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통하는 주거공간 디자인을 위한 경계의 특성에 관한 연구

        변은영,김주연,하은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7 No.3

        이 논문은 거주성이 상실된 현대 사회에서 주거공간의 요구를 분석하고 거주성이 회복된 주거공간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시화, 산업화, 개인화는 주거공간을 단절시키고, 주거공간의 본질보다 경제적, 기능적 측면이 중시되며 본래적 거주성은 상실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거주성의 회복 방안으로 자연, 사회, 인간과의 소통 체계로서 주거공간을 지향한다. 주거공간에 대한 사회적 현황 분석과 담론의 해석을 통해 주거공간의 본래적 의미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주거공간의 실현방안으로써 소통하는 경계를 인식, 영역, 관계의 확장이라는 세 가지 구조로 분석한다. 사례 분석을 통해 소통을 지향하는 경계의 구축 방법과 효과를 고찰함으로써, 소통하는 주거공간이 가변적이고 투명하며 이동가능한 양상으로 구축되고 자연, 인간, 사회와 소통을 유도하여 거주성의 회복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며, 인간의 존재 방식에 기반하면서도 현대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주거공간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a Dwelling space and to realize it in a modern society where the authentic meaning of a Dwelling is lost. A Dwelling space has been separated due to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personalization. As its economical and functional aspects have been emphasized, a Dwelling space has lost its authentic meaning. This study suggests that a Dwelling space should interact with nature, humans and society as a means of restoring its original concept. The authentic meaning of a Dwelling space is construed by analyzing social status and interpreting the discourse about what a dwelling space is from a modern perspective, and the structures of an interactive boundary, as ways of realizing Dwelling space, are analyzed in three ways: the expansion of cognition, area and relation. The construction method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active oriented boundary are considered through case studies. The interactive Dwelling space is constructed on a flexible, transparent and movable basis, and contributes to restoring the authentic Dwelling by inducing interaction with nature, humans and society. This study finds a way to achieve the directionality of a Dwelling space which is based on the way of being of humans and corresponds to the changes of today's modern society.

      • KCI등재

        대단지공동주거의 공적·사적 공간관계에 관한 연구

        최임주,신병윤,오광석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2 No.4

        오늘날의 공동주거는 포스트모던시대의 도시건축환경 속으로 재편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재편 과정은 한국의 1990년대 이후 경제적 차별화의 심화에 따른 거주자들의 각 계층에 따른 차별화된 공동체 개념과 개인주의의 심화에 기인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동주거공간의 계획 또한 근대와는 다른 공적·사적 공간관계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요구가 공간적으로 극대화 되어 나타나는 곳이 대단지화된 공동주거이다.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근대의 공동주거 개념으로는 현대 거주자들의 달라진 공적·사적 공간관계의 요구에 부응하기에 힘들게 되었으며 근대의 공동주거에서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의 관계설정에서 오랫동안 교본처럼 참고로 해왔던 오스카 뉴만(Oscar Newman)의 공적 공간, 준-공적 공간, 준-사적 공간, 사적 공간의 단계적 위계에 따른 공간계획은 더 이상 오늘날의 공동주거 계획에 적절히 응용되기가 힘들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포스트모던시대의 대단지화된 공동주거공간에서 달라진 공적·사적 공간관계를 배경으로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공동주거의 공적·사적 공간구성관계의 특징에 관한 규명은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의 각각의 공간적 특징과 그 위계적 단계에 따른 깊이의 이해만으로는 대단지화된 공동주거의 공적·사적 공간구성관계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규명하기에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단지화된 공동주거의 공적·사적 공간관계의 특징을 규명하는 데에 있어서 이들 공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의 고려와 이러한 요소들의 등장배경과 이들의 관계를 체계화 하는 과정과 그 관계의 규명에 있다.

      • KCI등재

        청동기시대 취락 구조의 변화

        송만영 숭실사학회 2014 숭실사학 Vol.0 No.33

        청동기시대의 취락은 주거, 주거군 등으로 분해되는 기초 단위 취락과 반대로 기초 단위 취락들이 결집된, 보다 큰 규모의 중형, 대형 취락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청동기시대 취락 구조의 변화 과정을 개별 주거, 주거군, 단위 취락 등 세 가지 분석 수준에서 살펴보았다. 개별 주거는 주거 내부의 활동 영역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활동 영역의 큰 차이는 확인되지 않 았다. 다만 중기 이후의 주거 유형에 따라 석기 제작과 관련된 활동 영역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거군은 친연 관계에 있는 여러 주거들의 집합체로 취락 내에서는 주거들의 공간적인 결집 양상을 보인다. 청동기시대 초기에 미호천 유역을 중심으로 구획구에 의해 주거군을 분리한 사례가 확인되지만, 이는 매우 예외적인 경우이며, 구획구에 의해 주거군을 분리하는 경우는 주로 원삼국시대 이래로 관찰된다. 청동기시 대 전기 후반 이래로 세대공동체가 해체되면서 취락 내 주거군의 숫자는 점차 증가하지만, 이와 반비례하여 주거군 내의 가족 단위의 수는 차츰 감소한다. 이러한 경향은 청동기시대 후기까지 지속되는데, 이는 생계 경제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마지막으로 취락 내 행위 공간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특히 광장과 공지, 그리고 구획구의 개념 정리를 통 해서 행위 공간의 변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보이기 시작하는 매장 유 구는 주거 공간 내부에 위치하거나 주거 공간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며, 전기 후반 이래로 점 차 군집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중기 이래로 매장 공간이 주거 공간에서 뚜렷하게 분리되며, 주거군 단 위로 운영되었다. 저장 시설의 군집화와 더불어 독립된 저장 공간의 존재는 중기 전엽부터 보이기 시작하는 데, 여러 유적 사례로 볼 때, 대형 취락인 경우, 주거군 단위로 운영 관리된 저장 공간 이외에 취락에서 공동 으로 관리하는 저장 공간이 별도로 존재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중형 취락의 경우에는 주거군 단위로 저장 시설이 관리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중기의 대형 취락에서는 주거 공간-저장 공간-매장 공간-경작지 순으로 배치하는 횡적 경관이 정형화 된다. 이러한 경관은 비록 취락 규모는 감소하지만, 청동기시대 후기까지 지속된다. 화성 쌍송리 취락의 사 례를 염두에 둘 때, 제의 공간을 주거 공간의 상위 또는 중심에 두는 공간 배치의 특징은 횡적 경관과 함께 청동기시대 후기까지 계승된 것으로 보인다. The settlement in Bronze Age was consisted of a more large or medium scale settlement rather the basic unit settlement divided into dwelling or cluster of dwelling. Thus,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change of settlement in the three level of analysis;individual dwelling, cluster of dwelling and settlement unit. For the individual dwelling, the large difference in activity area was not verified by analysing the change of the activity area of the interior space. Simply, we could find the difference in the activity area related in stone manufacturing according to types of dwelling after the middle age. The cluster of dwellings, which is complex of various dwelling with kinship, shown the spatially connected aspect of dwellings. Although the case of separation of the cluster of dwellings by digging a ditch in the Miho-stream basin in the early time of Bronze Age could be find, it is an exceptional case. Rather it is mainly the after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at could be find the case of separation of cluster of dwellings by digging a ditch. Since the late of early time of Bronze Age, the number of dwellings in the settlement was increasingly increased with the dissolution of community of generations, but in inverse proportion the number of unit of family in the cluster of dwellings was gradually decreased. This trends continued to the latter part of Bronze Age, it seem to be closely related in the change of living economy. Finally, the activity area in the settlement, expecially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activity area, was examined by defining the notion of square, open area and digged ditch. As a result, the burial sites which could find after the early time of Brozen Age, was located inside of dwelling or formed the independent space separating form dwelling, and after the late of early time of Bronze Age, tend to be clustered increasingly. Also after the mid of Bronze Age, the burial space was separated distinctly, and operated as cluster of dwellings. The presence of independent storage space, with clustering of storage space, became seen after the early of middle of Bronze Age, and given the many case of sites, in the case of large settlement, it was thought that the storage space separately existed managed collectively in the settlement in addition to storage space operated by the unit of cluster of dwellings. However, in the case of the middle size of settlement, storage space was managed by the unit of cluster of dwellings. Meanwhile, in the mid of Bronze Age, lateral landscape was standardized, such as arranging dwelling space-storage space-burial space-farmland. This landscape continued to the late of Bronze Age, though the size of settlement was decreased. Given the case of the settlement site at Ssangsong-ri in Hwaseong, The feature of space arrangement, which ritual space was located in center of settlement or in the priority space, continued to even the late of Bronze Age with the lateral landscape.

      • KCI등재

        연속보호체계형 은퇴주거단지 내 지역사회 연계형 공용공간의계획과 디자인

        김미희 한국주거학회 2018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9 No.6

        The paper presented here is concerned with planning and design of the common spaces for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CCRCs). More specifically, the aims are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common spaces are desirable to be open to the community and then to propose an ideal layout of the common space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for this, from March to early May in 2018, with a group of thirteen experts specialized in senior housing or social welfare. The findings from this are as follows: 1) In independent housing, walking trail, the library, auditorium, and fitness center are considered to be most desirable to be open. Whereas, the library and auditorium are most desirable in assisted living and nursing home. 2) In planning of independent housing, common spaces are proposed to be grouped together of similar activities to secure the privacy of individual housing units and also to promote the social interactions of residents. In planning of assisted living and nursing home, these are then proposed to be scattered as small groups and placed close to individual housing units. 3) When running such open common spaces, it was finally suggested that external users should be accessed upon registration and reservations with fees; and the service should be operated by a professional management agency. 노인시설 중의 하나인 연속보호체계형 은퇴주거단지(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CCRCs)의 공용공간은 로비나 라운지, 도서실, 다목적 홀 등으로 구성되고 commom space로 불리운다. 이러한 공용공간의 공간구성방식은 거주자의 활동 특성과 교류형태에 영향을 미치므로 단순히 공간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거주노인의 사회적 교류와 참여를 독려하는 공용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은퇴주거단지 내 공용공간의 계획과 디자인을 위하여 CCRCs 내 자립주거와 생활보조주거 및 요양시설 각각에 필요한 공용공간의 종류를 파악하고, 공간구성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공용공간의 배치와 분산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공용공간이 지역사회와의 연계되기 위해서 요구되는 공간구성의 특성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델파이(Delphi)조사를 활용하였는데 조사대상은 노인복지 및 설계전문가 등 13명으로 구성하였다. 1차 조사는 2018년 3월 5일부터 3월 31일까지, 2차 조사는 2018년 4월 23일부터 5월 8일까지 이루어졌다. 조사내용은 1) 공용공간의 중요성과 지역사회에 개방할 경우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공용공간, 2) 노인시설 공용공간의 최근 디자인 트랜드, 3) 공용공간의 배치와 분산형태, 4) 노인시설이 지역사회 연계형으로서 개발 될 경우 일반 노인시설과 다른 공용공간의 디자인 특성과 운영방안 등으로 구성되었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린다. 첫째, 전문가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자립주거의 공용공간은 산책로, 클럽라운지, 의료시설, 피트니스센터, 사우나, 디너식당 등이었는데, 클럽라운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공용공간이 개방되어도 바람직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생활보조주거 및 요양시설에서 비교적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용공간은 의료시설, 산책로, 상담실, 미용실, 종교모임장소 등이었고. 개방할 경우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시설은 강당, 도서관 등이었다. 둘째,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노인시설의 공용공간의 디자인의 최근 트랜드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배려’,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확보’, ‘건강증진 및 여가활동 공간 추구’, 그리고 ‘자연 친화형 및 지역사회 통합형 디자인’이었다. 셋째, 전문가들은 자립주거의 공용공간에서는 유사활동을 그룹화하여 소규모로 분산배치하고, 자립주거의 시각적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며 사회적 교류를 유도하는 디자인과 지역사회와 소통이 가능하고 접근성이 용이한 위치을 바람직하게 여겼다. 반면에 생활보조주거 및 요양시설의 공용공간은 별도의 커뮤니티 동을 두지 않고 거주공간 가까이 주거 동 내부에 소규모 스케일로 분산 배치하는 디자인을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넷째, 일반 노인시설과는 다르게 지역사회 연계시키는 경우에 자립주거의 공용공간의 디자인은 거주자의 프라이버시 보장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외부인이 접근하기 편리하도록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보조주거 및 요양시설 역시, 거주자의 안전과 프라이버시를 최대한 보장하면서 거주자와 외부인간의 영역과 출입동선을 분리하는 디자인이 이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용공간을 지역사회에 개방할 경우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바람직한 운영방안은 무엇보다도 거주자를 우선적으로 배려할 수 있는 시설과 프로그램을 개발시키는 것이었다.

      • KCI등재

        서울시 1인 청년주택의 공간디자인 연구

        강성묵,윤재은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도시에서는 1인 가구의 비율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서울시는 경제 및 문화 중심지로서 청년들의 주거 수요가 높은 도시이다. 1인 가구 급증에 따라 청년주택의 공급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주거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거공간은 기존의 주거공간과는 다른 공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현재 재화와 서비스를 공유하는 공유경제 안에서 살고 있다. 주거역시 공유하는 형태로 발전하여 개인 주거공간과 공유공간이 접목된 청년주택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에 따라 1인 청년주택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청년들에게 적합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필요하며 청년주택의 방향성과 미래를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청년주택에 미래 수요자인 청년들을 위한 공유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임대주택에 대한 거주민의 공간적 인식을, 변화시키고 주거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질적 수요자인 청년 인 가구의 공간 요구를 충족할 1-2인 가구의 공간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라이프 스타일과 공유공간의 기능 및 역할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국내・외의 선진 청년주택 사례연구 및 분석을 통해 비교하여 각각의 청년 주택의 공통되는 공유공간, 개인주거공간, 코워킹스페이스 부분을 정의한다. 또한 사적영역과 공적영역을 명확히 구분하여 주거공간의 프라이버시를 높이고 공유공간의 역할 강화를 통해 거주민 간의 커뮤니티를 증대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본 방향으로 고려하여, 거주자들이 함께 생활하며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의 청년공유주택디자인 방향을 모색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공유경제를 목적으로 하는 청년주택으로 현대 도시에서 젊은 세대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개념이다. 이러한 주택은 젊은 사람들이 공동으로 생활하며 경제적인 부담을 분담하고, 사회적인 연결성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주택 시장의 문제를 완화하고,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을 촉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결론) 셰어하우스 형태의 청년주택은 젊은 세대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고, 공유경제를 촉진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공간 측면에서는 개인 공간의 확보, 공동 공간의 개선, 유연한 구성 요소, 안전과 보안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개선사항을 고려하여 셰어하우스 형태의 청년주택은 젊은 세대에게 보다 나은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주거 공간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마케팅 전략 연구

        김희정,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2

        주거 공간의 브랜드화를 통하여 브랜드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면서 소비자의 주목을 끌기 위한 경쟁은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강력한 브랜드 구축은 경쟁력 있는 기업의 필수적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로 기업은 일시적인 브랜드 개발이 아니라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브랜드 개발 및 관리를 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의 니즈(Needs)에 맞는 상품 개발이 기획단계에서부터 주거 공간 마케팅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상품과는 다른 주거 공간의 상품적 특성에서 기인하는 브랜드 이미지와 마케팅 전략의 문헌적 연구, 주거 공간 마케팅 전략의 기본 전략을 마케팅 믹스 전략(4P MIX)으로 분류하여 구체적인 분석 모형을 설계하고, 결과를 도출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거 공간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방안의 기틀을 마련하고, 주거 공간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With the increasing of brand's importance through the branding of housing spaces, the brand companies' competition to get the attention of customer is getting harder and harder and the having a strong brand became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all competitive companies. Therefore, a company needs to develop and manage his own brands systematically on a long-term basis not temporarily. Furthermore, the products developing that meets the customers' needs has to be carried out through housing space marketing activities right from the planning stage.This study set out to conduct literature study on brand images and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housing space as a product different from other products and to divide the basic strategies for housing space marketing into marketing mix strategies(4P MIX) to design a specific analysis model and generate results. The results, this study is also aimed to offer the basic data conducive to make a base for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for housing space to improve the brand image.

      • KCI등재

        안도 다다오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관한 연구

        박항섭,김용성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안도 다다오는 초기 주거건축에서부터 그의 건축적인 신념을 바탕으로 한 주택작품으로 건축가의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안도는 건축의 시작부터 일본의 전통성과 합리적 모더니즘을 동시에 내포하는 건축을 시도하였으며, 안도 건축의 특징으로는 노출콘크리트, 기하학 구성, 자연의 도입 등을 언급한다. 안도의 주택에는 보편적으로 모더니즘, 노출 콘크리트, 간결한 소재사용과 단순 기하학 구성, 중정과 자연의 도입, 비움과 풍요로움, 비연속적인 동선, 지역성과 인간의 삶, 일본 전통성의 접목, 낭비함이 없는 치밀한 디자인 등이 반영된 안도만의 건축 언어를 내재시키고 있다. 안도의 주거건축에는 건축적인 사고가 투영되어 있으며, 연출적인 공간구성과 동선을 관계시킨다. 본 연구는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역할을 밝히는 데에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두며, 이러한 연구가 주거건축의 연구 및 설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안도 다다오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을 조사 분석하여 그에 대한 특성과 상호간의 관련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서 안도의 주거를 선별하여 문헌적인 고찰과 다양한 자료의 조사, 부분적인 답사 등을 바탕으로 하여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특이성을 제시하려 한다. 연구대상이 되는 주거는 안도의 대표되는 주거작품을 단독주택으로 한정하여 연대별과 공간구성의 특이성으로 평가된 주택을 선별하였으며, 그 대상의 주택으로는 스미요시 나가야 주택(Sumiyoshi-Azuma House, 1975-1976), 기도사키 주택(Kidosaki House, 1982-1985), 나카야마 주택(Nakayama House, 1983-1985), 고시노 주택(Koshino House, 1983-1984), 이씨 주택(Lee House, 1991-1992), 히라노 주택(Hirano House, 1995-1996)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의 진행은 첫째, 안도의 주거에 대한 사고를 고찰하고 둘째, 안도의 전반적인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조사와 특징을 제시하며 셋째, 선별된 각 주거별에 따른 사례를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며, 끝으로 이러한 과정으로 추출되어진 내용들을 정리하여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결론을 제시한다. (결과)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특성을 추출하기 위하여 앞에서 언급한 6개의 주택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시도하였고, 사례분석에서 추출한 내용들을 공간구성과 동선체계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공간구성은 에워쌈과 내부 중심적 공간, 형태성 등으로 재분류하여 연구하였으며, 동선체계는 외벽과 출입동선, 연출공간과 수직동선 등으로 재분류하여 연구・정리하였다. 또한 이러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주택을 공간구성의 특징, 동선의 특징, 주거의 형태성 등으로 구분하여 표로서 종합 정리하여 서술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특징으로 추출한 결론은 첫째, 에워쌈과 개방적 내부공간 연출이고 둘째, 내부 중심적 공간구성이며 셋째, 빛과 공간구성이며 넷째, 연출공간과 수직동선 삽입이며 다섯째, 외벽과 출입동선의 유도이며 여섯째, 주거건축에 가구의 적극적 도입 등이다. 본 연구는 안도 다다오의 주거공간에 건축적 신념과 공간의 연출과 의도, 자연 등이 어떠한 방법으로 접목되어 있는가를 밝히는 데에 연구의 의의를 두며 이러한 연구가 주거건축 연구 및 설계에 실무적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ndo Tadao became famous by build things based on architectural concepts he learned from early housing construction. From the beginning, Ando attempted to create architecture that simultaneously incorporated Japanese traditions and rational modernism, as well as features of relief architecture, including exposed concrete, geometry and the introduction of nature. Ando’s housing embodies his architectural language of modernism, exposed concrete, simple ingredients, and simple geometry, the introduction of nature, the opacity of poverty, the richness of human nature, the gap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the refinement of Japanese heritage. The work of Ando has an architectural mindset that directly relates to spatial composition and transfer. The study aims to establish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housing architecture, and hopes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ield. (Method) Based on research into and investigation of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composition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the study aims to propose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housing based on research into various materials and research. Houses were screened for housing projects that were designated as single residences, based on detached dwelling in the chronological order of housing and spatial composition, and the homes of the residents of SumiyoshI-Zuuma House, 1975 and 1985 (Kidosaki House, 1982-1985), the Archaeological Site of Nakayama (Republic of Korea), and the Gosino were selected. The research method was to examine the dwelling, and to presen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overall residence of Ando, to derive the overall outcome of the housing construction by analyzing the overall housing of the screened out housing according to the screening and analysis of each derived dwelling. (Results) In order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was analyzed, and the contents extracted from the case analysis were analyzed separate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irculation System. The spatial organization was reclassified as bounded by surrounding areas, and was reclassified as the outer area, and the Circulation System was reclassified to the outer walls, the entrance lines, the direction of circulation and the vertical circulation.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se contents, the classification of houses was organized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ssel, the morphology of the dwelling, etc. (Conclusions) Firs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was identified. Seco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interior was identified. Third, the vertical circulation was identified. Fourth, the entrance to the interior of the house and the introduction of the furniture was done. The study focuses on how to incorporate architectural beliefs and intentions into the residential space of Ando Tadao's residential space, and the ideas and intentions. I hope that these studies will be practical for the study and for designing residential buildings.

      • KCI등재

        세시와 주거공간의 관련 양상

        배영동(Bae Young-Dong) 비교민속학회 2008 비교민속학 Vol.0 No.37

        세시는 1년 단위의 시E면영 구조를 반영하는 풍속이고, 주거공간은 가족이 생활하기 위해서 나름의 규칙에 따라서 조성한 공간이다. 전통적으로 주거공간은 세시의 기본공간이자 중심 공간이었다. 주거공간은 가족, 친족, 마을단위로 진행되던 다양한 세시의 수행 공간이었다. 세시 수행과정에서 주거공간은 단순히 장소적 가능만 하는 경우가 있지만, 대체로 성격 변환을 통하여 세시 수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가능을 담당하였다. 그리하여 주거공간은 조상과 후손을 연결하는 공간이 되고, 제액ㆍ초복의 공간이 되고, 익숙한 시간질서를 연장하는 공간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한편 주거공간에 대한 세시는 주거공간을 정화ㆍ보수하는 것, 주거공간 안을 제액ㆍ초복하는 것, 주거공간의 문화적 질서를 교체하는 것 등이었다. 이는 주거공간의 의의와 가치를 사료들에게 다시 일깨우고 인식시키면서 좀더 나은 주거생활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인정적인 주거생활을 위한 세시의 기본구조는, 한 해의 초반기에 주거공간에 대한 세시의례를 하여 1년간 주거생활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가을에는 월동준비와 지붕이기를 하고, 연말에 다시 1년을 매듭짓는 차원에서 보강하여 새해를 맞이하고, 윤년에는 일상적 주거생활의 궤도 밖으로까지 확장하여 주거공간을 증수축하는 것이다. The Sesi(歲時) is calendaric custom; reflects the structure by which time is operated on an annual basis. The residential space for living of family is a space made by its own rules. Traditionally, the latter was central in the custom of Sesi. In the course of performing Sesi, space sometimes functioned as a place but generally, space had the function of carrying out the efficient performance of Sesi through characteristic transformation. Thus, residential space had the function of connecting good ancestors with descendents, and was a place for activities which brought fortune and warded off a bad fortune. Moreover, residential space was a place for lengthening out the time which people got accustomed to. 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Sesi over the residential space was to purity and repair the place, to bring good fortune, to ward off the evil fortune from the space, and to replace the cultural order in it. This activity has the function of teaching the value of Sesi to people and guiding people to a better life at home. The basic structure of Sesi for the security of residential space is to get rid of the danger for one year in the early part of the year through a ceremony of Sesi over the residential space, to prepare for the winter, and to install the roof during fall. Also, its meaning rings in a good new year after people finalize the previous year before new year's. During leap year, Sesi functions as a way for people to enlarge their living space out of their usual residential space.

      • KCI등재

        성폭력처벌법상 주거침입의 구체적 판단기준- 대법원 2022. 8. 25. 선고 2022도3801 판결을 대상으로 -

        민고은,김형규 경찰대학 경찰대학 2023 경찰학연구 Vol.23 No.3

        과거 대법원은 주거침입죄에서 침입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주거권자의 의사를 기준으로 판단하였으므로 성폭력범죄를 목적으로 한 출입은 그 자체로 주거침입에 해당하였다. 하지만 최근 대법원이 주거침입죄의 보호법익은 주거 등의 사실상 평온이므로, 주거침입에 해당하는지는 객관적ㆍ외형적으로 드러난 출입의 행위 태양을 중심으로 판단하여야 한다며 태도를 변경하였고, 이와 같은 주거침입의 판단기준 변경은 성폭력범죄에서 주거침입의 성부를 판단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대법원은 아파트 공동현관내 공용부분 및 상가 내에서 일어난 강제추행에 대해 과거의 판례와 달리 출입의 행위태양을 중심으로 사실관계의 구체적 검토를 거쳐 주거침입 여부를 판단한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대법원 2022. 8. 25. 선고 2022도3801 판결을 중심으로 성폭력범죄에서 범행장소의 유형에 따른 주거침입의 구체적인 판단기준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법원은 대상 판결에서 사적공간과 공개된 공간을 구분한 후 출입의 행위태양에 따라 주거침입에 해당하는지를 평가하였는데, 공간의 성격을 분리한 접근방법은 타당하다. 하지만 대법원은 대상판결에서 공동주택의 공동현관 내부 공용부분 및 상가 건물 내 엘리베이터 앞 공간에서 벌어진 성폭력범죄에 대해 피고인의 출입방법을 중심으로 주거침입 여부를 판단하여, 전자의 경우에는 관리하는 건조물에 통상적인 출입방법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방법으로 출입하였다는 이유로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이하 ‘성폭력처벌법’)상 주거침입에 해당한다 하였고, 후자에 대해서는 공개된 공간에 출입이 허용된 시간 내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출입하였으므로 주거침입 강제추행죄가 성립되지 아니한다 하였다는데 이에 대해서는 동의할 수 없다. 주거침입 성폭력범죄를 가중처벌하는 것은 사적공간이라는 범행장소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피해자에 대한 두터운 보호가 필요하고, 그 피해의 크기로 인하여 비난가능성이 크다는 것에 그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주거침입에 대한 변경된 대법원의 태도를 따르더라도 성폭력처벌법상 주거침입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침입한 주거 등의 법적 성격을 중심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공간의 법적 성격은 공간의 일반적인 성질로서 판단할 수 있고, 그 성격이 모호한 경우 출입에 대한 관리의 유무·정도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개인주택 및 그 위요지, 공동주택의 공동현관 내 공용부분, 수유실, 탈의실, 화장실 내부 변기 칸 등은 공간의 일반적 성질에 따라 사적공간에 해당하고, 이러한 공간에는 거주자 또는 점유자의 승낙이 없는 이상 출입 자체가 사생활의 평온을 침해하므로 성폭력범죄를 목적으로 출입하면 그 행위태양과 관계없이 성폭력처벌법상 주거침입죄에 해당하고, 공동주택의 위요지는 출입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통상적이지 아니한 방법으로 출입한 경우 성폭력처벌법상 주거침입에 해당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사적공간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장소는 피해자에 대한 두터운 보호가 필요한 공간이라 할 수 없으므로 출입의 행위태양과 무관하게 성폭력처벌법상 주거침입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하여야 한다. In the past, the Supreme Court judged whether it constituted an Intrusion upon Habitation(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rusion') on the basis of the will of the person with the right to reside. Thus, entry for the purpose of committing a sexual crime itself constituted an intrusion. However, the court recently changed its attitude. Saying that the legal interest of intrusion is de facto tranquility of housing, it decided that whether it constituted an intrusion should be judged based on the act of entry. The same change also applied for sexual crimes. Contrary to past precedents, the Supreme Court judged whether there was an intrusion in sexual crimes through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facts related to the act of e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pecific criteria for intrus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rime scene in sexual crimes, focusing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22 do 3801 on August 25, 2022. The court divided the private space from the public space, which is reasonable. However, its judgment on intrusion, based on the defendant's act of entry to the area inside the common entrance of an apartment and a commercial building, is not acceptable. The aggravated punishment for sexual crimes after intrusion is based on the need for strong protection for the victim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crime scene and the size of the damage. Even if we follow the court's new attitude, whether it constitutes an intrusion under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ct') should be evaluated focusing on the legal nature of the crime scene. The legal nature of the space can be judged with its general nature. When it is ambiguous, it should be judg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nagement. For example, private houses, the area inside the common entrance of an apartment building, changing rooms or toilets in commercial buildings are private spaces according to their general nature. The entry to the private space without consent of the resident or occupant itself constitutes an intrusion under the Act. If a criminal enters the yard of an apartment in an unusual manner even though access to the yard is thoroughly managed, it is an intrusion under the Act. Since strong protection for victims is not required in public space, entry to public space does not constitute an intrusion under the Act regardless of the act of entry.

      • KCI등재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주거공간으로의 확장에 대한 연구

        이현욱,반영환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0

        최근 주거가치의 변동으로 인해, 주거공간 내에서의 다양한 공간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이동과 변형 등이 어려운 주거공간 특성상 최초 구성된 주거 형태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하고 재구성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이동이 가능한 공간 개념의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를 활용하여 변화하는 주거가치에 따른 사용자 니즈를 충족시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 주거공간을 유형화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사용 자 연구를 통하여 주거를 위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 유형을 도출하였다. 그 후 설문조사법과 통계적 분석을 통해 주거공간에 대한 사용자 니즈 분석과 도출된 공간 유형의 유용성 분석 및 유형 구체화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주거를 위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사용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주거 목적의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을 유형화하고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ue to the recent changes in residential value, user needs for various spaces in residential space are increasing. However, it is not easy to change and reconstruct the first residential form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space where movement and deformation are difficul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a plan to meet user needs according to changing residential value by using fully autonomous vehicles with a concept of space that can be moved. First, the existing residential space was classifi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based on this, the space type of the fully autonomous vehicle for the residential was derived through user research. Then, through the survey method and statistical analysis, user needs analysis for residential space, usefulness analysis of derived space type and type specification were carried ou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esign direction of the fully autonomous vehicle for residential purpose was presented. Based on the user's perception, it is meaningful that it categorizes the space of the fully autonomous vehicle for residential purposes and suggests the design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