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인환 시의 불안, 죽음 의식과 이를 통한 시쓰기의 문제

        박지은(Park, Ji-Eun)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5

        이 연구는 박인환 시에 나타나는 불안과 죽음 의식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박인환 시에서 나타나는 불안과 죽음 의식이 단순하게 비극적 시대 상황에 처한 지식인의 수동적인 감정이 아니라, 그가 역사를 인식하는 데 보다 근본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기분’(Stimmung)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과정을 통해 박인환 시에서 주로 등장하는 모티프들(검은 신, 바람/폭풍, 종말 등)을 해석하고, 박인환 시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한 지점을 마련하고자 했다. 그의 문학 전반을 관통하고 있는 불안과 죽음 의식은 단순히 한국전쟁이라는 특정한 원인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그의 시에서 불안은 오히려 세계 속에 ‘내던져져 있음’(Geworfenheit)에 의한 존재론적 불안에 가깝다. 그는 이러한 존재론적 불안을 ‘바람’(폭풍)의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에게 인식되는 무의미의 세계는 ‘검은 신’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존재론적인 불안의 문제는 죽음 의식과도 연관된다. 그는 언제나 자신을 삶과 죽음 사이에 위치한 존재로 위치시키는데, 이 때 그에게 죽음은 곧 닥쳐올 어떤 것이면서 동시에 그로 하여금 현재의 삶을 계속 자각하게 하는 것이다. 그에게 죽음을 인식하는 시간은 자신이 처한 현재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순간’이 된다는 것이 그의 죽음 의식의 특징적인 부분이다. 결국 그가 불안과 죽음 의식을 통해 얻게 된 것은 양심으로서의 시쓰기이다. 화자는 불안 속에서 들려진 양심의 부름을 듣고, 그는 본래적인 자기(시인이 되기)를 회복하려는 노력을 계속한다. 이렇게 봤을 때 불안과 죽음에 대한인식은 시인이 시쓰기를 계속할 수 있는 동력이 된다. 즉 박인환의 문학에서 ‘불안’은 단순하게 전쟁으로 인한 수동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그의 시작(詩作) 전체를 추동시키는 근본적인 요인으로 기능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박인환은 자신의 문학을 통해 특정한 시대를 뛰어 넘는 진정한 실존의 의미에 대해 질문했다. 또한 불안이라는 감정에 잠식되는 것에서 나아가 자신만의 독특한 죽음 의식과 양심의 문제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discusses Park, In-hwan’s attitude toward death and anxiety as they appear in his poetry. I argue that the anxiety and consciousness of death that appears in Park’s poetry is not simply the passive emotional response of an intellectual facing a tragic era, but is instead an important mood(stimmung) that serves a more fundamental role in Park’s perception of history. Through this process, I interpret some of the main motifs of Park’s work (the black god, wind/storms, finality, and so on), hoping to provide a perspective from which to understand Park’s poetry with greater depth. The source of the anxiety and consciousness of death that permeates Park’s work is not limited simply to the Korean War. The anxiety of his poetry is instead closer to the ontological anxiety of “having-been-thrown” (geworfenheit) into the world. He expresses this ontological anxiety through the image of ‘wind’ (or storms), and he represents a perceived world of meaninglessness in the image of ‘the black god.’ The issue of ontological anxiety is also linked to his consciousness of death. Park consistently locates himself in the space between life and death, so that to him death is both something fast approaching and, at the same time, the thing that repeatedly makes him aware of life. The discerning feature of this consciousness of death is that the moment the poet perceives death is the moment that forces him to see his present objectively. Ultimately what Park achieves through this consciousness of death is a poetry of conscience. From within his anxiety, the speaker hears the call of conscience, and then makes a continued effort to recover his essential self (to become a poet). In this way, anxiety and perception of death become the motivation for the poet to continue writing poetry.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in Park’s work, anxiety is not only the expression of a passive emotional response to war, but in fact functions as the fundamental element that sets his entire poetic process in motion. Park thereby approaches the question of the real meaning of existence, which extends beyond a specific era, in his literary work. In addition, he moves beyond the encroachments of anxiety as an emotion to reveal a unique attitude towards death and the problem of conscience.

      • KCI등재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윤미(Kim Yun Mi),김성봉(Kim Sung B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본 연구는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의 탐색을 목적으로 연구참여자들의 독특한 주관적생활세계의 복합적 현실의 맥락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질문은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자발적연구 참여자로 죽음불안 경험이 있는 50∼60세로 4개월 동안 8명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참여자 경험의 보편적인 본질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 53개의 의미형성과 21개의 하위범주(주제), 그리고 10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도출된 10개의 범주들은 ‘눈에 보이지 않은 불안과 직면함’, ‘세상일과 나 자신에 몰두하며…’, ‘죽음의망각에서 의식(意識)으로 탈바꿈’, ‘삶과 죽음에 대한 재평가’, ‘나, 타인, 그리고 하느님은 하나’, ‘종교적 삶: 감사와 위로의 시간’, ‘죽음에 대한 자기 개방성의 확대’, ‘고통은 나를 성장시키는디딤돌’,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나, 하느님의 도구이자 사랑을 주고받는 존재’이다. 가톨릭신자들은 생과 사를 오가는 극적인 한계 상황에 봉착하였을 때 비종교인과 차이가 없이죽음에 대한 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종교적 믿음의 강도와 신앙의 깊이와는 상관없다는 말이다. 그러나 죽음불안이라는 부정적인 경험은 오히려 하느님 안에서의 강한 변화의지를 통해 삶의의미와 목적이 하느님과 나, 그리고 가족, 타인, 공동체와의 유대감이 ‘우리’라는 정체성의 확장이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가톨릭신자들의 죽음불안 경험을 확인함으로써, 죽음사건으로 말미암은죽음불안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현대의 신앙인들에게 죽음불안에 대한 이해와 가톨릭신자들의 영적 본래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실존주의 심리치료(상담)와 영성상담을 접목한 죽음불안 교육의 중요성을 부여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 존재가 지닌 고유한현상으로서의 보편성을 띈 죽음불안의 실존적 자각에 대한 인식 증진의 방안으로 죽음불안 체험자와의 소그룹 나눔(프로그램화)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to understand the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reality of the unique subjective life world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for the purpose of searching the experiences of death anxiety of Catholic. The research question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is ‘What is the experience of death anxiety among Catholics?’ A voluntary study participant was in-depth interview with eight people over the age of 50 to 60 years with experience of death anxiety. Data analysis employs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sis, which is suitable for analyzing the universal nature of participant experience.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53 meanings, 21 sub - categories, and 10 categories. The ten categories derived are ‘Confronting invisible anxiety’, ‘Iindulging in the world and myself.…’, ‘Transformation from oblivion of death to consciousness’, ‘reevaluation of life and death’, ‘I, others, and God are one’, ‘Religious life: thanksgiving and time of comfort’, ‘Expansion of Self-Openness to Death’, ‘Memento Mori’, ‘Me, the tool of God, and a loving being’. When Catholics were faced with the dramatic limits of life and death, they showed anxiety about death no different from non-religious people. This is irrelevant to the strength and depth of religious faith. However, the negative experience of anxiety of death, rather than a strong will of change in God, extended the identity that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is “we,” the bond between God, me, family, others, and community. This study is meaningful to confirm the experience of death anxiety of Catholics and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death anxiety and the spiritual originality of Catholics for modern believers who do not recognize the death anxiety caused by death. It also gave the importance of death anxiety education combined with existentialist psy chotherapy (counseling) and spiritual counseling.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a small group sharing (programming) with the death anxiety experienced as a way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existential awareness of death anxiety.

      • KCI등재

        노년기에 경험하는 죽음에 대한 불안의 이해

        윤가현 한국노년학연구회 2016 한국 노년학연구 Vol.25 No.-

        죽음은 어느 연령층에서나 발생하지만, 대부분의 죽음은 노년기에 발생한다. 그러나 아무도 죽음 이 후에 어떻게 되는지를 정확히 모를 뿐만 아니라, 사후세계에 대해 증명해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지니고 살아간다. 죽음의 불안은 대다수 문화권에서 보이는, 또 누구에게나 나타나는 근본적이고 보편적인 현상이다. 이는 어린 시절부터 죽음과 관련된 경험들이 누적된 결과로 발달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죽음의 불안의 개념을 필두로 연령이나 성별, 건강상태, 가족관계 등 죽음의 불안과 관련된 요인들을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는 노년기 죽음의 불안에 대한 대처를 개관했다. 본고의 목적은 여러 가지 이유로 불안이 높은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불안수준을 경 감시키면서,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해줄 수 있는 상담이나 치료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Death can take place in any age, but most deaths have occurred in old age. Many people have death anxiety because they do not know about the afterlife at all and no one can prove what the afterlife is. Death anxiety is a universal phenomenon which can be observed in most cultures and a fundamental phenomenon which can be found in most people. The anxiety would be the effects of accumulated experience related to death from early years. Various concepts of the anxiety as well as several major factors related to the anxiety such as age, gender, health status, family relations and so on were reviewed in this paper, while how to cope with the anxiety was examined in the last part of the pa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ovide some basic ideas for any counseling or therapy program which can reduce the anxiety in old age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 KCI등재

        죽음에 대한 태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임송자(Song-Ja Lim),송선희(Sun-Hee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5

        본 연구는 개인 특성에 따라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불안에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고, 죽음에 대한 태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하위요인 별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천안시, 아산시 및 용인시에 소재한 대학의 대학생들과 천안시, 아산시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들로 총 325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 특성에 따라 죽음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있었다. 하위 요인별로 죽음에 대한 두려움요인에서는 일반 성인, 종교가 있는 사람, 기혼자가 긍정적이었고, 죽음에 대한 회피요인에서는 종교가 있는 사람, 여자, 기혼자가 긍정적이었으며, 죽음에 대한 개방성요인에서는 일반성인, 종교가 있는 사람, 기혼자의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둘째, 개인 특성에 따라 죽음불안에 차이가 있었다.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인지·정서적 불안요인에서는 대학생, 종교가 없는 사람, 여성 및 미혼자의 죽음불안이 더 높았고, 신체변화에 대한 불안요인에서는 결혼유무만 차이가 있어 기혼자 보다 미혼자의 불안이 더 높았다. 셋째,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불안은 상관이 있었다. 죽음에 대한 태도의 하위 요인 중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죽음불안의 하위 세 요인 모두와 부(-)의 상관이, 죽음에 대한 회피는 신체변화에 대한 불안에만 정(+)의 상관이, 죽음에 대한 개방성은 인지·정서적 불안에만 정(+)의 상관이 있었다. 넷째, 죽음에 대한 태도의 하위 요인 중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죽음에 대한 회피는 죽음불안의 하위 세 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the effect and difference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the death attitude on death anxiety. The college students who study in the area of Chonan, Yongin, and Asan and the adults who live in the area of Chonan and Asan enrolled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survey data from 325 responses finally.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adults are more positive than college students, religious people are more positive than nonreligious people, female are more positive than male, and married people are more positive than unmarried people in the death attitude. Second, college students are more positive than adults, nonreligious people are more positive than religious people, female are more positive than male, and unmarried people are more positive than married people in the death anxiety. Thir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death anxiety and the death attitude. The fear on death has negative correlation on all subvariables of the death anxiety. Avoidance on death has positive correlation on the physical change anxiety, and openness on death has positive correlation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nxiety. Finally, It showed that the death attitude are affected by the death anxiety. The death anxiety was not much, if the fear on death are more little, the death anxiety was much, if the avoidance on death are much.

      • KCI등재

        죽음의 불안과 노화과정

        윤가현 ( Ga Hyun Youn ),오미성 ( Mi Seong Oh ),권혜란 ( Hay Rran Kwon ) 한국노년학연구회 2007 한국 노년학연구 Vol.16 No.-

        사고가 아닌 이상 누구나 노환으로 죽음을 맞이한다. 본고는 사고나 질병,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죽음과 관련된 불안현상이 무엇이며, 그와 같은 불안을 측정하는 것, 죽음의 불안을 설명해주는 요인, 그리고 죽음의 불안에 따라서 변하는 행동 및 대처방안을 간략하게 정리한 글이다. 죽음과 관련된 불안의 내용에서는 죽음 자체와 죽어가는 과정 그리고 자신의 죽음과 타인의 죽음으로 구별해서 이해해야함을 전달했으며, 죽음의 불안과 관련해서 가장 흔하게 언급되는 요인들은 연령, 성별, 종교성, 건강, 및 성격 등이었다. 본고의 후반부에서는 죽음을 바라보는 관점은 종족보존, 종교성, 창조적인 활동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사고가 아닌 이상 누구나 노환으로 죽음을 맞이한다. 본고는 사고나 질병,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죽음과 관련된 불안현상이 무엇이며, 그와 같은 불안을 측정하는 것, 죽음의 불안을 설명해주는 요인, 그리고 죽음의 불안에 따라서 변하는 행동 및 대처방안을 간략하게 정리한 글이다. 죽음과 관련된 불안의 내용에서는 죽음 자체와 죽어가는 과정 그리고 자신의 죽음과 타인의 죽음으로 구별해서 이해해야함을 전달했으며, 죽음의 불안과 관련해서 가장 흔하게 언급되는 요인들은 연령, 성별, 종교성, 건강, 및 성격 등이었다. 본고의 후반부에서는 죽음을 바라보는 관점은 종족보존, 종교성, 창조적인 활동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While most people have heard and seen other people`s death, they might be anxious about death itself and/or dying process. This paper was to examine what death anxiety is (i.e., what symptoms are associated with its anxiety), how to assess its anxiety, what factors affect the anxiety, and what coping strategies are. The major factors affecting death anxiety were age and a variety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everal coping strategies, such as biological or spiritual, were discussed in this paper.

      • KCI등재

        노인의 사회인구적 특성과 죽음불안

        김연숙(Kim, Yeon Sook),김지미(Kim, Jimee)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인구적 특성이 전체죽음불안 및 세부영역별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여 노인의 죽음불안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돕고 나아가 다양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편의표집한 경기도 S시 재가노인 156명이며, 국내에서 개발된 죽음불안척도를 가지고 개별 면접조사 하였으며 SPSS 1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t검정, F검정과 Scheffe 검정,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대상노인의 전체죽음불안은 2.61(±.47)점이었고 세부영역별로 '죽음과정불안'(2.94점)이 가장 높았다. 노인의 전체 죽음불안 및 세부영역별 죽음불안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요인은 '나이', '경제상태'이었고 개별적으로 전체죽음불안에는 '교육(β=-.16, p=.045)'만 이, '존재상실불안'에는 '가족관계(β=-.21, p=.010)'만 이, '죽음과정불안'에는 '성별(β=.17, p=.028)' 만 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젊은 노인이거나 경제상태가 어려울수록 보편적으로 죽음불안이 높아질 수 있지만 가족관계가 나쁘면 '존재상실불안'이 높고 여성노인은 '죽음과정불안'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사회인구적 특성에 따라 죽음불안을 느끼는 세부영역이 다를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추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 반복연구 및 죽음불안의 설명력을 높일 수 있는 주요 관련변수를 확대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ive factors of elderly people's overall death anxiety and sub-dimensions of death anxiety. The subjects were 156 elderly people in S City, Gyeonggi-Do gathered by convenience sampling. This study collected data by interviewing the elderly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then analyzed it using SPSS 12.0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F-test, Sheffe-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pondents' overall death anxiety score was 2.61(±.47), and 'anxiety in the dying process'(2.94) had the highest points among sub-dimensions. Effective factors of overall level of death anxiety among the elderly were 'age' (β=-.18, p=.015), 'education' (β=-.16, p=.045), and 'economic status' (β=-.26, p=.003). In sub-dimensions, the elderly who were female, relatively young, and had low economic status showed high 'anxiety in the dying process'. As for 'anxiety over what will happen after one's death', the elderly who were relatively young, and had low economic status had high scores. Finally, on 'the loss of existence', the elderly who had poor relationships with their families had high scores.

      • KCI등재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장경은 한국노인복지학회 2010 노인복지연구 Vol.0 No.4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ath anxiety of elderly people from the ecological perspectiv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36 elderly over 60 years old in Daegu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ver. 15.0) program, and factor analysis, frequencies, ANOVA, Tukey HSD, correlation, hierarchial regression were utili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overall death anxiety score was 2.57(±.38), and ‘anxiety in the dying process’(2.74) had the highest points among sub-dimensions. Second, depression and ego integrity were out of the individual factors influencing the death anxiety of elderly. Social activities and familism were out of the socio-environment factors influencing the death anxiety of elderly. Third, it was analyzed the relative significances of variables contributing to the death anxiety of elder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factor in social background. On the other hand, the degree of the depression from the individual factors, and familism, social activities, and social support from the socio-environment factors were found to be very significant in contributing the death anxiety of elderly. 본 연구는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주는 생태체계적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포괄적으로 제시하여 이들의 삶의 의미를 찾고 존엄한 죽음을 준비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총 236명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조사대상자의 전체 죽음불안은 2.57점(4점 만점)으로 나타났고, 죽음불안의 세부영역에서 죽음과정불안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사후결과불안, 존재상실불안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죽음불안과 생태체계적 요인과의 차이 분석을 살펴본 결과, 개인체계요인에서는 우울과 자아통합감이, 사회환경체계요인에서는 사회활동참여와 가족주의가치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노인의 죽음불안과 관련있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죽음불안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인 변인은 연령, 배우자유무, 우울, 가족주의가치관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노인의 죽음불안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 변인은 교육수준,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통합감, 사회활동참여로 나타났다. 넷째,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개인체계요인에서는 우울이 심할수록, 사회환경체계요인에서는 가족주의가치관이 높을수록, 사회활동참여를 하지 않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대상노인의 죽음불안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중에서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인체계요인이나 사회환경체계요인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 죽음불안을 완화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에 대한 연구

        최외선(Choi, Wae Sun) 한국노년학회 2007 한국노년학 Vol.27 No.4

        본 연구는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죽음준비 및 건강한 노후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노인대학,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경산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368명이며, 연구도구는 자아통합감 척도와 죽음불안 척도이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고, 사후검증으로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자아통합감의 수준은 보통 정도이며, 삶에 대한 태도보다 과거ㆍ현재 수용에 대한 자아통합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노인의 죽음불안 수준은 보통 정도이며, 죽음과정에 대한 불안이 존재상실과 사후결과에 대한 불안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자아통합감은 성별, 교육수준, 건강상태, 자원봉사유무, 경제수준 만족도, 가정생활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노인의 죽음불안은 성별, 교육수준, 종교, 건강상태, 동거형태, 경제수준 만족도, 가정생활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삶에 대한 태도, 과거ㆍ현재수용, 종교유무, 교육수준으로 나타났다. 즉 삶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과거ㆍ현재 수용을 많이 할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는 노인이 종교가 없는 노인보다 죽음불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인과관계를 살펴보면, 삶에 대한 태도, 과거ㆍ현재 수용, 종교유무는 죽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교육수준은 죽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과거ㆍ현재 수용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자원봉사유무, 경제수준 만족도, 가정생활만족도는 삶에 대한 태도를 통해 죽음불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people's ego integrity and death anxiety. The subject for this study were 368 elderly people (male 148, female 220) over 60 years of age with no physical and cognitive damage, who were residing in Gyeongsan city and attending colleges or welfare centers for the ag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ver. 12.0) program, and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path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were utili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s ego integrity and death anxiety were the average. Second, elderly people's ego integrity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difference according to sex, academic background, health condition, existence/nonexistence of volunteering, residence pattern, satisfaction of economic condition and home life. Then elderly people's death anxiety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depending on sex, academic background, religion, health condition, residence pattern, satisfaction of economic condition and home lif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variables had an effect on death anxiety in attitude toward life, past-present acceptance, existence/nonexistence of region, academic background. That is, it was found that death anxiety was lower in the group of the elderly who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life, higher past-present acceptance, existence of region, higher academic background.

      • KCI등재

        기독노인의 하나님 이미지와 죽음불안과의 상관관계

        이영미,조윤옥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not only to examine and relate the image of God and death anxiety of the Christian elderly peoples, but to make clear of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to general background of objects, and finally to illuminate relationships among sub-categories of the image of God affecting on death anxiety. The object of this study is 98 Christian elderly peoples older than 65 years living at J-area.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are both God Image Assessment developed by Kim(2002) and Death Anxiety Scale of Templer(1970). By using raw data collected from the scale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and Duncan’s post-test were carri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image of God and death anxiety of each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image of God i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health condition, but shows no difference with regard to sex, age, and the death experience of family. Secondly, death anxiety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sex, age and the death experience of family. The death anxiety of the group expressed as ‘bad health condition’ is low in comparison to the group expressed ‘similar health among the same aged’. It is recognized that the longer the duration of belief, the less the degree of the death anxiety. Thirdly, The higher the subcategories(belonging, goodness, and feeling of control) of the image of God, the lower the death anxiety in the order of the belonging, feeling of control and goodness. Fourthly,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of the image of God, the less the death anxiety in general; It is recognized that the image of God influence on death anxiety of significanc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image of God influences on the factual responses on the death confronted with the aged people, and it can provide with fundamental data and new perspectives on how to approach the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christian peoples. 본 연구는 기독노인의 하나님 이미지와 죽음불안에 대해 살펴보고, 하나님 이미지와 죽음불안과의 관계는 어떠하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어떠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죽음불안과 하나님 이미지의 하위영역간의 관련성은 어떠한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J지역의 기독교 신앙을 가진 65세 이상의 노인 9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하나님 이미지 측정도구는 김난예가 개발한 God Image Assessment이며 죽음불안 척도는 Templer의 Death Anxiety Scale를 사용하였다. 이 측정도구로 하나님 이미지와 죽음불안과의 관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t-test와 일원분산분석과 Duncan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별과 연령, 가족의 죽음경험에 따른 하나님 이미지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건강상태와 하나님 이미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신앙년 수가 많을수록 하나님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연령, 가족의 죽음경험에 따른 죽음불안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건강상태는 건강이 매우 나쁘다고 인지한 집단이 건강이 같은 연령대와 비슷하다고 인지한 집단보다 죽음불안이 낮았으며, 신앙년 수가 많을수록 죽음불안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하나님 이미지의 하위영역인 소속감, 승인감, 통제감이 높을수록 죽음불안이 낮아졌으며, 소속감, 통제감, 승인감의 순으로 죽음불안이 낮다는 결과를 얻었다. 넷째, 전체적인 하나님 이미지가 긍정적일수록 죽음불안이 낮아져서 하나님 이미지와 죽음불안은 유의한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하나님 이미지가 노년의 죽음을 맞이하는 사건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기독노인의 죽음불안 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중고령 이주노동자들의 특성 및 죽음불안-중국국적 동포를 중심으로-

        우국희,김한호,한일숙,이연순,김종례 한국노인복지학회 2010 노인복지연구 Vol.0 No.5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migrant workers in the future, by observing the trend of aging of migrant workers, and studying their death anxiety level, which will be their primary concer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respondents’ overall death anxiety score was 2.71, and dying process anxiety was(2.99) had the highest score among sub-dimensions. Gender, age, education, economic condition, household living status and occupation status shows correlation with death anxiety, but the influence was found insignificant. Economic condition and education appear to have significance on dying process anxiety, and economic condition also appears to have significance on loss of existence anxiety. This study has limited numbers of participants and diversification.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들의 고령화 추이에 주목하고, 이들의 주요 관심과 노년기 주요 과제가 될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죽음불안 수준을 연구하여 향후 고령 이주노동자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주노동자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법적 권리, 인권 보장 차원에서 나아가 그들의 신체 및 정신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증대하고 있는데, 죽음불안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한 요소를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연구의 결과는 중고령 이주노동자들의 죽음 불안 수준은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고령층보다는 중고령층의 죽음불안수준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죽음불안은 성별, 경제적 수준과 직업의 유무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연령, 교육, 경제상태, 가족동거유무, 한국직업 유무가 죽음불안과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죽음불안에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세부영역에서 경제 상태와 교육이 죽음불안 중 죽음과정불안에 그리고 경제상태가 존재상실불안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