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규명: 22년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분석

        김경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5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network evolution process to understa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sociology of sports studies and (2)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keywords, keyword cluster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intellectual structure within the sociology of sports studies. Toward this goal, we performed social network analysis on a total of sixty volumes of th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s, which were published between 1993 and 2014. The total number of papers included in the current study were 678 with 2,880 keywords. The NetMiner v4.2 was employed to conduct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ppeared significant change i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sociology of sports studies. There was notable paradigm shift in sociology of sports. Second, only a few top keyword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intellectual structure within the sociology of sports studies for the past 22 years. Those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included: (a) sports participation, (b) juvenile, (c) leisure activities, (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 life satisfaction, (f) leisure satisfaction, (g) sports for all, (h) job satisfaction, (i)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j) the aged, (k) ideology, (l) the type of leisure activities, (m) participation motivation, (n) grounded theory, (o) social network, (p) sports media. Keywords with betweenness centrality were: (a) juvenile, (b) sports participation, (c) leisure activities, (d) sport for all, (e)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keyword network demonstrated a scale-free network, in which a small number of hub keywords appeared in the articles with majority keywords. That is, 20% keywords possessed 69% links from the total. Keywords network were related with quantitative research and was consisted of 3 clusters. 1 and 2 cluster were related with quantitative, qualitative research, 3 cluster was related with review and discourse research. 한국스포츠사회학회가 창립되고 22년이 흐른 현 시점에서 스포츠사회학의 과거와 현재를 성찰하고 미래를 논하는 것은 스포츠사회학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1993년 창간호부터 2014년까지(22년) 발간된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를 3시기로 구분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NetMiner 4.2를 활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한국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목할만한 변화를 보였다. 즉, 1기(1993년∼2003년)와 2기(2004년∼2009년)를 거쳐 3기(2010년∼2014년)에서 상위권 주제어들의 중앙성 순위가 크게 변동하였다. 1기의 상위권 주제어들이 2기에서도 상당 부분 유지되었으며, 2기를 지나서 3기에는 1기와 상이한 상위권 주제어들로 나타났다. 둘째, 22년간 소수의 주제어가 한국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형성과 관련되어 있다. 활동중앙성이 높은 소수의 주제어는 스포츠참가, 청소년, 여가활동, 사회인구학적 특성, 생활만족, 여가만족, 생활체육, 직무만족, 생활체육참가, 노인, 이데올로기, 여가활동유형, 참여동기, 근거이론, 사회연결망, 스포츠미디어 등이며, 매개중앙성이 높은 소수의 주제어는 청소년, 스포츠참가, 여가활동, 생활체육, 생활만족 등이다. 주제어 연결망은 다수의 주제어가 소수의 주제어에 선호적 연결에 의해 링크가 집중되는 멱함수 법칙을 따랐다. 상위권 주제어는 양적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질적연구, 문헌고찰/담론 연구, 통합적 연구 순으로 사용되었으며,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형성에 기여한주제어는 총 3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 연구는 기존에 수행된 스포츠사회학의 공동연구 연결망, 저자 동시 인용 연결망 연구와 함께 스포츠사회학의 변동 과정과 지적 구조를 탐색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앞으로 학회에서는 스포츠사회학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발전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들을 전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인적자원개발 연구동향(2006-2015) : AHRD 학술지 논문의 주제어 연결망 분석

        채충일 ( Chungil Chae ),김정환 ( Junghwan Kim ),한수정 ( Soo Jeoung Ha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7 HRD연구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술논문에 수록된 주제어(keyword)에 대한 연결망 분석(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인적자원개발(이하 HRD) 분야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북미의 대표적 국제 HRD학회(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에서 발간하는 4개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최근 10년 간(2006-2015) 발간된 1,082개 연구논문(research article)만의 주제어 2,119개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파악된 주제어의 전체 연결망구조는 좁은 세상(small-world)과 척도 없는(scale-free) 연결망의 특성을 지녔다. 또한 연결 중심도와 빈도를 모두를 고려하여 27개의 주요 주제어 중 6개의 핵심 주제어(리더십, 직무만족, 학습, 성과, 훈련, 조직몰입)를 선정하였다. 이후 핵심 주제어의 자아(ego) 연결망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핵심 주제어는 다양한 주요 주제어들과의 관계맺음을 통해 특징적 군집(주제어군)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해외 HRD 분야의 연구동향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제공함과 동시에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에 대한 포괄적, 구체적 파악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국내외 HRD 연구에 대한 결론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using a keyword network analysis of the peer-reviewed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four major AHRD journals. For the analysis, we collected 2,119 keywords from 1,082 articles published in the four journals from 2006 to 2015. Our finding suggested that a keyword network of AHRD research for 10 years has a small-world and scale-free characteristic. By conducting analyses of degree centralization and frequency, we also found 27 major keywords. We then identified six core keywords(i.e., leadership, job satisfaction, learning, performance, train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further ego-centric network analyses of the core keywords showed that each keyword forms unique components(groups of keywords) in connection with a variety of neighbor(major) keywor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not only provide new knowledge to the field of HRD, but an implementation of the network analysis that enables us to investigate comprehensive and specific research trends. Based on the findings,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행정학연구』에 나타난 연구주제의 정부별 의미연결망 분석

        김예슬(Kim, Yeseul),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행정학 연구주제의 정부별 변화동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2002년 노무현 정부부터 2016년 박근혜 정부까지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 894편이다. 연구방법은 주제어 빈도분석과 의미연결망분석, 클러스터 분석을 활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3년부터 2016년까지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에는 3,142개의 상이한 주제어들이 등장하였다. 둘째, 전체 연구기간 동안 주제어 간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노무현 정부시기에는 1,101개의 주제어가 도출되었으며, 학교, 교원, 평가 등이 높은 연결중심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대학 운영의 민주성과 자율성 강화’, ‘고교평준화’, ‘교육공동체’, ‘공교육 내실화’ 등의 주제들이 주로 논의되었다. 넷째, 이명박 정부시기에는 1,195개의 주제어가 도출되었다. 학교, 정책, 효과, 교원 등의 주제어가 높은 연결중심성을 나타냈으며, ‘고교 다양화 정책’, ‘대학입시’, ‘6.2지방선거’와 관련된 주제들이 연구되었다. 다섯째, 박근혜 정부시기에는 846개의 주제어가 도출되었다. 학교, 교원, 정책, 효과 등의 주제어가 연결중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 등록금 및 국가장학금’, ‘자유학기제’, ‘교원의 행정업무 경감’과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술지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trends of research topic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by period of the Presidents’ government. Subjects of this study are 894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rom Roh Moo-hyun government in 2002 to Park Geun-hye government in 2016.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3,142 different key words were appeared in the articles from 2003 to 2016.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n organic connection among the key words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Third, 1,101 key words were derived, and schools, teachers and assessments showed a high level of connectivity in the period of Roh Moo-hyun government. In particular, topics such as "strengthening the democracy and autonomy of university operations," "normalization of high schools," and "educational community" were mainly discussed. Fourth, 1,195 key words was derived in Lee Myung-bak government. Key words such as schools, policies, effects, and teachers showed a high level of Degree, and topics related to the "High School Diversifying Policy," "College admissions," and "6.2 Local election" were studied. Fifth, 846 key words were derived in Park Geun-hye government. Key words such as schools, teachers, policies, and effects showed a high level of of degree. Topic of "college tuition and National Scholarships" and "free-learning semester system" were studied.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tudies will be carried out about various journals 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 KCI등재

        「교육재정경제연구」의 역대 정부별 연구주제 변화 동향 분석

        김예슬(Kim Ye seul),김병주(Kim Byoung 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무현 정부 이후 박근혜 정부년까지 「교육재정경제연구」에 게재된 논문 중 주제어와 초록이 제시된 339편을 대상으로 각 정부에 따른 연구주제의 변화 동향과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향후 연구자들이 보다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야 하는 연구 주제와 교육재정·경제학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교육재정·경제학 연구의 동향은 크게 빈도수 분석 방법과 의미연결망 분석 방법을 통해서 정리하였다. 전체 주제어 빈도 분석 결과 지난 14년 동안 빈도수가 높았던 대표 주제어는 ‘대학’, ‘사교육’, ‘학자금’, ‘교원’, ‘등록금’, ‘지방교육재정’, ‘정책’ 등의 순이었다. 전체 주제어 1,262개 중 15회 이상 출현한 주제어 16개를 대상으로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정책’, ‘지원’, ‘회계’가 가장 높은 연결 중앙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지방교육재정’의 경우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지만 연결중앙성 수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부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무현 정부 기간 동안 5회 이상 출현한 주제어 10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효율성’이 가장 높은 연결중앙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한 ‘교원’의 경우 낮은 연결중앙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명박 정부 기간 동안 5회 이상 출현한 단어 25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지원’, ‘정책’, ‘대학’이 높은 연결중앙성을 나타내었다. 박근혜 정부의 2013년부터 2016년 전반기 까지 5회 이상 출현한 주제어 19개를 분석한 결과 ‘정책’, ‘지원’이 높은 연결중앙성을 나타내었다. ‘지방교육재정’의 경우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지만, 가장 낮은 연결중앙성을 나타내었다. 교육재정·경제학은 인접한 다른 학문들과 서로 깊은 연관성을 가진 학문이며, 추후 융·복합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는 학문임을 시사받을 수 있다. 더불어 향후 교육재정·경제학의 외연을 넓히기 위해서는 낮은 연결중앙성으로 한정된 주제에 매몰되어있는 ‘지방교육재정’과 관련된 주제어들을 좀 더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여 활발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topics in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by successive governments from 2003 to 2016. For this study, 339 journal articles and 1,262 key words from them excluded overlapping words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To analyze research topics of the journal articles,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in which they were coded four topic area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1,262 key words of 339 journal articles cover the various study areas including evaluation, efficiency, academic achievement, communication, university, policy, and teacher, etc. It means that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can expand its field to and harmony with the adjacent research area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a variety of areas in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y research should be studied. Secondly, the key words were changed with the emphasis of the successive Government’s educational policy. More in-depth discussion and study is needed to find the connection between them. Thirdly, according to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key words of 339 journal articles were connected organically. Policy, support, account, and university are posted at the center and connected each other organically. However in spite of high frequency of ‘local educational finance’, it is not posted at the center. It means that almost researches on educational finance were focused educational finance itself rather than connection with other areas. More various research on educational finance connected with other areas should be conducted. More expanded research on trends of research topics in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including specific topics, research methodologies, research types and overseas journals could be expected as the oncoming studies of this study.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국내외 평생교육 연구의 주제어 분석

        박로사,윤창국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eywords of articles about lifelong education and to compare trends of study between Korea and Western society through Text Mining techniques.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keywords of articles about lifelong education in Korea and abroad from 2000 to 2020. After that, this study performed the central keyword analysis and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Results First, following the analysis of the central keywords, in the case of Korea, the keywords lifelong education (154) and lifelong learning (77) appeared most frequently over the past 20 years and had been forming essential themes and meanings. Meanwhile, in the case of abroad, the keywords adult education (163) and lifelong learning (132) appeared most continually over the same periods, forming momentous themes and meanings. However, comparing the degree of centrality, significantly since 2016, overseas cases have expanded the semantic structure by creating various and complex connections centered on adult education (20) and lifelong learning (22). In contrast, the Korean case has made limited links pivot on lifelong education (10) and lifelong learning (4), showing a quantitative gap. Comparing the keywords that appeared for the first time, particularly after 2016, in overseas cases, new keywords have been created, such a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digital inclusion, and sociomateriality, and semantic structures are organized in response to changes in context and practice of human learning.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case couldn't develop new themes and meanings, and it showed a pattern of materializing the semantic structure centering on the keywords lifelong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Second, due to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ainly since 2016, abroad has made various keywords connect with 46 nodes and 42 pairs, systematizing semantic structures. Whereas Korea has been limited in appearing keywords interaction and a semantic structure expansion with only 13 nodes and 10 pairs, confirming the quantitative gap once again. Conclusions Integrating the analysis results, research on lifelong education abroad has reorganized components constantly and actively adapting in response to shifts in the context and practice of human learning. In contrast, the Korean lifelong education research has limitation of connections between the components and restriction of extending semantic structure with tim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presenting a topic that lacked connection or emergence in the Korean lifelong education discourse system compared to other countries and would be proposing a more adaptive discussion expansion. 목적 이 연구는 국내와 국외의 평생교육 담론을 구성하고 있는 주제어들에 대한 비교와 분석을 통하여 평생교육 담론 계의 성장과자기 조직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텍스트 마이닝이라는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2000년 이후 20여 년간 국내와 국외의 평생교육 담론을구성하고 있는 최소 단위의 주제어들을 파악한 후, 주제어들에 수학적 연산 과정을 적용시켜 중심 주제어 분석 및 주제어 의미망 분석을 수행해 보고자 하였다. 결과 첫째, 중심 주제어 분석 결과, 먼저 국내의 경우 지난 20여 년간 ‘평생교육’(154) 및 ‘평생학습’(77)이라는 주제어가 가장 자주출현하여 중요한 주제와 의미를 구성해 가고 있었다. 한편 국외의 경우, 지난 20년간 ‘adult education’(163) 및 ‘lifelong learning’(132)이라는 주제어가 가장 자주 출현하여 중요한 주제와 의미를 구성해 가고 있었다. 그러나 주제어들의 연결 중심성을 비교해보면, 특히 2016년 이후, 국외의 경우 ‘adult education’(20) 및 ‘lifelong learning’(22)을 중심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연결을 만들어 내며 의미 구조를 확장해 가는 반면, 국내의 경우 ‘평생교육’(10) 및 ‘평생학습’(4)을 중심으로 비교적 제한적인 연결을 만들어 내고있어, 평생교육 담론 계의 양적인 격차를 포착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최초 출현한 주제어들을 비교해 보면, 특히 2016년 이후, 국외의 경우 학습의 맥락과 실천 현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digital inclusion, sociomateriality’ 같은 새로운 주제어를 창발해 내며 의미 구조를 조직화해 가는 반면, 국내의 경우 새로운 주제어를 만들어 내지 못하고‘평생교육’이나 ‘평생학습’이라는 주제어를 중심으로 의미 구조를 구체화해 가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었다. 둘째, 주제어 의미망 분석결과, 특히 2016년 이후, 국외의 경우 3회 이상 동시에 출현한 주제어들의 노드가 46개, 페어가 42쌍으로 다양한 주제어들이 상호간에 연결을 만들어 내며 의미 구조를 확장해 가는 반면, 국내의 경우 3회 이상 동시에 출현한 주제어들의 노드가 13개, 페어가 10쌍으로 비교적 제한적인 연결을 만들어 내고 있어, 다시 한번 양적인 격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국외의 평생교육 담론 계는 학습의 맥락과 실천 현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끊임없이 구성 요소들을재조직하며 능동적으로 적응해 가는 반면, 국내의 평생교육 담론 계는 구성 요소들의 연결이나 의미 구조의 확장이 비교적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국외와 비교하여 국내의 평생교육 담론 계에서 연결이나 창발이 부족했던 주제 영역을 제시하고 보다 적응성 있는 논의의 확장을 제언해 보고자 하였다.

      • KCI우수등재

        주제어 연결망 및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체육정책학의 지적 구조 규명

        김경식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6

        이 연구는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시기별 체육정책 연구의 핵심 주제어 변화와 체육정책 연구 핵심 주제어를 규명하며, 나아가 토픽모델링을 통하여 체육정책의 토픽 비중을 도출하고 연구토픽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서 체육정책 관련 논문을 수집하였다. 즉, 한국체육정책학회지에 게재된 논문과 한국체육정책학회지를 제외한 학술지를 대상으로 논문주제에 ‘스포츠정책’과 ‘체육정책’의 키워드가 포함된 737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쨰, 시기별 체육정책 연구의 핵심 주제어는 변화가 있었다. 즉, 핵심 주제어는 1기의 경우 athlete, participation, education, welfare, plan, leisure 등, 2기의 경우 leisure, education, government, industry 등, 3기의 경우 school, development, education, system 등, 그리고 4기의 경우 system, education, school, development, plan 등의 순이었다. 둘째, 체육정책의 핵심 주제어쌍은 policy-sport, education-policy, club-sport, industry-sport, facility-sport, instructor-sport, promotion-sport, leisure-sport 등의 순으로 빈번하게 등장하였으며, 핵심 주제어는 sport, policy, education, school, system, development, leisure, athlete, facility, program 등의 순이었다. 셋째, 체육정책의 토픽은 스포츠산업, 학교체육, 체육정책 거버넌스, 생활체육, 전문체육 등으로 비중이 높았다. 스포츠산업 토픽은 뚜렷한 증가 추세이며, 체육정책 거버넌스 토픽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교체육 토픽은 증감을 반복하고 있으나 감소추세에 있으며, 생활체육 등의 토픽은 특별한 경향성이 없었다.

      • KCI등재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내 여성리더십 연구 동향

        우성미,오소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여성연구 Vol.10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여성리더십 연구의 동향과 연구의 중점개념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내학술논문 중 KCI등재지와등재후보지에서 게재된 여성리더십 연구 160편을 선정하였으며, 주제어 정제작업을 거쳐 최종 557 개의 주제어를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주제어 출현빈도, 동시출현빈도에 근거한 주제어 연결망분석을 통해 연구의 주요 개념을 분석하였다. 또한 주제어 연결망 분석지표인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자아중심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여성리더십 연구의 과거와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예측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최근 여성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아직까지 국내 여성리더십에 대한 연구동향이 분석되지 않았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여성리더십에 대한 연구의 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개념적인 기준점을 제공하고, 향후 여성리더십 연구에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연구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국내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관련 미술치료 연구동향

        좌유선(Joa Yoo-sun),정여주(Chung Yeo-ju)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국내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관련된 미술치료 연구의 종합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최신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외에서 발간된 학술지 논문과 박사 학위논문 중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관련 미술치료 연구 87편을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 분석을 통해 발행 편수, 연구 대상, 외상 유형, 연구 설계, 미술치료 중재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추가적으로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여 핵심 주제어들과 이들 주제어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빈도 분석 결과 국내 연구 중 절반 이상이 여성을 대상으로 집중 되어 있는 반면 국외에 비해 혼성 대상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상 사건을 간접 경험한 대상자를 상대로 한 연구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연구 대상의 확장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국내 연구의 경우 연구방법 유형이 실험․사례연구에 국한된 경향을 보였다. 주제어와 연결망의 특성을 알아본 결과 국내 연구의 주제가 우울, 불안과 같은 특정 외상 정서에 편중되어 있음이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보았을 때 향후 국내 연구에서 연구 주제의 범주를 확장하고 조사 연구와 프로토콜 개발 연구 등 과정과 절차에 따른 성과에 대해 논의하는 방법론적인 측면도 다룸으로써 연구 유형을 다양하게 발전 시켜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rehensive contents of art therapy studies related to PTSD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and to organize the latest research trends from a macroscopic point of view. Frequency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on 87 art therapy studies on PTSD among academic journal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2007 to 2018. Via frequency analysis, we examined the number of study publications, research subjects, trauma types, study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y intervention. Subsequently,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keywords. While more than half of the domestic studies concentrated on women, there was a shortage of mixed male-female studies especially compared to abroad. Furthermore, there was no study of subjects who indirectly experienced trauma cases. types of research methods tended to be limited to experimental and case studies. In light of these results, it is essential to expand research subjects. when the keywords and keyword networks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domestic research are mainly focused on certain traumatic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Overall, the scope of research themes should be widened and various research types should be explored via dealing with the methodological aspects of study outcomes according to processes and procedures such as research frame and protocol development research.

      • KCI등재

        무선망에서 Best-effort 서비스를 위한 폭주제어 방법

        김승천 한국정보통신학회 200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5 No.4

        본 논문은 3세대 및 그 이상의 무선망에 대한 기본적인 망의 구조를 IP를 바탕으로한 무선망으로 정의하고 이때 무선 접속망에서의 폭주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기본적으로 제안하는 방법은 ECN(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을 바탕으로 하나 무선망과 IP망의 Broadcasting에서의 장점을 이용하여 ECN Broadcasting을 무선 서브망에서 수행하도록 하여 미래의 무선망에서의 이동성 지원으로 인한 폭주제어에 있어서 효율성을 갖도록 하였다. This paper has defined the 3G and beyond wireless networks as the one that is based on IP network architecture and proposed the congestion control scheme in the access networks. Basically the proposed method is built on the ECN(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and utilizing the advantages of the wireless and I networks in broadcasting packet in their access network. Consequently it provides the efficiency in controlling the congestion that can be happened by the mobility support in the future wireless networks.

      • KCI우수등재

        언어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관광 행동 연구 동향 분석: Journal of Destination Marketing & Management 논문을 중심으로

        박득희,김지언,이계희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3

        Due to the change in the tourism paradigm,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ourists' tourism behavior has been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in tourism behavior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Destination Marketing & Management and to provide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s study collected research related to tourism behavior and/or tourist behavior from the JDMM database from 2012 to 2021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s goal. The current study used UCINET 6.682 to perform some language network analysis techniques, including density, eigenvector centrality, frequency of co-occurrence keywords, and CONCOR. The linkage patterns of keywords were concentrated into a few keywords, according to density analysis. The eigenvector centrality analysis results show that a few keywords in the keywords network were hierarchically structured. Furthermore, the first-ranked keywords were Behavioral intentions, Satisfaction, Tourist behavior, COVID-19, and Destination image, which can play a key role as the central keywords in the keyword network. The frequency of co-occurrence keywords results show that the frequency of co-occurrence keywords results show that Behavioral intentions -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 Destination image were the most common co-occurrence keywords within the keyword network. Finally, as a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four clusters were identified, and it was confirmed that clusters related to social issues and destination images were the most important. The implications for future tourism behavior research were provid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analysis.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suggested by expanding various analysis techniques. 관광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관광객의 관광 행동 이해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연구는 Journal of Destination Marketing & Management에 게재된 관광 행동 논문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JDMM에서 2012년부터 2021년까지의 관광 행동 논문들을 수집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UCINET 6.68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밀도 분석, 위세 중심성 분석, 동시 출현 빈도 분석, CONCOR 분석 등의 언어 연결망 분석을 수행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밀도 분석 결과, 주제어 연결망의 연결 형태는 균형적으로 연결을 가지는 형태가 아닌 특정 주제어에 집중적으로 연결된 형태임을 확인했다. 둘째, 위세 중심성 분석 결과, 주제어 연결망 내에 포함된 주제어들은 소수의 주제어들에따른 위계적 연결 형태를 가지는 것을 확인했다. 이와 더불어, Behavioral intentions, Satisfaction, Tourist behavior, COVID-19, 그리고 Destination image는 주제어 중에서 중심 주제어가 될 수 있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주제어임을 확인했다. 셋째, 동시 출현 빈도 분석 결과, Behavioral intentions -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s - Destination image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했다. 끝으로, CONCOR 분석 결과,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으며, 사회적 이슈와 이미지에 관련한 군집의 중요도가 가장 큰 것을 확인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관광 행동에 관련한 연구의 확장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했고, 이 연구의 한계점과 다양한 분석기법에 대한 확장을 통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