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어사의 돌 종소리와 일반 종소리의 유사성 연구

        김봉영,박형우,배명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6

        경남 밀양에는 두드리면 종소리가 나는 만어사의 만어석이라고 일컫는 종석이 있는데 “밀양 3대 신비” 중 하나로 불리우고 있다. 만어사의 돌 종소리가 종소리처럼 들리는 이유는 타격시 맑은 쇠소리가 나며, 실제 종소리와 유사한 여운을 가지고 소리가 점차 사그러들기 때문이다. 이렇듯 종소리가 나는 만어사 만어석은 불심을 고취하여 수많은 관광객이 찾아들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만어사 돌 종소리와 편종소리를 소리공학적으로 분석하여 실제 종소리와 얼마나 유사한지 규명하였다. 만어사 돌 종소리와 편종소리를 비교분석한 결과 600Hz 대의 유사한 공명주파수가 나타나고 유사한 배음구조를 나타냈으며, 잔향시간과 소리가 서서히 사그러지는 정도인 진폭기울기 특성도 유사하여 돌 종소리가 일반 종소리와 동일한 소리성분을 가지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또한, 돌 종소리를 듣겠다는 기대와 만어사의 불경 읽는 소리가 심리적인 영향으로 작용하여 더욱 더 종소리처럼 들리게 한다. In Gyeongsangnam-do Milyang-si, there's a 'bell stone' (jongseok) called a Maneostone which makes bell sound when tapped in Maneo temple, known as one of the "3 wonders of Milyang". The reason why its Stone bell in Maneo temple sounds like a bell is it makes clear iron sound when it is hit, and also has similar lingering of actual bell sound, goes gradually reducing. Likewise, Bell sound Maneo stone in Maneo temple inspires the mercy of Buddha, so that it makes many tourists come. In this paper, we analyzed Maneo temple stone bell sound through the sound engineering, defined how similar the real bell sound is. In result, analyzing the Maneo temple stone bell sound and Pyeonjong sound appear the similar resonance frequency on 600Hz, show the similar harmonics structure. Also the time of reverberation and amplitude gradient characteristic which means slowly fading away are alike, we found that stone bell sound has normal bell sound elements. In addition, with the expectations of listening for the stone bell sound and chanting of Buddhist scriptures psychologically affect, it make sound like a bell more..

      • KCI등재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하상일(Ha, Sang-Il)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6 No.-

        이 논문은 해방 이후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정화수의 시세계를 연구한 것이다. 특히 해방 이후 재일조선인 조직의 변화 과정을 통해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정화수의 시세계를 <총련>계 재일조선인의 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정화수 시인은 2000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의 변화를 주도한 시인으로, 그가 중심이 되어 발간한 '종소리'는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혁신된 모습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재일조선인 사회는 '민단'과 <총련>을 중심으로 한 남북의 이념적 대리전 양상을 노골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재일조선인들의 인권이나 생활보다는 남북한의 이해관계에 종속된 정치조직의 성격이 강했다. <총련>의 결성은 재일조선인들의 생활과 민족운동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왔다. <총련>계 재일조선인 문학예술 운동은 북한과의 조직적인 연대 위에서 혁명적 문예전통과 주체적 사실주의창작방법론을 확립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은 『문학예술』, 『겨레문학』,『종소리『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문학예술』은 <문예동>의 이념과 정체성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하고 실천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가장 대표적인 잡지로, 김일성의 교시를 토대로 <총련>의 이념적 지향성과 <문예동>의 창작 방향을 제시하는 데 집중함으로써, 사실상 북한의 문예이론에 입각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의 지침서이자 대표적인 발표 지면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문학예술의 휴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은 『겨레문학』과 『종소리』를 통해 이어나갔는데, 특히 『종소리』의 창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0년 이전까지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발전과정은 재일조선인 사회운동의 발전 단계와 특성에 따라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공화국 창건 이후 <총련>이 결성되기 이전까지의 시기(1948년 9월~1955년 4월)이고, 둘째는 <총련> 결성 이후 김일성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창작의 기치를 드높이던 시기(1955년 5월~1973년)이며, 셋째는 재일 조선인들의 조국방문을 시작으로 사상예술성의 강화가 이루어진 시기(1974년~1990년대)이다. 이러한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흐름에서 종소리의 창간은 넷째 시기의 시작을 의미한다. 즉 시 창작에 있어서 사상성과 예술성의 조화를 모색하는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종소리의 출현은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정화수의 시세계는 1980년 북한에서 출간한 시집 영원한 사랑 조국의 품이여에 수록된 시편들과 2000년 이후 종소리에 발표한 시편들 사이에 내용과 형식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시집에 수록된 시들에서는 수령 형상 창조와 조국(북한)에 대한 찬양 일변도의 작품이 대부분이었던 반면, 종소리에서는 이러한 경향을 직접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은 사실상 전무하고 근원적 고향의식에 바탕을 둔 통일에 대한 열망이나 재일조선인의 생활상을 통해 민족공동체의 모습을 형상화한 작품이 대부분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그의 시세계의 변화를 주목함으로써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poet Jeong Hwa-su,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started from Huh nam-gi, Kang Sun, and Nam si-woo, and it was transferred to Kim si-jong, Kim Yun, Jung hwa-hum, Kim hak-ryeol, and Jung hwa-su. Jeong Hwa-su‘s poetry world was based on the yearning toward his mother country, our fundamental emotion. Jeong Hwa-su‘s poetry showed strong politics including the pro-North Korea and anti-South Korea as a Chongryun member while dealing with ordeals and pains Koreans went through. His poetry announced right after making Chongryun showed socialistic realism while expressing straightly admiration for North Korea, and sneers and criticism for North Korean politics. In addition, he announced the purposeful poetry of propaganda supporting actively Chongryun’s patriotic projects. His poetry shows the point of confusion that seems hard to be considered as the one person’s poetry world because of a conspicuous gab between pre-and post- Chongryun of 1955. This resulted from the inner conflict and hurt that he could not but go through as the Korean who experienced the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His poetry definitely became the most significant guide to overall understand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wa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the Korean-Japanese who internalized their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Therefore, most of works tried to stand for realistic nature directly showing political social issues, instead of focusing on deepening the lyricism to condense personal emotion to the indentified world. As post-nationalism, post-society discourse is currently appearing as the important issue beyond the boundary of race and nation, the perspective of ‘Diaspora’ and problem awarenes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the effective discours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world. Jeong Hwa-su's poems have an important literary meaning as the text containing such the problem awareness.

      • KCI등재

        유아웃음 유발에 관한 연구: 종이 찢는 소리를 중심으로

        지상휘(Sang-Hwi Jee),송욱진(Uk-Jin Song),박형우(Hyung-Woo Park),배명진(Myung-Jin Ba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Laughter is happening in a person s happy or pleasant psychological state. In everyday life, laughter is a reaction to internal, external, or simultaneous stimuli.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laughter of adults and the laughter of infants, but it is divided into artificial laughs according to the atmosphere of society as well as the growth process. There are many ways to induce laughter in toddlers, such as toys, parental affectionate voices. Among them, there is a method using a sound,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method of tearing a paper and causing the baby to hear the sound of the sound to induce laughter. In this paper, we analyzed why children laugh when they compare the sound of tearing paper and the laughing sound of infants. The overall frequency band was similar when the paper tear and toddler laughter were compared. In the case of laughing sounds of infants, energy was not decreased much even though the harmonic sound was increased from the fundamental frequency, and there was also a part where it was getting bigger. When comparing the results based on the duration, it was found that the infants were more likely to laugh when they tore on the road than on the paper. 웃음은 사람이 행복하거나 즐거운 심리적 상태에서 나타난다. 일상생활 부분에서 웃음은 내부적, 외부적 혹은 동시에 의한 자극들에 대한 반응이다. 성인들의 웃음과 유아들의 웃음에는 차이가 존재 하는데 성장과정을 거치면서 사회의 분위기에 따른 인위적인 웃음과 그 외적인 부분으로 나뉜다. 유 아들에게서 웃음을 유발시키는 방법은 대개 장난감을 통한 놀이, 부모의 다정한 목소리 등 다양한 방 법이 있다. 그중 소리를 이용한 방법이 있고, 특히 종이를 찢어 그 소리 대역을 아기에게 들려주어 웃음을 유발하는 방법도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종이를 찢었을 때의 소리와 유아들의 웃음소리를 비교 분석하였을 때, 왜 유아들의 웃음이 유발되는지를 연구하였다. 종이 찢는 소리와 유아 웃음소리 를 비교 하였을 때 전체적인 주파수응답에 대한 대역형태가 유사하였다. 유아의 웃음소리의 경우 기 본주파수부터 배음이 올라가는데도 에너지가 크게 줄지 않고 오히려 더욱 커지는 부분도 있었으며, 활강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지속시간을 토대로 비교하였을 때는 종이를 짧게 찢는 것보다 길에 찢었을 때 유아들의 웃음 유발이 더욱 높았다

      • KCI등재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시의 경향과 그 의미-<종소리> 수록시를 중심으로-

        조은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2 No.4

        이 글은 2000년 1월 창간된 이래 현재까지 발간되고 있는 시전문 동인지 <종소리>에 수록된 시를 중심으로 2000년대 在日朝鮮人 詩文學의 경향을 분석한 것이다. <종소리>는 해방 이전의 ‘조선’을 아이덴티티로 선택한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특유의 글쓰기 양상이 확인되는 동인지이다. <종소리> 수록시를 통해 검토된 재일조선인 詩文學의 경향은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종소리> 수록시에서는 正體性 탐색의 모티프가 두드러진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은 디아스포라 주체의 가장 근원적인 모티프 가운데 하나이다. 둘째 ‘故鄕’ 의식이 현실과 기억, 상상의 층위로 다양하게 재현된다. 셋째 歷史意識이 강하게 표출되어 있다. 넷째 母國語에 대한 認識과 文學(시)에 관한 은유가 두드러진다. 母國語를 유지한다는 것은 언어적 차원을 넘어선 정신의 계승이자 歷史意識의 일환으로 이해될 수 있다. 90년대까지의 문예 운동에 대한 내부 성찰을 통해 보다 민족적이고 한층 보편적인 지점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rends of Chosun-Japanese's poetry literature of the 2000s in “Jongsori” that been launched since January 2000 and has been published so far. Trends of Chosun-Japanese's poetry literature that were extracted from poems which are included in “Jongsori”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our trends. The First is a motif of finding identity. It is remarkable. The Question about ‘who am I’ is the most fundamental motif, and it is the one of dominant themes. The second is emphasizing a sense of loss of hometown and longing their families. Hometown's image is not simple, it recreates a variety of settings in many works of “Jongsori”. It reappeared memories of childhood and longing their families, it is also estab- lished as the space of a rich imagination. The Third is a sense of history that were expressed strong. The fourth is a metaphor of the awareness of literature and sense of mother tongue, which is striking in “Jongsori”. The maintenance of their native language is succession of national spirit and sense of history. The trends of Chosun-Japanese's poetry literature of the 2000s in “Jongsori” is being changed from a rigid ideology tendency of pre- vious time. It is making more ethnic and universal now.

      • KCI등재

        재일 조선인 시문학 연구 - 『종소리』를 중심으로 : 재일 조선인 시문학 연구

        하상일(Ha Sang-Il) 한국문학회 2008 韓國文學論叢 Vol.48 No.-

        This article is to observe the history and a poem of the Chosun-Japaneses"s Poetry-Literature. And change of 2000 after Chosun-Japaneses"s Poetry-Literature the Jongsori it tried to observe. The now when the literature flow of South and North Korea is active, researching the change of the Chosun-Japaneses"s Poetry-Literature there is meaning which is important. The Jongsori is the Poetry class magazine which the Chosun-Japanese, publishes. From 2000 spring until 2007 autumn it was published. Jeong Hwa-su, Kim Du-kweon, Kim Hak-ryul, Kim Yun-ho, Jeong Hwa-hum, Hong Yun-pyo and Oh Sang-hong announced the poem. The subject of poem to miss a hometown and to hope a unity. The Jongsori shows the direction of the Chosun-Japaneses"s Poetry-Literature newly. The next Chosun-Japaneses"s Poetry-Literature with the Jongsori will change with together new subject. It means that the literature flow of South and North Korea will be activated consequently more.

      • KCI등재

        고려인 극작가 연성용의 고전수용 양상 : 「창곡이와 홍란」·「지옥의 종소리」를 중심으로

        조규익 한국근대문학회 201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3 No.2

        Chang’gok and Hongran, Bell sound from the Hell of the dramas by Yeon, Seong-Yong are works adapted for plays from the classic novel or folk story. Chang’gok and Hongran is a drama adapted from Okrumong, Bell sound from the Hell is from the folk story Seolssinyeo. Chang’gok and Hongran is a unique product of the ideological space which the writer belonged to. The writer succeeded to make the characters typical, protesting against the ugly features of the ruling class and corruptive reality of the old society, as well as depicting the hero leading the way to save the people and dynasty in crisis from 17<sup>th</sup> to 18<sup>th</sup> century. The writer wanted to realize his own ideology through the realistic stories, not with the religious teaching or fantastic interesting from the novel like Okrumong. He wanted to show meliority of his own ideological space, emphasizing real state of exploitation by the ruling class like King, Hwang, Yeo-Ok, the Minister Hwang, the Minister Song, the Minister Roh as the antagonists, eventually showing defeat by the protagonists centering around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Bell sound from the Hell adapted from the old folk story Seolssinyeo is a tragic drama showing the contrasting aspect with Seolssinyeo as a happy-ending story. In this drama, writer intended to outweigh oppression of the ruling class in the dynasty with making the national factions fighting and driving the people to the battlefield. To depict their life as continuity of misery is only a method to maximize the contradiction and absurdity of the ruling class. With inserting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terms like fighting between brothers, carnage by war, struggle for hegemony, sepa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families, offsprings of Tan-gun, we can consider this drama as a newly created work. The reason why the writer could not help inclining to North Korea ideologically, even if he knew the reality of his homeland fighting with each other, shows real circumstances of the region which emotion of Kareiskys participated in the 6·25 War only for North Korea’s purpose. Like this, the key figures in the Kareisky literary or artistic circles including Yeon, Seong-Yong concerned about their motherland’s ideological future direction and understood it was effective to tuck in the stage the classical works reinterpreted ideologically aimed at emphasizing and scattering the excellency of their system or ideology. We can say that the traditional practice of the Kareisky’s artistic circle at that time made a new genre’s works after reinterpreting and adapting classic works are elucidated in this point. 연성용의 희곡들 가운데 본고의 분석 대상인 「창곡이와 홍란」, 「지옥의 종소리」 등은 우리의 고전을 재창작의 수준으로 각색하여 만든 작품들이다. 「창곡이와 홍란」은 『옥루몽』을, 「지옥의 종소리」는 설화 「설씨녀」를 각각 각색한 희곡이다. 「창곡이와 홍란」은 『옥루몽』과 달리 작자가 속해 있던 이념 공간의 독특한 산물이다. 작자는 이 작품에서 ‘17~18세기 봉건사회의 부패상과 봉건 지배층의 추악한 면모에 저항하고 위기에 빠진 민중과 나라를 구하기 위해 서슴없이 앞장 서는’ 주인공을 그려냄으로써 인물의 전형화에 성공했다. 그리고 종교적 가르침이나 환상적 흥미를 강조하는 『옥루몽』과 달리 시간과 공간을 지상계로 한정하여 현실적인 이야기를 통해 자신들의 이념을 구현하고자 했다. 반동인물로 등장하는 ‘임금·황여옥·황승상·송각로·노상서’ 등 지배계층이 민중을 착취하는 모습을 부각시키고, 결국 그들이 피지배계층 중심의 주동인물들에게 패배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작자 자신이 속한 이념 공간의 우월성을 보여주고자 한 것이다. 고전 설화 「설씨녀」를 각색한 「지옥의 종소리」는 해피엔딩인 「설씨녀」와 대조적인 양상을 보이는 비극이다. 작품에서 작자는 한 민족이 여러 나라로 갈라져 싸움을 벌인다거나, 백성들을 전쟁터로 몰아감으로써 이별의 슬픔에 잠기게 하는 등 봉건 지배계층의 횡포를 부각시키려는 의도를 보여주고 있다. 불행한 삶을 영위하다가 불행하게 삶을 끝내는 것으로 그려내는 것이 지배계층의 모순과 부조리를 극대화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형제간의 싸움’, ‘살육전쟁’, ‘패권쟁탈’, ‘부모형제 간 남북이산’, ‘단군의 자손’ 등 근대 이후에 등장한 정치적·이념적 용어들을 요소요소에 삽입함으로써 이 작품은 실제 설화에 대한 각색이나 재해석의 수준을 뛰어넘는다. 남북이 서로 총부리를 겨누고 있는 조국의 현실을 알고 있을 작자가 이념 상 소련이나 북한에 기울 수밖에 없었던 것은 ‘북침 전쟁으로 알고 6·25에 참전했던 고려인들의 정서’가 1980년대 초반까지도 그들의 의식을 지배하고 있던 당시 그 지역의 사정을 보여준다. 이처럼 연성용을 비롯한 초기 고려인 문단이나 예술계의 핵심인사들은 조국의 이념적 향배에 큰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자신들이 속해 있는 체제나 이념의 우수성을 강조·확산하기 위해 고전 작품이나 설화를 이념적으로 재해석하여 무대에 올리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고 있었다. 고전을 재해석·각색하여 새로운 장르의 작품으로 만들어내던 당시 그곳 예술계의 관습 역시 이 점에서 해명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라흐마니노프(S. Rachmaninoff)의 피아노소나타 제2번(op.36) 1악장에 나타나는 색채적 음향

        홍요섭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5 음악교육공학 Vol.- No.23

        This study focuses on colored sonority in the revised version of Rachmaninoff's Piano Sonata No.2, op.36, 1st movement. Rachmaninoff had been one of the prominent composers in 20th century. But he is acknowledged not to join the trend of Modernism, sticking to the Romanticism of the 19th century in the musical style. However, I don't think that he was not affected by the trend of the contemporary music, even though he embraced the traditional Romanticism apart from the wave of Modernism. I pay attention to the colored sonority in Rachmaninoff's Piano Sonata No.2 because it has been excluded from the major researches. The concept of timbre surfaced a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among the elements which consisted of the new genre of music in the early 20th century. Comparing with the music of the composers who were interested in the colored sonority leading the trend of the Modernism,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his methodology to extract the colored sonority. But he applied his unique methods to express a variety of timbre on the basis of the methods from the wave of Modernism at that time. It means that he clearly emphasized on the colored sonority in this piece. The most outstanding part of the music that the colored sonority is emphasized is the sound of church bells in the part of the conclusion of the development section that constructs the peak of the entire music. The music cells used in exposition and development sections are the origins of the sound that compose of the church bell sound. The result of these different variations of the cells brings the church bell sound. The key of this study is the close observation and analysis on how these music cells were transformed into the sound shapes through a certain process to the church bell sound in the perspective of the colored sonority. Also,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nge of the timbre which comes from the harmonistic variation and figurations. Hopefully, this study can be an opportunity to open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music of Rachmaninoff which wasn't so appealing in the research of the colored sonority. 본 연구는 라흐마니노프(S. Rachmaninoff)의 피아노소나타 제2번(op.36) 개정판의 1악장에 나타나는 색채적 음향에 관한 것이다. 라흐마니노프는 20세기에 활동했었던 작곡가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유행하던 모더니즘의 조류를 따르지 않고 19세기 낭만주의의 음악양식을 고수한 작곡가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필자는 라흐마니노프가 당시의 모더니즘의 조류에서 벗어나 낭만주의 전통을 고수하고 있었다 할지라도 당시의 음악적인 조류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필자가 라흐마니노프 피아노소나타 2번에서 주목하는 부분은 많은 연구들로부터 배제되어있는 색채적 음향이다. 20세기 초의 새로운 음악들에 사용된 음악구성의 재료들 중에서 눈에 띄게 나타나는 특징은 음색이라는 요소의 부상(浮上)이다. 모더니즘을 이끌고 색채적 음향에 관심을 가진 작곡가들의 음악과 비교하여 색채적 음향을 만들어내는 방법에 차이는 있을지라도 라흐마니노프는 당시의 모더니즘 조류를 따르는 음악들로부터 영향 받은 기법들과 자신만의 다양한 음색을 표현하는 기법들을 적용함으로서 이 음악에서 색채적 음향을 분명히 강조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음악에서 색채적 음향이 가장 강조된 부분은 이 음악 전체의 절정부분인 발전부의 종결부에 있는 교회종소리를 표현한 부분이다. 제시부와 발전부에 사용된 음악적 세포들은 이 교회종소리를 구성하는 음형들의 뿌리이며 결국 그 세포들이 만드는 다양한 변형들의 결과가 교회종소리로 표현된 것이다. 음악적 세포들이 어떤 음형으로 변형되고 그것에 따른 음향적 변화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그것의 결과물인 교회종소리음향을 만들어 내는지 그것을 면밀하게 추적하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이다. 또한 화성적 변화와 음형으로부터 표현되는 음색의 변화도 다루어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색채적 음향의 연구에서 주목을 받지 못했던 라흐마니노프의 음악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설화 속 `종소리`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 - <손순매아>, <에밀레종>, <까치의 보은> 설화를 중심으로 -

        심우장 ( Sim Woo-ja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7 문학치료연구 Vol.6 No.-

        This study is a work to look over the meaning of a sound of a bell in korean folktale from literary therapy`s aspect. A sound of a bell appears on stage in three korean folktales, < Sonsunmaea >, < Emillejong > and < Kkachiui boeun >. These folktales are overspread by death or shadow of death. Therefore I think these deaths have inseparable relations to the meaning of a sound of a bell. These three folktales are analyzed by four dilemmas, which have close relations to the literary therapy`s meaning. Specially, a sound of a bell is in company with the second dilemma. A sound of a bell is a sound of death. The meaning of death is the meaning of a sound of a bell. Deaths in these three folktales are deplorable and certain. These three folktales are some therapy narrations to soften an mental impact in real life in which these deaths are done over again. So, it is a sound of a bell that symbolize this meaning. Specially we must pay attention to some folktales to express korean bell`s distinguishing feature, that is, to attach great importance to lingering sound.

      • KCI등재

        신체제기 창작 창극과 프로파간다

        백현미(Baek, Hyunmi) 한국비평문학회 2024 批評文學 Vol.0 No.92

        전시(戰時)라는 비상시국에의 인식과 협력이 강제되던 신체제기에 창작창극들이 다수 발표되었다. 극작가동호회 회원을 비롯한 신진 문필가가 창극창작에 참여했고, 일어극과 별개로 설화와 역사 소재 창극들이 생산되었다. 본고는 설화와 역사 소재작들의 경향성을 소재 원천 및 동일 소재 문화물들과의 관계 속에서 추적하고 사회적·문화적 맥락 속에서 해석하며, 창극이 ‘국책의 요구’와 조응하는 양상을 밝혔다. 설화소재작인 <팔담춘몽>(1940)과 <봉덕사의 신종>(1940)은 일제의 식민지 개척 과정에서 ‘발굴’되고, 내선일체를 경험하는 관광지로 광고되어 온, 금강산의 ‘팔담’과 경주의 ‘봉덕사’ 관련 조선 설화를 소재로 했다. 각색 역사소재작인 <백제의 낙화암>(1940)과 <마의태자>(1941)는 백제와 신라의 망국사 이야기로 애상적 정조를 자아냈을 것이다. <삼국지>(1942)와 <항우와 우미인>(1942)은 지나의 전쟁사에서 소재를 취한 이야기를 다루면서, 지나를 대동아라는 상상 공간에 포섭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시국행사와 연계된 역사소재작들은 일제의 정책을 수행하고 전시했다. 부여 8경 중 하나를 소재로 한 <고란사의 종소리>(1943)와 김옥균 서사를 다룬 <남강의 풍운>(1943)은 내선일체와 대동아공영이라는 허구적 이념을 역사적 사실화하는 일제의 역사 만들기에 동원되었다. 고구려와 신라의 항쟁사를 소재로 한 <일목장군>(1944)과 <김유신전>(1944)은, 항전 결의와 희생을 선동하는 징병제 선전극이었다. 또한 <일목장군>에서는 여성창자가 남자용사 역을 해냄으로써, <김유신전>에서는 ‘군국의 어머니상’과 ‘여성 용사상’을 제시함으로써, ‘전시의 여성상’을 선전하는 효과를 냈다. A number of creative Changgeug have been announced during the New System Era(신체제기, 1940-1945), which was forced to recognize and cooperate in wartime situations. New writers including members of the Playwrights’ Club(극작가동호회) created Changgeug scripts based on folktale and history. This study tracked the tendency of folktales and hstorical works in relation to the material source and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same material, interpreted them in a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revealed the pattern of Changgeug corresponding to the ‘demand of national policy.’ The works <Eight Ponds and Spring Dream>(1940) and <Mysterious Bell of Bongdeoksa>(1940) are based on the Joseon folktales related to ‘eight ponds’ in Geumgangsan and ‘Bongdeoksa’ in Gyeongju, which have been ‘discovered’ in the process of Japanese colonialization and advertised as tourist destinations experiencing the Naeseonilche (內鮮一體, the idea that Japan and Joseon are One). The adapted historical works <Nakwaam of Baekje>(1940) and <Prince Maui>(1941) would have evoked mournfulness with the story of the ruined history of Baekje and Silla. <The Three Kingdoms>(1942) and <Hangu and Umiin>(1942) dealt with the stories of Gina’s war history and showed the inclusion of Gina in the imaginary space of ‘Greater East Asia.’ Historical works related to the political event carried out and exhibited the policies of Japanese imperialism. <The Bells of Goransa>(1943) based on one of the eight scenic views of Buyeo and <Winds of the Namgang>(1943) dealt with the narrative of Kim Ok-kyun, were mobilized to make history of Japanese imperialism that made the fictional ideology of Naeseonilche and the concept of Greater East Asian Co-prosperity into a historical fact. <General Ilmok>(1944) and <Kimyushinjeon>(1944) which were about the warriors of Goguryeo and Silla, were the propaganda drama that instigated resolution and sacrifice in resistance. In addition, in <General Ilmok>, a female singer played the role of male warrior, and in <Kimyushinjeon>, ‘the image of the mother of the military’ and ‘the image of female warrior in the war site’ were presented, thereby promoting ‘the image of women in wartim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