오류가 높다. 특히,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은 설측음을 중국어 권설음화로 조음하는 경우가 많은데, 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중국인 어머니의 한국어 숙달도가 낮을수록 그 오류는 더 많았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설측음의 권설음화로 조음하는 현상은 중국인 어머니의 모어인 중국어의 권설음 영향 때문인 것으로 보았다. 얼화운의 음향적 특징은, F3의 주파수가 큰 폭으로 하강하여 F2에 접근하는데, F2에 접근할수록 권설이다. 그 이유는 F2가 혀의 앞뒤 위치인데, 혀가 뒤로 갈수록 F2는 낮아지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F3의 주파수가 큰 폭으로 하강하여 F2에 접근한다는 것은 권설음에 가깝다는 뜻이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F3이 F2로 하강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는 일반 가정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고, 다문화가정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인데, 다문화가정 중국인 어머니도 실험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과 동일한 현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설측음은 중국인 어머니의 모어인 중국어 권설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미진하였던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설측음 조음 오류를 실험 연구를 통해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중국인 어머니의 모어인 중국어 권설음과 한국어 설측음의 음운 체계 대조로 보고 이를 음향음성학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carries out an acoustic and phonetic analysis of the pronunciation of 7-9-year-old pre-school Chinese children in Korea (excluding mixed Korean-Chines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oth before and after school. It then considers the cause of their pronunciation errors. Children are primarily taught language at home. In Korea, children who do not receive high-quality Korean-language education from Chinese mothers with low proficiency in Korean make more minor errors when speaking Korean than Korean children of the same age. In particula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Chinese families often pronounce Korean words using a lateral-Chinese retroflex sound; the younger the child and the lower the Chinese mother s proficiency in Korean, the more errors that child is likely to make. This phenomenon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attributed to the prevalence of the retroflex sound in Chinese, their mothers’ native tongue. The acoustical feature of this rhotacization is a sharp fall in the F3 frequency, as it approaches F2. F2 resonates at the front and back of the tongue; as the tongue moves lower, so does F2. Approaching F2 with a large drop in the frequency of F3 creates a sound that is close to the Chinese retroflex sou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aware of F3 falling to F2. Although this phenomenon occurs in children and Chinese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it is never seen in children from Korean families. This shows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influenced by their mother s native language. This study makes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by analyzing the error patterns found in the speech of Chinese multicultural children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Using an acoustic phonetics analysis, It demonstrates that these error patterns are caused by the Chinese mother’s native language and the contrast between the Chinese and Korean phonological systems.

      • KCI등재

        중국 전통문화 부흥의 가치와 문화 정체성 연구: 시진핑 시대, 중국 전통문화 부흥의 특징과 함의 중심으로

        정보은 ( Jung Bo-eun ),김진형 ( Kim Jinhyo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1 국제지역연구 Vol.25 No.1

        과거 중국은 원래 문화의 나라, 문화적 자존심의 나라로 주변국을 문화로 통일하여 중국 중심의 거대한 ‘문화공동체’를 형성한 나라다. 그런 중국에게 문화는 힘과 권력의 근원이었고 중국을 중국이게 하는 정체성의 기반이 된다. 과거 중화제국은 문화제국이었으나 현대 중국의 역사는 공자를 부정하는 역사였고, 중국 전통문화를 봉건 문화로 치부하는 역사이며 전통을 파괴하는 끔찍한 과정을 겪었다. 현재 중국은 ‘정치 강국’, ‘군사 강국’, ‘경제 강국’ 등 강한 중국을 건설하려고 하는 ‘강국몽’을 이루기 위한 국가 발전의 핵심 수단으로 문화를 절실히 필요로 한다. 20세기 이후 세계의 정치 경제문화의 주요한 주도 권력을 장악했던 서구적 질서는 그동안 끊임없이 의심을 받아왔다. 세계보편이라는 ‘가치’ 문제에 있어서도 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그 제도를 받아들여 내재적 문제와 충돌과 보완을 거듭하며 진화했지만, 그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서구 사회 내에서 조차 비판과 조롱이 난무한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혼란의 시대에 새로운 ‘시대정신’을 구현할 책임과 역할을 중국은 줄곧 강조해 왔고, 문화 패권적 과거의 지위를 회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시진핑 시대, 중국이 문화 중국, 문화강국의 중국 건설을 국가 핵심 발전과제로 삼고 문화, 특히 전통문화 부흥을 통해 과거 화려했던 중국의 시대를 부활시키고자 하는 내용을 고찰하며 중국 전통문화 부흥의 가치와 문화정체성에 대한 함의를 짚어본다. In the past, China was a country of culture and cultural pride, where unified neighboring countries with a huge cultural community centered on China. For China, the culture has been the major source of power and influence and serves as the basis for its identity. The previous Chinese Empire was based on the culture. However, modern China was characterized as the history of killing Confucius, and dismissing traditional Chinese culture. These should be considered as terrible processes of destroying tradition. Currently, the culture is a crucial key instrument for national development of building strong China, which incorporates political power, military power, and economic power. The Western-based order, which has dominated major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leadership in the world since the 20th century, has been constantly under suspicion. In terms of the "value" issue of universalizatio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accepted to embrace the universalized system and the value has been evolved by repeated conflicts and supplementation of inherent problems. However, criticism and mockery about the universalized value have become rampant, even within Western societies. With the time of confusion, China has been emphasizing the responsibility and the role of implementing a new "spirit of the times" and wants to restore its cultural hegemony status. Currently, therefore, China is trying to construct a cultural powerhouse, which is a key national developmental task. China attempts to realize the culture-centered Chinese Empire through the revival of its tradition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