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arcia의 청소년 자아정체성 발달 모형에 따른 가톨릭 청년의 종교적 자아정체성과 종교성 관계 연구

        김동기 한국종교교육학회 2011 宗敎敎育學硏究 Vol.37 No.-

        본 연구는 Marcia의 모형에 따른 종교적 자아정체성을 발달을 고찰하기 위하여 세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청년기에 종교적 자아정체성이 연령과 더불어 발달해감에 따라 유예나 성취 상태는 증가하고, 혼미나 유실 상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일 것이다. 둘째, 종교적 자아정체성 발달은 내재적 종교정향, 외재적 종교정향, 추구적 종교정향 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셋째, 종교적 자아정체성 발달은 신앙성숙 가운데 수직적 주제, 수평적 주제, 일반적 주제 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가톨릭 청년(1,872명)이며 5개 집단으로 나누어 발달 경향을 검증하였다. 조사도구는 종교적 자아정체성 상태 측정 문항, 종교정향 척도, 신앙성숙 척도 등이다. 주요 결과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첫째, Marcia의 자아정체성 상태를 종교적 자아정체성 상태로 대체하여 척도화한 네 가지의 정체성 상태 가운데 유예와 성취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유실과 혼미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율이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Allport의 종교정향에서 외재적 정향보다 내재적 정향에서 종교적 자아정체성이 의미 있는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Batson의 내적 정향이 외적 정향보다 종교적 자아정체성 발달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셋째, 종교적 자아정체성은 신앙성숙 정도 차이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수직적 주제를 지향하는 사람이 수평적 주제를 지향하는 사람보다 더 뚜렷한 종교적 자아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원불교의 정체성 정치와 위치

        고병철(高炳哲)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3 No.-

        이 글의 목적은 원불교가 전개한 종교 정체성의 정치를 검토하는 데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자들은 대체로 원불교를 불교나 신종교와 동일시하는 관점을 보여주었다. 그에 비해, 이 글에는 원불교가 정체성의 정치를 통해 중층적인 종교 정체성을 형성해왔다는 관점이 담겨 있다. 이런 관점을 토대로, 제2장에서는 종교 정체성의 변화를 드러내기 위해 원불교의 역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저축조합(1917), 불법연구회기성조합(1919), 불법연구회(1924), 원불교(1948) 등으로 전개된 역사적 과정에서 스스로를 불교단체 또는 신종교로 인식할 수 있는 부분이 원불교 내부에 축적되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1970년대 이후, 원불교의 종교 정체성에 관한 연구 경향을 논쟁 형태로 분석하였다. 여기서 논쟁 형태는 불교와 차이를 드러내어 신종교임을 강조하는 연구 경향, 그리고 불교와 유사성을 강조하는 연구 경향의 구도를 말한다. 그리고 이런 논쟁 구도가 형성된 배경이 원불교 역사에서 축적된 중층적 종교 정체성에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4장에서는 원불교가 사회적으로 전개한 종교 정체성의 정치와 효과에 관해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원불교가, 비록 1970년대 중반 이후 한국불교종단협의회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1948년 이후 불교 연합체에 꾸준히 참여한, 동시에 1962년 이후 범종교 연합체에서 활동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으로 불교와 다른 독자성을 강조하면서 국가장, 군종, 교화위원, 인구총조사, 학문 분류 등의 측면에서 여러 제도적 이익을 획득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원불교의 중층적 종교 정체성이 역사적 경험의 축적물이고, 원불교의 현재 위치가 특히 해방 이후에 종교 정체성의 정치가 만들어낸 산물이라고 지적하였다. 구체적으로, 원불교가 이런 중층적 종교 정체성을 가지고 불교나 신종교와 공존할 수 있었고, 불교와 다른 독자성을 강조하여 불교와 동등한 차원에서 여러 제도적 이익을 획득할 수 있었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런 공존 가능성과 제도적 이익을 고려할 때 앞으로도 원불교가 종파불교나 신종교단체 가운데 어느 한 쪽만으로 종교 정체성을 규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identity politics of Won-Buddhism in Korea. So far, many researchers have claimed that Won-Buddhism is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or a new religion. However, I take the view that Won-Buddhism has formed layered identities as both Buddhism and new religion, through the politics of religious identity. Based on this perspective, in chapter 2(‘Religious identities of Won-Buddhism’), I revealed the multi-layer dimensions of Won-Buddhists’ identities, examining the history of Won-Buddhism, And, I argued that Won-Buddhism can be regarded as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or as a new religion. In chapter 3(‘Controversy between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and a new religion’), I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on identities of Won-Buddhism since the 1970s. Looking at these trends, the researches of the first type have exposed the differences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and have emphasized Won-Buddhism as a new religion. By contrast, the researches of the second type have exposed the similarities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and have emphasized Won-Buddhism as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These trends were made because multi-layer dimensions of Won-Buddhists’ identities. Finally, in chapter 4(‘Won-Buddhism and Identity politics’), I examined the identity politics as Won-Buddhism. Here, I pointed out that Won-Buddhists, though they did not participate in Association of Korean Buddhist Orders since the mid-1970s, have worked in Buddhist association since 1948, not only in the pan-religious coalitions since 1962. As a result, Won-Buddhists could obtain various institutional interests through their identity politics. In summary, Won-Buddhists have formed multi-layer religious identities in their historical experiences, and Won-Buddhism could have existed between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and a new religion through its identity politics. And Won-Buddhism has obtained institutional interests at the similar level with Buddhists organizations. Considering these aspects, we can assume that multi-layer identities of Won-Buddhism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한국인의 정체성과 가톨릭의 종교교육

        鄭賢淑 韓國宗敎敎育學會 2003 宗敎敎育學硏究 Vol.16 No.-

        한 사회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궁극적 가치와 신념체계로 종교의 중요성을 기술한 후, 한국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무(巫)교, 선(仙)교, 불교, 유교 중 조선시대 후기부터 가톨릭 및 서구 문화와의 만남에서 극심한 정체성 갈등을 보였던 유교적 전통과 가톨릭 교리의 상호작용을 고찰했다. 먼저 가톨릭의 수용과정을 역사적으로 간략히 개괄하고, 신관, 윤리관, 사회적 인간관계에서의 정체성 충돌을 논했다. 정체성 충돌의 시기에는 두 신념체계 중 하나를 택해야만 하는 이분법적 흑백논리가 지배했었다. 20세기에 들어서 점차 전통 문화와 가톨릭 교리의 상호이해와 발전이 가능하다는 인식이 늘어나 토착화라는 성숙한 종교교육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21세기에 당면한 한국인의 정체성 붕괴와 혼란은 물질문명에 끌려가는 정신문명의 쇠퇴와 다양한 종교와 문화의 유입에 따른 소용돌이에 큰 원인이 있다. 지금까지 긴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가톨릭 종교교육은 정체성의 재정립과 성숙에 기여해야함을 논했다.

      • KCI등재

        사이버커뮤니케이션과 종교적 정체성, 그리고 사회갈등

        박수호 東洋社會思想學會 2013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

        이 논문은 사이버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종교 생활의 변화가 종교적 정체성과 종교적 배타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로 인한 종교간 갈등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사이버 종교 생활과 종교적 정체성 종교적 배타성에 대한 회귀분석을 통해 기본적으로 사이버 종교 생활이 종교적 정체성과 종교적 배타성을 강화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종교에 따라 사이버 종교 생활이 종교적 정체성이나 종교적 배타성에 대해 미치는 영향이 다름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다양한 영역의 사이버공간에서 종교간 갈등 양상이 빚어지고 있음을 몇 가지 사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종교다원현상이 심화되면서 나타난 종교간 경쟁의 심화는 언제든 종교간 갈등이 유발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그런 맥락 속에서 사이버 종교 생활은 종교적 정체성 및 종교적 배타성을 강화하고, 종교간 갈등에 동원할 수 있는 다양한 행위 목록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이버공간에서 종교간 갈등의 발생 및 심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논문은 종교적 정체성이 사회갈등으로 전화되는 과정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는 점과 미디어, 특히 사이버커뮤니케이션이 종교적 정체성의 형성 및 강화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종교적 정체성의 표출이 다종교 상황에서 어떤 결과를 이끌어 낼 지에 대해서도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studi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cyber-communication, religious life, religious identity, and religious exclusiveness. Then I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inter-religious conflict and cyber-religious life. I was confirmed that cyber-religious life strengthens the religious identity and religious exclusiveness. And I found that influence of cyber-religious life on the religious identity and religious exclusiveness appears differently on religious groups. Also, I have found that a large number of inter-religious conflicts occur in cyberspace. In multi-religious society, the inter-religious conflict can happen at any time due to the deepening of inter-religious competition. Cyber religious life is effecting the development and deepening of inter-religious conflict in cyberspace, through strengthening of religious identity and exclusiveness, providing various action lists that can be mobilized in inter-religious conflict.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emerging process of social conflict from Religious identity, especially the way that cyber-religious life is involved in formation and strengthening of religious identity and religious exclusiveness. In addition, this study is providing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the results to bring the expression of religious identity in a multi-religious context.

      • KCI등재

        사이버커뮤니케이션과 종교적 정체성, 그리고 사회갈등

        박수호 동양사회사상학회 2013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

        이 논문은 사이버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종교 생활의 변화가 종교적 정체성과 종교적 배타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로 인한 종교간 갈등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사이버 종교 생활과 종교적 정체성, 종교적 배타성에 대한 회귀분석을 통해 기본적으로 사이버 종교 생활이 종교적 정체성과 종교적 배타성을 강화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종교에 따라 사이버 종교 생활이 종교적 정체성이나 종교적 배타성에 대해 미치는 영향이 다름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다양한 영역의 사이버공간에서 종교간 갈등 양상이 빚어지고 있음을 몇 가지 사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종교다원현상이 심화되면서 나타난 종교간 경쟁의 심화는 언제든 종교간 갈등이 유발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그런 맥락 속에서 사이버 종교 생활은 종교적 정체성 및 종교적 배타성을 강화하고, 종교간 갈등에 동원할 수 있는 다양한 행위 목록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이버공간에서 종교간 갈등의 발생 및 심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논문은 종교적 정체성이 사회갈등으로 전화되는 과정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는 점과 미디어, 특히 사이버커뮤니케이션이 종교적 정체성의 형성 및 강화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종교적 정체성의 표출이 다종교 상황에서 어떤 결과를 이끌어낼 지에 대해서도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studi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cyber-communication, religious life, religious identity, and religious exclusiveness. Then I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inter-religious conflict and cyber-religious life. I was confirmed that cyber-religious life strengthens the religious identity and religious exclusiveness. And I found that influence of cyber-religious life on the religious identity and religious exclusiveness appears differently on religious groups. Also, I have found that a large number of inter-religious conflicts occur in cyberspace. In multi-religious society, the inter-religious conflict can happen at any time due to the deepening of inter-religious competition. Cyber religious life is affecting the development and deepening of inter-religious conflict in cyberspace, through strengthening of religious identity and exclusiveness, providing various action lists that can be mobilized in inter-religious conflict.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emerging process of social conflict from Religious identity, especially the way that cyber- religious life is involved in formation and strengthening of religious identity and religious exclusiveness. In addition, this study is providing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the results to bring the expression of religious identity in a multi-religious context.

      • KCI등재

        고도 기술사회의 자아정체성 위기와 종교의 대응

        이한메(Yi, Han Meh) 한국종교사회학회 2010 종교와사회 Vol.2 No.1

        본 연구는 고도 기술시대의 자아정체성 위기현상 고찰과 종교를 통한 해법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성찰적 근대’, ‘고도 기술사회’, ‘정보기술’, ‘자아정체성’, ‘종교의 혁신’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종교에 대한 총체적인 진단을 시도한다. 자아정체성이란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역동적이고 성찰적인 심리과정을 뜻한다. 하지만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이러한 자율적 과정들을 억압하는 부작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① 사이버공간과 가상현실 그리고 사이보그로 대표되는 IT는 현실과 가상, 인간과 기술의 경계를 허묾으로써 자아정체성을 분열시킨다. ② 정보화로 인하여 가중되는 개별화 경향은 실존적 불안의 증대를 유발함으로써 자아정체성의 소외와 종속을 초래한다. ③ 세계화 과정을 통하여 나타나고 있는 문화의 수렴현상은 지역문화를 파괴함으로써 문화에 근거한 개인의 자아정체성에 혼란을 가져온다. 이와 같은 자아정체성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종교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이 기대된다. ① 정보사회가 진정한 근대기획을 완성시킬 수 있는 자기성찰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인식하여 이를 종교적 체계로 수용해야 한다. ② 사이버공간의 본질적 속성인 근접성과 대속적(代贖的) 성격을 활용함으로써 사회적 관계에서 소외된 개인들에게 영적인 힘을 부여해야 한다. ③ ‘신앙의 대상’, ‘신앙의 주체’, ‘신앙의 방법’으로 대표되는 탈근대적 신앙양식의 전환이 성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탈근대적 종교관인 다원주의가 요청된다. To present a solution to ‘the phenomenon of identity crisis’ in a high-technology society this study offers a viewpoint from religious grounds. For a holistic diagnosis of the relations between modern society and religion, concepts such as reflexive modernity, cyber culture, self-identity, and innovation in religion must be accounted. Self-identity incorporates psychological functions such as recognizing one’s own existence and defining one’s own life. The concept of self-identity is not a fixed entity but a dynamic and introspective psychological process. However,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hindering this autonomous process, resulting in multiple side effects evident these days. First, the information technology ? as represented by cyberspace, virtual reality, and cyborg ? jeopardizes self-identity by blurring the lines between real and virtual worlds and/or between the huma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econd, individualism aggravated by the active nature of cyberspace alienates self-identity by fostering existential anxiety. Third, the phenomenon of cultural convergence due to globalization results in the destruction of personal identity, which is based on local culture. The modern society should first recognize the capacity of the information society to accommodate self-reflection by introducing a religious system. Moreover, the proximity and substitution that are the essential properties of cyberspace can provide spiritual power to alienated individuals. A postmodern ‘mode of faith’ must be established. The crises of self-identity can be solved by religious means.

      • KCI등재

        종교개혁자 루터에게 나타난 기독교 교육적 함의 - 예수의 인자 자의식과 성도의 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 -

        채혁수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7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으며, 한국교회의 침체와 성도감소, 특히 교회학교, 중고등부와 청년부의 쇠퇴를 보며, 청소년, 청년기의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자아정체성 확립의 중요성을 되새겨 봄으로, 이로 인한 다음세대인 교회학교와 청년층의 부흥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논문의 필요와 목적이다. 본 연구는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가 어떠한 역사적 정황과 생애적 상황 속에서 자아정체성을 찾아나갔는지를 심리학적으로 살펴보며, 그 본(本)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인자정체성속에서 한국교회와 성도들의 정체성위기를 돌파 할 기독교 교육적 제언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역사적 인물인 루터의 자기발견 내지는 개성화가 선행연구인 청년루터에 대한 역사적 심리학적 연구를 시도한 에릭 에릭슨(Erik H. Erikson)이 말한 자아정체성(self-identity)과의 관계들을 통해 살펴보며, 그 대안적 제시로 오늘날 한국교회 성도의 그리스도인 자아정체성확립이라는 과제 속에 예수의 인자정체성을 통해 그 실마리를 찾아보려는 것이다. 루터라는 종교개혁자의 개혁사상이 인간 마르틴의 자아 정체성과 함께 어떻게 확립되어 나갔는지를 먼저 선행연구인『청년루터』를 통해 살펴보고,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의 이러한 자아정체성의 갈등과 부모의 이미지 속 하나님에 대한 투사들을 어떻게 극복하고, 자기발견 내지는 개성화를 이루었는지를, 칼 융(C. G. Jung)이 말하는 “의식,”과 그리고 “개인무의식”과 “집단무의식”의 요소들 속에 루터를 대입시켜 보며, 분석 심리학적 측면으로 다루어 볼 것이다.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 어떠한 정체성을 가져야 하며, 또 어떠한 정체성을 가진 그리스도인으로 자라나는 세대를 양육해야 할 것인가?’ 이 실천신학적이고 기독교교육학적인 질문들의 대답을 위한 분석으로 본고는 랄프 타일러(Ralph W. Tyler)가 말한 교육학의 두 체(screens) 중 하나인 심리학을 사용할 것이다. 기존 발달심리학, 그중에서도 사회적 발달심리학으로 역사속의 인물 루터를 탐구하였던 에릭슨의 선행연구를 본으로 하여 융의 분석심리학의 주장들을 빌려와 페르조나를 벗고, 그림자를 극복하여, 자기를 찾아 개성화를 이루어 종교개혁의 대업을 이루었던 루터의 전인적 정체성 확립의 모습 속에서 그가 역사적으로 갈구했던 성경 속 예수님의 인자로서의 메시야정체성의 본을 통하여 그 해답을 찾으려는 것이다. Facing the 500 year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this study will explore an alternative to reform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nd Christians with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We Korean Christians have experienced an absence of self-identity as Christians. What should we Christians identity with? And how should we Christian teachers teach the next generation, with a healthy identity based on a sound theological confession?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questions,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components: First, through a psychological approach, this study will explore how Martin Luther's identity is to be established by Erik Erikson's theory. Second, applying Luther's case to C. G Jung's elements of personal unconscious and collective unconscious, this paper will deal with the process of Luther and how he had overcame his shadows in his period of growth and found 'the self' through individualization. Third, in order to get a clue to solve the task of the identity crisis of Korean Christians, this paper will explore the son of man Christology from the perspectives of systematic theology and biblical theology. Luther was a man who fought to overcome his complex with a balance between archetype and complex and his shadow with a balance between ego and shadow. He tried to get over distorted images of parents and God in personal unconscious and collective unconscious. Finally, he accomplished the Reformation, finding a balanced, harmonized, and holistic self. With the help of Jung's psychological perspective, I will trace a historical person, Luther, in this study, based on the psycho-historical study of Luther by Erik Erikson and theological approaches about the Son of Man Jesus as precedent studies. Through Martin Luther's case study, examining how he looked forward to his identity, I would like to offer several suggestions about Christian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ir identity crisis for Korean Christians with a role model of Jesus Christ's Son of Man identity.

      • KCI등재

        기독교인의 종교적 서사정체성과 영적 웰빙 간 종교성향의 매개효과

        장상원,김혜민,허유진,이윤희,박선웅 기독교학문연구회 2024 신앙과 학문 Vol.29 No.1

        본 연구는 종교적 정체성과 영적 웰빙 사이의 관계와 이 둘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내재적 종교성향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121명의 기독교인 참여자들이 영적 웰빙과 종교성향 척도에 응답하였고, 이 후에 자신이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되었는지에 대한 서사문을 작성하였다. 수집된 서사문은 종교적 자기개념의 내면화로 형성된 종교적 정체성 수준에 따라 4명의 코더에 의해 코딩되었다. 그 결과, 서사에 나타난 종교적 정체성은 영적 웰빙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이 관계를 내재적 종교성향이 매개하였다. 추가적으로, 외재적 종교성향도 종교적 정체성과 영적 웰빙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종교성향과 영적 웰빙을 연구하는 데 있어 내면화된 종교적 자기개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religious identity and spiritual well-being and the mediating role of intrinsic religiosity between the two. Participants who were Christian (N = 121) completed measures of spiritual well-being and religious orientation and wrote a narrative about how they had become Christian. The collected narratives were coded by four trained coders based on the level of religious identity through internalization of religious self-concept.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religious identity coded from narratives and spiritual well-being, and this relation was mediated by intrinsic religiosity. In addition, extrinsic religiosity also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religious identity and spiritual well-being. The present research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internalization of religious self-concept in understanding religious orient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among Christians.

      • KCI등재후보

        기독교교육 :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손정위 ( Jeong We So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5 神學과 宣敎 Vol.4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기독교종교교사들의 삶과 경험을 자료로수집하여 그들의 삶과 경험이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그리고 연구의 결과를통해서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이 연구는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해 2014년 현재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과 4학년40명과 대학원생 5명이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정체성 형성과 그들의삶의 이야기를 연결하기 위해서 몇 가지 문제를 제시하였고 그 문제에대한 답을 이야기 형식으로 서술하게 하여 내러티브를 수집할 수 있었다. 여러 차례의 자료수집 강화 과정을 통해서 학부생 28명과 대학원생3명, 총 31명의 자료가 채택되었다. 자료 분석을 통해서 각 문제마다예비교사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삶의 이야기가 무엇인지에 집중하였고, 이야기를 범주화하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들을주제어 중심으로 정리하였는데, 빈도가 흔한 것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 예비교사에게 아주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내러티브에도 집중하였는데, 그 특별한 이야기와 교사 정체성 형성과의 관계에 집중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내러티브의 종합적인 의미를 해석하였고 논의를 통해서기독교예비종교교사의 새로운 정체성의 가능성을 진단해 보았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들이 정체성을형성하는 데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사람들은 부모님들이었으며, 그분들의희생과 사랑의 정신이 그들로 하여금 희생과 사랑의 교사라는 정체성을형성하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기억에 남는 수업으로는 수업에서선생님이 자신의 마음을 열고 학생들과 교감한 것을 많이 언급하였는데, 이 경험이 수업에서 인격적으로 학생들과 교류하는 교사의 정체성을형성하게 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실습 경험을 통해서 자신을 더 반성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교사로서의 모델이 될 만한 현직교사를 만남을통해서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의정기적인 행사뿐 아니라, 자신의 인생의 삶에서 경험하였던 여러 가지일들이 정체성 형성에 도움이 되었는데, 주로 사람들과의 관계에 관련된것이었다. 이는 사람을 돌보고 이해하고 회복시켜주는 경험들이었고, 이 경험들이 기독교 종교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과 관련해서 자유학기제와 관련된 인성교육과 교사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장치로서 교사 실행 공동체의 중요성에 대한논의를 전개하였다. 기독교 종교교육의 고유성을 지킬 수 있는 성경과기독교 세계관에 대한 내용의 중요성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and experience of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and his/her teacher`s identity formation process. This study researches new possibility about the identity of Christian religious teacher. This study is process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narrative analysis. In order to carry out this project, 40 senior students and 5 graduate students are involved. This study collects research data by having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make narrative of his/her whole life in relation with teacher identity formation. And also, through out severe data collecting process, finally the data from 38 senior student and 3 graduate students are collected. Data analysis is carried out by careful data reading and categorizing the data with key words presented in their narrative. This categorization is used to find out what elements of life experience influence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formation. As a result, parent`s influence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in terms of influencing teacher`s identity formation, this influence is connected with the character of love, commitment, trust presented parent`s life. In addition, the most impressive classes are connected with teacher`s attitude of trying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in class, this teacher`s attitude influences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formation. And also, life experience in the campus as well as campus out side influence teacher identity formation, this experience mainly connected with caring, serving, servant-hood. In a discussion, this research proposes humanism education in regard to new identity of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because the main elements of humanism education are similar to elements which make help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forms his/her identity. Because this humanism education is connected with ‘Free Semester System’ which is one of the most hot issues in Korean education system recently. And also, this project suggests the importance community of practice for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formation because through out this community activity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can learn the heart of teacher which should be shared with students in the class, which is one of key points of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peculiarity of Christianity in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KCI등재

        근대 불교의 종교 비교 방법을 통한 정체성 인식

        김성연 ( Seong Yeon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3 韓國思想史學 Vol.0 No.45

        종교의 자유가 허용된 이후 종교다원주의 사회로 변모한 조선에서 불교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체제의 개선과 대중화도 중요했지만 무엇보다 근대적 종교정체성의 확립을 필요로 했다. 근대 불교의 종교 이해는 타종교,특히 기독교의 거센 비판에 대응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문명 종교로서 민중의 고통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사회적 차원에서 불교의 종교적 성격이 도출되었다. 주목할 것은 불교지식인들이 종교를 정의하는데 있어 그 방법론으로 비교종교학의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들은 타종교와의 비교를 통해 불교의 종교적 성격을 부각시켰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근대 종교에 대한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문명종교라고 인식된 기독교의 강한 비판이 있었기에, 종교 비교를 통해 이끌어낸 불교의 특성 이해는 전반적으로 무신론(無神論)이라는 인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이것은 천지창조의 일신교적(一神敎的)기독교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이루어졌던 반론으로서, 불교가신을 믿는 종교가 아닌 자유의지에 의한 해탈(성불)을 궁극의 목표로삼은 종교라는 점에서 강조된 것이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종교로서의 가장 큰 특징으로 철학적 성격을 역설하였다. 그러나 불교의 무신론,철학적 특성은 새로운 근대 개념인 종교 인식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기보다는 전통적으로 계승되어 온 불교만의 특색이기도 하다. 이렇게 불교 지식인들은 본래 불교만의 특성을 가지고 근대 종교의 성격에 맞추어 재해석을 시도했으며, 그것은 바로 불교의 근대 종교적 위상과 정체성의 형성으로 이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