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崔致遠 사상에서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 -東人意識과 同文意識을 중심으로-

        최영성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09 동양문화연구 Vol.4 No.-

        신라 말의 석학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 857∼?)은 당대를 대표하는 최고 지성인의 한 사람이었으며, ‘나말여초’라는 역사적 전환기의 정치적․사상적 변화를 대변한 시대정신의 산 증인이었다. 또 12세 때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16년 동안 그곳에 머물면서 국제적 감각을 갖추었던 대표적인 중국통(中國通)이기도 했다. 종래 최치원을 사대모화주의자(事大慕華主義者)라고 본 것은 그의 철저한 동인의식(東人意識)을 간과하였을 뿐만 아니라, 문명세계를 지향하는 동문의식(同文意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本稿)에서는 최치원 사상에서 중요한 기반을 이루는 민족주체(民族主體) 의식과 문명지향(文明志向) 의식의 상호 관계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최치원 철학사상의 중핵(中核)이라 할 수 있는 주체의식과 문명의식은 보편성과 주체성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이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는 연구틀로서의 중요한 두 축을 이룬다. 그의 주체적 정신이 특수성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문명세계의 지향은 곧 보편성의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라 하겠다. 필자는 최치원의 주체의식을 ‘동인의식’으로, 문명지향 의식은 ‘동문의식’으로 명명한 바 있다. 민족적 특수성을 의미하는 ‘인(人)’, 문화적 보편성을 의미하는 ‘문(文)’, 그리고 각각 그것을 수식하는 ‘동(東)’과 ‘동(同)’이 서로 좋은 대조를 이룬다. 최치원의 철학사상은 현실적으로 ‘동인의식’과 ‘동문의식’의 두 축으로 전개되었다. 전자는 민족적 차원에서, 후자는 국제적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둘 다 최치원의 독창적인 사상이라 할 수는 없고, 당시의 시대사조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최치원에게 있어 민족주체의식과 문명지향의식은 일체양면(一體兩面)으로 피어나는 것이다. 그가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향하고자 했던 것은 다름이 아니었다. 분열과 갈등과 대립으로 난마(亂麻)처럼 뒤얽힌 당시의 혼란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통합과 민심을 한 데 모으는 원동력으로서의 민족주체의식을 부각시키는 것이었고, 아울러 우리의 문화적 긍지와 문화 창조의 역량을 최고도로 발휘시켜 국제적인 수준과 대등한 데까지 끌어올리려는 융평사상(隆平思想)의 한 발로로서의 문명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이었다. 최치원의 ‘주체의식’과 ‘문명의식’은, 신속화․정보화․세계화로 특징 지워지는 이 시대에, 동서문명의 보편성 추구와 세계화 지향을 시대적 과제로 하는 현대인들에게 국제화와 주체의식의 관계를 다시 한 번 깊이 되새기게 하였다. 넓게 열린 마음으로 우리 문화와 전통을 가장 ‘민족적’이고 ‘원형적’으로 잘 살려서 세계에 널리 알리는 것이 바람직한 국제화라고 할 때, ‘뿌리 있는 국제인’이 되기를 염원했던 최치원의 주체적인 사고와 자세는 현대인들에게 어느 것이 바람직한 국제화요 현대화인지 일깨우는바 크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김종삼의 후기 시 다시읽기 ―"죄의식"의 정동과 심리적 구조를 중심으로―

        강계숙 ( Gye Sook Ka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5 No.-

        김종삼의 후기 시에 두드러지는 죄의식의 정동은 주체의 자기정립 과정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본고는 텍스트에 내재된 가족 로망스적 상상과 세대적 무의식을 분석함으로써 김종삼 시에 나타나는 정체성 표상의 시대적 의미를 살핀다. 무능한 아버지의 상징인 ``장님 아비``는 주체가 스스로를 아버지로서 (무)의식할 때의 자기표상에 속한다. 그러나 김종삼의 시적 주체는 이를 용인하고 수락하지 않는 자기모순 속에 있다. 이러한 모순의 심화는 ``아버지의-이름``의 폐제를 시 전체에 걸쳐 구조화한다. ``성년-남성``이 부재하는 세계, 모성적 예수와의 동일시, ``예술가-공동체``라는 환상의 구축은 부권적 은유의 결여에서 비롯된 것으로 폐제된 것의 자리를 채우는 상징적 보충에 해당한다. 하지만 전(前)-외디푸스적 관계로의 퇴행은 죄의식의 심화를 해결하지 못하며, 후기로 갈수록 자기파괴적인 징벌 욕구와 강렬한 죽음충동이 시 전체를 지배하게 된다. 본고는 이러한 심리 구조가 ``장님 아비``가 아닌, 그것의 역상(逆像)인 새로운 ``아버지``가 되고자 하는 무의식적 욕망이 싹튼 데서 비롯한다고 보았다. 김종삼 시의 죄의식은 아버지-되기의 욕망이 작동하는 것에 대한 무의식적 신호라 할 수 있다. 이 신호에 의해 주체는 새로운 아버지가 되고자 하는 욕망을 포기하지만, 욕망의 포기는 죄의식을 오히려 강화한다. 김종삼에게서 아버지-되기의 욕망은 철저히 억압된다. 새로운 아버지-되기란 현존하는 아버지도, 부도덕한 상징적 아버지도 아닌, 그들 모두를 몰아내는 원초적 아버지가 되는 일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욕망을 품고 있다는 것에 대해 초자아의 판결은 훨씬 가혹해진다. 자아는 혹독한 처벌을 받아야하며, 자기의 죽음을 징벌의 형식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죄의식은 죽음충동으로 점차 심화된다. 후기로 갈수록 김종삼은 자신을 죽음을 원하는 자로 정체화한다. 이러한 주체에게 삶은 스스로를 벌하는 충동과 바닥모를 죄의식의 심연이 한묶음으로 주어지는 것과 같다. 삶이란 쾌락을 택하면 죽음을 원하는 자기파괴가 뒤따르고, 그러한 고통을 덜고자 죽음의 쾌락을 택하면 삶의 상실이라는 괴로움이 잇따르는 것은 주이상스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후기에 이르러 김종삼의 시적 주체는 주이상스의 주체로 현현한다. 한국시에 이러한 주체의 형상이 드물다는 것은 김종삼의 시를 고유한 것으로 만든다. 죽음을 수용하는 한에서만 주체는 윤리적 주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욕망의 주체-되기가 포기되는 상황은 한 개인의 욕망과 심성, 무의식의 체계와 마음의 구조, 삶의 태도에 대한 문화적 억압의 정도를 시사한다. 욕망의 추구가 자유의 문제와 직결되는 한, 욕망을 포기한 죄의식의 주체는 그가 속한 세계의 ``자유의 부재``를 상기시킨다. 그런 점에서 김종삼의 후기 시는 욕망의 추구를 구속하고 그것의 포기를 강제하는 현실이, 그 같은 사회적 억압과 불합리성이 전후 한국적 모더니티가 구축해온 역사의 ``이면``이었다는 사실을 환기한다. The sense of guilty in Kim Jong-Sam`s later poetry is closely connected with reestablishing the subject.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historical meanings of self-representation in Kim`s poetry by analyzing generational unconscious and family romance within its. For example, Kim`s poetic subject identifies himself ``a blind father`` as a symbol of incompetent father. ``A blind father`` is the only self-image as a existent father in Kim`s poetry. But ironically, he wants none of it. He cannot help contradicting himself. Owing to this self-contradiction, the foreclosure of the Name-of-the-Father is caused and structured throughout Kim`s poetry. For this lack of the Name-of-the-Father, the suppletions that is a substitute or a stand-in for what is missing at the level of symbolic is attempted. A world without adult men, the imaginary identification with maternal Jesus, and a fantasy of artist-community are some various forms of symbolic suppletion. But as time passes, the sense of guilty is much more stronger, and need for self-punishment and death drive are dominant over all the others in his poetry. This paper explains that the complex psychology of him originates from the unconscious desires of becoming-father. His feeling of guilt is a unconscious sign that he desires to become ``a new father``. But the desire of becoming-father is thoroughly suppressed in Kim`s. To become ``a new father`` may be to a primal father, neither a existent incompetent father nor a symbolic father, called the Name-of-the-Father. But a primal father is also a obscene father, according to Freud. For this reason, Kim`s poetic subject relinquishs his desire, but rather it deepens his sense of guilty. But, by reason of nursing this desire, the superego sentences the ego to a severe punishment, and the ego must die to expiate his own crime. This is why Kim`s feeling of guilt turns is gradually converted into death drive. In later poetry, Kim`s subject is identified with a man who wants his own death. To him, living a life is jouissance, a kind of deal in which pleasure and pain are presented as single packet. It means that the pleasure cannot be obtained without paying the price of suffering. In later poetry, Kim fails to become the subject of desire and his subjectivization is concluded in the subject of jouissance.

      • KCI등재

        죄의식과 1980년대적 주체의 탄생

        서영채(Seo, Young-Cha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2

        이 논문은 임철우의 장편소설 백년여관을 통해 1980년대적인 정신의 구체적인 모습을 규명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씌어졌다. 그 핵심에 놓여 있는 것은 광주항쟁과 연관된 죄의식으로서, 이 논문에서 그것은 다음 세 가지 요점에서 고찰되었다. 첫째, 1980년대 정신 속에 새겨져 있는 죄의식의 의미, 둘째, 죄의식이 주체화 과정으로 연결되는 양상, 셋째, 죄의식을 통한 주체화가 20세기 한국의 정신사에서 갖는 의미. 요약하자면, 죄의식의 어두운 터널을 통과하는 순간 정신은 주체가 된다. 그렇게 탄생한 주체는 자기 책임의 영역을 찾는다는 점에서 일차적으로 윤리적 주체이며, 또한 책임의 연대를 발견한다는 점에서 공동체적 주체이기도 하다. 임철우의 백년여관은 이런 주체 탄생의 드라마를 내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텍스트이다. 이 소설에서 임철우는 죄의식의 빈자리를 메워줄 수 있는 매우 구체적인 내용을 확보했다. 그것은 이광수에서 최인훈을 거쳐 오는 동안, ‘죄 없는 책임’이라는 매우 특이한 주체 형성의 드라마가 찾아 헤맸던 것이며, 이것이 확보되었다는 것은 20세기를 관통하며 한국의 근대화 과정과 함께 형성되어온 주체의 서사가 1980년대에 들어서 비로소 하나의 확실한 고정점을 찾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987년 6월 항쟁으로 구체화되는 민주화라는 단어가 그것이다. 1980년대적인 정신은 ‘두 죽음 사이의 윤리’가 행위의 영역으로 옮겨감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이며, 거기에서 죄의식은 책임의 영역으로 옮겨감으로써 주체의 서사를 완성한다. 백년여관은 이런 주체화의 드라마를 포착해내고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figure out the spirit of 1980s in South Korea through analysing Yim Chulwoo"s novel, A Hundred Years Inn(백년여관). What lays in the core of it is the sense of guilt related with Kwangju movement; it is looked into on the three points: first, the meaning of the guilt inscribed in the spirit of 1980s; second, the guilt"s becoming to subjectification; third, the meaning of the subjectification made complete through the sense of guilt in the history of thoughts in 20th century Korea. In brief, a spirit is born to be a subject by getting through the dark tunnel of the guilt. Such a subject is at first an ethical subject in that it wants to get to its own place of responsibility; it is a subject of community in that it finds out the chains of communal responsibility. A Hundred Years Inn is a noticeable text in that it harbored a drama of the birth of such a subject; there it showed the subject obtained a certain and concrete content filling out the blank place of guilt, which have been chased by the very odd story of Yi Kwangsu"s and Choi Inhun"s "responsibility without violation". It means that the scenario of subjectification which have been made through 20th century Korea finds out a distinct anchoring point in 1980s; it is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which perfectly figure itself out at the June movement in 1987. The spirit of 1980s is built by transforming the energy of "ethics between two deaths" into the act; there the sense of guilt can complete its own story by getting to the realm of ethic of responsibility. A Hundreds Inn incarnated its drama.

      • KCI등재

        一般論文 : 최치원(崔致遠)사상에서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 -동인의식(東人意識)과 동문의식(同文意識)을 중심으로-

        최영성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09 동양문화연구 Vol.4 No.-

        신라 말의 석학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은 당대를 대표하는 최고 지성인의 한 사람이었으며, ``나말여초’라는 역사적 전환기의 정치적·사상적 변화를 대변한 시대정신의 산 증인이었다. 또 12세 때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16년 동안 그곳에 머물면서 국제적 감각을 갖추었던 대표적인 중국통(中國通)이기도 했다. 종래 최치원을 사대모화주의자(事大慕華主義者)라고 본 것은 그의 철저한 동인의식(東人意識)을 간과하였을 뿐만 아니라, 문명세계를 지향하는 동문의식(同文意識)에대한 이해가 부족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本稿)에서는 최치원 사상에서 중요한 기반을 이루는 민족주체(民族主體) 의식과 문명지향(文明志向) 의식의 상호 관계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최치원 철학사상의 중핵(中核)이라 할 수 있는 주체의식과 문명의식은 보편성과 주체성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이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는 연구틀로서의 중요한 두 축을 이룬다. 그의 주체적 정신이 특수성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문명세계의 지향은 곧보편성의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라 하겠다. 필자는 최치원의 주체의식을 ‘동인의식’으로, 문명지향 의식은 ‘동문의식’으로 명명한 바 있다. 민족적 특수성을 의미하는 ‘인(人)’, 문화적 보편성을 의미하는 ‘문(文)’, 그리고 각각 그것을 수식하는 ‘동(東)’과 ‘동(同)’이서로 좋은 대조를 이룬다. 최치원의 철학사상은 현실적으로 ‘동인의식’과 ‘동문의식’의 두 축으로 전개되었다. 전자는 민족적 차원에서, 후자는 국제적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둘 다 최치원의 독창적인 사상이라 할 수는 없고, 당시의 시대사조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최치원에게 있어 민족주체의식과 문명지향의식은 일체양면(一體兩面)으로 피어나는 것이다. 그가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향하고자 했던 것은 다름이 아니었다. 분열과 갈등과 대립으로 난마(亂麻)처럼 뒤얽힌 당시의 혼란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통합과 민심을 한 데 모으는 원동력으로서의 민족주체의식을 부각시키는 것이었고, 아울러 우리의 문화적 긍지와 문화 창조의 역량을 최고도로 발휘시켜 국제적인 수준과 대등한 데까지 끌어올리려는 융평사상(隆平思想)의 한 발로로서의 문명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이었다. 최치원의 ``주체의식’과 ``문명의식’은, 신속화·정보화·세계화로 특징 지워지는 이 시대에, 동서문명의 보편성 추구와 세계화 지향을 시대적 과제로 하는 현대인들에게 국제화와 주체의식의 관계를 다시 한번 깊이 되새기게 하였다. 넓게 열린 마음으로 우리 문화와 전통을 가장 ``민족적’이고 ``원형적’으로 잘 살려서 세계에 널리 알리는 것이 바람직한 국제화라고 할 때, ‘뿌리 있는 국제인’이 되기를 염원했던 최치원의 주체적인 사고와 자세는 현대인들에게 어느 것이 바람직한 국제화요 현대화인지 일깨우는바 크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헤겔의 ‘불행한 의식’과 인문적 주체의 역설

        김상환(Kim, Sang-Hwa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6 No.-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자기의식?장(4장)에 등장하는 노예와 불행한 의식은 이후에 태어나는 모든 형태의 자기의식에 대하여 발생적 원형이자 역사적 뿌리에 해당한다. 특히 정신적 실재(공동체 정신)를 예감하는 자기의식이라는 점에서 불행한 의식은 ?이성?장(5장)에 등장하는 성실한 의식뿐만 아니라 ?정신?장(6장)에 등장하는 아름다운 영혼과도 어떤 반복관계에 있다. 이 세 주체가 서로 다른 시대를 사는 동일한 영혼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불행한 의식의 변증법을 현대적인 감각에서 다시 읽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성실한 의식과 아름다운 영혼은 근대 인문주의자(낭만주의시대의 지식인)를 구현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불행한 의식을 인문적 주체의 원시 형태로 간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고, 그런 가능성 안에서 인문적 주체의 본질적인 역설을 설명하는 데 이런 재해석의 주안점이 놓일 것이다. 인문적 주체의 역설은 철저히 개인주의적이고 비-사회적인 가운데 이상적인 사회의 이념을 잉태하고, 최고 선을 의지하면서 최고 악을 범하며, 도착적 공격성의 주체이면서 건강한 공동체 정신의 수호자라는 데 있다. Reading Hegel’s Phenomenology of the Spirit, repetition or the existence of a parallelism can be found between three figures of the subject: Unhappy Consciousness who appears in Chapter IV; Honest Consciousness who is described in Chapter V; and Beautiful Soul who is exposed in Chapter VI. Parallel with one another in their common role of calling Spirit into existence, they are the same subject but live in three different ages. Under this presupposition, I will reread the dialectic of Unhappy Consciousness in a retrospective manner starting from the dialectics of Honest Consciousness and Beautiful Soul, dialectics which reflect the world of the intellectuals before and after German Romanticism. In this reading of Hegelian text, I will try to justify the possibility of regarding Unhappy Consciousness as a primitive type of modern humanistic subject, and to explain in this possibility certain paradoxes that are proper to humanistic thinking: as an extremely egoistic and non-social being, this arrives at inventing the idea of perfect society; intending the highest good, it falls into evil ways; suffering a symptom of perverse aggression, it becomes a guardian of a healthy communal spirit.

      • KCI등재

        김호연재 시의 주체의식 연구 - 소외, 욕망, 환상을 중심으로 -

        박은선 ( Park Eun-seo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3

        본고는 김호연재의 시에 나타난 주체의식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주체의식을 구성하는 요소인 `소외`, `욕망`, `환상`을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을 원용하여 살펴보았다. 그런데 김호연재 시인이 남성 중심의 지배 문화에 의해 억압된 채 살던 여성이라는 점을 전제로 할 때 그 주체의식은 곧 여성의식이기 때문에 여성주의(Feminism) 관점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 먼저 김호연재 시 작품에서 주체의 고립은 타자(상징계) 안에서 주체가 형성되는 소외의 과정이다. 시에서 보여주는 `방(房)`은 그 폐쇄성이 있어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포위된 `여성의 삶`을 상징한다. 오랫동안 품었던 꿈을 포기하는 상실의 기제가 주체의 고립을 작동시킨다. 또한 시인의 시는 `나`를 미치광이로 제시함으로써 시대에 대해 분노를 표출하는 주체의식을 엿보게 한다. 김호연재 시 작품에서 `복숭아꽃`, `배꽃`은 여성 섹슈얼리티(Sexuality)를 표상한다. “복숭아꽃이 어지러이 떨어지고 배꽃이 향기로”운 것은 충만한 성 욕망의 발현이다. 그러나 시는 적막이 감도는 깊은 산 속의 꽃 만발한 봄을 그리면서 현실 속에서 재현 불가능한 여성적 욕망(Sexuality)을 은밀히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시대적 억압에 대한 저항의 주체를 보여준다. 시는 “석 자의 칼”을 통해 남근/이성중심주의의 이분법적 위계질서에 정면으로 저항하는 `여성`의 주체의식을 보여준다. 한편 시는 산꼭대기에서 발원한 물과 높은 산에서 출발하는 구름의 이동으로 시적 주체의 `떠남`에 대한 갈망을 드러낸다. 시인의 시는 `분신`이라는 환상을 통해 가부장적인 `집`과 남성중심의 사회 체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을 표현한다. 시적 주체는 바다와 바닷가가 온통 핏빛 노을빛으로 변할 때 환상의 무대를 펼친다. 자연에 신화적 환상을 부여하는 이 이미지에는 고향에 가고 싶은 시인의 간절한 욕망이 들어있다. 시에서 `여성`으로서의 주체의식은 `여성`에 숨겨진 무의식적 좌절과 `여성`이 결핍하고 있는 것들(존재의 결여)을 드러내고, `남성`적 가치의 부정적인 요소들을 세상에 폭로하여 가부장적 사회 체계에 대한 주체의 저항적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ubject consciousness which appeared in the poems of Kim Hoyeonjae. Specifically, this approach is focused on the elements of the subject consciousness, which are `alienation`, `desire`, and `fantasy` on the basis of the concepts elaborated by Jacques Lacan`s Psychoanalysis. In the discussion of the subject,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et`s subject consciousness from the viewpoint of feminism assuming that Kim Hoyeonjae was a woman oppressed by the male dominant culture. First, the isolation of the subject, seen in the poems of Kim Hoyeonjae, is the process of alienation in which the subject is formed in the Other (of the Symbolic). The `room` in the poem symbolizes the `life of woman` who is besieged by the patriarchal ideology in terms of its closing nature. The mechanism of loss that she gave up her dreams that had been long under pressure of the patriarchal society activates the isolation of the subject. The poem presents the subject consciousness to express the anger about the age by identifying `I` with a lunatic. `Peach blossoms` and `pear blossoms` in the poem of Kim Hoyeonjae represent female sexuality. The clause that "The peach blossoms fall, and the flower scent is fragrant" is the manifestation of the fullness of sexual desire. However, the poem reveals the resistance to the oppression of the times in that it secretly expresses the feminine desire that can not be expressed in reality while describing the spring of the flower in the deep and desolate mountain. In the poem, "the three-ja (the Korean foot) sword" stands for the consciousness of the `woman` who fiercely resists the dichotomous hierarchy of phallocentrism/rationalism. Meanwhile, the movement of water and cloud originating from the top of the high mountain implies a desire for `leaving` of the poetic subject. It expresses the desire to escape from the patriarchal `house` and the male-dominated society through the fantasy of `alter ego` produced in the poems. The poetic subject creates the stage of fantasy when the sea and the beach all turn into bloody red. The images that gives mythical fantasy to nature contain the earnest desire of the poet who wants to go home. The subject consciousness as a `woman` in the poems reveals the hidden frustration in the unconsciousness and the loss (the lack of being) of `woman` and exposes negative elements of `male` value to the world, and it shows the strong will of resistance to the patriarchal system.

      • KCI등재

        무의식 주체와 교육 결과의 비결정성

        강동호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1

        연구목적: 이 논문의 목적은 동일한 교육 과정과 환경에서도 교육 결과의 개별차가 발생하는 원인을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교육 결과의 다양성은 현상학, 상징적 상호작용, 잠재적 교육과정에서 이미 논의된 바 있으나, 연구자는 교육 결과의 다양성은 인간이 무의식적 욕망의 주체이기에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교육의 잉여 결과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Ⅱ장에는 무의식적 주체의 형성과정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교육의 기능을 정신분석학적 의미에서 억압과 비교 고찰하여, 교육의 목적인 사회화의 본질과 교육 결과의 다양성과 비결정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Ⅱ장에서 인간의 정신은 억압에 의해서 의식과 무의식으로 분열된다는 점을 밝혔다. 성적 욕망이 억압의 대상이며, 억압된 성적욕망이 무의식의 일부를 구성한다. 무의식적 주체란 현실과 무의식적 욕망 사이에서 갈등하는 존재다. Ⅲ장에서는 교육은 정신분석학적 의미에서의 억압 기능과 동일하며, 교육의 목적인 사회화의 본질은 사회적 주체와 무의식적 주체의 분열이라는 점을 도출하였다. 교육은 자연적 인간의 사회화에 공헌하지만 필연적으로 무의식적 주체를 양산할 수 밖에 없다. 인간은 무의식적 주체이기에 교육이 의도했던 것과 의도하지 않 았던 사후 효과가 나타나며, 교육 결과의 비결정성은 사후효과의 영향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교육의 결과는 주체의 무의식적 욕망의 개입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사후효과의 영향으로 교육의 의도가 성공을 담보하지는 못한다. 교육은 아무리 이상적인 조건이 갖추어지더라도 인간이라는 개체가 가진 무의식이라는 구멍을 메울 수는 없다. 따라서 교육의 가치와 의미는 의도한 교육 목표 외에 의도하지 않은 교육목표 즉, 사후효과를 포괄하여 총체적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tudy the cause for individual differences in educational results even under the same curriculum and environment in the psychoanalytical perspective. Methods: ChapterⅡ considered the formation process of unconscious subject. ChapterⅢ discussed the essence of socialization as the purpose of education, diversity of educational results, and indeterminacy, by comparatively studying the functions of education with suppression in the psychoanalytic meaning. Results: ChapterⅡ revealed that humans mind is divided into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by suppression. Unconscious subject is a being conflicting between reality and unconscious desire. ChapterⅢ drew the fact that education is equal to the function of suppression in the psychoanalytic meaning. And the essence of socialization as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he division of social subject and unconscious subject. Because humans are unconscious subjects, they show after-effects that have been intended and unintended by education. Conclusions: Due to the influence of after-effect inevitably occurring by the intervention of unconscious desire of subjects, the success of educational results cannot be secured. Therefore, in terms of after-effects, the value and meaning of education should comprehensively include intended and unintended goals of education.

      • KCI등재

        오장환 시에 나타난 죄의식 연구

        차성환(Cha, Shung hwan)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1 No.-

        오장환 시의 시적 주체는 전근대의 봉건적 가치와 전통을 부정하며, 윤리적 기준을 찾을 수 없는 식민지 근대의 현실에서 ‘무의식적인 죄의식’을 느낀다. 이는 주체가 자기 자신의 공백을 메울 상징계의 기표 없이는 자신을 증명할 수 없는 주체의 불안과 유사하다. 시적 주체는 ‘무의식적인 죄의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실제로 죄를 짓는 행위, 즉 ‘퇴폐’를 위악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스스로도 알 수 없는 죄의식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킨다. 스스로 ‘죄’를 적극적으로 구성해 자신의 죄의식에 실체감을 마련해주고 ‘무의식적인 죄의식’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인 것이다. 오장환의 시적 편력은 죄의식의 작용에 의한 주체화 과정으로 나타난다. ‘무의식적인 죄의식’을 ‘의식적인 죄의식’으로 전환시키는 과정, 곧 시적 주체가 자신의 공백(결여)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이면서 동시에 식민지 현실에서 상징계적 자리를 찾기 위한 과정이다. ‘탕아 서사’는 ‘어머니’(인민) 앞에서 ‘탕아’로서 자신의 ‘죄’를 고백하는 행위를 통해 서둘러 주체의 자리를 확보하려는 ‘촉박한 동일화’로 이해할 수 있다. 오장환은 전시대의 전통과 외부의 윤리적 기준을 거부하면서 스스로 열어 젖힌 공백의 가능성을 서둘러 파기한 채 이를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라는 타자에게 이월시킨다. ‘퇴폐’는 새로운 세계와 윤리에 대한 일종의 가능성이다. ‘퇴폐’와 함께 ‘죄의식’을 끌어안고 있을 때만이 비로소 ‘시인’이고 ‘주체’일 수 있다. The poetic subject of Oh Jang-hwan denies the feudal values and traditions of the premodern era and feels "unconscious guilt" in the colonial modern reality where ethical standards cannot be found. This is similar to the anxiety of the subject who cannot prove himself without a sign of the symbolic world in which the subject will fill his own void. The poetic subject reduces anxiety about guilt that is unknown to himself by critically revealing the act of actually committing a crime, that is, "decadence", in order to escape from "unconscious guilt". It is an attempt to actively organize "sin" on its own to provide a sense of substance in one"s guilt and to escape from "unconscious guilt". Oh Jang-hwan"s poetic compilation appears as a subjectification process by the action of guilt. The process of converting "unconscious guilt" into "conscious guilt," that is, the process of finding a symbolic position in colonial reality as well as an attempt by the poetic subject to escape his void(lack). The "prodigal narrative" can be understood as a "precipitate identification" to hurry up and secure the position of the subject through the act of confessing one"s "sin" as a "prodigal" in front of the "mother"(people). Oh Jang-hwan rejects the traditions of the times and external ethical standards, hurriedly destroying the possibility of a gap opened by himself, and transfers it to another person called socialist ideology. Decadence is a kind of possibility for a new world and ethics. Only when it embraces a "sense of guilt" along with "decadence" can it be a "poet" and a "subject.“

      • KCI등재

        라스콜리니코프의 죄의식에 대한 정신분석적 분석

        배선윤(Bae, Seon-Yun)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19 현대정신분석 Vol.21 No.1

        라캉이 말하는 주체화 과정의 주체는 무의식의 주체이고, 주체화는 신경증적 주체로의 탄생과 윤리적 주체로의 탄생으로 나뉜다. 부성은유로 인해 신경증적 주체로 탄생한 주체는 환상을 가로질러 증상과의 동일시를 이루고 윤리적 주체로 다시 탄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도스토예프스키 『죄와 벌』***의 주인공 라스콜리니코프의 행위변화를 살펴보고, 그 변화의 과정을 주체화 과정에 대입시켜본다. 주체화 과정에서 병리적 증상으로 드러나던 죄의식이 어떻게 증상과의 동일시로 이행되는지, 그 이행의 고리가 되는 소냐는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탐색한다. 우선 병적 증상으로서의 죄의식에 시달리는 작품전반부의 라스콜리니코프와, 소냐와의 만남으로 증상과의 동일시를 이룬 후 윤리적 주체로 탄생한 작품 후반부의 라스콜리니코프를 비교한다. 이 과정에서 오브제 ɑ로서 분석가의 자리를 점한 소냐와 라스콜리니코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라스콜리니코프가 환상을 가로지르고 담론의 이동을 경험하여 윤리적 주체로 탄생하는 과정을 정신분석적 분석을 통해서 엿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In Lacan’s subjectification process the subject is the unconscious subject, and the subjectification is divided into the birth as a neurotic subject and of an ethical subject. The subject, who was born as a neurotic subject due to paternal metaphor, traversing the fantasy, identifies with symptom. And then the subject is reborn as an ethical subject. After the ethical subject has identified with a symptom, the symptom becomes the sinthome. In the process, I will examine how the guilt is interfering, and how pathological symptom and sinthome are different. How can the guilt become the sinthome from pathological symptom? This paper considers the transition to the analytic discourse as the answer to this problem, and offers as an example of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Raskollinikov and Sonya, Dostoevskii’ person ages of Sin and Punishment. In the first half of novel, Raskollinikov suffers from pathological symptom, in the second half he is reborn as the ethical subject after identification with the symptom. What made this possible was the relationship with Sonya who had taken the position of an analyst as an object ɑ. In this paper, I will look at the overall process and find out the link between the birth of ethical subject, sinthome, love, and analytic discourse.

      • KCI등재

        주체와 타자의 새로운 관계 정립을 위한 주체 해체-최수철 소설을 중심으로

        문흥술 구보학회 2024 구보학보 Vol.- No.37

        이 글은 최수철이 2020년에 연작소설로 발표한 「다리 위에 지은 집」과 「모든 막간은 불안하다」를 대상으로, 주체와 타자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는 문제, 그리고 타자지향적 주체로 나아가는 문제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두 작품은, 인간은 의식과 무의식이 공존하는 존재이며, 무의식의 욕망은 타자를 떠나서는 성립되지 않음을 제시하면서, 의식적 주체 해체와 이항대립체계 해체를 통한 주체와 타자 문제의 해결을 강조한다. 이러한 측면을 라캉의 주체구성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두 작품에 나타나는 강박증 환자와 정상인의 관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 「다리 위에 지은 집」을 통해, 주체가 무의식 속에 이미 타자를 내재하고 있기에 주체와 타자의 관계는 대립적일 수 없고 상호 동등하면서도 보완적일 수밖에 없음을 검토하고, 이에 따라 인간은 타자와 상호 동등한 관계를 맺으면서 타자와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는 존재임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막간은 불안하다」를 통해, 타자와의 공존을 지향하는 타자지향적 주체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의식의 ‘나’와의 합일이 필요함을 검토하였다. 타자와의 공존을 욕망하는 무의식의 ‘나’와 하나가 되어 새롭게 태어날 때, 타자와 상호 동등한 관계에서 타자와 공존하는 타자지향적 주체로 전회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and how to move toward the other-oriented subject, targeting “House Built on a Bridge” and “Every interlude is unsettling” which Choi Soo-chul published in a series of novels in 2020. First, the two works emphasize that humans are beings where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coexist, and unconscious desire cannot be established regardless of the other. Based on this, it is insisting on solving the problem of the subject and the other through the deconstruction of the conscious subject and the deconstruction of the binary confrontation system. Based on Lacan’s theory of subject composition, this aspect was examin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obsessive-compulsive patients and normal people in the two works. Next, through “House Built on a Bridge”, it was revie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cannot but be confrontational and must be equal and complementary because the subject already has the other in the unconscious. Accordingly, it was considered that humans live with others while establishing an equ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Finally, through “Every interlude is unsettling”, we looked at the need for unity with the unconscious ‘I’ in order to move toward a other-oriented subject aiming for coexistence with others. When newly born as one with the unconscious ‘I’ who desires to coexist with the other, it can be transferred to the other-oriented subject that coexists with the other in a mutually equal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