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동기시대 검단리유형의 형성과정과 출현배경

        김현식(Kim Hyun Sik) 한국상고사학회 2006 한국상고사학보 Vol.54 No.-

        검단리유형은 검단리식토기와 울산식주거지라는 2가지 핵심요소로 구성된 영남지방 동남해안지역의 고고학적문화이다. 검단리식토기는 혼암리토기의 복합문양이 단순모양으로 변화하고 시문수법이 간략화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토기이며, 울산식주거지는 혼암리유형의 관산리식·미사리식주거지 등의 대형 주거지가 주거면적의 소형화, 노지의 감소, 노지위치의 정형화, 주혈배치의 4각구도화 과정을 거쳐 형성된 주거지이다. 검단리유형은 동남해안지역에 들어온 혼암리유형이 進化한 유형이며 시기상으로는 영남지방 다른 지역의 송국리유형과 동시기에 해당된다. 울산식주거지의 내부공간은 작업·저장·수면 3개의 공간으로 구분되며 개별세대가 거주했던 주거로 추정된다. 검단리식주거지는 영남지방 다른 지역 중기의 주거지인 송국리식 주거지와 공간구조, 취락에서의 면적분포, 증축행위의 존재, 환호취락의 존재 등에서 유사한 점이 많은데 이는 양 주거지가 주거양식, 사회발전단계에 있어 동일한 단계에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혼암리유형의 대형주거지에서 울산식주거지로의 변화는 단위집단이 세대공동체에서 개별세대로 분화되는 것을 의미하며, 검단리식토기는 토기제작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과정에서 출현한 토기이다. 도구제작의 효율성 개선의 흔적은 다른 물질문화의 변화에서도 확인된다. 이런 단위집단의 변화와 도구제작의 효율성 개선으로 사회전체의 생산성이 향상되었을 것이다. The Goemdan-ri Assemblage can be represented by the Ulsan Type dwelling structure, the Goemdan-ri type pottery, and small stone coffins. Although the Goemdan-ri Assemblage shows unique regional characterisics, it contains some elements from the Heunam-ri Assemblage. The Goemdan-ri pottery had been transformed from Heunam-ri pottery and Ulsan type dwelling sites had been changed from the type of large dwelling structure which shows many similarities to the Heunam-ri type dwelling structure. This transition in dwelling structure shows that residing practice had been changed from the extended family to the nuclear family. The Goemdan-ri Assemblage is the unque one having developed from the Heunam-ri Assemblage that had come into the Southeast coastal region of Korea, and can be chronicled into the same period with the Songguk-ri Assemblage of Yongnam region.

      • KCI등재

        原三國∼三國時代竝行期 柯坪里類型 住居 硏究 - 동해 송정동 유적을 중심으로 -

        박경신 숭실사학회 2020 숭실사학 Vol.0 No.45

        원삼국시대 중부지역은 양평과 이천을 경계로 중동부문화권과 중서부문화권으로 구분된다. 중 동부문화권은 중도식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여·철자형주거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그러나 태백산맥 을 기준으로 주거의 형태적 차이, 외줄구들과 부뚜막의 시설 유무, 분묘(적석분구묘)의 존재 여부 등으로 태백산맥 서쪽의 중도유형과 동쪽의 가평리유형으로 다시 세분할 수 있다. 가평리유형권에서 규모가 가장 크고, 지속기간이 길었던 것은 동해 송정동 유적이다. 따라서 동 해지역 취락의 양상을 검토하여 가평리유형권 주거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동해 송정동 유적은 AD 1C부터 AD 4C 중엽까지 장기간 점유된 취락 유적이다. 송정동 취락은 추정인구가 최대 14,106명에 달하는 점에서 가평리유형권에서 가장 큰 거점취락에 해당된다. 그리고 송정동 동해항 만 B지구 1호 주거지는 주거의 위치, 규모, 출토유물 등으로 볼 때 당시 거점취락의 “渠帥住居”로 평가된다. 가평리유형권 형성기의 주거 형태는 전통적인 방형주거를 사용하였다. 이후 AD 1C 후반에 여· 철자형주거가 등장하면서 주거의 평면형태가 다양해지고, 전통적인 점토대토기와 중도식무문토기 가 혼재하여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AD 2C부터 AD 3C 전반까지는 낙랑계토기가 폭넓게 유통되 면서 물질자료의 새로운 변화를 예견한다. 그러나 주거의 형태에 있어서 큰 차이는 발견되지 않는 다. AD 3C 후반부터는 신라의 ‘조기양식토기’가 새롭게 유통된다. 그리고 AD 4C 부터는 호남 등 외부로부터 다양한 물질자료가 유통된다. 그런데 이 시기까지도 여·철자형주거에는 큰 변화가 확 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AD 4C 후엽 아궁이식로가 등장하면서 주거의 후벽이 곡선화되고, AD 5C 전반에 부뚜막식이 채용되면서 후벽이 둔각상으로 변화하여 육각형의 평면형태로 발전한다. 따라 서 새로운 노시설의 채용이 주거의 평면형태 변화를 수반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AD 5C 후 반 신라의 방형 주거가 정착하면서 여·철자형주거는 점차 소멸된다. 이후 가평리유형 주거는 영남 동해안 및 내륙 지역으로도 확산되는데 울진, 울주, 영주 등지에서 확인된다. 한편, 가평리유형권 주거의 주축방향은 N7.82W∼N33.49W 사이에 분포하여 일정한 방향성(편서향)을 띠는 점이 특 징이다. The central region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s divided into Middle Eastern Culture Area and Middle West Culture Area, bordered by Yangpyeong(楊平) and Icheon(利 川). The Middle Eastern Culture Area has a common point in Jungdo style plain pottery, Tanalmun(打捺文) pottery, and Yeo-cheol(呂·凸)'s character shaped dwelling. However, it can be subdivided into Joongdo Assemblage in the west and Gapyeong-ri Assemblage in the east of the Taebaek Mountain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dwelling types, tunnel-shaped heating system, kitchen range facilities, and tomb (stone-mount tomb) around Taebaek Mountains. Donghae Songjeong-dong Site is the largest and has the longest duration in Gapyeong-ri Assembla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features of dwellings in Gapyeong-ri Assemblage by examining the aspects of settlements in the East Sea region. Donghae Songjeong-dong Site is the remains occupied for a long time from AD 1C to AD 4C. The settlement of Songjeong-dong goes for the largest in the Gapyeong-ri Assemblage with an estimated population of up to 14,106. And Donghae Port B District Residence 1 in Songjeong-dong is evaluated as “Dwelling of Geosu(渠帥住居)” of Hub Settlement at the time in terms of location, size, and excavated relics of dwelling Traditional Square-shaped Dwelling was used for the swelling type in the formative period of Gapyeong-ri Assemblage. And then, with the advent of Yeo-cheol(呂·凸)‘s character shaped Dwelling in the latter half of AD 1C, it seems that the plane shapes were diversified, and the traditional Clay-band Rim Pottery and Jungdo style plain pottery were mixed to use. As Nakrang-type pottery was widely distributed AD 2C to AD 3C, it was predicted new changes in material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the residence types. 'Silla Style Pottery' of Silla was newly distributed since the latter half of AD 3C. And then, from AD 4C, the various materials were distributed from outside such as Honam. Until this tim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Yeo-cheol(呂·凸)'s character shaped Dwelling. However, the back wall of the dwelling became curved with the advent of the furnace style stove after AD 4C, and as the wood-burning stove was adopted in the first half of AD 5C, the back wall was changed to an obtuse angle and developed into a hexagonal flat shap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adoption of a new stove facility was accompanied by the change of the plane form of the dwelling. However, as Silla's Square-shaped Dwelling settled in the second half of AD 5C, Yeo-cheol(呂·凸)'s character shaped Dwelling gradually disappeared. Since then, the dwellings of Gapyeong-ri Assemblage spread to the east sea and inland of Yeongnam, and were found in Uljin(蔚珍), Ulju(蔚州), and Yeongju(榮州). Meanwhile, the main axis direction of the Gapyeong-ri Assemblage dwelling is evenly distributed between N7.82W and N33.49W, characterized by a certain directionality (westerly direction).

      • KCI등재

        原三國時代 中東部文化圈 住居 硏究

        박경신 ( Park Kyoungshin ) 중부고고학회 2020 고고학 Vol.19 No.3

        원삼국시대 중부지역은 주거, 분묘, 물질자료 등의 구성 요소 차이를 바탕으로 중동부와 중서부로 문화권을 나눌 수 있다. 中東部文化圈은 여ㆍ철자형주거, 중도식무문토기, 타날문토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中西部文化圈은 방형주거가 분포한다. 그리고 중동부문화권은 다양한 평면형태의 여ㆍ철자형주거, 외줄구들, 적석분구묘로 구성된 중도유형권과 이러한 요소가 발견되지 않는 가평리유형권으로 다시 세분된다. 중동부문화권의 중도식무문토기, 여ㆍ철자형주거, 외줄구들은 단결-크로우노브카문화가 파급된 결과이다. 단결-크로우노브카문화는 웅기 송평동 패총에서 확인된 외줄구들, 중도식무문토기 등으로 볼 때 東北韓을 경유하여 중부지역에 유입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동북한에서 중부지역으로의 유입로로 중도유형권은 안변-(추가령)-평강-철원(임진ㆍ한탄강), 안변-(철령)-회양-춘천(북한강)의 루트, 가평리유형권은 덕원-안변-통천-고성(동해안)의 루트가 상정된다. 여ㆍ철자형주거의 주축방향은 편서향을 띠는데, 이것은 편서풍 지대라는 지리적 특징을 최대한 고려한 선택이었으며, 바람의 영향이 가장 적은 남동쪽에 출입구를 개설한 것과 연동된다. 중동부문화권은 원삼국Ⅰ-1∼Ⅰ-2기까지 전통적인 방형주거 및 점토대토기가 공존한다. 그러나 원삼국Ⅰ-3기에 여ㆍ철자형주거가 등장하면서 선행 문화요소는 점차 소멸한다. 또한 원삼국Ⅱ기에 외줄구들의 등장, 낙랑계토기의 폭발적 유통을 통해 주거의 평면형태가 다양화됨으로써 중도유형과 가평리유형의 차이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원삼국Ⅲ기에는 적석분구묘, 부뚜막이 등장하면서 주거의 평면형태가 육각형으로 변화하는데 가평리유형권은 4C 후반부터 육각형으로 변화하여 지역 간 시차를 보인다. 이후 중도유형은 낙동강 상류의 문경ㆍ점촌, 가평리유형은 울진, 울주, 영주까지 확산된다. 삼국시대에는 호서 및 호남지역에서도 여ㆍ철자형주거와 유사한 출입구를 갖는 주거 형태가 확인된다. The central region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can be divided into the Middle Eastern Culture Area and Middle Western Culture Area on the basis of components such as dwelling, tomb, and material remains. The Middle Eastern Culture Area has such features as ‘yeo (呂)’-character and ‘cheol (凸)’-character shaped dwellings, Jungdo style plain pottery, and Tanalmun pottery (with stamped design), whereas the Middle Western Culture Area features square-shaped dwellings. The Middle Eastern Culture Area can also be further classified into the Jungdo Assemblage with various flat types of ‘yeo (呂)’-character and ‘cheol (凸)’-character shaped dwellings, tunnel-shaped heating systems, stone-mound tombs, and into Gapyeong-ri Assemblage which lacks these features. In the Middle Eastern Culture Area, Jungdo style plain pottery, ‘yeo (呂)’-character and ‘cheol (凸)’-character shaped dwellings, and tunnel-shaped heating systems were influenced by Tuanjie-Krounovka Culture. Given that tunnel-shaped heating systems and Jungdo style plain pottery were found at the Unggi Songpyung-dong Shell Midden, it appears possible to suggest that the Tuanjie-Krounovka Culture reached the central region via northeastern Korea. The Jungdo Assemblage may have spread through the following pathways from northeastern Korea to the central region: 1) the Anbyon-(Chugaryeong)-Pyonggang-Cheorwon (Imjin River and Hantan River) route, and 2) the Anbyon-(Chullyoung)-Hoeyang-Chuncheon (Bukhan River) route. The Gapyeong-ri Assemblage may have had spread along the Deokwon-Anbyon-Tongchon-Goseong (Eastern coast of Korea) route. The direction of the main axis of ‘yeo (呂)’-character and ‘cheol (凸)’-character shaped dwellings coincides with that of the Westerlies (winds from the west toward the east in the middle latitudes between 30 and 60 degrees latitude). In this study, the geographic features of the Westerlies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as much as possible and it was proposed that the loca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at the southeast side of the dwelling may have been due to the fact that it was where the influence of wind was the weakest. The Middle Eastern Culture Area maintained the co-existence of traditional square-shaped dwellings and clay-band rim pottery until Phases I-1 and I-2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ith the emergence of ‘yeo (呂)’-character and ‘cheol (凸)’-character shaped dwellings in Phase I-3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previous cultural factors gradually disappeared. In addition, with the emergence of tunnel-shaped heating systems and the explosive spread of Nangnang (Lelang) influenced pottery in Phase II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dwelling floor plans became varied. As a result, the Joongdo Assemblage came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Gapyeong-ri Assemblage. In Phase III of the Proto-Three Kingdoms, stone-mound tombs and kitchen ranges emerged, and dwelling floor plans changed into a hexagonal shape. In the Gapyeong-ri Assemblage, this change in dwelling floor plan to a hexagonal shape took place in the latter half of the 4th century, illustrating a regional difference. From that time, the Joongdo Assemblage expanded to the MungyeongㆍJeomchon areas of the upper Nakdong River, and the Gapyeong-ri Assemblage expanded to Uljin, Ulju, and Yeongju.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 type of dwelling with an entrance and exit was similar to that of ‘yeo (呂)’-character and ‘cheol (凸)’-character shaped dwellings came to be found in the Hoseo and Honam regions.

      • KCI등재

        도시건축유형학으로서 일본 틈새 주거의 디자인특성에 관한 연구 -아틀리에 바우와우의‘보이드 메타볼리즘’을 중심으로-

        박경애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1

        일본의 도시건축문화에서 틈새 주거는 사회경제적 산물일 뿐만 아니라 주택을 양적으로 늘려 주거공급을 확대하는 수단이다. 이 연구는 아틀리에 바우와우의 도시건축이론에 기초하여 틈새 주거유형의디자인특성을 고찰함으로써 각 유형의 질적 특성과 사회적 의미를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는 첫째, 도쿄를 중심으로 현대화와 경제성장 과정이 어떻게 도시 공간조직을 변형시켰는가를개괄하고, 오늘날의 주거문제를 잉태하는 20세기 도시변화를 살펴본다. 둘째, 연구의 토대로서 아틀리에 바우와우의 도시건축이론인 ‘보이드 메타볼리즘’을 고찰한다. 셋째, 보이드 메타볼리즘에 근거한 틈새 주거유형으로서 ‘펫 아키텍처’, ‘서브디버번과 제4세대 주거’, ‘마치야’를 논한다. 넷째, 틈새 주거디자인 사례연구로서 세 유형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나타내는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건축디자인개념, 공간프로그램, 디자인 전략체계를 분석한다. 연구의 결과로서 틈새 주거 세 가지 유형의 질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펫 아키텍처’는 도시 콘텍스트 변화에 대한 공간적 타협과 중재적 특성, 그리고 자생적으로 성장하는 유기적 도시기반의 일시적 건물이라는 면에서 친환경적 틈새 주거유형이다. 2) ‘제4세대 주거’는 오래된 주거지역에서 이웃 간의 만남과 외부 접촉을 장려함으로써 지역의 생활 방식을 유지하고 세대 통합 커뮤니티를 활성화하는 틈새 주거유형이다. 3) ‘마치야’는 가로와 주거의 관계에서부지의 더욱 좁아지는 파사드에 대응하여 전통과 현대의 하이브리드 생활공간을 창조하는 실용적 틈새 주거유형이다. 이 연구는 건축 유형학으로서 ‘틈새 주거’와 그 유형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오늘의 도시주거문제에 대응하는 일본의 디자인방법론을 제시한 것에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주거가치에 기반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주거선호 연 -주택 구입 예정자를 중심으로-

        구혜경 ( Hye Gyoung Koo ),조희경 ( Hee Kyoung Cho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2

        소비자의 관점에서 아파트는 자산 가치와 사용가치 모두를 제공하는 가장 비싼 내구재이자 상품과 서비스의 총체이다. 최근 수도권의 구매수요 감소, 미분양의 증가 등 아파트 시장의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미래의 주택시장은 현행 획일적인 공급의 틀에서 벗어나 소비자들의 주거가치에 기반을 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니즈를 반영한 상품개발을 통해 공급의 다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는 침체된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적 접근 외에 주택업계의 적극적인 노력이 모색되어야 하는 영역이다. 보다 구체적인 주거선호를 파악하기 위해 향후 5년 이내 아파트 구매의향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구매상황을 가정함으로써 구체적인 주거선호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선호와 요구가 소비자의 유형별로 어떻게 다른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아파트는 개인과 가족의 삶의 터전이므로 아파트 특성뿐 아니라 가족의 여가활동, 인테리어, 웰니스에 대한 태도, 주거가치 등 라이프스타일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소비자의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요구에 부합하는 아파트 공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거가치에 기반한 라이프스타일’ 척도를 개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통하여 척도를 검증하였으며, 5년 이내 아파트를 구입할 계획이 있는 서울시 아파트 거주자 1,700명을 대상으로 주거가치 기반의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실속ㆍ합리형, 보편적 중산층, 품질ㆍ안전 지향형, 고급ㆍ쾌적 지향형의 4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주거선호를 파악하기 위해, 미래의 아파트 구매상황을 가정할 때 선호하는 아파트 형태와 구매 시 중요하게 고려할 주거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인 미래 주거선호를 보면, 채소재배가 가능한 전원형 아파트를 가장 선호했으며 스포츠/레저시설 있는 아파트, 수도권 외곽 세컨드 하우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구매 시 가장 선호하는 주거특성은 입지특성이고 다음이 브랜드특성, 내부특성, 단지특성의 순이었다. 연구결과, 주거가치에 기반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아파트의 형태와 주거특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실속ㆍ합리형은 미래 아파트 유형별 선호도가 낮았고, 보편적 중산층은 세컨드아파트, 스포츠/레져, 보안시설 적용 아파트를 선호했으나 전반적으로 두드러지는 특징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품질ㆍ안전형은 레저/스포츠시설, 세컨드하우스를 선호했고, 고급ㆍ쾌적 지향형의 경우는 채소재배가 가능한 전원형 아파트, 세컨드하우스, 스포츠ㆍ레저시설 아파트, 단 독형 아파트 등에 대한 선호가 높아 여유로운 삶을 즐기고자 하는 성향이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아파트는 다양한 삶의 요소를 반영하여 설계되고 공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주택업체들에게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관점에서 주거가치에 기반한 라이프스타일 지표를 개발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생활자로서의 소비자를 연구하는데 다양한 개념의 융합을 통해 소비자의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Apartment house is the totality of the most expensive durable product and service that provides both asset values and usage values. Recently, the apartment house market is depressed because of decrease in purchase demand and increasing in unsold apartment houses. Accordingly, it is time for future housing market to diversify its supply by developing products reflected consumers’ needs for various lifestyle types based upon their housing values beyond the current uniform frame of supply. This is a realm for housing companies in the market, they have to be concerned consumers’ need to apartment house and their lifestyle related with housing to get over housing market depress. To find out more specific housing preferences, it is necessary to check specific housing preferences by assuming purchase situations targeting consumers wanting to purchase an apartment house within coming 5 years, and it is important to know how these preferences and requests differ by consumer types. Especially, since an apartment house is the base for an individual and family life, lifestyles such as family pastime activities, interior, attitude towards wellness, housing values and etc along with its features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to classify consumer types and supply them with apartment houses meeting the needs for each type. In such a background, this study developed housing value-based lifestyle criteria, verified them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ategorized housing value-based lifestyles targeting 1,700 apartment house residents in Seoul who intend to purchase an apartment house within 5 years. As a result, four types of economicalㆍreasonable, general mid-class, ‘quality and safetyoriented’ and luxuryㆍcomfort were drawn out. Preferred apartment house types and housing features to consider at time to purchase on the condition of future apartment purchase were analyzed to find out housing preferences by lifestyle type. With regard to an overall future housing preference, farming house type where growing vegetables is possible were the most preferred, followed by those with sportsㆍleisure facilities, and second houses at the outskirts of the capital area. Housing features the most preferred at time of purchase are locations followed by brands, interior, and apartment complex. Result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red apartment house types and housing features according to housing value-based lifestyle types. ‘Economical and reasonable type’ had low preference in future apartment types, ‘General mid-class type’ preferred second apartments or those with sports, leisure and safety facilities but not with conspicious features. ‘Quality and safety-oriented type’ preferred those with leisure/sports facilities or second houses, and ‘Luxury and comfort type’ preferred farming type apartment houses where they can grow vegetables, second houses, those with sports/leisure facilities, independent apartments, clearly showing their trend to enjoy leisurely life. Apartments should be designed, and supplied with various life factors reflected in them. In this light, the this study can provide housing companies with important implications and has its meaning in that it can enhance understanding of consumers as livers by developing and empirically verifying housing value-based lifestyle indices from consumer``s perspective.

      • KCI등재

        한부모 가족의 주거이력에 관한 연구 -한부모 형성과정의 주거경험을 중심으로-

        이한나,김승희 한국주거환경학회 2019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7 No.3

        Single-parent families face many challenges in the formation process, such as a sharp decrease in income, burden of child rearing, household burdens, and social and institutional prejudice. It is difficult for a woman to re-enter the labor market immediately after the forma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have a stable career in the labor market due to family life-long events such as marriage or childbirth (Kim Ga-yul, 2007). In addition, if you have young children, you will need a suitable and secure residence to raise your child.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forming a single-parent family housing movement is generated and the demand for housing suitable for the new situation (Kirsten Gram-Hanssen, 2005), a situation that requires a housing welfare policy suitable for the situation. The study tracked the housing history of single-parent families to determine the realities of the situation and demonstrated differences in housing movement by type of single-parent family. The study method was typed into a single-parent group by characteristic cluster using a two-stage cluster analysis of SPSS, using the chi-square test of pearson residential history by type, that is, residential mobile areas, occupancy forms, housing type differences were analyzed. Through this, we will use this as the basis for a demonstration of the difference separating single-parent families from moving to housing, and to find housing assistance that is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of single-parent families. 본 연구는 한부모 가족 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자발적 주거이동을 분석하기 위해 주거특성에 따라 한부모 가족의 유형을 분류하고 주거이력을 고찰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한부모 가족의 주거문제는 그 형성과정에서 인구·사회적 특성, 자녀연령, 경제적 수준, 주거경험 등에 따라 다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부모 가족의 유형 분류를 위해 혼인상태, 월평균소득, 고용형태, 총가구원수, 주거이동 횟수를 변수로 사용하여 3개의 군집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1유형인 이혼 한부모, 2유형인 사별 한부모, 3유형인 미혼 한부모로 도출되었다. 1유형은 이혼로 인해 주거환경이 급격히 하락하고, 이 열악한 주거환경이 지속되는 집단이다. 주거이력 상태를 추적한 결과 주거이동 경험이 증가하여도 자력으로 상향이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2유형은 사별에 의해 한부모가 형성되었고, 그 후 주거이동이 발생한 집단으로 상대적으로 주거수준이 안정되어 있있으며, 자력으로 주거의 상향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나타났다. 3유형은 미혼 한부모로 임신·출산에 의해 미혼 한부모 형성이 된 후 자녀양육을 위한 주거이동을 한 집단으로 타 군집 보다 기타형태의 주거이동이 다수 이루어졌고, 무상으로 친척친구집이다 일시적 거소 등에 머물다가 자녀의 성장에 따라 주거이동을 하며, 때로는 주변의 도움으로 주거상향이동까지 하는 집단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1유형은 주거상태의 하향이동을 막기 위해 한곳에서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는 주거환경을 마련 할 필요가 있으며, 3유형의 경우 형성직후 집중적인 주거지원을 통해 미취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생계곤란, 자녀양육 곤란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자력으로 주거이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 즉, 이혼, 사별, 미혼모 발생 등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촉발되는 주거이동의 경우 공적주택 등 주거지원이 적절한 시기에 제공될 수 있어야 하며, 주거지원 정책은 한부모 가족의 세분화된 특성에 적합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삼한·삼국시대 영남지역 4주식 방형계 주거지 연구

        김나영(Kim, Na-Young),이진영(Lee, Jin-Young) 중앙문화재연구원 2021 중앙고고연구 Vol.- No.35

        4주식 주거지(四柱式 住居址)는 중심 4주식의 실내 기둥이 설치된 주거지를 말하며, 한반도에서는 주로 마한·백제 영역인 호서와 호남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최근에는 변·진한과 가야, 그리고 신라권역에서도 4주식 주거지의 확인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본논고는 영남지역의 삼한·삼국시대에 확인되는 4주식 주거지에 주목하여, 이 주거지의 구조 속성및 유형, 주거 양상, 분포 및 지역성 등을 검토하였다. 글 구성은 먼저, 영남 동부, 서부, 중부, 남해안으로 지역권을 구분하여 자료의 현황과 시기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4주식 주거지의 주요 속성인 평면 형태, 기둥 배치, 노시설, 면적, 벽구, 배수구를중심으로 검토해 보고, 이 가운데 확인 사례가 많은 평면 형태와 기둥 형태를 중심으로 주거 유형을분류하였다. 평면 형태는 크게 원형계(Ⅰ)와 방형계(Ⅱ)로 구분하고, 기둥 형태는 벽주혈의 유무에따라 4주식(a)과 4주+벽주식(b)으로 구분하였다. 원형계보다는 방형계에서 중심 4주식의 설치비율이 높다는 점에서 주거 유형은 방형계 주거지를 중심으로 설정하였으며, 크게 A(Ⅱa식)·B(Ⅱb 식)유형으로 구분하였다. A(Ⅱa식)유형은 주로 소형의 규모로 수혈 벽 가까이에 부뚜막식 노시설을 선호하였으며, B유형에 비해 벽구 및 배수구의 설치 비율이 높은 편이다. 반면, B유형은 중·대형 이상으로 규모가 크며, 주거지 벽가에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설치된 구들식 노시설을 선호하였다. A와 B유형 4주식 주거지의 각 지역권별 주거 양상과 분포 양상 등을 살펴본 결과, A유형 4주식주거지는 주로 영남 서부와 남해안 지역에 분포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마한·백제계 주거문화에서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B유형은 영남 중부 및 동부지역에서 주 분포권을 형성한다는점에서 당시 이 지역을 중심으로 성행했던 주거 유형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3세기 대 자료로 미루어보아 호남지역보다는 호서지역과의 관련성이 엿보인다 A four-column typed traces of residence means the place with four central indoor columns and these residential traces are mostly concentrated in Hoseo and Honam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r, where belonged to the Mahan and Baekje area in the past. Recently, the discovery of four-column typed traces of residence is increasing in the Byun·Jinhan, Gaya and Silla spheres too. Therefore, these residential traces need to be researched. This paper aims to examine structural attributes and types, dwelling patterns, distributions and localities of four-column typed traces of residence found in Yeongnam region built during the Three Hans·Kingdoms Period. To begin with, regions were classified into the eastern part, the western part, the central part of Yeongnam and the south coast to investigate the research status of data and the times. Then plane forms, column arrangements, furnaces, areas, wall ditches and drains that are major attributes of the four-column typed traces of residence were analyzed, and residential types were classified focusing on plane forms and column forms that have been especially found a lot. Plane forms were classified into a circular form(Ⅰ) and a square form(Ⅰ), and column forms were classified into a four-column form(a) and a four column+pilaster form(b)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re are wall column holes. Considering that four central columns were more installed in the square form than in the circular form, residential types were classified into A(Ⅱa) and B(Ⅱb) centering around square typed traces of residence. As a small sized house, the A(Ⅱa) type mostly preferred a fireplace style furnace near the pit-wall and had a higher installation ratio of wall ditch and drain, compared to the B type. On the contrary, the B type had a middle or large size and preferred a Gudeul style furnace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wall of the dwelling place. In relation to dwelling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A and B typed four-column residential traces in each region, most of A typed four-column residential traces are distributed in the western part of Yeongnam and the south coast, and it is supposed that these were influenced by the residential culture of Mahan and Baekje. On the other hand, most of B typed residential areas are distributed in the central part and the eastern part of Yeongnam, it is supposed that the dwelling patterns prevailed around this region. And judging from the 3rd-century data, these residential areas seem to be related to the Hoseo region rather than the Honam region.

      • KCI등재

        주거취약지수를 활용한 지역 유형화 및 특성 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의 적용

        이민주,이자은,주필주 SH공사 도시연구원 2023 주택도시연구 Vol.13 No.1

        This study aims to classify 424 dongs in Seoul using the residential vulnerability index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into sub-groups in terms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frastructure, and vulnerable population characteristics. To do this, we employe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to classify 424 dongs and explore each group’s characteristics. The 424 dongs were classified into four subgroups; The areas with the better residential environments (Group 1), The areas with good residential environments (Group 4). The areas with vulnerable residential environments (Group 2), The areas with a high density of vulnerable populations (Group 3). Groups 1 and 4 have relatively good housing and living conditions. However, Groups 2 and 3 are relatively vulnerable areas. Looking at the spatial distribution by group, Groups 1 and 4 are dominant in the southern areas of the Han river and mostly in the southeastern regions of Seoul. Group 2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city center of Seoul and adjacent areas. Group 3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outskirts of Seoul. Based on the results of characteristic analysis for each group, we derived policy priorities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each reg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derives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regions by categorizing regions based on housing vulnerability in Seoul at a small spatial scale. Based on the results, we call for implementing policies considering each area's regional conditions in Seoul. 본 연구는 주거환경 측면에서의 취약성에 착안하여, 서울 내에서도 주거환경의 취약성 유형이나 수준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또 각 유형과 수준별 공간적 특성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토교통부와 건축공간연구원이 개발한 주거취약지수를 활용하여 서울의 424개 행정동을 유형화하고 이에 따른 정책 방향을 도출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LPA: Latent Profile Analysis)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서울의 424개 행정동은 총 4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각 집단들은 주거취약도 세부지표를 기준으로 그 특성을 고려하여 주거환경 우수지역(집단1), 주거환경 양호지역(집단4), 주거환경 취약지역(집단2), 취약계층 밀집지역(집단3)으로 명명하였다. 주거환경 우수지역(집단 1)과 주거환경 양호지역(집단 4)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주거 및 생활환경을 갖춘 지역들로 나타났으며, 주거환경 취약지역(집단 2)과 취약계층 밀집지역(집단 3)은 비교적 주거취약도가 높은 지역들에 해당하는데, 이 지역들간에도 취약한 부문들의 차이를 보였다. 집단별 공간적 분포를 확인한 결과, 주거환경이 양호한 집단 1과 4의 경우, 서울에서도 한강이남지역 및 동남권 지역에서 우세하였고, 주거환경 취약지역(집단 2)은 서울의 도심 및 이와 인접한 지역들에 주로 분포하였다. 또한, 취약계층 밀집지역(집단 3)의 경우, 서울의 외곽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한 집단에 속하는 지역들이 서로 인접하여 밀집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집단별 종합적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주거환경 측면의 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의 행정동을 대상으로 주거취약성을 중심으로 지역들을 유형화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집단별 서로 다른 특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미시적인 공간 단위의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적 특성을 세밀하게 고려한 맞춤형 사업 시행의 필요성을 제고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동기시대 전기 주거지의 폐기와 소멸 연구

        허의행(Heo, Uihaeng) 한국상고사학회 2009 한국상고사학보 Vol.65 No.-

        In a bid to identify what residence looked like, experiments with fires, and leaving naturally unattended and natural abandonment were conducted. Through experiments, the processes of natural abandonment and artificial abandonment were identified through the patterns of soil deposition, which were divided into six types to be further studied. Patterns of deposition differ according to types of villages, and distribution of remains; in the Yeoksam– ri and Honam– ri villages, diverse residential deposition patterns were discovered, while, in Garak– dong– type villages, patterns of natural residential areas prevailed. These deposition patterns are thought to show the patterns of abandonment of residential areas; through their relations with the volume of remains existing within the residential areas, 16 types of residential abandonment and decline were identified. Residential abandonment happened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in the case of the Yeoksam– ri and Honam– ri– type villages, considering diverse deposition patterns, the existence of massive remains, and the number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fires and residences; behind this, there seems to have been diverse causes such as relocation, resettlement and segmentation into various villages. The decline of villages should be studied from various aspects, but not all abandonment of residences is not thought to have occurred at the same time. Although there were voluntary or involuntary declines, the decline is also estimated to have been caused by an increase in residences and population, which sparked the maximization of utilization of surrounding resources, leading to desolation and depletion of resources. In the meantime, the abandonment of Garak– dong– type villages is estimated to have occurred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single deposition patterns, the existence of small amounts of remains, and distribution of fires and residences; only traces of relocation and movement were discovered, but no traces of resettlement were seen. The decline of villages is believed to have occurred simultaneously with the abandonment of all residences, perhaps because, rather than the surrounding resources were depleted, communities of villages with weak cohesion were dispersed or were effected. 주거의 폐기모습을 알기 위해 화재와 자연 방치 폐기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자연 폐기와 인위적 폐기 모습을 토양의 퇴적양상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고 이를 6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각 유형별 의미에 대해 접근할 수 있었다. 주거지 내 토양 퇴적양상은 취락 유형별, 그리고 유적별 분포에서 차이가 확인되는데, 역삼·흔암리유형 취락 주거지에서는 다양한 퇴적양상이 나타나는 반면, 가락동 유형 취락에서는 자연적 퇴적양상 주거지가 주를 이룬다. 이러한 퇴적양상은 주거 폐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주거 내 잔존한 유물량과의 관계를 통해 16가지 형태의 다양한 주거 폐기 의미를 살펴볼 수 있었다. 주거의 폐기는 역삼·흔암리유형 취락의 경우 주거지 내부의 다양한 토양 퇴적양상, 유물량의 다수, 화재 주거지의 수와 분포로 보아 자·타의적 폐기 모두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이주, 재정착 그리고 분촌화 등의 다양한 원인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취락의 소멸은 모든 주거의 폐기와 동시에 발생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판단되며, 자·타의적 원인에 의한 소멸도 있었겠지만, 증가된 주거와 인구에 따른 주변 자원 활용이 극대화되면서 이에 수반한 자원의 황폐화와 고갈이 소멸 원인의 일부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에 가락동유형 취락의 주거 폐기는 단일한 퇴적양상, 유물의 소량 잔존, 화재 주거지의 수와 분포로 보아 대부분 동시에 폐기된 것으로 파악되며, 이주와 이동의 모습은 있지만 재정주한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취락 소멸은 모든 주거의 폐기와 함께 동시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며 주변 자원의 황폐화보다는 결집력이 약한 취락 집단의 자·타의적 분산 뿐 아니라 외부의 간섭에 의한 영향도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생활유형에 따른 노후 주거 선호 특성에 관한 연구

        류혜지(Hye Ji Ry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50대와 60대를 대상으로 생활유형을 파악하고, 생활유형 특성에 따라 노후 주거에 대한 선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웹서베이가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유형은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6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세 가지 상황이 가장 낮은 생활유형 1이 가장 많았고, 세 가지 상황이 가장 높은 생활유형 5가 다음으로 많았다. 셋째, 현재 살고 있는 주택에서 노후에 이동하겠느냐는 질문에 생활유형에 상관없이 다른 집으로 이동하겠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넷째, 노후에 주거를 이동하겠다고 응답한 조사대상자들에게 이동 이유에 대해 파악한 결과, 생활환경의 불편이 가장 많은 이유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후 주거의 실내 공간 중요도는 침실의 주거환경이 가장 중요하다고 파악되었다. 여섯째, 노후 주거 기능에 대한 중요도는 정서적인 면이 가장 큰 중요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일곱째, 노후 주거 단지 환경에 대한 중요도는 생활유형에 상관없이 전체 단지 구성에 대해서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다. 여덟째, 노후 주거 선호도에 대해 예비 노인층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생활유형에 따른 선호도에서 차이가 나는 항목도 있었다. 따라서, 거주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인뿐만 아니라 생활유형도 노후 주거 디자인을 제안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항목으로 파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lifestyle pattern about the fifty and sixth and the characteristic of preference about elderly housing based on lifestyle. Research methods were literatures review and web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six lifestyles according to physical, economy and social state of surveyed people. Second, type 1 which was the lowest physical, economy and social state people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percentage in six lifestyle types. Third, all lifestyles thought they couldn`t live in the current housing when they will old. Firth, the reason for moving to another housing was inconvenience for elderly. Fifth, the living environment of bedroom was the most important interior space of the elderly housing. Sixth,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the elderly housing was the emotional value. Seventh,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elderly housing area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Eighth, there were different preference between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 patterns. Finally, depend on the various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 patterns, we have to offer the more appropriate design for elderly hous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