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도 당재봉 일대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변화

        최영은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invegetation andflora in the coastal sand dunes and rocks following land-use transformation between 2013 and 2019. The study area is located on Dangjae-bong(hill) on Jin-do island, South Korea andthe area has been developed from aforest area to a resort complex overthe last 3 years. It has been confirmed thatchanges in flora, with 5 species added in the year 2019,have occurred whencompared to the year 2013. Of the five species investigated, four were naturalized plants and one was a terrestrial plant. All of the five species were identified as invasive species, which were caused by the transformationin land-use. There was no change in the specific floristic species, but the number of changed naturalized plants increased from 3 to 7 species. The increase of naturalized plants instead of native plants seems to be the result of invasive species introduced into the coastal sand dunes due to the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Among the life forms, 7 types of dormant plants turned out to be distributed in the studied area. In the 2013 survey, the ratio of hemigeophytes (H) was the highest (34.04%), followed by geophytes (G), therophytes (Th) and homomorphic therophytes (Th(w)). However, in the 2019 survey, three out of five species were homomorphic therophytes, the second highest next to hemigeophytes. The costal dune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in the study area. There were changes of the dominance index and species compositions in vegetation between 2013 and 2019. With regard to changes in the abundance of plants, Carex kobomugi, Calystegia soldanella, and Lathyrus japonicus, all of which are the typical components of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have decreased while Rosa wichuraiana and Vitex rotundifolia, which are naturalized plants and woody invasive species, have increase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 that frequent anthropogenic disturbances from the change of land-use in areasadjacent to the coastal sand dunes caused to alter the abundance of such specie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no changes in abundance of Limonium tetragonum, Suaeda asparagoides, and Zoysia sinica, which are found relatively close to the beach. This is deemed to bebeca use the most invasive species of the coastal sand dune areas are much less tolerant of salinity that intrusion into the areas affected by seawater does not allow their growth. As for the diversity of species, the diversity index ofthe 3 types was higher in 2019 than in 2013, but the gap of the plant species diversity index was very small. The increase in species diversity of dune vegetation is due to the invasion of coastal sand dunes due to land transformation rather than to the stability of vegetation. 본 연구는 사구주변지역의 레저산업단지조성 등과 관련한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해안사구식생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전라남도 진도 의신면 당재봉 일대 해안사구에 대한 식물상, 식생, 종다양성의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전라남도 진도 당재봉 일대 토지이용변화(2016~2019년에 걸친 개발로 산림지역이 리조트 단지로 변화하였음)에 따른 해안사구 와 해안암석 등에 서식하는 식생 및 식물상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2013년도와 2019년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식물상의 변화는 2013년도에 비해 2019년 조사에서 5종이 추가 조사되었다. 추가 조사된 5종 중 4종은 귀화식물이며, 1종은 육상식물로서 5종 모두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침입종들로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으며, 귀화식물의 변화는 3종에서 7종으로 증가하였다. 자생식물의 증가보다는 귀화식물이 증가한 것은 개발로 인한 침입종들이 해안사구에 유입된 결과로 보인다. 생활형은 7개 유형의 휴면형을 나타내는 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3년 조사에서는 반지중식물(H)이 34.04%로 가장 많았으며, 지중식물(G), 1년생식물(Th), 동형1년생식물(Th(w)) 순으로 많았다. 그러나 2019년 조사에서는 동형 1년생식물이 5종 중 3종으로서 반지중식물(H) 다음으로 분포비율이 높았다. 해안사구식생의 식물군락은 총 7개 군락으로 구분되어졌으며, 2013년도에 비해 2019년 조사에서 우점도와 종조성의 변화가 있었다. 식물의 수도변화는 해안사구 식생의 전형적 구성종인 통보리사초, 갯메꽃, 갯완두 등은 감소하였으나 귀화식물과 목본류 침입종인 돌가시나무와 순비기나무는 증가하여 해안사구 주변의 토지이용 변화에 의한 인위적인 빈번한 간섭이 이들 종의 수도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비교적 해안 바닷가와 근접해서 서식하는 갯질경, 나문재, 갯잔디 등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이 지역 해안사구 침입종들의 대부분이 염도에 내성이 크지 않기 때문에 바닷물에 영향을 받고 있는 지점으로의 침입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종다양성은 2013년에 비해 2019년에 3종류의 종다양성 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종다양성 지수의 차이는 매우 작았다. 식생의 종다양성의 증가 현상은 식생의 안정성에 의한 결과 보다는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해안사구현상의 교란이 종 침입의 결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이들 침입종은 해안사구 식생의 종구성, 생활형, 수도(abundance), 종다양성의 변화 등을 유발하였으며, 해안사구 식생의 천이진행을 매우 빠르게 유도하여 해안사구식생 종구성의 전형성을 크게 변화 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후보

        한려해상국립공원 조류 다양성 및 군집구조에 대한 경관인자의 상대적 중요성

        이민기(Min-Ki Lee),이상욱(Sang-Wook Lee),이용주(Yong-Ju Lee),이해인(Hae-In Lee)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1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통영지역 유·무인 도서들에 서식하는 조류의 종다양성, 계통학적·기능적 군집구조에 대한 경관인자의 상대적 중요성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종다양성에 한정된 생물다양성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계통학적·기능적 다양성과 관련된 군집구조를 경관인자인 섬면적, 서식지 이질성, 육지로부터의 거리, 구조적 연결성과 통합적으로 분석한 국내 최초의 사례이다.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해금강지구와 통영·한산지구 62개 섬에서 총 47과 90속 162종의 조류가 관찰되었다. 조류 종다양성 및 군집구조에 대한 경관인자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체, 유·무인도서의 종풍부도에 영향을 주는 경관인자는 섬면적이었다. 또한 유인도서의 계통학적 군집구조 지수는 섬면적과 구조적 연결성에 영향을 받았으나, 무인도서의 경우 섬면적에만 영향을 받았다. 기능적 군집구조 지수의 경우 무인도서에서는 섬면적에 영향을 받았으나, 유인도서에서는 어떠한 경관인자와도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인도서는 대체적으로 섬면적이 넓고 구조적 연결성이 높아 조류종의 이동이 활발한 반면, 무인도서는 섬면적이 좁을 뿐만 아니라 다른 섬들과의 연결성이 낮아 고립되기 쉬운 조건으로 인해 계통학적으로 유사한 종들이 분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한려해상국립공원 무인도서에 서식하는 조류군집은 질병, 교란 등 불리한 환경조건이 발생했을 때, 절멸할 가능성이 유인도서에 비해 높으며, 무인도서의 생물다양성 보전·관리에 전략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생물다양성 분석에 있어 전통적인 종다양성 뿐 아니라 계통학적 그리고 기능적 군집구조를 포함한 통합적 생물다양성 분석이 수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landscape variables to the species diversity, phylogenetic and functional community structures of bird species dwelling in inhabited and uninhabited islands in Geoje-Tongyeong districts of Hallyeohaesang National Marine Park. In particular, this study is the first case to overcome limitations of traditional species-centric approach in biodiversity research and comprehensively analyze community structure related to phylogenetic and functional diversity with landscape variables such as island area, habitat heterogeneity, distance from mainland, and structural connectivity in South Korea. A total of 162 bird species were recorded belonging to 47 families and 90 genera on 62 islands in Geoje-Haegeumgang and Tongyeong-Hansan districts of Hallyeohaesang National Marine Park. As a result of analyzing effects of landscape variables on bird species diversity and the community structure, landscape variable that affects species richness was island area for all, inhabited and uninhabited islands. Phylogenetic community structure were also influenced by island area and structural connectivity for inhabited islands, but only by island area for uninhabited islands. Functional community structure was regulated by island area for uninhabited island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landscape variables for inhabited islands. That is, large area and high structural connectivity among inhabited islands lead to vigorous species turnover, however there are phylogenetic clustering due to stronger isolation effect by small area and lower structural connectivity among uninhabited islands than among inhabited islan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irds communities in uninhabited islands are prone to extinction when exposed to un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ding disease and disturbance, therefore more strategic efforts are required to conserve and manage biodiversity. We also suggest integrated biodiversity analysis, including phylogenetic and functional community structures as well as traditional species diversity for conservation planning in island ecosystems.

      • GIS를 활용한 국립공원의 종 다양성에 관한 생물기후학적 영향 분석

        김태근(Tae Geun Kim),정종철(Jong-Chul Jeong),김의경(Eui-Kyeong Kim),조영환(Young Hwan Cho) 국립공원연구원 2012 국립공원연구지 Vol.3 No.4

        본 연구는 국립공원의 종 다양성에 대한 생물기후학적 영향을 평가하기위해 종 다양성지수와 생물기후변수자료의 단순상관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종 다양성지수는 2 km × 2 km 정방형 면적에 포함되는 국립공원에서 1998년부터 2008년까지 조사된 생물종 수와 개체수에 Point to Grid 방법을 적용하여 산출된 Shannon-weaver 지수값을 이용하였다. 기후변수로는 기온과 강수량 자료(1970~2010)에 공간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변환한 19개의 생물기후 변수자료를 이용하였다. 생물 분류군의 구분 없이 산출된 전체 종 다양성 지수는 기온과 음의 상관성을 갖고 강수량에 양의 상관성을 갖지만 전반적으로 생물기후변수와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분류군별 구분하여 계산된 종 다양성 지수는 생물기후변수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상관계수의 크기와 방향을 보면 분류군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결과보다 분류군별 상관관계가 생물기후변수별 상대적으로 높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분류군마다 생물종에 적합한 지역의 기후환경이 다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립공원에서 생물종이 서식하는 지역의 기후환경 특성에 따른 생물다양성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고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기대된다.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bioclimate on the biodiversity of national parks, this study conducted a simpl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pecies biodiversity index and bioclimate variables data. Regarding the species biodiversity index, This study used Shannon-weaver index values that were calculated by applying the Point to Grid method to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 that were surveyed in national parks from 1998 to 2008. 19 bioclimate variables data that were converted by applying a spatial analysis technique to temperature and rainfall data (1970~2010) were use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that was calculated without classifying taxonomic groups appear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ainfall b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while there have no correlation with the bioclimate variables overall. Meanwhile, the species diversity index that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axonomic group showed very diverse types of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bioclimate variables. As such, in looking into the size and direction of correlation, the correlation with each taxonomic group appeared to be relatively higher and more diverse according to bioclimate variables than results from the entire taxonomic group. This is assumed to be because the climate environment of a region appropriate for the specie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axonomic group. Such research results should help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variability of biodiversity according to the climate-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region inhabited by species in national parks and may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an ecosystem.

      • KCI등재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포유류 종 풍부도 매핑 구축 연구

        김지영,이동근,김은섭,최지영,전윤호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4 환경영향평가 Vol.33 No.2

        생물다양성은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목표에 중요한 부문으로, 개발대상지 입지 선정, 주변 환경 파악 및교란으로 인한 생물종 영향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환경영향평가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과 모델을 활용하여 생물다양성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고 예측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비록 현장, 문헌조사를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종 풍부도 지수를 평가하고 있으나, 현장 데이터는 시·공간적으로 미흡하므로 고해상도의 종 풍부도 매핑을 통한 기초자료를 활용함으로서, 모니터링 실효성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데이터와 환경변수를 바탕으로 Random forest 모델을 활용하여 종 분포모형을 개발하였다. 해당 모델은 24종의 포유류 종 분포 매핑 결과를 species richness index를 활용하여 100m 해상도의 종 풍부도 매핑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종 분포모형은 평균 0.82의 AUC값으로 우수한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전국자연환경조사 데이터와 비교결과, 고 해상도의 종 풍부도 매핑 결과의 종 풍부도 분포는 정규분포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환경영향평가에서의 기초자료로 사용함에 있어 신뢰성이 높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추후 도시개발과 사업을 함에 있어 생물다양성 평가, 서식지 보전 등에 새로운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iodiversity holds significant importance within the framework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eing utilized in site selection for development, understand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ssessing the impact on species due to disturbances. The field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as seen substantial research exploring new technologies and models to evaluate and predict biodiversity more accurately. While current assessments rely on data from fieldwork and literature surveys to gauge species richness indices, limitations in spatial and temporal coverage underscore the need for high-resolution biodiversity assessments through species richness mapping. In this study, leveraging data from the 4th National Ecosystem Survey and environmental variables, we developed a species distribution model using Random Forest. This model yielded mapping results of 24 mammalian species' distribution, utilizing the species richness index to generate a 100-meter resolution map of species richness. The research findings exhibited a notably high predictive accuracy, with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 demonstrating an average AUC value of 0.82. In addition, the comparison with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reveals that the species richness distribution in the high-resolution species richness mapping results conforms to a normal distribution. Hence, it stands as highly reliable foundational data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uch research and analytical outcomes could serve as pivotal new reference materials for future urban development projects, offering insights for biodiversity assessment and habitat preservation endeavors.

      • KCI등재

        지리산 지역의 생물종 분포모형 구축 및 종풍부도 평가

        권혁수(Kwon, Hyuk Soo),서창완(Seo, Chang Wan),박종화(Park, Chong Hwa)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3

        생물다양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생물다양성 평가, 보호지역 지정, 서식지 관리 및 복원 등 생물자원에 대한 공간적 평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야생동물의 서식지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자료의 수집 및 모형화의 기법 연구와 생물종풍부도를 작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종분포모형을 위해 사용된 GAM(Generalized Additive Model)으로 기존의 중첩 분석이나 GLM (Generalized Linear Model)에 비해 환경변수와 반응 변수의 관계가 명확하고 이에 따른 해석이 용이하다. 본 연구대상지로는 국립공원, 경관생태보호구역, 수달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리산, 백운산, 섬진강을 포함하고 있는 유역을 선정하였다. 대상유역의 토지피복에 따라 층화추출을 통하여 야생동물(포유류와 조류)의 출현/비출현 형태의 현장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야생동물의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 사회·경제적 자료를 구축하였다. 각 종에 대한 서식지이용분석과 주요서식인자를 확인한 후, 출현/비출현 모형을 통해 서식지적합성모형을 개발하고, 개별 종에 대한 서식지적합성지도 작성하였다. 서식지 적합성지도를 산술 합산하여 분류군별(포유류, 조류) 종풍부도, 통합종풍부도를 작성하였다. 개별 종 서식지의 주요인자는 서식지선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고라니나 박새와 같은 몇몇 종들은 저지대에 분포하나, 대부분의 포유류나 조류의 잠재서식지는 국립공원 경계구역이나 중산간지역에 많이 분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부에서 수행하는 생물다양성의 평가, 보호지역의 지정 등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creasing concern about biodiversity has lead to a rise in demand on the spatial assessment of biological resources such as biodiversity assessment, protected area selection, habitat management and restoration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species richness map through data collection and modeling techniques for wildlife habitat assessment. The GAM (Generalized Additive Model) is easy to interpret and shows better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variables and a response variable than an existing overlap analysis and GLM (Generalized Linear Model). The study area delineated by a large watershed contains Jirisan national park, Mt. Baekun and Sumjin river with three kinds of protected areas (a national park, a landscape ecology protected area and an otter protected area). We collected the presence-absence data for wildlife (mammals and birds) using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based on a land cover in the study area and implemented natural and socio-environmental data affecting wildlife habitats. After doing a habitat use analysis and specifying significant factors for each species, we built habitat suitability models using a presence-absence model and created habitat suitability maps for each species. Biodiversity maps were generated by taxa and all species using habitat suitability maps.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each species habita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habitat selection. Although some species like a water deer or a great tit were distributed at the low elevation, most potential habitats for mammals and birds were found at the edge of a national park boundary or near a forest around the medium elevation of a mountain range. This study will be used for a basis on biodiversity assessment and proected area selection carried out by Ministry of Environment.

      • KCI등재

        백두대간 단목령‐구룡령 구간의 산림식생유형 분류 및 종조성

        김민수,조현제,김준수,배관호,천정화 한국환경생태학회 201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백두대간 일대인 단목령-구룡령 구간의 산림식생을 보다 더 생태적이고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총 조사구 142개소에 대해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였고 식생조사 및 입지 환경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림식생의 유형은 1개 군락군, 2개 군락, 4개 군, 4개 소군의 단위체계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상재도급 Ⅴ형에 해당하는 신갈나무와 당단풍나무는 대체적으로 향존중으로 나타났으며, 조사 지역의 산림생태계 관리 계획에 있어 중점관리대상종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종다양성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VT3형에서 우점종들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고 VT4 형의 종들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종들이 제일 풍부하게 나타났다. 또한, 단목령-구룡령 구간에서는 희귀식물이 다소 분포하였는데 멸종위기종인 벌깨풀과 위기종인 구실바위취, 취약종인 백작약, 두메대극, 금강초롱꽃, 어리병풍, 약관심종인 등칡, 도깨비부채, 참배암차즈기, 미치광이풀, 병풍쌈 등 총 24종의 희귀식물이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more ecological and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ning of forest vegetations in the Baekdudaegan sector between Danmoknyeong and Guryongnyeong where biodiversity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A vegetation survey using the Zurich-Montpellier (Z.-M.) method of phytosociology was carried out in a total 142 sites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survey showed the forest vegetation types of one community group, two communities, four groups, and four subgroups. Quercus mongolic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which fall under Constancy Class Ⅴ, were dominant species and deemed to be the key species of the forest ecosystem management plan for the investigated areas. Regarding species diversity, it was found that the dominant species of the VT3 type were evenly distributed in the area while the species of the VT4 type showed not only a diverse composition but also the most abundant number of species. Moreover, there were 24 of rare plants found in the Danmoknyeong-Guryongnyeong section: the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include Dracocephalum rupestre; the endangered species include Saxifraga octopetala; the vulnerable species include Paeonia japonica, Euphorbia fauriei, Hanabusaya asiatica, and Parasenecio pseudotaimingasa; the least concern species include Aristolochia manshuriensis, Rodgersia podophylla, Salvia chanryoenica, Scopolia japonica, and Parasenecio firmus.

      • 진해 일대 조류의 종 다양성

        이원호,장지덕,최병인,강성룡,김성진,권기정 동아대학교 부설 기초과학연구소 2004 基礎科學硏究論文集 Vol.21 No.1

        본 연구은 진해항 일대의 조류상을 조사ㆍ분석한 것이다. 조사는 2001년 12월부터 2002년 4월까지 28회를 조사하였다. 센서스 기간 중 총 61종의 조류를 조사 지역내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연 55,115개체가 관찰되었다. 종수의 합계와 총 개체수 그리고 종별ㆍ개체별 출현 빈도에서 유도된 종 중요도는 불은부리갈매기[0.58], 괭이갈매기[0.14], 흰죽지[0.12], 고방오리[0.07], 민물도요[0.07], 참새[0.06], 재갈매기[0.06]가 중요한 종으로 나타났다. 월별 최대 관찰 개체수는 2001년 12월에 46종 5,993개체를 관찰하였으며, 2002년 1월에 37종 7,105개체, 2월에 37종 8,837개체, 3월에 38종 4,106개체, 그리고 4월에 32종 2,819개체를 관찰하였다. 종 풍부도는 4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 다양성과 균등도는 1월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월별 종의 유ㆍ무와 개체수를 비교하여 양방향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2월과 3월의 조류 군집이 유사한(0.69: Pearson Correlation Index)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1월(0.617), 12월(0.522)로 12, 1, 2, 3월이 하나의 cluster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4월이 틀린 cluster를 형성하고 있다. 수금류, 섭금류, 갈매기류, 참새류 등 4가지 중요 군집으로 구분하여 개체수를 비교한 결과 66%가 붉은부리갈매기 외 3종의 갈매기류였고, 21%가 혹부리오리 외 13종의 수금류, 7%가 붉은머리오목눈이 외 21종의 참새목, 5%가 흰물떼새 외 5종의 섭금류, 1%미만의 맹금류, 논병아리류, 가마우지류의 조류로 나타났다. We investigated the abundance and local distribution of birds, in four areas of the jinhae. Data were collected from four areas in the jinhae from 2001 to 2002. In this study, 55115 individual birds of 80 species were censused. We evaluated important species with abundance of birds were as follows: Black-headed Gull[0.58], Black-tailed Gull[0.14], Pochard[0.12], Pintail[0.07], Dunlin[0.07], Tree Sparrow[0.06], and Herring Gull[0.06].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in each month were recorded as follows: 5993 individual birds of 46 species in December(2001), 7105 individual birds of 37 species in January(2002), 8837 individual birds of 37 species in February, 4106 individual birds of 38 species in March, 2819 individual birds of 32 species in April. In study period, the april was the highset richness(R' =0.60) and the January was the highest diversity(H'=2.08) and evenness(E5=0.52) with an expected species number of E[S_(818)]=29. Pairwise similarity declined with increasing distance between recording month and recording month from two different clustered separately in a UPGMA cluster tree. Comparison of population variable at 4 sites of 4 classes was compared as follows: 1.Gull(66%), 2. Waterfowl(21%), 3. Passerine(7%), and 4. Wader(5%).

      • 논 재배방법에 따른 무척추동물 다양성 비교

        심재경,권재현,이인중,이경열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0

        논 생태계의 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세 개 지역의 다양한 벼 재배방법 및 양식별로 수서 무척추동물의 종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영천, 칠곡, 군위 세 개 지역을 선발하여 벼 재배방법별로 2년간(‵10-‵11)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수서무척추 동물은 무처리(제초제무처리)의 경우 종다양도 지수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다른 논에 비해 모이나물벼룩과 꼬마물방개 개체수가 현저히 높았다. 우렁이농법 논에서는 종풍부도가 가장 높았고 채집된 개체수도 가장 많았으며 참물벼룩, 참거머리, 긴깨알소금쟁이 등의 많은 종이 발견되었다. 특히, 참거머리는 무농약 지표생물로서 알려져 있다. 쌀겨재배지에서는 종다양도 지수와 종풍부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 조사 횟수가 다른 재배지에 비해 적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관행재배지의 경우 종다양도 지수에서는 우렁이농법에 비해 0.06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종풍부도 면에서는 종풍부도 지수가 7정도 차이로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우렁이농법의 60% 정도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 강릉일대 수계의 조류다양성 연구

        박정미,최순규,김수일 한국교원대학교 환경과학연구소 2004 환경연구논문집 Vol.- No.8

        본 연구는 2001년 10월부터 2002년 9월까지 월2회, 강원도 강릉시 수계의 조류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주요 조사지역은 연곡천 하구, 경포호수, 남대천 하구일대이다. 조사 기간 중 이 지역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14목 37과 127종이었고, 최대 개체수는 47,617개체였다. 전 조사지역에서 대표적인 우점종은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 청둥오리(Anas platyrhynchos), 갈매기(Larus canus),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로 나타났다. 월별로 관찰된 조류의 개체수는 12월에 8,232개체로 가장 높았고, 월별 종수는 4월에 60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철새 이동시기인 봄과 가을에는 수금류(waterfowl), 갈매기류(gulls)와 더불어 섭금류(wader)가 관찰되어 종 다양성 및 종 풍부도가 높게 나타났다. 각 조사지별 우점도를 비교해 보면, 연곡천 하구에서는 섭금류나 수금류에 비해서 주로 갈매기류가 우점하였다. 경포호에서는 수금류와 갈매기류가 우점하였으며, 남대천하구에서도 수금류와 갈매기류가 우점 하였다. 대표적으로 우점했던 그룹 중 갈매기류는 15종 30,325개체가 관찰되었으며, 이 지역 전체조류 중에서 63.69%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 다른 우점 그룹인 수금류는 22종 13,446 개체가 관찰되었으며, 전체 관찰 조류의 28.24%에 해당된다. 관찰된 조류 중 천연기념물은 9종, 환경부 지정 멸종 위기종 4종, 보호 대상종 10종이 관찰되었으며, 국제보호조류도 8종이 관찰되었다. The bird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a month, from October 2001 to September 2002. Three major study sites: Kyoungpo lake, Yeongok river estuary and Namdae river sites. The birds observed in this area were belonged to 14 order 37 family 127 species. The total number of maximum count was 47, 617 individuals during one year length study period. The evaluation result showed that Black-tailed Gull(Larus crassirostris). Mew Gull(Larus canus), Mallard(Anas platyhynchos) and Spot-billed Duck(Anas poecilorhyncha) were dominant species in the areas. For species richness by monthly account, the highest individuals, 8,232, was observed in December, for the species diversity by each month comparison, the most species, 60, were observed in April. During the birds' spring and autumn migration seasons, the species diversity was higher, especially for wader, waterfowls and gulls in proportion. Dominance record compared for each study sites showed that gulls were mostly dominant at Yeongok river estuary than wader and waterfowls, and waterfowls and gulls were dominant at Kyoungpo lake. Likewise, waterfowls and gulls were dominant group at Namdae estuary site. As for gulls, a major dominant group, 30,325 individuals of 15 species were observed, marking the highest percentage(63.99%) of all the regional bird community. Another dominant group was waterfowls, 13,446 individuals of 22 species were observed, which is 28.24 percent of all. Of all birds observed in the areas, nine species were legally protected as Natural Monument, four species were protected as endangered species and 10 species as protection spec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Eight species were Red Data specie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 KCI등재

        생태계 내 종 다양성(species diversity) 보전의 윤리적 정당화

        이은애(Lee, Eun-Ae)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0 동서인문 Vol.0 No.13

        이 논문은 “종 다양성은 왜 보존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칸트(I.Kant), 싱어(P.Singer), 테일러(P.Taylor), 네스(A.Naess)의 이론과 사상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종 다양성 보전의 윤리적 정당화가 가능할지 모색해 볼 것이다. 우선 칸트의 인간중심주의는 인간의 ‘도덕적 완전성’을 온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자연에 대한 ‘간접적 의무’만을 인정한다. 이러한 칸트의 입장을 루틀리(R.Routley)의 ‘마지막 사람 논증’의 변형 사례에 적용해 보면, 한 사람의 인간을 위해 생태계 내 모든 식물과 동물은 희생될 수 있다. 생태계 내에서 유일하게 본질적이고 내재적인 가치를 지닌 존재는 인간뿐이며, 인간 이외의 존재는 수단적 가치만을 가지기 때문이다. 즉 칸트는 인간존엄성을 견고히 지키지만 인간종족중심주의적인 결론에 이를 수밖에 없다. 싱어는 ‘감응력 이론’과 ‘이익평등고려의 원칙’을 중심으로 동물에게 직접적인 도덕적 지위를 인정한다. 하지만 싱어는 이를 논증하는 과정에서 ‘가장자리 경우 논증’이라는 논리적 허점이 많은 방식을 토대로 하고 있으며, 감응력을 가지는 개체의 이익에만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그 외 존재나 종, 생태계 전체에 대한 고려를 간과하였다. 테일러의 생명중심주의는 생명이 있는 존재라면 ‘목적론적 삶의 중심’으로서 내재적 존엄성을 지님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테일러는 자연 존중의 구체적인 실천규범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일관성 없는 논리적 모순을 드러내었다. 칸트, 싱어, 테일러가 ‘개체’에 초점을 맞춘다면, 네스는 전체론적(총체적) 관점에서 심층생태주의를 제시하였다. 네스는 자연과 인간의 이원적 관계를 해체하고 모든 존재 간의 경계를 해체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네스는 환경보존의 주체인 인간의 역할 및 존재 의의를 부정하는 문제를 드러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체론적 환경윤리와 전체론적 환경윤리 모두 생태계 내 종 다양성 유지의 윤리적 정당화 논거가 되기 어렵다고 결론을 내린다. 그리고 난 후 ‘개방적 인간중심주의’가 종 다양성 보전을 정당화할 수 있는 가장 타당한 환경윤리적 관점임을 주장한다. 개방적 인간중심주의는 ‘인간 존엄성’이라는 토대 위에 ‘생태계의 가치’를 세우는 이론이며, 생태계 속에서 모든 존재가 아름답게 공존할 수 있게 하는 관점이다. The crisis of species diversity, that is, the extinction of species caused by ecosystem destruction constitute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Regarding the question why species diversity should be preserved,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ies and ideas of various thinkers, including I. Kant, P. Singer, P. Taylor and A. Naess, so as to formulate the possibility of an ethical justific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species diversity. First, Kant’s anthropocentrism only recognizes indirect duties to nature in order to keep intact ‘Moral perfection’ of humanity. If we apply Kant’s view to the transformation case of R. Routley’s ‘Last Man example’, all plants and animals in the ecosystem may be sacrificed for one human being on the basis that only human beings have essential and intrinsic values while non-human beings have only instrumental values. In other words, while Kant firmly defends human dignity, he could only reach an anthropocentric conclusion. Singer acknowledges the moral status of animals based on the ‘sentience theory’ and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However, Singer’s method, namely the ‘Argument from marginal cases’, contains many loopholes. As he focuses solely on the interests of sensitive entities, other considerations of unresponsive species and overall ecosystem are overlooked. Taylor’s biocentrism argues that all living beings have inherent dignity as ‘teleological centers of life’. However, Taylor’s presentation of a concrete code of conduct towards the respect for nature has revealed inconsistencies and contradictions in the logic of the arguments. While Kant, Singer and Taylor focus on the ‘individual’, Naess proposed a view of deep ecology from a ‘holistic’ perspective. He invalidates the duality of the nature-human relationship and breaks the boundaries between all beings. Naess’ argument, nonetheless, presents the shortcoming of denying the role and existence of human beings as the agent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us, this paper concludes that both individualistic and holistic environmental ethics cannot constitute ethical justifications for maintaining species diversity in ecosystems. Instead, it is argued that ‘open anthropocentrism’ may present the most legitimate code of environmental ethics. Open anthropocentrism is a theory that establishes the value of ecosystems based on human dignity and embraces the view that all beings can coexist harmoniously in the eco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