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지체장애인의 주거ㆍ문화 환경개선 사례 연구

        임채숙(Lim, Chae-Suk)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과 장애인을 위한 환경디자인에 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지체장애인의 주거환경을 개선한 사례를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향후 장애인의 자립도 향상과 문화 환경 개선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을 위한 주거환경은 일반적인 무장애(barrier-free) 디자인 외에 개인별 장애유형 및 정도와 행동특성 등을 고려하고, 주택의 유형 및 특성에 따라 공간적 요구 내용이 상이하였다. 둘째, 경제적 활동이 적은 장애인의 주거환경이 대체로 열악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구조적 변화 및 개선이 어려우며, 현관ㆍ접근로, 주방, 화장실에 대한 대상자의 주거환경 개선 요구가 높았고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했다. 셋째, 유니버설디자인 7원칙 중 ① ‘적은 신체적 노력’, ②‘접근과 사용을 위한 크기와 공간’이 집중적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넷째, 장애인의 주거 내 자립 생활을 위한 공간의 기능적ㆍ환경적 개선과 함께, 심미적ㆍ문화적 개선을 통한 거주자의 심리적ㆍ정서적 만족을 높임으로써, 주거ㆍ문화 환경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었다. 다섯째, 장애인의 주거환경 개선은 삶을 보다 인간답게 영유하며, 궁극적으로 삶의 질 향상과 장애인 주거 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향후, 장애인의 진정한 자립생활을 위한 주거ㆍ문화 환경 개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다른 지역의 사례연구를 수집하여 지체장애인의 주거 문화 환경 개선 전ㆍ후에 대한 이들의 만족도를 비교 분석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analyze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disables with respect to universal design, investigate how universal design can be applied to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disables and provide some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ultural environment and self-reliance of the disables. From the analytical results based on the case study, we can derive some empirical findings and implications as follows: ①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disables considers not only barrier-free design but also disability type and severity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and their needs for spatial conten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housing types and features; ② It is difficult to change and improve aggressively their spatial structures because most of the disables performing less economic activity live in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however the residents highly demand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s in porch?approach, kitchen, and restroom; ③ It is remarkable that ‘low physical effort’ and ‘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 among the seven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have been intensively applied to the improv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④ For self-reliant living of the disabled in residential areas, it is necessary to bring about qualitative improvements of the residential and cultural environment in the aspect of aesthetic and cultural enhancement as well as functional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⑤The improv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should be developed toward the direction that the quality of life and the housing welfare of the disabled can be further enhanced. For the future study, the current study shall be further developed to provide some other regional case studies about environmental improvements for self-reliant living of the disabled and comparatively analyze the disabled"s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a certain environmental improvement is made. 본 연구의 목적은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과 장애인을 위한 환경디자인에 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지체장애인의 주거환경을 개선한 사례를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향후 장애인의 자립도 향상과 문화 환경 개선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을 위한 주거환경은 일반적인 무장애(barrier-free) 디자인 외에 개인별 장애유형 및 정도와 행동특성 등을 고려하고, 주택의 유형 및 특성에 따라 공간적 요구 내용이 상이하였다. 둘째, 경제적 활동이 적은 장애인의 주거환경이 대체로 열악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구조적 변화 및 개선이 어려우며, 현관ㆍ접근로, 주방, 화장실에 대한 대상자의 주거환경 개선 요구가 높았고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했다. 셋째, 유니버설디자인 7원칙 중 ① ‘적은 신체적 노력’, ②‘접근과 사용을 위한 크기와 공간’이 집중적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넷째, 장애인의 주거 내 자립 생활을 위한 공간의 기능적ㆍ환경적 개선과 함께, 심미적ㆍ문화적 개선을 통한 거주자의 심리적ㆍ정서적 만족을 높임으로써, 주거ㆍ문화 환경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었다. 다섯째, 장애인의 주거환경 개선은 삶을 보다 인간답게 영유하며, 궁극적으로 삶의 질 향상과 장애인 주거 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향후, 장애인의 진정한 자립생활을 위한 주거ㆍ문화 환경 개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다른 지역의 사례연구를 수집하여 지체장애인의 주거 문화 환경 개선 전ㆍ후에 대한 이들의 만족도를 비교 분석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analyze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disables with respect to universal design, investigate how universal design can be applied to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disables and provide some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ultural environment and self-reliance of the disables. From the analytical results based on the case study, we can derive some empirical findings and implications as follows: ①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disables considers not only barrier-free design but also disability type and severity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and their needs for spatial conten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housing types and features; ② It is difficult to change and improve aggressively their spatial structures because most of the disables performing less economic activity live in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however the residents highly demand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s in porch?approach, kitchen, and restroom; ③ It is remarkable that ‘low physical effort’ and ‘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 among the seven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have been intensively applied to the improv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④ For self-reliant living of the disabled in residential areas, it is necessary to bring about qualitative improvements of the residential and cultural environment in the aspect of aesthetic and cultural enhancement as well as functional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⑤The improv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should be developed toward the direction that the quality of life and the housing welfare of the disabled can be further enhanced. For the future study, the current study shall be further developed to provide some other regional case studies about environmental improvements for self-reliant living of the disabled and comparatively analyze the disabled"s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a certain environmental improvement is made.

      • KCI등재

        중국 주거문화와 가정교육을 융합한 주거 공간에서의 교육행위 특성 연구

        고성림(Gao Cheng Lin),노박문(Lu Bo Wen),정미선(Chung Mi S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3

        본 논문은 중국 주거문화의 교육 속성을 기초 연구대상으로 하여, 주거 공간에서의 “상(象)”(무형)과 문화적 사상, 심미(审美), 상징과 “형(形)”(유형)문의 공간을 표현, 장식적 상징성을 융합 및 연구하였다. 각 요소가 반영된 주거공간의 특성과 가정교육의 연관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중국의 전통 주거공간(명청시대를 대표하는 삼진사합원(三进四合院)) 과 현대 주거공간(20세기 말의 공동주택)에서의 교육행위 특성을 비교하고, 주거공간 설계에서의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덕육(德育)”교육과 학습 성장의 연관성, 교육의 역할, 교육 공간, 정경체험(情景体验) 특성의 차이성 등을 도출해내어 미래 주거 공간에서 가정교육 공간의 디자인 방향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과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중국 주거문화와 가정교육의 융합성을 바탕으로 주거공간의 “상(象)”(무형)문화와 “형(形)” 문화 두 가지 측면에서 출발하여, 사상, 심미, 상징, 공간표현, 장식의 5가지 측면에서 문화적 배경에 기초한 주택공간과 교육특성의 상관성을 연구 분석한다. 둘째, 전통주거공간과 현재주거공간의 교육적 속성에 기초하여 "상(象)"문화에서는 조상 숭배, 존비유서(尊卑有序), 장유유서, 남녀유별, 좌북남조(坐坎朝离), 사법자연(师法自然:자연에서 배우다), 경중구분, 도덕품격 등의 8개 요소, 그리고 "형(形)"문화에서는 향심성(向心性), 방향성, 주거공간의 내외부, 실내공간의 방과 방, 문양 등의 5개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위에서의 과정을 통해 전통과 현대 주거 공간에서의 교육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전통 주택 공간에서 가풍가규(家风家规), 학규(学规)성장, 품행 가치와 현대주택 공간에서의 가족 문화, 학습 성장, 사회적 가치 등의 6가지 측면의 통일성과 차이점을 도출한다. 네 번째, 전통과 현대 주거 공간의 6대 교육특성을 기준으로 주거공간에서의 “덕육(德育)”과 학습 성장 두 가지 측면을 비교하여 가정교육을 도출하고, 현대 주거공간 디자인에 접목 시킬 수 있는 새로운 니즈를 도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가정교육 행위가 미래주거 공간의 디자인 및 발전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또한, 전통과 현대의 가정교육과 주거 공간의 연관성을 비교하여 주거문화와 가정교육을 융합한 주거공간에서의 교육행위 특성을 도출 및 아래 몇 가지 측면으로 정리할 수 있다. 공통점은 (1) 주거 공간 중 가정에서 “덕육(德育)”은 가정교육의 핵심이다. (2) 학습 성장은 가정교육의 주체이다. 위 두 가지로 정리 할 수 있고, 차이점은 전통 주거 공간에서의 교육 행위는 가정의 교육과 교육의 계승에 중점을 두는 반면, 현대 주거 공간에서의 교육 행위는 우수한 전통적 교육 문화 계승을 제외한다는 것에 있다. (1) 교육 역할의 갱신에 더 중점을 두고 있으며, 전통 방식의 수동적 교육행위에서 주동적 “활(活)교육”행위로 전환 되었다. (2) 탄력적인 교육공간의 확대. 주거 공간 내부의 사용은 평등하며, 명확한 공간의 경계가 없다. 또한 공공 공간이 확대되어, 자녀와 함께하며 자녀의 학습습관을 기르는 을 중시한다. (3) 정경체험(情景体验) 기능과의 융합. 현대 주거 공간은 디지털 기술 매체의 발전으로, 상황 시뮬레이션과 예술 체험 등의 보조 교육을 통해 아이들의 봉사 의식과 창의력을 키운다. 이 내용은 향후 미래 주거 공간에서의 가정교육 공간 디자인 갱신을 위한 기초와 근거로 제시될 수 있다. In this thesis, the author takes the educational attribute of Chinese residential culture as the basic research object and integrates the ideology, aesthetic appreciation and symbolization of residence space’s “XIANG” (Intangible Factor) culture and the space expression and decoration factors of “XING” (Tangible Factor) to reflect the relevance between residence space’s characters and family education, which are taken as the analysis standard. Moreover, the author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n educational behavior characteristic of Chinese traditional spacing residence space (represented by three-tier courtyard house in the period of Ming and Qing Dynasty) and modern residence space(suite residence in the late 20C). The author also emphasizes education’s importance in residence space design and highlights the correlation between “moral” education and learning growth, the differences of educational roles, educational spaces and scene experience characteristics, thus providing a basis for the design of family education space in the future residence. Firstl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between Chinese residential culture and family education, the author starts to make analysis from residence space’s “XIANG” (Intangible Factor) culture and “XING” (Tangible Factor) culture so as to discuss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residence space a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cultural background from the five aspects: ideology, aesthetic appreciation, symbolization and space expression. Secondly, based on educational attribute of traditional residence space and modern residence space, the author makes an analysis on the standard of “XIANG” culture’s ancestral worship, respect for hierarchy and order, differences between man and woman, face south, learning from nature,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as well as “XING” culture’s five factors: centrality, directionality, inside and outside of residence space, rooms of residence interior space and pattern design. Thirdly, through the process mentioned above, the author specifically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modern residence space, thus leading out the uniformity and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residence space’s family traditions and rules, learning rules for growth, moral value and modern residence space’s family culture, learning growth and social value. Fourthly, on the basis of six major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modern residence, the author makes a comparison, thus getting family education’s importance in residence space’s “moral education” and learning growth. Moreover, new requirements for modern residence space design are proposed. From this research, the author gets a consequence that family’s educational behaviors have an influence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future residence space. In contrast with traditional and modern family education’s relevance with residence space, the author gets that the education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residence space with the integration of residential culture and family education are mainly presented as the following aspects: the similarities are: (1) Family’s “moral education” in residence space is the core of family education. (2) Learning growth is the main part of family education; The different points are: Traditional residence space’s educational behaviors place emphasis on the inheritance of education for home teaching rules; while in modern residence space’s educational behaviors, besides inheriting traditional educational culture, (1) The update of educational role is paid more attention. The educational behavior of traditional passive teaching is changed into positive “living education” behavior. (2) The flexible educational space is enlarged. Residence space’s internal use is equal without specific space limit; public space is expanded and the interactive behaviors and learning habit of parent-offs

      • KCI등재

        스페인 코르도바 파티오 축제를 통해 본 가옥과 주거문화의 활용과 전승

        최아름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0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44

        La Fiesta de Los Patios de Córdoba, Spain, i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 begins in early May every spring and lasts for 12 days. The festival is based on patio houses and residential culture that reflec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ordoba. Local people pass down their residential cultur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by utilizing Patio houses through festivals. Rather than turning a blind eye to old houses and their unique residential culture, they are connecting the past and present time and space in their own way through efforts such as cultivating and managing their own patio. Patio houses and residential culture have been developed in response to architectural and cultural trends, social and economic changes, accepting the social and cultural demands of the region that were prevalent by the times, and still serve as residential spaces in the city that form their residential culture. The city and local people are expanding their meaning and value as local cultural heritages that should be proud and passed down through the festival rather than being regarded as the houses where they reside or as old houses or old-fashioned cultures.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look at the history of the formation, which have been constantly combined and changed in Cordoba’s own unique houses and residential culture, and look into their practice of trying to utilize it as a local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festival. To this end, we would like to examine how the Patio House of Cordoba and their residential culture have changed, and how it has been used and inherited as a resource for festivals and as a local cultural heritage.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draw implications for finding ways to give meaning and value to old houses, people living there, and the residential culture they have as a resource for festivals and as a local cultural heritage. 스페인 코르도바의 파티오 축제(La Fiesta de los Patios de Córdoba)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매년 봄 5월 초에 시작되어 12일간 열린다. 이 축제는 코르도바의 역사·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파티오 가옥과 주거문화에 기반 한다. 지역민들은 축제를 통해 파티오 가옥을 활용하면서 그들의 주거문화를 세대에서 세대로 전승한다. 그들은 오래된 가옥과 고유한 주거문화를 외면하거나 새롭게 개선하려고 하기 보다는 자신들만의 파티오 가옥을 가꾸고 관리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시공간을 그들만의 방식으로 연결해나가고 있다. 파티오 가옥과 주거문화는 시대별로 만연했던 지역의 사회·문화적 요구를 수용하면서 건축적·문화적 트렌드, 사회·경제적 변화 등에 대응하며 발달해왔으며, 지금도 그들의 주거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도시 내 주거공간으로서 그 역할을 다 하고 있다. 시와 지역민들은 이를 거주하고 있는 집 혹은 오래된 집이나 고리타분한 문화로 치부하기보다 축제를 통해 자랑스럽고 전승해야 할 지역문화유산으로서 그 의미와 가치를 확장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코르도바의 역사와 문화가 끊임없이 결합하고 변화하며 만들어온 그들만의 독특한 가옥과 주거문화의 형성 내력을 살펴보면서, 이를 축제를 통해 지역문화유산으로서 활용하고 전승하기 위해 노력하는 그들의 실천을 들여다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코르도바의 파티오 가옥과 그들의 주거문화가 어떻게 변화해오면서 지역적 특성을 간직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이를 축제의 자원이자 지역문화유산으로서 어떻게 활용하고 전승하고 있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더불어 국내의 오랜 도시들에 남아있는 역사가 오래된 집들과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 그리고 그들이 간직하고 있는 주거문화를 지역문화유산으로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할 필요가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불교가 한국의 주거문화에 미친 영향

        최건업 ( Choi Keon-up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6 한국불교사연구 Vol.10 No.-

        삼국시대에 전래된 불교가 문화복합체로서 한국인의 주거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불교는 주거문화 안에서 불교의 철학과 사상을 주거공간 내에 구현해 내고자하는 지배계층들이 닮고자 하였던 희구의 대상이었다. 화려한 궁궐건축문화와 장려한 사찰건축문화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민간의 영역으로 전파되기 시작하였고 지배계층과 사대부의 주거문화에 깊이 반영되었던 것이다. 건축문화에 있어서는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 사찰에 존재하였던 별원형태의 수행공간(춘천 청평사 영지, 소수서원 탁청지, 분황사 원지 등)이 개인의주거에 사찰의 별원과 비슷한 형태의 산림이나 연못을 두어 별원을 건축하여 수양에 힘썼던 기록이 있다. 이를 근거로 사찰에서 수행을 위해 별원을 건축하였던 것을 개인의 주거문화로 끌어갔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차문화는 승려와 사대부 계층에서 수행을 위해 음차문화를 가까이 했던것이고, 주거의 배치에 있어서도 유교사상과 달리 남녀가 주거공간을 공동으로 사용한 배치가 일반적이었다. 건축요소내의 우물천정과 목욕시설, 벽지, 잡상 등을 불교의 영향으로 인해 개인의 주거문화에까지 반영되어 적용된 것으로 보았다. 건축의 문양과 채색에 있어서는 불교를 상징하는 아주 다양한 문양들을 건축부재 곳곳에 적용하여 생활공간 어디에서나 불교의 사상과 향기를 느낄 수 있었으며 단청채색의 경우에는 나라에서 제한을 할 정도로 화려하게, 경쟁적으로 개인의 주택을 장엄하였다. 건축과 관련된 언어에 있어서는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주거공간을 불교의 사상과 철학이 담긴 용어를 차용하거나 새롭게 규정함으로써 우리의 감정과 사상에 깊이 반영되도록 하였는데, 특히 해우소, 도량, 장엄, 현관등의 언어가 대표적인 사례다. 삼국시대에 전래된 불교는 통일신라와 고려를 거치면서 우리 민족의 문화를 완전히 변화시키고 고양시키기에 이르렀다. 건축의 공간과 배치에 있어서, 건축의 요소에 있어서, 각종 문양과 채색을 통해서,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를 통해서 우리가 가는 곳, 머무는 곳 어디에서나 불국정토를 구현하는 이상향을 건설하고자 하는 염원이 담겨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how Buddhism was transferred as a culture complex to influence at korean housing culture i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Buddhism was a desiring object of ruling class who wanted to embody buddhist`s philosophy and ideology in the housing culture. Magnificent royal palace buildings and splendid temple building cultures were influenced by each other and were spread to civil field and reflected deeply in the ruling class. In the constructive culture of united Silla and Korea dynasty they had a separated gardens(discipline space like as cheongpyungsa-youngji, sosuseowon-takcheongji, similar to them of temple in the personal residence. On that basis I presumed they had taken temple`s separated garden to their private garden. Tea culture was a favorites of monks and high officials for morals and discipline. In the dwelling arrangement men and women shared living space communally against Confucian ideas. A well ceiling, bathing facilities, wallpaper, several shapes on the roof and so on, were influenced by buddhism to personal dwelling culture. A buddhist diverse pattern and painting on housing symbolize buddhism ideology everywhere at the building components and we can feel the thought and fragrance. A painting was restricted sometimes because they painted his house too loud and luxurious competitively. In construction language, Buddhism languages were borrowed or made to reflect buddhism into our thought and philosophy. There are 解憂所haewooso(washroom), 道場doryang(buddhist seminary), 莊嚴jangum(solemnity), 玄關hyunkuan(porch), and so on.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into Three Kingdoms, totally changing and uplifting our national culture. We could know their national hopes that they wanted to embody Buddhism Utopia everywhere, especially in building space, housing arrangement, building components, diverse pattern and painting and buddhism language.

      • KCI등재

        삼국시대 경남서부지역 및 전남동부지역의 수혈주거지 변천양상

        이기건(Gi Gun Lee) 영남고고학회 2023 嶺南考古學 Vol.- No.95

        삼국시대 경남서부지역 및 전남동부지역은 주거문화에 있어 유사성을 보이며, 여러 문화가 접변하는‘문화적 점이지대’로인식된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문화권과 정치체의 이입이라는 관점에서 수혈주거지를 대상으로 3~6세기 전엽까지의 변천양상을고고학적 방법으로 연구해보았다. 그 결과, 양 지역은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Ⅰ단계(3C~4C중엽)는 양 지역에서 원형계주거지의 전통이 지속되는 가운데 주거문화와 유물의 변화가 궤를 같이하는 동일문화권으로 상정할 수 있다. Ⅱ단계(4C중엽~5C전엽)는 원형계주거지가 이어지면서 방형계주거지로 점차 대체 되어간다. 유물 또한 경질무문토기계통에서 타날문토기로 교체되는 과도기적 시기로 판단된다. 양 지역에 있어 동일문화권의 요소가 이어지는 가운데 마한과 가야의 문화가 보다 뚜렷이 반영된다. 즉, 주거 구조와 유물의 변화에서 공통의 시기 양상이 확인된다. 또한 타 문화권 주거문화의 확산이나 토기의 경제적 교류에 따른 분포권이 관찰된다. Ⅲ단계(5C전엽~6C전엽)는 방형계주거지로 주거형태가완전히 교체되는 시기이다. 5세기 초 고구려 남정으로 기존 남해안 일대 교역체계를 담당하던 가락국이 쇠퇴하고 고성·사천과경남서부내륙지역을 중심으로 한 소가야세력이 대두되면서 주거형태의 변화도 가속하는 주체세력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파악하였다. 5세기 중·후엽부터는 대가야가 양 지역에서 소가야의 관계망을 장악 하지만 주거형태는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western regigon of Gyeong-nam area and eastern region of Jeon- nam area show similarities in residential culture, and are recognized as a “cultural point zone” where various cul- tures interact.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cultural diversity and politic structure, the aspect of Pit-dwelling during 3~6th century can be classified through archeology method. On this research, these features can be distin- guished into 3 stage of dwelling systems. On the first stage(3rd century~the middle of 4th century), the tradition- al circular-dwelling continues during the change of dwelling type and relics. Therefore, it was identified as the same cultural area. the second stage(the middle of 4th century~early 5th century), The circular-dwelling main- tains and rectangular-dwelling emerges. Mahan and Gaya effect both regions' culture, even though the former culture remains. In other word, it can be seen as area of distribution which involves spread of other cultures's dwelling type and pottery exchange. Thirdly(early 5th century~early 6th century), the dwelling type changes into rectangular form. Sogaya also expands their power over the eastern region of Jeon-nam area and becomes main group who accelerates change of dwelling type.

      • KCI등재후보

        1960~1970년대 여성지에 나타난 근대적 주거공간 및 주거문화 담론에 관한 연구

        김종희(Jong Hee Kim),김영찬(Young Chan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0 No.-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한국 사회에서 여성지가 ‘근대화’ 담론 생산에 어떠한 방식으로 동참했고 여성 독자들의 근대성 경험과 수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문제는 그간 학계에서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1960~1970년대 근대화 시기에 여성지가 생성해낸 근대적 주거공간 및 주거문화 담론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도시적 삶에서 주거공간 및 주거문화는 특히 중산층 여성들에게 삶의 특정한 의미를 제공하고 그들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끼친다. 한편 여성지는 근대적 주거공간 및 주거문화를 특정한 방식으로 재현하고 담론화함으로써 여성지를 읽는 독자들의 경험 세계와 정체성 형성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글은 1960~1970년대를 배경으로, ‘근대화’라는 국가주의적 지배 담론과 교묘한 방식으로 접합된 여성지의 근대적 주거공간 및 주거문화 담론에 대한 고찰을 통해, 당시 여성들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던 ‘근대성’에 대해 ‘역사적으로’, 그리고 보다 중요하게는 ‘성찰적으로’ 접근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가 분석 대상으로 삼은 여성지는 『주부생활』, 『여성동아』, 『여원』이며, 주거공간과 주거문화에 관한 다양한 기사, 전문가들의 칼럼과 기고문은 물론 삽화, 광고 등 상징적인 재현의 이미지들을 중심으로 담론 분석을 시도했다. 이 글은 학문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문화연구 진영에서는 거의 불모지 상태로 남아 있는 근현대 여성지 연구를 활성화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is work aims to investigate how Korean women's magazines of the 1960's through the 1970's played significant roles in forming and disseminating 'modernization discourses' and how they eventually- influenced the ways in which women of the times experienced and made sense of modernity.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women's magazines which not only propagated the ruling ideas/ideologies of the modernization/(sub)urbanization of the nation but also produced specific cultural discourses on modern(ized) living spaces and modern lifestyles, this paper attempts to historically and reflexively tackles the serious question of modernity which critically affected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self-identities of Korean women in their everyday life settings. Employed was discourse analysis across a variety of cultural texts including articles, investigative reports, columns, advertisements, and illustrations -mainly photographs and cartoons- published in three key women's magazines of the 1960's and the 1970's.

      • KCI등재

        중부지방 송국리문화의 제 양상과 성격 연구

        김권중 한국청동기학회 2019 한국청동기학보 Vol.25 No.-

        The central region was the outskirts of the Songgukri culture's main area of distribution, sustaining the local culture of Jaeji. This local culture made growth in the early phase and displayed its prominent locality in the middle phase. In some areas, the dissemination and spread of the Songgukri culture happened through the migration or contact of the Songgukri group.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overall patterns of the Songgukri culture in the central region and review its chronological position, nature, and changing pattern,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It also aimed to figure out the ways that they formed relations with the Jaeji group and investigate some topics of sharp conflicts including the origin and chronology of the so-called "Bansongri-style dwelling" and the input route of the Songgukri culture in the Yeongdong region. The review results of the Songgukri culture in the central region show that its influences were not strong but that there were modifications to it due to its interactions with the Jaeji group, who in turn accepted selectively the influences of the Songgukri culture. The southern region of Gyeonggi had its own modifications in the process of making contacts with the Yeoksamdong culture and witnessed the appearance of the Bansongri-style dwelling as a modification to the Jaeji culture. Unlike the old opinions, the Bansongri-style dwelling was a modification to the Jaeji group(Yeoksamdong-style dwell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Songgukri culture(Songgukri-style dwelling) and emerged at a later time.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 exhibited a harmonious pattern of keeping the traditional dwelling structure of the Songgukri culture and accepting actively the new material culture(pottery with clay stripes) of Jaeji. The Songgukri culture succeeded in maintaining itself in the central region until later periods thanks to the survival method of the Songgukri group-an active strategy of adjusting to the needs or demands of the Jaeji group. The Songgukri group showed its independent survival method, but it formed reciprocal and functional relations with the Jaeji culture and underwent the process of harmony and absorption in most cases. 중부지방은 송국리문화 주 분포권의 외곽지역으로 재지의 지역문화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지역 문화는 전기부터 성장하여 중기에 지역성이 두드러지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송국리집단의 이주나 접촉에 의해 송국리문화의 전파와 파급이 이루어진다. 본고는 중부지방 송국리문화의 제 양상을 살펴 보고 편년적 위치와 성격, 변화양상 등에 대해 검토하여 송국리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특히, 재지집단과의 관계를 어떻게 형성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는 소위 ‘반송리식주거지’의 기원과 편년문제, 영동지역 송국리문화의 유입경로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중부지방 송국리문화를 검토한 결과 그 영향이 강하게 작용하지 않지만 재지집단과의 상호작용으로 변이가 관찰된다. 또한 재지집단도 송국리문화의 영향으로 선택적 수용 양상이 확인된다. 경기 남부지역은 역삼동문화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자체의 변이는 물론 재지문화의 변이인 반송리식주거지가 등장하기도 한다. 반송리식주거지는 기존의 견해와 달리 송국리문화(송국리식주거지)의 영향을 받은 재지집단(역삼동식주거지)의 변이로 파악되고, 등장 시점도 늦은 시기로 확인되었다. 강원 영동지역은 송국리문화의 전통적인 주거구조를 유지하면서 재지의 새로운 물질문화(점토대토기문화)를 적극 수용하여 융화되는 양상이다. 이와 같이 중부지방에서 늦은 시기까지 송국리문화가 지속될 수 있었던 것은 송국리집단의 생존을 위한 방식-재지집단의 필요나 요구에 따라 적응하기 위한 적극적인 전략으로 볼 수 있다. 결국 송국리집단의 독자적인 생존방식도 보이지만 대부분 재지문화와 호혜적·기능 적 관계를 맺고 융화·흡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중부지방은 송국리문화 주 분포권의 외곽지역으로 재지의 지역문화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지역문화는 전기부터 성장하여 중기에 지역성이 두드러지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송국리집단의 이주나 접촉에 의해 송국리문화의 전파와 파급이 이루어진다.

      • KCI등재

        5000B.P.이후 평저토기문화권 동부지역의 무덤으로 전용된 주거지에 대한 이해

        김재윤(KIM JAE YOUN) 한국신석기학회 2016 한국신석기연구 Vol.- No.32

        연해주 및 두만강 유역, 목단강 유역은 평저토기문화권에서 동부지역으로서 5000B.P.이후가 되면 뇌문토기와 이중구연토기가 공통적으로 확인되는데, 이곳 뿐 만 아니라 평저토기문화권의 서부지역인 청천강 유역에서부터 요서지역까지도 확인된다. 전고에서는 이 토기의 형식적 특징으로 평저토기문화권을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으로 구분했다. 그 외에도 양 지역에서 드러나는 문화의 차별성으로서 매장양상을 검토하고자 한다. 5000.B.P.이후 평저토기문화권의 동부지역에서는 단독무덤이 확인된 예가 없고, 여러 유적에서 주거지 내에 인골이 확인되는 현상을 살펴 볼 수 있는데, 이를 이 지역의 매장양상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 광역적인 비교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후기 구석기시대 바이칼 유역의 말타 유적 주거지내에 무덤이 확인되는데, 무덤은 가장 이른 신석기문화인 6500B.P.키토이 문화부터 무덤 군이 확인된다. 뿐만 아니라 요서지역의 신석기문화에서도 주거공간과 취락공간이 구분되는 양상이 보인다. 7000~6500B.P 흥륭와 문화에서는 주거지 내에 무덤 혹은 취락의 중앙에 무덤이 설치되는 양상이 확인되다가 6000~5000B.P. 홍산문화에서 점차 취락 공간과 무덤공간이 구분되어 가지만 완전히 별 개로 조영되지는 않다가, 5000B.P.이후의 소하연 문화가 되어서야 대남구 유적이나 남보력고토 유적과 같은 대규모 토광묘가 수 십 기가 확인되는데, 취락과 무덤이 구분된다. 그러하다면 본고에서 검토된 주거지내 인골이 보이는 현상은 루드나야 문화부터 확인되는 주거공간과 매장공간이 분리되지 않는 전통이 5000B.P.이후에도 지속되는데, 평저토기문화권 동부지역의 매장양상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5000B.P.이후의 평저토기문화권의 서부지역과의 비교를 통하면 더 잘 알 수 있는데, 소하연문화와 소주산상층문화에서 취락 유적과 무덤 유적의 구분이 되어, 검토된 평저토기문화권의 동부지역과의 차이점이 보인다. 따라서 5000B.P.이후 평저토기문화권의 동부지역과 서부지역간의 차이는 뇌문토기와 이중구연토기의 형식차이 뿐만 아니라 매장양상의 차이로도 문화권의 차별성이 드러난다.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and the double-rimed pottery is found in the east part of the flat bottom pottery cultural area - the Maritime province, the Duman river area and Mudan river area after 5000B.P. This pottery is also found from the Aprok river area to the Liaoxi area. The flat bottom pottery cultural area is separated into east and west part by the typologic character of a pottery. In this two area, it shows cultural difference. The burial aspect is also different. The single tomb is not found in the east part of the flat bottom pottery cultural area after 5000B.P. and a human bone is checked in a dwelling in several sites. The significance of this phenomenon could be analogized though the regional comparison. The aspect of a tomb is checked in a dwelling in the Malta site of the Lake Baical area in the upper paleolithic age. In the noelithic age, a tomb is constructed in earnest. The tombs are checked in a site from the Kitoy culture in 6500B.P. In the Liaoxi area, the dwelling area and the burial area is separated in the neolithic age. Tombs are found among dwellings in the Xinglongwa culture from 7000 to 6500B.P. A single tomb site is checked in the Hongshan culture from 6000 to 5000B.P. such as the Hudugou site. A tomb is also constructed in a dwelling site such as the Baiyinchanghan site. The dwelling area and the burial is gradually separated thereafter but it is not completely separated. This two area is separated from the Xiaoheyan culture after 5000B.P. such as the Danangou site and the Namboryukgoto site that large tombs are found. The tradition that the dwelling area and the burial area is not separated lasted after 5000B.P. That aspect that a human bone is found in a dwelling is thought as the burial aspect of the east part of the flat bottom pottery cultural area. However this two area is separated in the west part such as the Xiaoheyan culture and the Xiaozhushan upper culture. It is differ from the east part.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part appears in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or the double rimed as well as burial aspect after 5000B.P, it signifies cultural difference.

      • 중도문화의 지역성

        박중국(Park, Jung-kuk)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중앙고고연구 Vol.0 No.11

        중부지역의 원삼국문화는 소위 ‘中島類型文化’로 대표된다. 박순발에 의해 제창된 중 도유형문화란 경질무문토기ㆍ타날문토기ㆍ회흑색무문양토기의 공반, ‘呂(凸)’자형 주거지, 즙석식 적석묘 등의 요소를 특징으로 하며, 이는 한성백제의 기층문화이자 濊系집단의 고고학적 문화로 이해된다. 이러한 견해는 이후 연구의 근간이 되었다는 점과 더불어 현재까지도 폭넓게 수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획기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 조사의 폭증으로 인해 중부지역의 고고학적 양상이 매우 다양하게 확인되면서 기존 중도유형문화의 틀로는 이를 포괄할 수 없다는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중도유형문화의 개념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게 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중도유형문화를 재검토하여 그 개념을 재정립하고, 기존에 간과해왔던 중부지역의 지역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중도유형문화’라는 용어는 ‘중도 문화’로 대체하고 그 의미를 대폭 수정하여 ‘경질무문토기ㆍ타날문토기가 공반되는 ‘呂’ 자형 주거지의 공통분포권’으로 정리하였다. 그 시간적인 범위는 원삼국기부터 백제 한 성기까지이며, 공간적 범위는 중부지역에서 서해안 일대와 안성천유역을 제외한 지역에 해당된다. 중도문화를 구성하는 토기-주거지-분묘는 서로 대등한 요소가 아니라 다른 공간적 위계를 가진 요소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하여 大-中-小지역으로 이어지는 위계적 지역 구분을 시도해 보았다. 大지역권은 주거지의 爐시설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쪽구들 주거지가 주로 분포 하는 서울ㆍ경기지역과 노지 주거지가 주로 분포하는 영서지역과 영동지역으로 대별되는데, 이는 각각 韓濊의 생활양식이 투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中지역권은 수계와 지형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며, 서울ㆍ경기지역은 북부와 남부, 영서지역은 북한강유역과 남한강유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영동지역은 해당되지 않는다. 경기북부지역은 원삼국기에서 백제 한성기로 이행하면서 취락규모가 축소되는 경향이 확인되며, 경기남부지역은 반대로 취락규모가 확대되는 경향이 관찰된다. 북한강유역에 는 낙랑계유물의 빈도가 높게 확인되는 반면, 남한강유역에는 낙랑계유물이 거의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지역차의 배경으로는 경기지역의 경우 백제와의 정치적 역학관계가, 영서지역의 경우는 낙랑과의 교역망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된다. 小지역권은 현재 적석분구묘를 기준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이는 원삼국기의 강력한 소국의 존재를 시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 중 서울의 송파구 일대는 伯濟國, 연천지역은 臣 濆 沽國에 해당되는 것으로 추론하였다. The notion of Jung-do cultural assemblage, which claims tha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central Korea as the association of specific types of potteries, dwellings and burials, has been widely accepted for a long time. However, as last 20 years of excavation much revealed new archaeological data, the argument shows clear limitation and loosing its power of explanation. This thesis aims to have a critical review on the Jung-do cultural assemblage first, and then redefine Jung-do archeological culture through detailed analysis of potteries, dwellings and burial type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呂’-shaped dwellings, associated with hard plain pottery and beating patterned pottery, that widely distributed in central Korea, now are defined as new features of redefined Jung-do archeological culture. However, it was also noticed that there are regional variations, like heating system types of the dwellings – east and west part of central Korea. This seems to reflect different lifestyle, likely ethnic difference. Even more, the burial types showed clear differences among regions – it might be a signal of the growth of regional polities, and/or the result of their ‘peer polity interaction’.

      • KCI등재

        住居文化로 본 粘土帶土器文化의 流入과 文化變動 - 江原 嶺東 및 嶺西地域을 中心으로 -

        이형원 한국청동기학회 2015 한국청동기학보 Vol.16 No.-

        한국고고학에서 점토대토기문화에 대한 연구는 기원과 편년, 그리고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진행되 어 왔으며, 여기에 사회성격에 대한 논의가 추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연구경향을 발 전적으로 계승하면서 중국 요령지역에서 남한지역으로 유입된 외래계 점토대토기문화가 재지문화와 어떠한 접촉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지, 그리고 이에 수반하여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주 거문화에 초점을 맞춰서 검토하였다. 먼저, 주거구조에서 볼 때 벽부노뿐만 아니라,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장축노도 외래계 주거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또한 평양 남경 3호 주거의 토기 를 점토대토기로 인정하는 쪽과 비판적으로 보는 입장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주거구조를 검토하여 전 자의 견해가 타당하다는 것을 밝혔다. 점토대토기 출토 유적을 취락의 측면에서 보면, 영동지역에서 는 외래계 주거 및 유물이 주체적인 유적이 주로 확인되고 있는 반면에, 영서지역의 경우는 재지문화 가 중심을 이루는 취락에서 외래문화가 일부 수용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양 지역 모두 재지문화와 외 래문화가 상호작용하면서 상대방의 문화를 받아들였는데, 이는 혼인과 같은 인적교류가 활발히 이루 어진 것과 연동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외래계 취락과 재지계 취락의 교류 과정에서 나 타난 모방(절충)토기의 존재를 주목하였다. 한편 유적마다 타문화 주거지의 구성 비율 및 유물 출토 양상에서 차이가 있는 점에서 볼 때, 집단마다 공동체의 성향에 따라 외부 문화의 수용 양태가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The discussion on the pottery with clay strip culture has focused on the origin, chronology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in Korean archaeology. This paper takes an in-depth study on the foreign pottery with clay strip culture in flowed from Liaoning area in China and on its influences over the existing culture and its contact aspect. It also examines the changes focused on the dwelling culture. First of all, it was turn out to be a foreign dwelling type because of a fire place attached on the wall and on the major axis on the floor. Under a controversial situation, while researchers recognize pottery pottery with clay strip excavated at No. 3 housing spot of Namgyung remains in Pyungyang-shi, others have a critical opinion against i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former opinion is appropriate due to its housing structure. While foreign dwelling sites and their remains are excavated mainly in the Gangwon Youngdong area, existing dwellings and their remains are dominant in Youngseo area.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those two areas of existing culture and foreign culture. It is estimated that there was an interchange among people with a marriage. According to this aspect, pottery manufacturers at foreign dwelling sites from existing culture had imitated the pottery with clay strip. This paper put a great importance on this pott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