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죽음 교육 수강 대학생이 인식한 죽음 태도 변화 연구

        최임숙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4 대학교양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교양교육 교과목인 죽음학 수강생을 대상으로 죽음교육 전⋅후의죽음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또한 죽음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와 죽음교육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제별 서술형 응답에 대한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죽음태도를 2회 반복 측정하고 Wilcoxon 검증한 결과, 죽음교육 수강생 집단의 경우 죽음회피 요소는 감소하고 접근수용 요소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교육 비수강생 집단의 죽음 태도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습자들이 죽음학 강좌에서 얻고자 하는 것은, 죽음학 자체에 대한 호기심 해결, 죽음에 대한 새로운 의미와 관점 찾기, 상실 극복, 삶의 의미 추구 등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대다수의 학생이 죽음에서 ‘끝’을 연상하였으며, 겪어보지 못한 일이므로 미지의 공포와 부정적 정서를 떠올렸다. 죽음교육 수강생들은, 자살하면 안 되는 이유에 대한 응답으로 빼앗길 수 없는 권리와의무, 이기적 행동, 미래의 가능성 포기, 종교적 신념 위배, 좋은 죽음이 아님, 삶의 내재적가치 포기 등을 주장하였다. 더불어, 학습자들은 죽음학 학습의 효과와 청년기 자살률 감소노력의 필요성도 함께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교양교육으로서의 죽음교육을 통하여 나타난 죽음태도의 실제적 변화를 탐색하였고, 죽음교육에 대한 학습자 요구와 경험의 구체적 의미를 도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attitudes towards death before and after death educa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a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 on death studies. Additionally, I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of topic-based descriptive responses to understand learners’ needs regarding death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their death education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e repeated measures of attitudes towards death, analyzed using the Wilcoxon test, showed that participants in the death education group exhibited a decrease in death avoidance and an increase in approach acceptance factors. Significant changes in attitudes towards death were not observed among the non-death education group. Learners’ objectives in the death education course can be categorized into resolving curiosity about thanatology itself, discovering new meanings and perspectives on death, overcoming loss, and seeking the meaning of life. The majority of students associate death with ‘the end’ and recall unknown fears and negative emotions due to its unfamiliarity. In response to the reasons why one should not commit suicide, participants in the death education course argued for inalienable rights and duties, selfish behavior, forfeiting future possibilities, violating religious beliefs, not constituting a good death, and relinquishing intrinsic life values. Additionally, learners emphasized the positive effects of death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efforts to reduce youth suicide rat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xploring actual changes in death attitudes through death education as part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in deriving the specific meaning of learners’ needs and experiences related to death education.

      • KCI등재

        죽음교육의 측면에서 본 자만시의 가치

        임준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21 漢字 漢文敎育 Vol.51 No.-

        이 글은 自挽詩를 현대 죽음학과 죽음 교육의 시각에서 새롭게 조명하여 그 가치를 탐색한 것이다. 자만시는 동아시아 사회의 전통적 죽음 인식 일반과는 변별되는 글쓰기지만, 자신의 죽음을 정면으로 문제 삼은 사례라는 점에서 오늘날의 죽음교육에도 시사하는 점이 많다.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Elizabeth Kübler-Ross)가 말한 죽음 수용 단계들을 기반으로 자만시를 살펴보면, 자만시는 대체로 죽음 수용의 마지막 단계에서 지어지며, 의연히 죽음을 수용하려는 의식을 보여주거나, 죽음을 부모 및 조상과의 만남으로 받아들이는 의식이 많이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자신의 상장례에 대한 구체적 실행 방식의 제시는 남은 이들을 배려하는 자세로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퀴블러 로스가 제기한 ‘사후생’의 문제는 동아시아 고유의 영혼관과는 차이가 있지만, 자만시에선 ‘三不朽’와 같이 또 다른 관점에서 존재의 영원성을 고민했으며, 드물게 근사체험에 가까운 내용이 담기기도 했다. 이는 자신의 ‘소망 투사’(wishful thinking)라고도 볼 수 있지만 현대인의 죽음 터부를 깨는 데도 활용할 여지가 충분하다. 자만시를 활용한 죽음교육은 기존의 유언장 써보기와도 유사하지만 자만시 쓰기가 좀 더 자신의 죽음에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유언장의 내용이 대개 자신의 신변을 정리하고 가족과 주변 인들에게 남기는 말로 구성되는 반면, 자만시는 나의 죽음 자체에 좀 더 집중하여 죽음을 통한 ‘마지막 성장’이란 덕목에 좀 더 충실한 과정이 될 수 있다. 자만시는 관성적 죽음인식을 벗어나 있거나 전혀 다른 시각에서 죽음을 조명한다는 점에서 죽음 교육 자료로서 활용 가치가 높다. 현대인들의 죽음에 대한 지나친 두려움을 걷어내기 위한 교육 자료로서 자만시는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value of self-elegy from the perspective of thanatology and death education. Self-elegy is a type of writing that is distinct from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 death in East Asia, but there are many implications for today's death education in that it is an example of taking issue with one's own death. Based on Elizabeth Kübler-Ross's death acceptance stages, self-elegy is generally written at the last stage of accepting death, showing a sense of willingness to accept death or accepting death as a meeting with parents and ancestors. In particular,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presentation of specific ways of one’s own funeral as an consideration for the bereaved. Kübler-Ross’s concept of "post-life" differs from East Asia's unique view of the soul, but in self-elegy, we can find the thoughts about the eternity of existence from another perspective, such as "Sanbuxiu(三不朽)", and some statements about near-death experience. This can also be seen as one's own "wishful thinking," but it also can be used to break the taboo on death of modern people. Death education using self-elegy is similar to writing will testaments, but self-elegy can lead people to focus more on one's own death. While the contents of the will usually focus on organizing one's life and leave the last words to family members and frinds, self-elegy can be a more faithful process to the virtue of "last growth" through death by focusing more on one’s death itself. Self-elegy is highly valuable as a material for death education in that it deviates from inertial perception on death and illuminates death from a completely different perspective. Self-elegy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educational material to remove excessive fear of death for the modern people.

      • KCI등재

        노인죽음교육의 효과 분석: 생활만족도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죽음불안의 매개역할

        김성희 ( Kim Sung Hee ),송양민 ( Song Yang M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노인교육의 한 분야로 주목받고 있는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전국 5개 도시의 10개 복지관에서 60세 이상 노인 203명(죽음교육 참여 120명, 죽음교육 비참여 83명)을 모집해 진행하였으며, 죽음교육 참여 그룹에 대해서는 총 17주(매주 한차례, 매회 2시간)의 죽음교육을 실시하였다. 분석모형에서 죽음준비교육을 독립변수로, 죽음불안을 매개변수로, 생활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수집한 자료에 대해 t-test,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준비교육은 죽음불안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둘째, 죽음준비교육은 생활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만, 이는 죽음준비교육 자체에 의한 효과라기보다 는 죽음불안을 매개로 하는 효과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노인의 죽음불안 정도는 교육 참가여부, 성별, 주관적 건강상태, 지역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생활만족도 는 성별, 주관적 생활수준, 독거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심리적 안녕감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죽음준비교육이 노인들의 `활기찬 노화`, `건강한 노화`, `성공적 노화`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고, 죽음교육의 보급을 더욱 활성화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has two objectives. One is to review the current situation of death education which is widely regarded as the important part of education for the elderly. The other is to identify systematically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older adults`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education intervention were held in the 10 Social Welfare Centers in 5 citi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03 elderly(120 participants, 83 non-participants) aged 60 years over, and the 17-weeks death education(2 hours for 1 time per week) was performed towar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model, death education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with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dependent variables, while death anxiety were set up as a mediating variable,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Sobel test, with PASW statistic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ath education contributes to lessening death anxiety,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death education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the influence was confirmed as a mediated effect of lessened death anxiety, rather than death education itself. Thirdly, older adults` death anxiety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subjective standard of health status, and regions. Life satisfaction also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subjective standard of living, and living alone.

      • KCI등재

        한국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 개발:

        정재걸(Jung Jae Geol),이승연(Lee Sung Yean),이현지(Lee Hyun Ji),백진호(Baek Jin Ho)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2

        Death Education was started in 1960s in United States as the education to prepare death. Nowadays it has been spreaded to Europe and Asia. The contents of death education are also expanded to life respect education,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and introspection of life through death. In Korea, death education has received attention since 2000. Recently arguments that death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o youth has been raised. But the research of death education for Korean youth is very po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 One is to develop death education for Korean youth. Second is to find the way of application of the model to school. 1960년대 미국에서 죽음준비교육으로 시작된 죽음교육은 이제 유럽, 아시아 등으로 확산되는 한편, 그 내용에 있어서도 생명존중교육, 자살예방교육, 또는 죽음을 통한 삶의 성찰이라는 철학적 사유로까지 그 영역이 확대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대에 들어 죽음교육의 필요성에 주목하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노인이나 시한부 환자를 넘어 청소년에게로 죽음교육의 대상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교육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방법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진척되지 않았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에 착안한 것으로 도덕수업과 죽음교육의 접목을 시도하여 학교현장에서 죽음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보고자 한 것이다. 만약 죽음교육이 죽음준비교육을 넘어, 생명존중교육, 더 나아가 죽음에 대한 철학적 사유까지 포함한다면 그것이야말로 도덕교육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 글에서는 일본 죽음교육 사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소개하였는데, 이는 일본이 죽음교육을 도덕수업의 주요 테마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선행 사례는 우리 죽음교육, 더 나아가 도덕교육에도 새로운 시사점을 던져 줄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의 죽음교육 욕구와 죽음태도에 관한 연구

        이현지,박선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0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3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eeds of death education and their death attitude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Social Welfar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and 296 college students at 4 universities in D city and K province participat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Win 15.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more than 50% of subjects responded unsatisfied or very unsatisfied with death education within Social Welfare Curriculums now, while over 70% of them considered death education was needed. In addition, field practice, discussion and case studies were selected as teaching methods for death education. Finally, the implication for death education in Social Welfare and recommendation for further study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현재 죽음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욕구를 파악하고, 그들의 죽음태도를 탐색하여 향후 사회복지영역에서 죽음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D시와 K지역에 소재한 4개 대학의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 296명으로, 비무작위 편의추출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15.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들의 현 교과과정 내 죽음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50% 이하로 나타나 낮은 반면, 죽음교육에 대한 욕구는 70%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죽음교육에 대한 교수방법으로는 실습과 체험, 사례중심의 교수법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의 죽음태도는 죽음경험과 죽음교육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죽음교육이 긍정적 죽음태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사회복지학교육과정에서 죽음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함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들의 죽음에 대한 의식과 종교교육

        李在永 韓國宗敎敎育學會 2004 宗敎敎育學硏究 Vol.19 No.-

        죽음의 문제는 짧의 문제와 상관성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사람들은 죽음에 대하여 화제로 삼는 것을 금기시해왔다. 보다 가치 있고, 의미 있는 삶을 살기 위해서 죽음 대비교육은 중요한 일이다. 특히 미래의 삶을 대비해 가는 청소년들의 인생관과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죽음 대비교육은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를 위해 조사한 바로는 우리나라 학교 교육이나 종교교육에서 청소년들을 위한 죽음 대비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죽음 대비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에게는 죽음 현장에 참여하거나 임종이나 시신을 보는 일도 차단되었다. 죽음대비 교육이 삶을 위한 교육이라면, 청소년들에게 죽음대비 교육은 절실하게 요구된다. 청소년들에게 바른 생사관, 죽음에 직면한 사람을 돕는 교육, 생명의 소중함과 자살 예방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그들의 인생관과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청소년 죽음대비 교육을 위해서 우리나라 중· 고등학교 도덕이나 윤리, 그리고 종립학교에서 교재로 택하고 있는 종교 과목에서 죽음에 대한 대비교육을 다루어야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죽음에 대한 의식을 조사해서 바람직한 죽음 대비 종교교육의 구조와 방향을 연구하기 위함이다. Life is inevitably related to death. Yet Koreans have considered it a taboo to talk about death. To lead a more meaningful and valuable life, it is very important to receive preparatory death education. Preparatory death education can exert a great influence on the youth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ir views of life and value systems. A survey conducted for this study reveals that Korean schools provide virtually no curriculum for the preparatory death education for the youths. The youths are not even allowed to watch death scenes or dead bodies, let alone the preparatory death education. Since the preparatory death education is in fact an education to lead a better life,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the youths with the preparatory death education. Preparatory death education or education for suicide prevention will help the youths appreciate the value of life, establish proper views of life and death, and learn how to aid people facing deaths. To properly conduct preparatory death education for the youths, it should be dealt with in the ethics courses of Middle and High schools, and in the religious courses of various missionary schools. This study conducted an investigation of the youths' perception of death in an attempt to provide a proper direction for preparatory death education.

      • KCI등재

        죽음교육 도입을 위한 접근 방안 탐색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조석환 한국윤리교육학회 2024 윤리교육연구 Vol.- No.7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죽음교육의 필요성을 밝히고, 죽음교육을 도입하기 위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접근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죽음에 대한 성찰을 통해 삶을 더욱 의미 있게 살도록 돕는 죽음교육은 아동이 죽음의 충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고, 건강하고 올바른 죽음관 형성을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죽음교육 도입은 죽음에 대한 사회적 차원의 거부감과 교육적 차원의 준비 부족 등의 어려움이 있다. 이를 극복하는 접근 방안으로 초등학교 죽음교육의 명칭을 생애 이해 교육으로 바꾸고, 도덕과를 죽음교육의 주관교과로 선정하며, 사회적 지지와 공감의 확장을 제시하였다. 추후 초등학교 죽음 교육과정과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explore approaches to overcome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its introduction. Death education, which helps individuals live more meaningful lives through reflection on death, is essential for children to cope with the shock of death and to form a healthy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it. However, the introduction of death education faces difficulties such as society's aversion to the topic and a lack of and a lack of educational preparednes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is study suggests renaming dea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s "Life Understanding Education," designating moral education as the primary subject for death education, and expanding social support and empathy. Additionally, it proposes the futur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hool death education curriculum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 KCI등재

        종교교육의 텍스트로서 죽음 동화와 죽음의 의미

        이은경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7 기독교교육논총 Vol.51 No.-

        This article deals with the topic of death as an elementary subject of religious education, which has been regarded as negligible, especially in the area of faith education or religiou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will select some of Children’s stories with regard to death, find the death motif in them and explore the meaning of death as one of the subjects of religious education. Korea Church has had its imbalanced focus upon the indoctrination of church dogma. Religious education or faith education has been criticised in that it does not reach at the experience of transcendent being deep within human mind or at any praxis to change one’s life. Thus, it has not much dealt with the subjects such as ‘death’ and ‘mourning.’ However, the subject of death is a very important elementary topic in religious education as well as general education. Taking death as the subject of religious education does not mean any doctrinal or theological approach to life and death, but it rather mean an exploration of an integral or multidisciplinary possibility of religious education motivating sympathetic understandings of sorrow and mourning. In this context, death education may be called education for the completion of life. The four selected children’s stories with regard to death show the motif of meaningful death with regard to religious education. First of all, I Will Be With You (original tile: Ente, Tod und Tulpe) by Wolf Erlbruch and I Am Death (original tile: Jeg er Døden) by Elisabeth Helland Larsen disclose the very everydayness of death, which is very close to us and interferes our today. In Scab on the Knee (original tile: La Croȗte) by Charlotte Moundlic, the main character ‘I’ shows the life process of overcoming the sorrow and longing for Mom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the scab on the knee was healed. Finally, The Most Wonderful Funeral in the World (original tile: Alla döna små djur) by Ulf Nilsson playfully describes the funerals of animals by three children who gradually understand and experience death. The four children’s stories of death reveal the meaning of death as the subject of religions education. First, they show a possibility of reflection on life. Children can grasp the sense of the wholeness of life through the topic of death,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gain the power to overcome troubles and hardships in their present. Second, death may be understood as the completion of life. For Christians, death is not the end of life but its completion and thus a form of life. In this sense, death becomes the goal of our life as one of factors in life. Last, children have their right to experience death. By participating in funeral, children can reduce the fear and anxiety from death and nurture their sympathetic attitude when they feel sympathy with other’s sorrow. In short, death education is none other than one for life. Especially, death education through children’s story offers chance to reflect upon religious question by enabling them to in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experiences of characters in the stories, and, in so doing, to imagine their hearts.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신앙교육, 종교교육의 영역에서 소홀히 다루어져온 ‘죽음’을 종교교육의 요체적 주제로서 다루고자 한다. 이것을 위해 죽음과 관련된 동화들을 선택한 후, 각각의 동화들이 갖고 있는 죽음의 모티브를 찾아내고, 종교교육의 주제로서 죽음이 지닌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그동안 한국교회는 신앙교육, 종교교육의 영역에서 교리교육적인 면에 치우쳐 왔다. 그리고 이런 까닭에 종교교육 혹은 신앙교육을 통해 인간의 내면 깊은 곳에 있는 초월적 존재에 대한 체험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자신의 삶을 바꾸는 실천으로 나아가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 왔고, ‘죽음’, ‘애도’ 등과 같은 특정 주제들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지 않아왔다. 그러나 ‘죽음’이라고 하는 것은 종교교육의 영역에서는 말할 것도 없고, 일반교육의 영역에서도 중요한 요체적(要諦的) 주제 중 하나다. 그리고 죽음을 종교교육의 주제로 삼는다는 것은 생(生)과 사(死)에 대한 ‘교리적’ 혹은 ‘신학적’ 접근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슬픔과 애도의 ‘공감적’ 이해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통합적, 통섭적 종교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죽음교육은 ‘삶의 완성’을 위한 교육이라 불리기도 한다. 죽음과 관련해서 선별된 네 편의 동화는 종교교육의 측면에서 의미 있는 죽음의 모티브들을 드러낸다. 먼저 『내가 함께 있을게』와 『나는 죽음이에요』는 우리와 가까이 있으면서 우리의 오늘에 간섭하는 ‘죽음의 일상성’을 드러내며, 『무릎딱지』는 주인공 ‘나’의 무릎에 생긴 딱지가 아물어 가는 과정을 통해 엄마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을 극복해 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세상에서 가장 멋진 장례식』은 세 어린이가 동물들의 장례식을 치러주면서 점점 죽음을 이해하고, 죽음을 경험하는 과정을 유쾌하게 보여 주고 있다. 이 네 편의 죽음 동화를 통해 종교교육의 주제로서 죽음이 가진 의미를 짚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삶에 대한 성찰의 가능성으로, 어린이들은 죽음을 통해 삶의 전체성 감각을 회복하고,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현재의 어려움과 시련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얻기도 한다. 둘째는 죽음을 삶의 완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독교인에게 죽음은 삶의 끝이 아니라, 완성이며 삶의 한 형식이다. 그래서 죽음은 삶의 한 구성요소로서 우리 생의 목표가 된다. 마지막은 어린이들도 죽음을 경험할 권리가 있다는 사실이다. 어린이들도 장례의식에 참여함으로써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슬픔에 감정이입함으로써 공감능력을 키울 수 있다. 한 마디로 죽음교육은 삶을 위한 교육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동화를 통한 죽음교육은 어린이들이 동화 속 주인공의 경험에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상상함으로써, 종교적 물음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KCI등재

        싸나톨로지(죽음학) 관점에서 본 노년비탄과 임종에 대비한 죽음교육 연구

        김재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싸나톨로지(죽음학) 관점에서 본 노년의 비탄과 임종에 대비한 죽음교육을 제언하기위한 것이다. 급속도로 고령화되고 있는 사회 변화에서 노인인구의 수와 비율의 증가는 노인인구가맞게 될 삶의 마무리 즉 임종에 대한 대비가 시급함을 의미한다. 노인들의 비탄과 임종에 대비하는교육의 필요성이 점증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참여자들은 노년의 비탄과임종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2) 노년의 비탄과 임종에 대비한 죽음교육을 받은 참여자들은인지적 정서적 측면에서 어떤 변화가 있는가? 3) 노년의 비탄과 임종에 대비한 죽음교육을 받은 참여자들은 비탄과 죽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이 연구를 위해 참여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죽음교육을 하기 전과 후를 관찰하고 심층인터뷰를시행하였다. 참여자는 78세 남자와 81세 여성 두 사람이었고 실험을 통해 두 사람의 사례를 분석하여죽음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참여자 자신들의 삶에서 어떤 좋은 일과 힘든 일이 있었고 자신의삶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고 그에 대해 두 참여자가 죽음을 앞두고 불안하고 후회스럽고 비탄스럽다는 답변을 하였다. Hoy 모델로 대화식 교육을 하며 인지적 이해와 정서적 태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인지적 정서적 변화가 뚜렷하였고 이해나 태도가 주도적이고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심층 인터뷰에서도 질문도 동일하게 “자신의 삶에서 어떤 좋은 일과 힘든 일이 있었는지 자신의 삶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질문하였다. 처음에는 자책과 후회를 하며 환경을 탓했으나 대화식 교육 후에는 자기 자신을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지난 일들을 후회 한 것만이 아니라 재구성하여 자신을 인정하는 답변을 하였고주어진 현실을 부정하고 절망스러워 하던 데에서 변하여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수용하는답변을 보였다. 연구 결과 대화식 죽음교육 후에 비탄의 감정들을 완화되고 새로운 관점으로 자신과환경을 보기 시작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년의 비탄과 절망감해소를 위해 이러한 대화식죽음교육이 필요하다는 것과 노인들의 심리적 정서적 상황을 고려한 대화식 죽음교육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KCI등재

        미국의 죽음교육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이론적 관점에 대한 고찰

        심승환(Shim, Seung Hwan)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1 敎育思想硏究 Vol.35 No.2

        이 연구는 미국의 죽음교육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주요 이론적 관점을 고찰한다. 먼저 본고는 미국의 죽음교육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탐색기, 발전기, 대중화기, 성숙기의 과정으로 크게 나누어 살펴본다. 미국의 죽음교육은 초기부터 이론과 실제가 긴밀하게 연결되었고, 다양한 학제적 연구가 시도되었으며 활발한 학술활동 및 교육프로그램의 확산을 통해 성장하였다. 또한 미국의 죽음교육은 사회의 변화와 문제에 대응하여 주제영역이 확장되었고 접근방법도 다양해졌다. 미국 죽음교육의 목적은 죽음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토대로 적절한 삶의 가치관을 재정립하는 것이다. 미국의 죽음교육은 모든 연령과 직업군을 대상으로 형식적 교육 및 비형식적 교육을 폭넓게 수행하고 있으며 죽음관련 전문가에 대한 체계적인 전문교육도 병행되고 있다. 철학적 관점의 죽음교육은 죽음의 본질 및 가치적인 차원을 숙고하는 데 초점이 있고, 심리학적 관점은 임종 및 사별과 연관된 감정의 변화 및 그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에 초점이 있다. 본고는 결론적으로 미국의 죽음교육을 통하여 한국에서의 폭넓고 체계적인 죽음연구 및 죽음과 삶을 연결하여 사고할 수 있는 가치관을 함양하는 교육과정을 제안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its key theoretical perspectives. First, we look at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in the U.S. divided into exploratory, generator, popularization, and maturing processes. Death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was closely linked to theory and practice, various interdisciplinary studies were attempted, and grew through active academic activities and the spread of educational programs. Death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has also expanded its subject area and diversified approaches in response to changes and problems in society. The purpose of American death education is to redefine proper values of life based on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death. Death education in the U.S. offers a wide range of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 for all ages and occupational groups, along with systematic professional education for death-related professionals. Death education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focuses on considering the nature and value of death,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 focuses on changes in emotions associated with death and bereavement and effective coping with them.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a broad and systematic study of death in Korea and a curriculum that fosters values that can connect death and life through the education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