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지행합일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이영문(Young-Mun Lee) 한국도덕교육학회 2017 道德敎育硏究 Vol.29 No.4

        본 연구는 플라톤의 대화편들을 분석하여 소크라테스의 지행합일론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것이 학교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소크라테스의 지행합일론은 단순히 지식과 행동의 일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의 수준이 높아감에 따라 행동의 수준도 함께 높아지는 것을 그 핵심으로 하고 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제가 덕(arete)이다. 덕은 인간의 삶을 질서·조화·절제 있게 만드는 영혼 속의 통치 체제로서 그 자체가 인간의 모든 인식과 기능을 탁월하게 만드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그러하기 때문에 소크라테스는 사람들과 대화하면서 이 덕을 길러주는 데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소크라테스가 가르치려고 의도하는 덕은 개별적인 덕들이 뿌리를 두고 있는 전체로서의 하나의 덕, 즉 덕 그 자체인데 이것의 원천은 좋음의 이데아이다. 이리하여 소크라테스가 의미하는 덕을 제대로 갖추게 된 사람은 진정한 의미의 지행의 일치를 할 수 있는 사람이 된다. 소크라테스의 지행합일론에 비추어 볼 때 학교 도덕교육의 핵심적인 과제는 모든 좋은 것의 원인이 되는 좋음의 이데아의 도움을 받아서 학생의 영혼으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절제·조화·자기통제하게 하고 자신의 모든 행동을 자율적으로 다스릴 수 있게 하는 덕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이 된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n moral education which Socrates pursues as the purpose of education. In order to attain this aim, the study analysed the meaning of the Greek word, ‘arete’ which Socrates explains in Plato’s dialogues such as Protagoras, Meno, Phaedo and Republic. The reason is because the tru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can be attained through the cultivation of arete which means the mental state that the human being’s soul is controlled by order, harmony and self-control. In the light of this view, we can know that students should cultivate arete in moral education for the tru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nother thing that we should know is that Socratic meaning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s not that one’s moral knowledge insures moral action without any condition, but that one’s moral behavior is enhanced only when one’s moral knowledge is based on the idea of arete and the idea of good. In conclusion, the core of Socratic meaning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s that the tru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cultivation of arete which comes from the idea of good.

      • KCI등재

        플라톤의 정치철학에서 정치적 지식의 성격(1)

        김남두(Nam Duh Kim) 한국서양고전학회 2014 西洋古典學硏究 Vol.53 No.1

        이 글은 『국가』4-6권을 중심으로 플라톤에서 정치적 지식의 성격을 논의한다. 정치적 지식이라는 말은 이 저술에서 플라톤에 의해 직접 사용되는 개념은 아니며 이 개념 자체가 논의를 통해 규정되어야 할 개념이다. 논문의 검토 작업은 결론적으로 다음의 세 주장으로 요약될 수 있다: 1) 사안에 관한 숙고를 통해 가능한 정치적 지혜는 정치공동체에 부분적으로가 아니라 전체적으로 관련될 때에만 성립한다. 정치적 지혜의 전체성은 다른 지식들이 그 지식의 고유 영역에 대해 가지는 전체성과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 정치적 지식이 여타 지식에 대해 전체성과 그에 따른 우위를 주장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정치공동체에 관해서이며 이 경우에만 타당하다. 2)『국가』의 대화자들이 그리는 정치공동체는 공동체 구성원 전체의 행복을 추구한다. 농부, 목수, 옷만드는 이, 구두수선공의 네 사람의 최초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노동의 분업에 관한 결정은 공동체 구성원 전체에 공히 좋음을 위한다는 원칙 아래 이루어진 것인 만큼 단순히 경제적 효율의 결정이 아니라 공동체 전체를 고려하는 정치적인 결정이다. 구성원 전체의 행복이라는 사상할 수 없는 목표를 가지는 정치공동체의 전체성은 바로 공동체 구성원 전체의 행복을 비켜갈 수 없다는 점에서 단순히 형식적 전체성이 아니라 실질 내용의 충족을 요구하는 실질적 전체성이다. 3) 정치적 앎의 성격에 대한 플라톤의 이런 입장은 정치 공동체의 좋음의 추구가 투명한 지적 근거제시의 과정을 통해 모두에게 말을 통해 접근 가능한 것이라는 합리적 정치과정의 꿈을 제시하는 것이다. 태양에 비유된 좋음의 이데아는 빛이 모든 것을 밝히 드러내고 가시세계의 모습을 모두에게 공유 가능한 것으로 보여주듯이, 萬有가 질서 지어진 것이며, 이렇게 질서 지어진 可知界의 진상이 로고스를 통해 드러나고, 변증과정을 통해 로고스에 참여하는 모두에게 접근 가능한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한다. 아울러 철학적 지식과 정치적 지식의 결합이 정치적 지식의 궁극적 정초가능성을 뜻하는 것이라면, 이런 의미에서의 정치적 지식의 전체성은 여타 지식의 전체성과 구분되는 궁극적 전체성의 요구를 담는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Plato’s idea of political knowledge in connection with some passages in Republic. I make the following three claims: 1) The wholeness claim of political wisdom that it does not deliberate about some particular thing in the city, but about the city as a whole, is not a special feature of political wisdom. Every knowledge deliberates about the matter it concerns as a whole. Thus, in this respec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political knowledge and other kinds of knowledge. The wholeness claim of political knowledge and its superior position over other knowledge can maintain its validity only in connection with matters on the polis. 2) Plato’s city aims for the happiness of the whole member of the city. That the whole citizen, not merely some part of it, must be happy in the city constitutes a substantial goal of the city and consequently provides a substantial guideline for political knowledge of Plato’s city. 3) Plato’s position that the political power and philosophy must be throughly blended together for the realization of the kallipolis assumes that the political knowledge must be philosophical. Philosophical knowledge culminates, according to Plato, in the the?ria of the idea of the Good. The idea of the Good confers political knowledge the ultimate foundation on which the philosopher king can ground and explain the goodness of laws and decisions he makes. Founding the polis on the knowledge of the idea of the Good, Plato gives us at the same time the vision that the political procedure, laws and institutions of the polis can be accounted scientifically and everybody can have access on this rational account, in so far as he is ready to participate in the common dialectical research.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의 지행의 괴리 문제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해법 연구

        이영문 ( Young Mun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8

        오늘날 대부분 학교의 도덕교육적 노력은 지행합일의 인간을 기르는 데 두어진다. 그러나 이 일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지행의 괴리를 해결하는 문제가 학교 도덕교육의 핵심적인 과제로 떠오르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지행의 괴리 문제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해법을 검토하고 그것을 초등학교 도덕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도덕교육에서 지행의 괴리를 극복하는 소크라테스의 해법은 다음과 같다. 소크라테스는 교사와 학생이 묻고 대답하는 과정을 통해서 학생으로 하여금 이 세상이 돌아가는 이치와 원리에 비추어 도덕적 개념망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인생의 진리를 발견하게 하는 교육 방법을 사용한다. 인생의 궁극적인 진리는 좋음의 이데아로서 좋음의 이데아는 불순한 것이 전혀 섞이지 않는 절대선이다. 인간의 마음이 좋음의 이데아를 소유하게 될 때 그의 마음은 거짓과 탐욕이 전혀 없는 성스러운 상태가 된다. 이처럼 마음이 온통 ``좋음``으로 가득 차 있는 사람은 그의 행동도 좋은 것만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소크라테스는 도덕교육의 문제인 지행의 괴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한다. Nowadays, the effort for moral education in most schools is put to fostering the moral person whose action is coincident with moral knowledge. This study examined the solution of Socrates on the problem of discrepancy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in moral education and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to school moral education. The Socratic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of discrepancy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in moral education is as follows. Socrates dialogues with interlocutors based on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 The ultimate purpose of Socratic education is that people must find the truth of life and the truth of life is based on the idea of good which is the cause of all truths. The idea of good is not revealed before the dialogue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t is revealed when people pursue the truth of life by eliminating the false opinion in beliefs of interlocutors.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ents`` mind becomes full of the idea of good which is the source of pure and true soul where is no false belief. In the result, it is possible to foster the moral person whose action is coincident with knowledge.

      • KCI등재
      • KCI등재

        플라톤의 ‘좋음의 이데아’

        오수웅(Sue Woong Ohrr) 21세기정치학회 2015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5 No.1

        The aims of this article are two. The first is to define ‘the idea of the Good’ in Republic of Plato. The second is to highlight the implications of Plato`s idea of the Good on political education and politics. In doing so, this article analyses the relationship of 5 subjects and dialectics to ‘the idea of the Good’, and investigates what philosopher king should do, and what sort of arts as a practical knowledge he/she should have. As the result,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idea of the Good’ in Plato`s works can be defined as “the measure with proportional balance and harmony,” by analysing the relationship of 5 subjects and dialectics to ratio(proportion), balance and harmony which can be convergent to the measure. And this article also argues that ‘the idea of the Good’ and 6 subjects have a remarkable implication on political education of the citizens these days, by proving their relationship to the jobs and the arts of philosopher king/queen.

      • KCI등재

        현대 윤리설의 문제점 해소를 위한 플라톤 윤리설의 적용 가능성 연구

        이선필 ( Sun Pil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39

        현대 사회에서 윤리적 판단은 대부분 의무론적 윤리설이나 공리주의 윤리설의 원칙에 따른다. 그런데 두 윤리설의 원칙은 상호배타적이다. 의무론적 윤리설은 행위의 결과를 철저히 배제하고 행위의 동기를 윤리적 정당성의 판단기준으로 삼는데 반하여, 공리주의 윤리설은 행위의 동기를 배제하고 그 결과를 윤리적 정당성의 초석으로 삼고 있다. 하지만 윤리적 정당성과 관련하여 행위의 ‘동기’나 ‘결과’ 중에서 양자택일 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본 논문은 의무론적 윤리설이나 공리주의 윤리설이 처한 어려움을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의 윤리설을 적용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플라톤의 윤리설은 행위 규칙보다는 훌륭한 사람의 역할이 더 중요한 행위자 중심적 윤리설이다. 플라톤은 ‘의무’나 ‘효용’과 같은 행위의 규칙들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이 아니지만, 그 규칙들만으로는 실제의 윤리적 상황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실제적 상황에서는 이 규칙들을 판단하고 적용할 수 있는 행위자의 윤리적 통찰력이 중요하며, 이러한 통찰력은 좋음의 이데아에 대한 정확한 인식에서 비롯된다. 플라톤에 따르면 좋음의 이데아를 인식한 덕스러운 사람은 ‘의무’나 ‘효용’ 등의 공허한 형식의 부정확성을 보충하고, 실제로 유용하고 유익한 판단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입장의 윤리 교육적 함의는 윤리교육의 방향이 이제 규범을 새롭게 정하거나 전달하는 것에 그칠 것이 아니라, 선포된 규범을 지켜내는 훌륭한 인격자를 키워내는 교육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Most ethical judgment in the modern society depends on principles of utilitarian ethics and deontological ethics. The principle of two ethics are mutually exclusive. Deontological ethics excludes the results of the actions and in it the motivation of behavior is important. But The results of actions in utilitarian ethics is more important than the motivation of actions. In real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choose between the motivation of acts or the result of acts. This paper overcome the difficulties facing the deontological ethics and utilitarian ethics with the ethics of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s Plato and want to study new possibilities. The ethics of Plato is Agent-Centered Ethic, In Agent-Centered Ethic, the role of the just man is more important than the ethics principle. Plato pointed to the limits, not completely rule out the rules of conduct , such as ‘duty’ or ‘utility’. In practical situations, the ethical insights of actors who can determine and apply these rules are important. This insight comes from the correct perception of the Idea of Good. According to Plato, virtuous people who recognize the idea of good will complement the inaccuracy of the empty types such as ‘duty’ or ‘utility’. And he can actually be useful and beneficial decisions. This has meant in ethics education. Now that ethics training is delivered as a rule, it is that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to train a just personality to follow the rules.

      • KCI등재

        플라톤의 철인정치론

        김영균 ( Young Kyun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0 동서철학연구 Vol.58 No.-

        이 논문은 정치권력과 철학이 결합할 때에만 인류가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는 플라톤의 철인정치론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는 글이다. 필자는 먼저 철학자는 완전한 인식을 소유하고 있는 ‘지자(智者)’가 아니라 진리를 추구하는 자임을 밝혔다. 『국가』편에서 이상적인 철학자에 대한 묘사에 근거해서 철인치자가 궁극적 진리에 대한 완전한 지식을 소유하고 있어야만 철인정치론의 근거가 마련된다고 보는 것은 지나친 해석이다. 기본적으로 철학자는 비철학자와 달리 인식과 의견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통치할 자격이 주어지는 것이다. 더 나아가 진리를 사랑하는 철학자는 세속적인 욕망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는 그의 주장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배의 비유’에서 두 가지 측면을 주목하였다. 첫째로, 민주정에 대한 플라톤 비판의 핵심은 당시의 직접민주주의가 나라에 필요한 전문적 식견을 지니고 있는 인물들이 그에 적합한 역할을 수행하기 힘든 구조라는 점에 있다. 둘째로, 철인치자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은 『카르미데스』와 『에우티데모스』편에서 모색되었던 `총괄적인 지식’과 같은 것이 아니다. 그는 좋음의 이데아에 대한 인식에 근거해 적도와 균형을 통해 좋음을 구현하고자 하는 자이다. 또한 철학자는 단지 양육과 교육의 빚을 갚으라는 요구 때문에 정치 현실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좋음의 구현을 목표로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의 철인정치론은 지성이 지배하는 공동체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도로서 제시된 것이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consider Plato`s argument for philosopher-kingship, that means human happiness can be possible only when political power combines with philosophy. First I tried to prove the philosopher not a knower who attains the full knowledge, but a man who seeks truth. It is an exaggeration to say,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ideal philosopher" in Republic, that philosopher-kingship can be a valid theory only when the philosopher-ruler should own the full knowledge of the ultimate truth. Basically the philosopher, unlike the non-philosopher, can tell knowledge from belief, so as to be qualified to rule. Then I examined Plato`s assertion that the philosopher, lover of truth, will stand aloof of worldly desires. And I remarked on the two aspects in "the figure of a ship". First, what Plato criticized about democracy was that the direct democracy of his times provided an unfavorable structure where the people with expertise for the nation could not perform their proper roles. Secondly, the expertism required of the philosopher-ruler is not the same as the architectonic knowledge, groped out in Charmides and Euthydemus. He relies on the knowledge of the form of the good and seeks to realize the good through measure and symmetry. And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philosopher enters the political arena, not merely for the demanding that he repay the breeding and education he had received, but for the purpose of realization of the good. In short, Plato asserted philosopher-monarchism as a means to realize an ideal community dominated by intelligence(nous).

      • KCI등재

        하이데거의 '동굴의 비유' 해석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영식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48 No.1

        The Allegory of the Cave in Plato's Republic discusses the last one of the three allegories concerned with the Idea of the Good. This Allegory describes how human beings can escape their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and achieve truth. It mystically explains how human beings can become aware of their nature or essence through a sacrificial enlightenment.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the Allegory of the Cave insists on a history of the oblivion of existence which has been passed down to contemporary western philosopher. According to Heidegger's Interpretation, the meaning of original truth can only be experienced through the flux of unconcealed being moving towards rightness. The Allegory of the Cave therefore describes the upward and downward tendencies implicit within western humanism. This thesis critically investigates the appropriation of Heiddeger's interpretation through philological discussion about the conception of the truth. Additionally, this thesis will explore the fundamental intent of Heiddeger's critique of Plato's Allegory. This argument will elucidate Plato's insistance that philosopher king must have access to a pratical knowledge by which he can rule the country. 동굴의 비유는 국가 편에서 철학자가 도달해야 하는 인식의 최고단계인 좋음의 이데아를 묘사하기 위해 소개되는 세 가지 비유 중 마지막을 장식하고 있다. 이 비유는 인간이 자신의 본래적인 상황과 조건으로부터 벗어나서 진리에 도달하는 과정을 흥미롭게 묘사하고 있으며, 특히 오늘날 우리가 인간됨의 본질로 간주하는 정신의 자유가 사실은 철학자의 자기희생적인 계몽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점을 신비로운 방식으로 그려내고 있다. 현대 실존주의 철학자 하이데거는 동굴의 비유 속에, 이후 서양철학사를 관통하는 존재망각의 역사가 잉태되어 있다는 논쟁적인 해석을 내놓은 바 있다. 그에 따르면 진리의 근원적인 의미는 비은폐성(altheia)으로부터 올바름(orthots)으로 본질적인 변화를 겪게 되며, 동굴의 비유 속에서 그려지는 상승과 하강과정은 서구 휴머니즘의 이념이 담긴 교육(paideia)과정이자 인간중심주의가 싹튼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본 논문은 하이데거 해석의 타당성 여부를 한편으로 진리개념에 대한 문헌학적인 논의를 통해서, 다른 한편으로 동굴의 비유의 기본구도와 지향점에 대한 텍스트 내재적인 고찰을 통해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논의과정을 통해서, 플라톤은 동굴의 비유를 매개로 철인통치자의 국가운영에 필요한 실천적 지식의 성격을 우리가 합리적으로 납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시하고자 했음이 자연스럽게 드러날 것이다.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아레테 개념에 비추어 본 학교 도덕교육의 방향과 과제

        이영문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9 초등도덕교육 Vol.0 No.63

        플라톤의 대화편들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가 가진 최고의 관심은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의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 일이었다. 플라톤의 대화편들 전체를 통해서 볼 때 그 해답은 아레테(덕)라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플라톤의 대화편들에서 소크라테스가 주장하는 아레테(덕)의 개념을 분석하고 이것에 비추어서 학교 도덕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소크라테스가 주장하는 아레테(덕)는 올바른 행동의 원인이 되는 바른 사고이기 때문에 아레테(덕)가 제대로 함양되면 학습자는 지행이 일치되고 지행이 통합되는 삶을 살 수 있게 된다. 완전한 지행의 일치는 학습자가 아레테(덕)의 정점에 있는 좋음의 이데아를 인식할 때에 가능하다. 따라서 아레테(덕)를 도덕교육의 목적으로 삼을 때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훌륭한 도덕적 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도덕교사와 도덕교육의 전문가들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아레테(덕)의 함양을 위한 과제들을 더욱 구체화하고 실행하는 일에 매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meaning of arete explained by Socrates in Plato's Dialogues and to inquire the direction and tasks of our school moral education in the light of the Socratic concept of arete. The reason the arete explained by Socrates is important is that the Socratic concept of arete becomes the answer of the question "how human beings should live?" Though the Greek word arete is generally interpreted as moral virtue, especially in Korea, it contains more meanings than this. That is because the word arete is applied to the function of every thing as well as the function of human being. The Greek word arete means excellence of every thing and phenomenon including human being. According to this definition, the arete of human being guarantees the coincidence of moral knowledge and action with regard to moral education. That is why we use the word arete when knowledge and action is enhanced simultaneously in the situation of moral practice.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sirable direction of school moral education should be the cultivation of arete which means the excellent morality. Second, the tasks of moral teachers in schools are to learn the dialogical teaching method carried into execution by Socrates in the Plato's Dialogues and to teach the importance of the arete and the idea of good asserted by Socrates which is the answer of the question "How human beings should live?"

      • KCI등재

        불의 상징과 형이상학

        장영란(Young-Ran Chang) 한국현상학회 200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8 No.-

        본 논문은 그리스 신화와 철학 속에 나타난 불의 상징과 이미지를 연구하여 불의 형이상학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그리스 신화와 철학에서 불의 상징과 이미지는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된다. 우선 불은 영혼의 상징으로 희생제의와 영혼의 정화의식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희생제의의 목적은 신들에게 청원을 하기 위한 경우도 있지만 죄의 정화를 위한 경우도 많았다. 그리스 철학자들은 희생제물을 바치기만 하면 죄를 용서받을 수 있다는 논리를 비판했다. 또한 불은 영혼의 상징으로 죽을 운명을 가진 인간이 불멸성을 획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표상한다. 인간의 불멸의 꿈은 자식을 낳아 가문을 존속시키는 것으로 현실화된다. 그리스 신화에서 한 집안의 혈통을 영원히 존속시키는 기능은 헤스티아에게 있다. 다음으로 불은 이성과 법칙의 상징으로 진리 인식의 주요 원천이다. 불이 구체화되어 나타난 상징은 태양이나 빛으로 나타난다. 태양은 이 세계의 모든 것을 비추어주는 빛의 원천이다. 그리스에서 태양신 아폴론은 항상 '모든 것을 아는 자'로서 학문과 예술을 관장하는 신이다. 플라톤은 동굴의 비유에서 태양을 진리의 원천으로 상징한다. 그것은 최고의 이데아로 '좋음의 이데아'로 불린다. 태양은 '빛'이라는 표상을 통해 형이상학의 주요 원리가 된다. 서구 철학의 역사에서 빛은 진리 인식의 원천으로 비유된다. 또한 그리스 신화와 비극 속에서 불은 단순히 물리적인 의미에서가 아닌 기술과 관련된 도구적 이성을 상징하였다. 프로메테우스 신화에서 불을 훔친 것에 대한 대가로 판도라를 보낸 것이라면 불은 또 다른 의미에서 욕망을 상징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불은 노동과 기술 문명의 상징이며 인간의 현실 인식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제우스가 인류에게 불을 감춘 행위는 노동과 기술의 필요를 예시해준다. 황금시대에는 노동하지 않고 모든 것이 땅으로부터 얻을 수 있었으나, 불을 훔친 후에는 노동으로부터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판도라의 창조도 노동의 필요조건으로서 여성의 출산이라는 주제와 맞물린다. 프로메테우스 신화에서 제우스가 인간에게 불에 대한 대가로 내린 노동과 출산은 이중적 가치를 가진다. 그것은 한편으로 죄에 대한 형벌이면서 동시에 축복이다. 불의 신화는 이 세계에서 인간이라는 존재가 가진 실존적 상황과 독자적 지위에 대한 통찰력이 자연과의 균형과 조화를 목표로 하여 설명되고 있다. 불의 상징과 연관하여 인간은 노동에 필요한 기술을 발전시켰고 출산을 통해 필요한 인력을 제공할 수 있었다. This treatise is argued on the metaphysics of 'fire' from studying it's symbol and image presented in Greek myth and philosophy. The symbol and meaning of fire is analyzed on three aspects. First, fire is the symbol of soul related with sacrifice and purification of soul. It is the important element for our survival. And fire represents the possibility of mortal man to acquire immortality. The desire of mankind dreaming to immortality is realized to birth our offspring. It is related the power and function of Hestia. Hestia has to preserve the persistency of family as a goddess of hearth. Second, fire is the symbol of reason and law, and source of understanding truth. In the myth, fire is concreted to sun and light. The sun is a source of light that shines on everywhere. Platon symbolized sun as the principle or cause of understanding truth in the analogy of cave. It was called 'the Idea of Goodness'. Sometimes fire is symbolized as the instrumental reason related 'techne', Further if Zeus send Pandora to mankind at price of stealing fire, it may be symbolized 'desire'. Lastly, fire is the symbol of work, techne, and civilization. They are based on understanding to the existential situation of humankind. After Prometheus had stolen fire, man can acquire everything from labor. Futhermore the creation of Pandora is corresponded with woman's child-birth as a necessary condition of labor. Mankind's labor and procreation is represented the double values. The one is the punishment to guilty and the other is blessing to mank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