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성 도시 소생태계 조성사업 지역의 조류 군집 특성과 서식지 조성 효과

        김정수,강미현,남궁형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2 환경영향평가 Vol.31 No.2

        The survey of bird community characteristics was carried out four times on 2016 and 2017, respectively May and October to figure out effects of the manmade small ecosystem, Anseong. Twenty five species and 94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the study area. The dominant species were Passer montanus 19.1%, Pica pica 12.8%, Cyanopica cyana 8.51%, Sinosuthora webbiana and Carduelis sinica ussuriensis respectively 7.45%, the diversity of the species was 2.787. With migration, the highest number and percentage to the lowest was residents 72.0%, summer visitors 20.0% and winter visitors 8.00%. Among 22 species which bred (check or possibility) in the manmade small ecology, Anseong, canopy (C) was 54.5%, hole (H) was 31.8%, bush (B) was 9.09% and ground (G) was 4.55% in their nesting guilds. In foraging guilds in breeding season was canopy (C) was 69.6%, bush (C) was 21.7%, water (W) and ground (G) was respectively 4.35%, and in non-breeding season, canopy was 64.0%, bush 24.0%, ground was 8.00% and water 4.00%. In the study site, the manmade habitats for birds were nest box and wetland (rain garden). In 7 nest box, Parus major was uesd 1 nest box as their breeding on 2016 and 2017, and Passer montanus was used 1 nest box on 2017. We assumed that sustainable rainwater supply may be important to attract many birds in rain garden, the manmade habitat for birds.Unfortunately, however, no birds used rain garden (wetland) as their habitats due to water shortage. 안성 도시 소생태계 조성사업이 조류 군집 특성과 서식지 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2016년과 2017년 5월과 10월 4회에 걸쳐 조류 군집 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연구지역에서 모두 24종 94개체의 조류가 관찰되었다. 우점종은 참새 Passer montanus 19.1%, 까치 Pica pica 12.8%, 물까치 Cyanopica cyana 8.51% 그리고 붉은머리오목눈이 Sinosuthora webbiana와 방울새Carduelis sinica ussuriensis 각 7.45%였고, 종다양도는 2.787이었다. 관찰된 조류 25종을 이동성에 따라 나누어 보면 텃새 72.0%, 여름철새 20.0% 그리고 겨울철새 8.00%이었다. 번식조류(확인 또는 가능성) 22종의 영소길드는 수관층(C)을 이용하는 종 54.5%, 수동(H)을 이용하는 종 31.8%, 덤불(B)을 이용하는종 9.09% 그리고 지표면(G)을 이용하는 종 4.55%이었다. 채이길드는 번식기와 비번식기로 나누었으며, 번식기에 관찰된 조류 23종은 수관층(C)을 이용하는 종 69.6%, 덤불(b)을 이용하는 종 21.7% 그리고 물(W)과 지표면(G)을 이용하는 종 각 4.35%였고, 비번식기에 관찰된 조류 25종은 수관층을 이용하는 종64.0%, 덤불을 이용하는 종 24.0%, 지표면을 이용하는 종 8.00% 그리고 물을 이용하는 종 4.00%였다. 연구지역에서 조성된 대표적인 조류 서식지는 인공둥지와 습지(빗물정원)이다. 둥지는 연구지역에 모두7개를 설치하였다. 박새 Parus major가 2016년과 2017년 각 한 둥지에서 번식하였고, 참새 Passer montanus가 2017년 한 둥지에서 번식하였다. 빗물 정원에서 지속 가능한 우수(rainwater)의 공급은 조류가 습지를 서식지로 이용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습지로 조성된 빗물정원은 수량의 부족으로 이를 서식지로 이용하는 조류는 확인되지 않았다.

      • KCI등재

        백두대간 단목령‐구룡령 구간의 산림식생유형 분류 및 종조성

        김민수,조현제,김준수,배관호,천정화 한국환경생태학회 201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백두대간 일대인 단목령-구룡령 구간의 산림식생을 보다 더 생태적이고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총 조사구 142개소에 대해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였고 식생조사 및 입지 환경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림식생의 유형은 1개 군락군, 2개 군락, 4개 군, 4개 소군의 단위체계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상재도급 Ⅴ형에 해당하는 신갈나무와 당단풍나무는 대체적으로 향존중으로 나타났으며, 조사 지역의 산림생태계 관리 계획에 있어 중점관리대상종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종다양성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VT3형에서 우점종들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고 VT4 형의 종들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종들이 제일 풍부하게 나타났다. 또한, 단목령-구룡령 구간에서는 희귀식물이 다소 분포하였는데 멸종위기종인 벌깨풀과 위기종인 구실바위취, 취약종인 백작약, 두메대극, 금강초롱꽃, 어리병풍, 약관심종인 등칡, 도깨비부채, 참배암차즈기, 미치광이풀, 병풍쌈 등 총 24종의 희귀식물이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more ecological and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ning of forest vegetations in the Baekdudaegan sector between Danmoknyeong and Guryongnyeong where biodiversity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A vegetation survey using the Zurich-Montpellier (Z.-M.) method of phytosociology was carried out in a total 142 sites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survey showed the forest vegetation types of one community group, two communities, four groups, and four subgroups. Quercus mongolic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which fall under Constancy Class Ⅴ, were dominant species and deemed to be the key species of the forest ecosystem management plan for the investigated areas. Regarding species diversity, it was found that the dominant species of the VT3 type were evenly distributed in the area while the species of the VT4 type showed not only a diverse composition but also the most abundant number of species. Moreover, there were 24 of rare plants found in the Danmoknyeong-Guryongnyeong section: the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include Dracocephalum rupestre; the endangered species include Saxifraga octopetala; the vulnerable species include Paeonia japonica, Euphorbia fauriei, Hanabusaya asiatica, and Parasenecio pseudotaimingasa; the least concern species include Aristolochia manshuriensis, Rodgersia podophylla, Salvia chanryoenica, Scopolia japonica, and Parasenecio firmus.

      • KCI등재

        매토종자와 현존식생과의 관계

        이명훈 ( Myung Hoon Yi ),김용식 ( Yong Shik Kim ),김도균 ( Do Gyun Kim ),박석곤 ( Seok Gon Park ),신현탁 ( Hyun Tak Shi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6

        현존식생이 매토종자집단의 종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소나무군락과 신갈나무군락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고, 표토를 채취하여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유리온실로 옮긴 후 매토종자를 스티로폼 상자에 넣어 발아실험을 통해 매토종자 집단의 종조성과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표토를 재취한 두 군락의 자생지에서 층위별, 군락별 및 수종별로 매토종자집단의 종조성 및 개체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매토종자에서 두 군락의 초본층에 출현한 식물종이 교목층과 아교목층, 관목층의 식물종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출현하였다. 두 군락 간 매토종자의 종수와 개체수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또한, 현존식생과 매토종자에 공통으로 출현한 식물종수는 두 군락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매토종자에서 발아한 두 군락의 목본종은 천이중간 또는 후기의 수종보다 선구종 또는 주연부 수종의 발아율이 높았다. 따라서, 군락의 초본층 식물종이 매토종자집단의 종조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우리나라의 동일한 삼림대와 위도를 고려한 군락별 매토종자집단의 종조성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존식생의 선구종 또는 주연부 수종이 매토종자로서 표토에 축적될 가능성이 높고, 이 수종이 매토종자집단의 종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influences the actual vegetation between the communltie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in southern Korea to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seed bank in the top soil. Th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tudied plots and transported to the Experimental Glasshouse at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Yeungnam University and examined the germinated species individual numbers with species composition and germinated individual numbers by species. The overall germination status was the highest in the herbaceous layers than the layers of tree, sub-tree and shrub,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numbers of species and individuals and between actual vegetation and seed bank in the two communities. The woody species marked in the seed bank as a pioneer or edge species than in the two communities which are in the stage of mid or late successional species. Although the plant species in the herbaceous layers was highly influenced to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seed bank, but no significantly different was showed within the same forest zone and latitudes of Korean peninsula. As the pioneer or edge species of the actual vegetation possibly will be higher the buried in the top soil layer and this phenomenon will influence overall species composition in the seed bank population.

      • KCI등재

        유인도서와 무인도서 산림식생의 종조성 및 군락 구조 비교

        김준수,전철현,정성철,김찬수,원현규,조준희,조현제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4

        우리나라 도서지역 산림식생의 인간 간섭 유무와 정도에 따른 생태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남해안 유인도서(대모도)와 무인도서(구도)를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으로 산림식생을 분류하고 그 구조 및 종조성 특성(총피도, 중요치, 종다양성, 지표종, 생활형 조성 등)을 파악하였다. 산림식생 유형은 대모도에서 총 11개 식생단위(1개 군락군, 2개 군락, 개 아군락, 9개 변군락, 그리고 4개 아변군락), 구도에서 총 8개 식생단위(2개 군락군, 5개 군락, 그리고 6개 아군락)가 구분되었다. 총피도(S)와 종다양도(H′)에 있어서 구도는 교목층이, 대모도는 관목층이 다른 층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아주 높게 나타났다. 생활형 조성 체계는 대모도 N-R5-D2-e, 구도 MM-R5-D2-e로 나타났다. 과중요치(FIV) 분석결과 대모도에서는 차나무과와 소나무과, 구도는 녹나무과와 참나무과 분류군들이 상위그룹을 이루고 있었으며, 과별 종구성비에 있어서는 대모도는 국화과가 4.5%(19종류), 구도는 백합과 가 7.3%(8종류)로 가장 높게 나타나 두 도서간 인위적 교란 정도를 가늠할 수 있었다. 지표종 분석에서는 대모도는 청미래덩굴, 광나무, 사스레피나무 등 미소지상식물(N)이, 구도는 황칠나무,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 대형지상식물 (MM)이 대개 유의한 지표종(p <0.0005)으로 나타났다. For basic information collection for the ecological management of forest vegetation in Korean island areas, forest vegetation between inhabited(Daemodo) and uninhabited(Gudo) island was classified in the Z-M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their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both floristic composition and structure analyzed. Forest vegetation of Daemodo and Gudo were divided into a total of 11 units and 8 units, respectively. Total cover and species diversity index(H′) of forest veget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sland, Daemodo has a high value in the tree layer, but, Gudo has a high value in the shrub layer. Composition of Life forms, Daemodo was N-R5-D2-e and Gudo MM-R5-D2-e. Family importance value(FIV), Daemdo has a high value in Theaceae(12.2) and Pinaceae(12.0) and Gudo in Lauraceae(16.5) and Fagaceae (11.6). The percentage of the total number of species in the family level, Daemodo is Asteraceae(4.5%) was the highest and Gudo is Liliaceae(7.3%). Indicator species of forest vegetation of the two islands, Daemodo is Nanophanerophytes(N) including Smilax china, Ligustrum japonicum and Eurya japonica was significant inicator species and Gudo is Megaphanerophytes(MM) including Dendropanax morbiferus, Castanopsis sieboldii and Actinodaphne lancifolia.

      • KCI등재

        조선조 왕실악기 수요와 대응의 역사적 전개 양상

        송혜진 한국국악학회 2013 한국음악연구 Vol.54 No.-

        본 논문에서는 조선 왕실의 악기수요와 대응에 대한 역사적 전개양상을 살폈다. 악기는 국가의 제례와 연향의 주요 구성요소였으므로 왕실에서는 이의 구비와 제작, 관리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는데 그 수요와 대응 양상은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세종조의 악기 제작 및 조선후기의 악기제작 관련 의궤 (『제기악기도감의궤』, 『인정전악기조성청의궤』,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 『사직악기조성청의궤』) 외에 조선조 왕실악기 수요 및 대응 양상을 전반적으로 조망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선왕조실록』에서 악기 제작과 관련된 기사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현전하는 조선 후기의 연향관련 의궤에도 악기의 신제(新製) 및 수보(修補) 내용이 기술되었으므로, 이 내용을 포함하여 시기에 따른 수요의 추이와 이에 대하여 어떻게 대응하였는지에 주목하였다. 악기의 수요는 ①국가의 예악의 전반적인 미비(건국초와 임진왜란 직후), ②악기의 노후와 파손․도난․화재 등에 의한 결손(성종․중종․명종․영조․순조), ③신규의례 악기(영조-황단, 정조-경모궁제례, 고종-원구) 및 의례의 주악 전통 복원(숙종조의 담제(禫祭) 후 풍악), ④제작기술 부족으로 음정이 불안정한 경우(세종ㆍ중종ㆍ명종ㆍ영조), ⑤악대 편성에서 누락된 악기의 보충(숙종:敔․塤), 영조-管簫笙琴), ⑥악대 편성에 신규로 편성되는 악기 보충(순조:운라․부구 등, 헌종:笳․洋琴, 고종:특종․특경), ⑦의례용 악기와 습악용 악기의 구비(성종), ⑧전정 의례 악기 전반적 수보(광해군․고종), ⑨계기에 따른 궁중연향의 시행(숙종 이후 고종), ⑩연산군 때에 발생한 연향악기의 이례적인 요구, 등이었다. 이와 같은 수요에 대하여 조선왕실에서는 ①신규제작(세종ㆍ세조ㆍ성종ㆍ중종ㆍ선조ㆍ인조ㆍ광해군, 숙종ㆍ영조ㆍ정조ㆍ순조ㆍ헌종ㆍ고종) ②중국에 자문(중종ㆍ명종ㆍ광해군ㆍ영조) 혹은 수입(태종ㆍ영조), ③증수 및 교정(矯正), 수보(修補)의 방법(세종ㆍ세조ㆍ성종ㆍ중종ㆍ선조ㆍ인조ㆍ광해군, 숙종ㆍ영조ㆍ정조ㆍ순조ㆍ헌종ㆍ고종)으로 충당하였다. 신규제작은 주로 악기도감(樂器都監)ㆍ악기감조색(樂器監造色)ㆍ주종소(鑄鐘所)ㆍ종경청(鐘磬廳)ㆍ악기조성청(樂器造成廳) 등을 설치하여 진행되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악학도감(樂學都監)․장악도감(掌樂都監)․장악원(掌樂院) 등이 주관하거나 공조(工曹)에서 제작하였고, 연향악기는 진연청의 관리 하에 해당 부서의 업무협력으로 충당되었다. 각 시기마다 음률에 밝은 관리 및 공장(工匠)들을 중용하였는데, 세종 때에는 박연ㆍ남급(南伋)ㆍ이천(李蕆)ㆍ장영실(將英實), 중종 때에는 이청(李淸), 정자지(鄭子芝)가, 명종 대에는 조성(趙晟)이, 영조 때에는 이휘진(李彙晉)과 이연덕(李延德), 최천약(崔天若)이, 정조 때에는 장악원 제조 이종호, 김용겸, 판중추 서명응과 서생 서상수 등이 천거된 바 있다. 한편, 시기별 수요와 대응 양상은 크게 4시기로 정리되었다. ①건국 초부터 1431(세종 13)년까지, 왕실악기제작의 기반이 조성된 시기, ②성종에서 명종 때까지, 세종 조에 완비된 악기의 결손을 부분적인 증수로 대응한 시기, ③선조에서 현종 때까지, 전란으로 인해 왕실악기가 전반적으로 미비하게 되었으나 국가 재정 악화로 악기 제작이 총체적으로 진행되지는 못하고, 제향 및 연향의 필요에 최소한으로 대응한 시기, ④숙종 이후 조선말, 다양한 수요에 안정적으로 악기를 충당한 시기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mand for, and supply of, musical instruments used in rituals and banquets during the Joseon Dynasty. Major sources for this research include the royal protocols (uigwe) for the manufacture of musical instruments and for banquets, and other documents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provision of musical instruments during the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four historical periods,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the need in each period and the method employed to meet that demand, either new manufacture, repair, or purchase. The initial period (1392~1431),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dynasty to just prior to the reign of King Sejong, saw the active creation of demand with the founding of the new nation. During Taejong’s reign (1400~1418), some ritual musical instruments were imported from China; during King Sejong’s time (1418~1450), however, the foundations of domestic royal instrument manufacture were firmly established through systematic research by scholars, and many instruments were produced to meet the royal demand. The second stage, spanning (1432~1567), was a period for fixing and repairing instruments as needed, following damage or loss. Mostly, it was the fixed-pitch idiophones, like the pyeongjong, pyeongyeong, and saenghwang, that required repair. Even though the Akhakgwebeom was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Seongjong and systems for instrument manufacturing were established, in reality, it was a time of reduced and very limited demand for musical instruments. The Yeonsangun era marked a temporary, if exceptional, increase in the, as a result of the king’s extravagant orders. During the third period, from Seonjo through Hyeonjong (1567~1674), demand heightened to replace damaged instruments in the wake of the two wars. However, in reality, only ritual and banquet musical instruments were replaced, due to the financial strains on the nation. The fourth stage (Sukjong to Sunjong; 1674~1910), saw the establishment of new rituals and the continuous hosting of royal banquets during the reigns of Sukjong, Yeongjo, Jeongjo, Sunjo, Heonjong and Gojong. Accordingly, the demand for musical instruments was steady during this period. In addition, instruments had to be produced to replace those lost due to fire. The aspects of supply and demand for Joseon royal instruments were, first, second, newly-developed instrument manufacturing institutions; second maintenance and repair; and third dependence on China. In this regard,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were requests from China for the importation of musical instruments and to fix the pitches. New manufacturing was made possible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usic, replacing losses from fire and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new rituals and banquets. Meanwhile, “subo(修補:fixing and repairing)” was the default method of meeting demand.

      • KCI등재

        원주시 우수비오톱 서식처 유형별 잠자리군집 특성

        김지석 ( Ji Suk Kim ),곽정인 ( Jeong In Kwak ),노태환 ( Tai Hwan N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2

        서식처 유형에 따른 잠자리군집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원주시에 위치한 묵논습지, 자연형 저수지, 자연하천, 산림계곡의 4개 대표 비오톱 유형에 33개 조사구를 설치하여 2010년 6월, 8월, 10월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잠자리는 총 9과 38종이 확인되었다. TWINSPAN 분석을 통하여 4개 서식처 유형별 종 조성을 비교한 결과, 3개 서식처(묵논습지, 자연형 저수지, 산림계곡)는 뚜렷한 종 조성 차이를 보였으나, 자연하천은 뚜렷한 종 조성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서식처 유형별 우점종과 아우점종은 고추좀잠자리와 깃동잠자리가 대부분이었으나 등줄실잠자리, 산잠자리, 왕잠자리 등은 서식처 차이를 보였다. 서식처 유형별 종다양성지수는 묵논습지, 자연하천, 자연형 저수지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산림계곡은 낮았다. 서식처 유형별 잠자리 산란유형은 묵논습지가 가장 다양하였으며, 식물체에 산란하는 잠자리 종류가 가장 많아 습생식물이 잠자리 풍부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종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고추잠자리와 밀잠자리, 고추잠자리와 방울실잠자리, 배치레잠자리와 애기좀잠자리가 정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상관관계가 높은 종간에도 선호하는 서식처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donata communities as habitat types in Wonju City, Korea. The 33 plots were installed at 4 types of biotope like abandoned paddy fields, natural type reservoir, natural type river and forest valley in Wonju city. From the survey, the 9 family and 38 species were identified. As the result of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the species composition of each habitat through TWINSPAN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pecies composition was definite in abandoned paddy field, natural type reservoir and forest valley, however, it was uncertain in natural type river. The dominant species and the subdominant species of each habitat were mainly Sympetrum frequens and Sympetrum infuscatum but the distributions of Paracercion hieroglyphicum, Epophthalmia elegans, and Anax parthenope julius were different as haibtat types. The order of the index of species diversity was not different between abandoned paddy fiedls, natural type reservoir and natural type river, but forest valley was low. The abandoned paddy field was shown the most diverse spawning type of odonata, it is considered that hydrophyte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bundant of odonata since the sorts of odonata spawning in plants are majority. As the result of analyzing interspecies relationship, Crocothemis servilia mariannae and Orthetrum albistylum, Crocothemis servilia mariannae-Platycnemis phyllopoda, Lyriothemis pachygastra-Sympetrum parvulum are shown the positive correlation, however, they have a difference in preferred habitat between high correlation species.

      • KCI등재

        광양만 연안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 및 자치어의 종조성과 양적변동

        추보라,이성훈,유태식,황태용,한경호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19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5 No.3

        Species composition and yearly variation of fish eggs and larval fishes were investigated from 2014 to 2016. During the study period, the fish eggs were identified as belonging to 14 taxa. The dominant species of fish eggs were Leiognathus nuchalis, Engraulis japonicus, and Konosirus punctatus. These three species accounted for 97.4%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The collected larval fishes were identified into 37 taxa, 22 families, and seven orders. The dominant species of larval fish were Leiognathus nuchalis, and Gobiidae fishes. These three species accounted for 85.4%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The diversity index of the larval fishes was the highest in 2014 (H’ = 1.60) and the lowest in 2015 (H’ = 1.15). The evenness index was the highest in 2016 (J = 0.51) and the lowest in 2015 (J = 0.39). The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in 2015 (D = 83.5%) and the lowest in 2016 (D = 70.9%). In addition, the economically important species in this area were Engraulis japonicus, Konosirus punctatus, Hippocampus coronatus, Sebastes schlegelii, Acanthopagrus schlegeli, and Cynoglossus joyneri.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광양만 연안에서 부유성 난 및 자치어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기간 중 출현한 부유성 난은 14개 분류군으로, 주둥치가 가장 우점한 종이었고, 다음으로 멸치와 전어가 우점한 종으로 나타났다. 자치어는 총 7목 22과 32개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주둥치가 가장 우점하였으며, 다음으로 멸치와 망둑어과 어류가 우점한 종으로 나타났다. 군집분석을 보면, 2014년에 29개 분류군으로 가장 많은 출현 분류군을 보였고, 2015년에 19개 분류군으로 가장 적었다. 균등도는 2016년에 높았고(E=0.511), 2015년에 가장 낮았다(E=0.389). 다양도는 2014년에 가장 높았고(H’=1.595), 2015년에 가장 낮았다(H’=1.145). 육수의 영향을 받는 지역의 과거 부유성 난 및 자치어 종조성의 연구들과 비교해 본 결과, 광양만은 여전히 산란장과 성육장으로써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나, 인위적 환경으로 인한 해양 오염이 계속되고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더불어 어류 자원 관리 및 보존이 필요하다.

      • KCI등재

        통영 연안 정치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이용득,정재묵,김한주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23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9 No.1

        Fish samples were collected by a set net from April to December 2020 at the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Korea to determine fish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A total of 330,675 fish (1,032,578 g) representing 56 species belonging to 39 families were collected during the sampling period. The dominant species were Engraulis japonicus, Trachurus japonicus and Trichiurus japonicus, which accounted for 98.1%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87.5% of the total biomass collected. E. japonicus and Chelidonichthys spinosus appeared every month off the coast of the Tongyeong.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fish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t the dissimilarity level of 57%, and the results of ANOSIM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ty structure among the two groups. 연구는 2020년 4월부터 12월까지 우리나라 통영 연안 정치망에서 어류 종조성과 계절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39과 56종 총 330,675개체(1,032,578 g)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멸치(Engraulis japonicus), 전갱이(Trachurus japonicus), 갈치(Trichuus japonicus) 3종이 전체 개체수의 98.1%, 전체 생체량의 87.5%를 차지하였다. 통영 연안에서 매달 출현한 종은 멸치, 성대(Chelidonichthys Spinosus)였다. 개체수에 따른 군집분석은 비유사도 57%의 수준에서 두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ANOSIM 분석 결과 두 그룹 간의 군집 구조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의 벌채유형별 초기 하층식생의 군집구조 변화

        김민수,김준수,김현섭,박찬우,배관호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4 No.2

        본 연구는 일본잎갈나무림의 벌채유형을 대조구, 보잔목작업구, 모수작업구, 군상개벌작업구, 대상개벌작업구로 구분하여 벌채 처리 전·후의 하층식생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북 봉화 지역에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벌채유형별로 각 9개씩 총 45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방형구법을 이용하여 하층식생을 조사하였다. 군상개벌작업구의 총 피도가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벌채를 실시한 처리구에서는 광선호성 종들이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잔목작업구와 군상개벌작업구, 대상개벌작업구에서는 노출된 임분에 잘 적응하는 소형지상식물 (Microphanerophyte)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종조성 변화에서는 다른 처리구들과 다르게 보잔목작업구가 가장 큰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처리구 간 분석 결과, 대조구와 군상개벌작업구의 두 처리구 간 종조성 차이는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에서 수행한 4가지 벌채 처리는 모두 대조구에 비해 식물다양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하층식생의 발달 뿐 만 아니라 일본잎갈나무의 천연갱신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5년∼7년의 결실주기를 가진 일본잎갈나무 특성상, 지속적인 모니터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understory vegetations in Larix kaempferi forests before and after four silvicultural treatments: control, reserved tree, seed tree, group clearcutting, and strip clearcutting treatment. The understory vegetations were surveyed by adopting a quadrat method on nine blocks for each of four silvicultural treatments with control from 2014 to 2016 in the area of Bongwha, Gyeongbuk. The total cover of understory vegetation in the group clearcutting quadrat was highest and all of the sites treated had high dominance of light preference species. In the reserved tree, group clearcutting and strip clearcutting quadrats, the proportion of microphanerophytes that adapt well to the exposed stand appeared to be the highest and wa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The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showed the biggest change in the reserved tree quadrats compared to other quadrats. The difference in species composition between the control quadrat and the group clearcutting quadrat was the most heterogeneous. In conclusion, all the four cutting treatments in the plantation of L. kaempferi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understory vegetation, it is needed to have continuous monitoring and researches because the seed of L. kaempferi requires from five to seven years to complete fru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