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동산 시장과 외환시장의 상호영향력에 관한 연구

        임병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0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0 No.6

        본 연구는 월별 한/미 환율과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변수의 상호 영향력의 연구 목적으로 월별 한/미 환율과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간의 관계를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1996년 1월 부터 2008년 2월 까지의 월별 한/미 환율과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146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차분자료로는 자연로그 수익률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자료로서 월별 한/미환율과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연구 모형으로는 시계열의 안정성 여부의 판정을 위한 단위근 검정과 주가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간 상호영향력 분석을 위한 VAR모형을 이용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기법과 Granger인과관계 검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월별 한/미 환율과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자료의 원시계열자료에 대한 안정성검정 결과모두 불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월별 한/미 환율과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자료의 1차 차분시계열자료에 안정성검정 결과는 모두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1996년 1월 이후 주가와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간에는 음(-)의 관계가 존재한다. 넷째, 월별 한/미 환율과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간 상호영향력에 있어서 월별 한/미 환율의변화는 월별 한/미 환율자체의 내재적 변화가 거의 대부분을 설명하고 있으나 전국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의 경우는 월별 한/미 환율의 영향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월별 한/미 환율의 변화율은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의 변화율에 그랜저 인과관계가 존재한다. 이상의 월별 한/미 환율과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결과를을 종합해 볼 때, 과거의 월별 한/미 환율과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간의 음(-)의 관계가 있고, 월별 한/미 환율과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간 상호영향력에 있어서 월별 한/미 환율의 변화는 월별 한/미 환율 자체의 내재적 변화가 거의 대부분을 설명하고 있으나 전국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의 경우는 월별 한/미 환율의 영향이 확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부동산 시장과 채권시장과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임병진(Byung-Jin YIM)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09 아태경상저널 Vol.1 No.1

        본 연구는 월별 3년 국고채 금리와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변수의 상호 관련성의 연구 목적으로 주가와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간의 관계를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1997년 1월 부터 2007년 6월 까지의 월별 3년 국고채 금리와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126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차분자료로는 자연로그 수익률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자료로서 월별 3년 국고채 금리와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연구 모형으로는 시 계열의 안정성 여부의 판정을 위한 단위근 검정과 변수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관계의 존재여부판정을 위한 공적분(cointegration)검정를 하였다. 주가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간 상호영향력 분석을 위한 VAR모형을 이용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기법과 Granger 인과관계 검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월별 3년 국고채 금리와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자료의 원시계열자료에 대한 안정성검정 결과 모두 불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월별 3년 국고채 금리와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자료의 1차 차분시계열자료에 안정성검정 결과는 모두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월별 3년 국고채 금리와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간에는 공적분관계가 존재한다. 셋째, 1997년 1월 1일 이후 주가와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간에는 음(-)의 관계가 존재한다. 다섯째, 월별 3년 국고채 금리와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간 상호영향력에 있어서 금리의 변화는 금리자체의 내재적 변화가 거의 대부분을 설명하고 있으나 전국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의 경우는 금리의 영향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금리의 변화율은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의 변화율에 그랜저 인과관계가 존재한다. 이상의 월별 3년 국고채 금리와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결과를을 종합해 볼 때, 과거의 월별 3년 국고채 금리와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간의 음(-)의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turn on Real Estate (Housing Purchase Price Composite Indices) and 3-year KTB Interest Rate using 126 monthly data covering from January, 1997 to June, 2007. For this purpose we employs the vector-auto regressive model, Granger causality,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variance decomposition. The major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basic statistic analysis, both KOSPI and Real Estate rate index has unit roots. Second, there is at least one cointegration between them. In addition, we find that KOSPI index return has the reverse movement of Real Estate rate index return.

      • KCI등재

        부동산 종합대책이 외환시장과 부동산시장에 미친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임병진(Byungjin Yim),장승욱(Seungwook Ja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연구 Vol.49 No.2

        본 연구는 2003년 5·23 부동산가격 안정대책이 외환시장의 한/미 환율 시계열 자료와 부동산시장의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시계열자료에 미친 영향의 연구 목적으로 한/미 환율 시계열자료와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시계열자료간의 관계를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5·23 부동산 가격 안정대책 시행전 1998년 9월부터 2003년 4월까지 56개의 월별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시계열자료와 한/미 환율 시계열자료와 5·23 부동산가격 안정대책 시행후 2003년 6월부터 2008년 1월까지 56개의 월별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시계열자료와 한/미 환율 시계열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연구 모형으로는 시계열의 안정성 여부의 판정을 위한 단위근 검정과 변수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관계의 존재여부판정을 위한 공적분(cointegration) 검정를 하였다. 한/미 환율 시계열자료와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시계열자료간 상호영향력 분석을 위한 VAR모형을 이용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기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미 환율 시계열자료와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시계열자료의 원시계열자료에 대한 안정성검정 결과 불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한/미 환율시계열자료와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시계열자료의 1차 차분시계열자료에 안정성검정 결과는 모두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한/미 환율 시계열자료와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시계열 자료간에는 공적분관계가 존재하고, 5·23 부동산가격 안정대책 시행후 한/미 환율시계열자료와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시계열자료간 상호영향력에 있어서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시계열자료의 변화는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시계열자료 자체의 내재적 변화가 거의 대부분을 설명하고 있으나 한/미 환율 시계열자료의 경우는 주택매매 가격 종합지수 시계열자료의 영향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동산종합대책 시행전후에 한/미 환율과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간의 양(+)의 관계에서 음(-)로 변화된 것을 알 수 있다. We examine on the influence of 5?23 real estate policies on return of the real estate market and foreign-exchange for 56 monthly data from September 1998 to April 2003 before 5?23 real estate policies and 56 monthly data from June 2003 to January 2008 after 5?23 real estate policies. The analysis employs the vector-autoregression,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variance decomposition using monthly returns on Foreign-exchange return and Real Estate index. This research showed following main results. First, from basic statistic analysis, both foreign-exchange return and Real Estate index have unit roots. Second, there is at least one cointegration between them. In addition, we find that foreign-exchange return has the reverse movement of Real Estate rate index return after 5?23 real estate policies. Foreign-exchange return has the comovement of Real Estate rate index return before 5?23 real estate policies. but Foreign-exchange return has more the reverse movement of Real Estate index return after 5?23 real estate policies. So this paper investigates on the influence of 5?23 real estate policies on return of the real estate market and foreign-exchange market.

      • KCI등재

        성수기 국내주택시장의 정보비대칭성에 관한 연구

        문규현 ( Gyu Hyen Moon ) 한국금융공학회 2017 금융공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주택매매가격지수변화율과 전세가격지수변화율 사이의 정보전달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있으며 특히 주택수요가 많은 성수기효과가 존재하는 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기간은 1986년 1월부터 2016년 5월까지이며 총 365개의 월별 주택매매가격지수와 전세매매가격지수를 각각 사용하였다. 또한 1월, 2월, 8월, 및 12월은 성수기로 122개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모형은 GARCH(1,1)모형과 성수기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더미변수를 추가한 수정GARCH(1,1)모형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GARCH(1,1)모형을 이용하여 전체기간에 대한 주택매매가격지수와 전세가격지수의 변화율 사이의 상호 정보이전효과를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주택전세가격지수변화량과 변동성은 매매가격지수변화량과 변동성에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택매매가격지수변화량과 변동성은 전세가격지수변화량과 변동성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의 수요가 많은 시기의 상승기의 비대칭적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더미변수를 추가하여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주택전세가격지수변화량과 변동성은 매매가격지수변화량과 변동성에 대해 상승기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승기에도 주택전세가격지수변화량과 변동성은 일관성 있게 매매가격지수변화율과 변동성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최근 전세가격의 상승세가 매매가격의 상승세보다 훨씬 높은 비율로 증가한 것과 무관하지 않으며, 주택매매 혹은 전세실수요자들은 적절한 매매시점과 과도한 전세상승에 대한 위험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aper analyzes symmetric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Korean housing sales and rental housing(Jeonse) markets in particular the booming periods, December, January, February, and August. 365 monthly data for the whole periods and 122 monthly data for the booming periods are employed covering from January, 1986 to May, 2016.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GARCH(1,1) model and modified GARCH(1,1) model adjusted for booming effects are introduc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s and volatilities of the rental housing price index tends to effect those of the housing sales price index through the whole sample periods. However, the changes and volatilities of the housing sales price index don`t effect those of the rental housing price index through the whole sample periods. Second, the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from the changes and volatilities of the rental housing price index to those of the housing sales price index are keeping consistent circumstances including the dummy testing the booming effects. The implications of the tests are that the real buyers of houses should choose the right timing and renters must be careful on the cases which the rent prices are higher than the selling prices.

      • KCI등재후보

        주택 매매, 전세가격 간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전해정(Hae jung Chun) 한국부동산학회 2017 不動産學報 Vol.71 No.-

        본 연구는 2008년 9월부터 2016년 9월까지의 서울, 인천, 경기도의 자료를 이용해 패널 연립방정식으로 주택매매, 전세가격 간의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내생변수는 주택매매가격과 주택전세가격으로 하였으며 외생변수는 주택담보대출금, 미분양주택수, 경제활동인구수, 실업률과 CD금리로 설정하였다. 주택매매가격 모형에 대한 고정효과 분석결과, 주택전세가격이 1% 상승할 때 주택매매가격은 1.309% 상승한 반면 미분양주택이 1% 상승할 때 주택매매가격은 0.014%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CD금리가 1% 상승할 때 주택매매가격은 0.007%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전세가격 모형 분석결과, 주택매매가격이 1% 상승하면 주택전세가격이 0.345%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업률이 1%상승할 때 주택전세가격은 0.00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지역별로 일부 차이는 보였으나 주택매매가격과 주택전세가격 모두 예측값과 실제값의 추이가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housing price and Chonsei price o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from September 2008 to September 2016 using the panel simultaneous equations. (2) RESEARCH METHOD The endogenous variables were housing sales price and Chonsei price, and exogenous variables were set as mortgage loans, unsold housing, number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unemployment rate and CD interest rate. (3) RESEARCH FINDING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housing price model, the housing price increased by 1.309% when the Chonsei price increased by 1%, while the housing price decreased by 0.014%, 0.007% when the unsold housing and CD interest rate were respectively increased by 1%. According to the Chonsei price model, when housing price increased by 1%, Chonsei price increased by 0.345%, and when unemployment rate by 1%, housing price decreased by 0.001%. 2. RESULTS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it was found that predicted and actual value of housing price and Chonsei price approximately coincided with each other,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y region.

      • KCI등재

        서울시 주택시장에서 주택유형별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동태적 상호관계

        김우석 SH공사 도시연구원 2019 주택도시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ynamic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urchase price and the jeonse price by housing type (detached houses, row houses, and apartments) in the housing market in Seoul after the U.S. sub-prime mortgage crisis. It presents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market by housing type, and provides meaningful information that can help decision-making of potential housing consumers and policy formulation as well as decisions relative to stabilizing the housing marke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purchase price and the jeonse price in all housing types, but in the case of detached houses and row houses, the purchase price leads the jeonse price and in the case of apartments, the jeonse price leads the purchase price. Second, the trend of housing market in Seoul is dominated by the influence of apartments rather than the level of housing prices of all housing types. Third, in the case of apartments unlike detached houses and row houses, there exists the influence of the jeonse market and the dependence on the jeonse market of the purchase market. Thus, it is necessary to closely and steadily monitor the trend of the jeonse market.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pread the supply of high-quality public-type rental housing and profit-loss sharing mortgage system rather than low-interest loans of housing jeonse funds for potential housing consumers, and to strengthen progressive taxation on multi-housing owners for the downward stabilization of housing prices.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서울시 주택시장에서 주택유형별(단독주택, 연립주택,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사이의 동태적 상호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주택유형별 주택시장의 구조와 특성을 제시하고 잠재적 주택수요자의 의사결정,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책 수립 및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모든 주택유형에서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호관계가 존재하였으나 단독주택과 연립주택의 경우 매매가격이 전세가격을 선도하였고, 아파트의 경우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을 선도하여 서로 대조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서울시 주택시장의 동향은 주택유형별 주택가격의 수준이 두루 반영되기 보다는 아파트의 영향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파트의 경우 단독주택과 연립주택과는 다르게 전세시장의 영향력과 매매시장의 전세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전세시장의 동향을 지속적으로 면밀하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잠재적 주택수요자를 위해 주택전세자금의 저금리 대출보다는 양질의 공공형 임대주택과 수익·손실 공유형 모기지 제도의 공급을 확산시키고 주택가격의 하향안정화를 위해 다주택 보유에 대해 누진세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주택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상호 영향력에 관한 연구 : 서울과 전국 차이를 중심으로

        김진우(Kim, Jin Woo),김승희(Kim, Seung Hee) 대한부동산학회 2021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9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 주택가격의 대표 척도인 주택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을 중심으로 상호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주택 소유 및 점유의 개념을 가지고 있는 매매가격과 점유(비소유 거주)개념만을 가지고 있는 전세가격이 상호 어떠한 반응과 영향력 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주택유형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아파트에 대한 매매가격 및 전세가격을 함께 분석하여 주택가격의 복합한 상호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인구가 집중되어있는 서울과 전국을 기준으로 영향구조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 주택매매가격이 전세가격에 상당한 영향이 미침을 확인하였고, 그 중 아파트 가격에 대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큼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울과 전국을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는 서울이 전국보다 주택가격 간 영향이 큼을 확인하였다. 특히, 서울의 아파트매매가격은타 주택가격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아파트 매매가격이 안정화 된다면, 다른 주택 매매 가격 안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전국 보다 서울이 상대적으로 효과가 큼을 예상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tual effect of the housing sales price and the chonse price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scale of housing prices in Korea. In other words, it was attempted to check the mutual reaction and influence between the Housing sales price which has the concept of homeownership and occupation, and the chonse price which has only the concept of occupation (non-owned resi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using sales price and the chonse price of apartments which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housing types and tried to check the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housing prices in Seoul where the population is concentrated and the whole countr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housing sales pr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onse price, and among them,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n the apartment price was relatively large. In addition, when comparing Seoul and the whole country as a standar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between housing prices in Seoul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whole country.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apartment sales prices in Seoul have a very large effect on other housing prices. This means that if apartment sales prices are stabilized,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stabilizing other housing prices and it can be expected that Seoul will have a relatively larger effect than the whole country.

      • KCI등재

        패널 VAR 모형을 이용한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주택시장 예측요인 분석 -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 주택매매가격을 중심으로 -

        김진수 한국제도경제학회 2020 제도와 경제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주택매매가격을 중심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주택시장에 대한 예측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07년 1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주간 단위 서울시 25 개 자치구의 아파트실거래가격지수, 아파트거래량, 아파트전세가격지수에 대한 패널 자료와 주택건설 인허가실적, 회사채수익률에 대한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패널 VAR 모형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 다. 분석결과, 주택매매가격은 거래량과 전세가격, 주택건설 인허가실적, 회사채수익률에 의해 예측할 수 있으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과 후의 아파트매매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영향력의 차이 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에서는 주택가격의 안정화를 위해 주택거래량과 전세가격 의 변동추이 관찰, 신규 아파트 공급가격 관리, 기업의 부동산 투자 억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시사점은 첫째, 아파트거래량과 전세가격은 아파트매매가격 예측에 중요한 변수로 밝혀졌 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주택가격의 안정화를 위해 주택거래량과 전세가격의 변동 추이를 주의 깊게 관 찰하여 주택가격이 급격한 상승하는 현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주택건설인허가실적 은 아파트매매가격 상승의 영향 요인으로 밝혀진 바와 같이 정부에서는 신규 아파트 공급가격에도 주 의를 기울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회사채수익률이 안정적일수록 기업은 자금조달이 쉬워지며, 이는 부동 산 투자를 촉진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가격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기업의 부동산 투자를 억제하고, 기업 성장을 위한 본연의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이 부동산시장 안정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predict the housing market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focusing on the selling prices of houses in 25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To this end,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panel VAR model based on the panel data on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index of apartments, the volume of apartment transactions, and the lease price index of apartments in 25 autonomous districts of Seoul on a weekly basis from January 2007 to June 201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ale price of a house can be predicted by the volume of transactions, the lease price, the performance of the housing construction permit, and the rate of corporate bond yiel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riables and the influence that affect the sale price of apartments before and after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was identifi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government suggested the need to monitor the fluctuations in housing transaction volume and jeonse prices, manage the supply price of new apartments, and curb corporate investment in real estate to stabilize housing prices. The study found that the volume of apartment transactions and jeonse prices were important variables in predicting apartment sales prices. Therefore, to stabilize housing prices, the government should be able to prevent a sharp rise in housing prices by carefully monitoring the fluctuations in home transactions and jeonse prices.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he supply price of new apartments, as evidenced by the fact that the licensing performance of housing construction has been a factor in the rise in apartment sales prices. Finally, the more stable the corporate bond yield is, the easier it is for companies to raise funds, which can act as a cause for promoting real estate investment, leading to price hikes. Therefore, the government will help stabilize the real estate market by curbing corporate investment in real estate, and by inducing proper investment in corporate growth.

      • KCI등재

        부동산가격안정책이 주식시장, 외환시장 및 부동산시장에 미친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임병진(Byung Jin Yim) 한국FP학회 2011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4 No.1

        본 연구는 2003년 5·23 부동산가격안정대책이 외환시장의 원 달러 환율 시계열자료, 부동산시장의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그리고 주식시장의 종합주가지수 시계열자료에 미친 영향의 분석을 연구 목적으로 원 달러 환율 시계열자료,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그리고 종합주가지수 시계열자료간의 관계를 분석 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5·23 부동산 가격 안정대책 시행전 56개의 월별 자료와 시행후 56개의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시계열자료, 원 달러 환율 시계열자료, 그리고 종합주가지수시계열의 월별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연구 모형으로는 시계열의 안정성 여부의 판정을 위한 단위근 검정과 변수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관계의 존재여부판정을 위한 공적분(cointegration) 검정을 하였다. 원 달러 환율 자료, 종합주가지수, 그리고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자료간 상호영향력분석을 위한 VAR모형을 이용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기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로는 원 달러 환율, 종합주가지수, 그리고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자료의 원시계열자료에 대한 안정성검정 결과 주가는 불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는 안정적으로 나타났고, 환율 및 종합주가지수와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자료의 1차 차분시계열자료에 안정성검정 결과는 모두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율 및 종합주가지수와 전국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간에는 공적분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합주가지수와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간 상호영향력에 있어서 종합주가지수의 변화는 주가자체의 내재적 변화가 거의 대부분을 설명하고 있으나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의 경우는 종합주가지수의 영향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종합주가지수와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 간 상호영향력에 있어서 종합주가지수의 변화는 주가자체의 내재적 변화가 거의 대부분을 설명하고 있으나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의 경우는 종합주가지수의 영향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We examine the influence of 5·23 real estate policies on return of the real estate market index,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KOSPI) in stock market and foreignexchange for 56 monthly data from September 1998 to April 2003 before 5·23 real estate policies and return of the real estate market index,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KOSPI) in stock market and foreign-exchange for 56 monthly data from June 2003 to January 2008 after 5·23 real estate policies. The analysis employs the vectorautoregression,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variance decomposition using monthly returns on Foreign-exchange, stock market and Real Estate index. This research showed following main results. First, from basic statistic analysis, stock market index(KOSPI), foreign-exchange return and Real Estate rate index have unit roots. Second, there is at least one cointegration among them. In addition, we find that foreign-exchange has the comovement of Real Estate index return before 5·23 real estate policies. but Foreign-exchange return has more the reverse movement of Real Estate rate index return after 5·23 real estate policies.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KOSPI) return has more strong reverse movement of U.S. dollar exchange rate index return after 5·23 real estate polic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