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1876년 조일수호조규 체결과정의 재구성 : '심행일기(沁行日記)'와 몇 가지 미간문헌에 기초하여

        김종학 한국정치학회 2017 한국정치학회보 Vol.51 No.5

        This article, based on some primary sources including Shin-Hun’s Simhang-ilki (Daily record of Kangwha negotiation), reconstructs the negotiation process of the Kangwha Treaty of 1876. It has been generally regarded as an unequal treaty coerced by Japan. A close examination on the primary sources, however, indicates that the aim of Japan’s delegation was very limited from the beginning and reveals that it often resorted to conciliatory measures or deceptions under the table. The Okubo Toshimichi regime at that time, as a means of escaping from the domestic political predicament and of bringing Chǒsun problem to a conclusion, tried to “open” Chǒsun by the so-called gunboat diplomacy following the precedent of Commodore Matthew C. Perry. But the fundamental dilemma that the regime faced was that it actually had no power or will to attack Chǒsun. It was such a dilemma that made the Kangwha Treaty an imperfect unequal treaty, neither the mistake of the Japan envoy Kuroda Kiyotaka nor the effective response of the Chǒsun government. 이 글은 신헌(申櫶)의 '심행일기(沁行日記)'와 '을병일기(乙丙日記)', 그리고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몇 가지 미간문헌들에 기초해서 1876년 조일수호조규(강화도조약)의 체결과정을 재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조일수호조규는 조선에 강요된 불평등조약 또는 조선 정부의 자주적 개국의지의 산물로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 검토한 문헌들은 조약체결에 임하는 일본 측의 목표가 처음부터제한적이었으며, 공식 협상과정의 이면에서 여러 가지 회유와 기만책이 사용됐음을 폭로한다. 당시일본의 오쿠보 도시미치(大久保利通) 정권은 메이지 유신 이래 수년 간 이어진 조선 문제의 결착(結 着)을 짓고, 또 국내의 정치적 곤경에서 벗어나기 위한 수단으로 미국의 페리(Matthew C. Perry) 제독의 선례를 모방해서 포함외교 방식으로 조선과 불평등조약을 체결하는 방식을 고안했다. 하지만그들이 직면한 근본적 딜레마는 현실적으로 조선에 대해 전쟁을 벌일 능력도, 의지도 갖고 있지 않다는 데 있었다. 조일수호조규가 결국 불완전한 불평등조약이 된 것은, 전권변리대신 구로다 기요타카(黑田淸隆)의 실착이나 조선정부의 능동적 대응 때문이라기보다는 이러한 딜레마가 빚어낸 결과였다.

      • KCI등재

        조일수호조규 체결 후 일본 군함 호쇼(鳳翔)의 조선 해안 최초 측량과 그 의의

        韓哲昊(Han, Cheol-Ho) 고려사학회 2021 한국사학보 Vol.- No.83

        일본이 조일수호조규에서 획득한 조선 해안 측량권은 향후 조선을 침략하는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이는 서양 열강이 중국 · 일본과 맺은 조약에서도 규정되지 않은 매우 불평등한 독소 조항이었다. 일본은 1875년 운요호사건을 일으킨 후, 부산 왜관과 거류민의 보호라는 명분으로 군함을 부산에 파견하였다. 호쇼함은 그해 12월에 부산에 도착한 이래 무력시위를 벌였으며, 기관 고장으로 예정대로 강화도로 떠나지 못하고 부산에 머물러 있다가 1876년 2월 남해안을 측량하였다. 이러한 호쇼함의 측량은 강화도조약의 체결 사실을 통보받지 않은 상황에서 단행된 불법 행위였지만, 조일수호조규는 체결 당일부터 시행되었기 때문에 형식상 최초의 합법적인 조선 해안 측량이 되었다. 호쇼함은 영국 해도 제104호에 정보가 가장 미흡하게 기재된 지역인 부산에서 남해도까지를 대상으로 삼아 해안과 섬들의 수심 · 지형 · 지명 · 정박지 등을 측량하였다. 또 호쇼함이 육지에 올라가 측량하는 과정에서 조선인들이 총을 쏘고 돌을 던지며 격렬하게 방해하는 사건도 벌어졌다. 호쇼함은 측량 상황을 자세하게 기록한 「朝鮮南岸航行日記拔抄」를 보고서로 제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로부는 4개의 해도를 제작했으며, 수로지를 편찬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처럼 호쇼함의 측량, 그 결과인 보고서 작성, 그리고 해도와 수로지의 편찬으로 이어지는 유기적인 과정은 향후 일본 군함의 조선해안 측량에 대한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The right to survey the coasts of Korea Japan acquired through the Korea-Japan Treaty of 1876(the Treaty of Kanghwa) became an important stepping-stone for Japan’s future invasions of Korea. This clause was particularly unequal and thus poisonous in that no such clause was found in treaties Western powers concluded with China and Japan. This essay sheds light on how Japan surveyed the Korean coast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urveying activities by examining the movements of the Japanese warship Hosho that surveyed the coasts for the first time and how the information thereby gathered came to be used in the making of nautical charts and sea directories. After the Kanghwa Island incident in September 1875, Japan dispatched warships to Busan under the pretense of protecting Japanese diplomats and citizens residing in the city. Upon arriving in Busan by December of that year, Hosho staged armed protests, and then was sent to Shimonoseki, where she was tasked with urging the Japanese government to authorize the deployment of additional forces. The vessel, due to an engine breakdown on the way to Busan, was forced to stay in that city instead of sailing for Kanghwa Island as she was scheduled to and then proceeded to survey the southern coasts. While being problematic given that the ship’s crew was not notified of the signing of the Treaty at that time, the act was, technically speaking, the first survey of the Korean coasts legally conducted because the Treaty went into effect upon signature. From February 29 to March 10, 1876, the warship Hosho, traveling between Busan and Namhae Island, collected information on the depths, currents, geographical features, and names of the southern coastal areas and islands. There, the focus lay in locating places where ships, both military and civilian, could be safely anchored. When the sailors came ashore and conducted their survey, Koreans violently interrupted them firing guns and throwing stones. Hosho submitted the report detailing its surveying activities. Japanese Hydrographic Office(JHO) published four nautical charts with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hip, which later furnished a basis for the compilation of sea directorys. It is noteworthy that the steps taken by the Japanese-the military vessel Hosho’s survey, the submission of the survey report, and the publication of nautical charts and sea directorys-set a pattern for subsequent surveys of the Korean coasts by Japanese warships.

      • KCI등재

        조일수호조규 체결과정에서의 오경석의 막후활동: 개화당 기원의 재검토

        김종학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6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veil the behind-the-scenes activities of the official interpreter Oh Kyung-Suk(吳慶錫) in the treaty of Gangwha(1876) and to revisit the origin and political aims of so-called Gaewha-Dang(開化黨). As the United States fleet approached to Choson in 1871(辛未洋擾), Oh Kyung-suk insisted on the making of the treaty. But rejected by Taewon-gun(大院君) who seized power at that time, pursuing the opening and the thorough reformation of the nation, he contrived the plan of inviting foreign forces to shock Chosun people on the one hand, and gathering secretly young nobles to access to power on the other hand. From 1874 to 1875, he had already been to the British legation in Beijing secretly three times and asked for sending fleet to open Chosun coercively. And in 1876, he again colluded with the Japanese to make the treaty of Gangwha in their favor and advised them to display power. As the secret society Gaewha-Dang which would mount the Gapsin Coup of 1884 was formed under the guidance of Oh Kyung-Suk and his close friend Yu Dae-Chin(劉大致) in 1871, the secret activities of Oh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origin of Gaewha-Dang. 이 논문의 목적은 조일수호조규(강화도조약) 체결과정에서의 역관 오경석(吳慶錫)의 막후활동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화당의 기원과 정치적 목적을 재검토하는 데 있다. 오경석은 1871년 신미양요 당시 흥선대원군에게 대미수교를 권고했다가 실패한 후, 조선의 개국(開國)과 근본적 혁신을 위해 한편으로는 외국의 힘을 불러들여서 조선인들에게 충격을 주고, 다른 한편으로는 비밀리에 양반 자제를 규합해서 정권에 접근하는 방안을 구상했다. 그는 이미 1874년부터 1875년까지 3차례나 북경주재 영국공사관을 비밀리에 방문해서 조선에 군함을 파견해서 무력으로 개국시켜줄 것을 요청했으며, 1876년에는 다시 일본인들과 내통하며 그들에게 유리하게 조일수호조규가 타결되도록 협력하고 조선에 대해 무력을 과시할 것을 조언했다. 훗날 김옥균(金玉均)을 중심으로 갑신정변을 일으키는 비밀결사 개화당은 1871년을 전후하여 오경석과 유대치(劉大致)의 공모로 결성되었는바, 이를 전후한 오경석의 비밀스러운 행적은 개화당의 기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개항 초기(1876~1880) 釜山駐在 日本管理官의 파견·활동과 그 특징

        최보영 동국사학회 2014 동국사학 Vol.57 No.-

        본 연구는 1876년 10월 일본이 부산에 파견한 釜山駐在 日本管理官의 파견경위와 그들의 활동을 분석해 개항 초기 일본의 대조선 인식과 외교정 책의 초기형태를 고찰한 것이다. 관리관은 1880년 2월 부산에 領事가 파견 되기 전까지 조선에 상주한 최초의 근대적 외교관이다. 일본은 1871년 영사관제를 마련해 본격적으로 해외 곳곳에 영사를 파 견하였다. 부산 개항 이전에 이미 일본은 11개 도시에 영사를 파견할 정도 로 영사파견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개항 당시 조선의 대일감정의 악화 등으로 말미암아 근대적 제도인 영사를 파견하지 않고 관리관이라는 새로 운 명칭의 외교관을 파견하였다. 관리관은 일본이 오직 부산에만 파견한 독특한 명칭의 외교관인 것이다. 이시기 파견된 관리관은 네 명으로 이들은 모두 해외경험이 있거나 개 항 전 조선에서 활동한 적이 있는 인물들이었다. 그리고 이들은 이후 조선 의 개항장에 영사로 재부임하는 경우가 많았다. 원산의 초대 총영사와 부 산의 초대 영사는 모두 관리관 출신이었던 것이다. 영사에 준하는 관리관 은 자국민을 보호하고 무역상 이익을 확장시키는 데 주력하였을 뿐만 아니 라 조선과의 외교현안을 협의하고 처리하는 등 공사의 대리업무까지 수행 하며 실로 다양하게 활동하였다. 개항 초기 파견된 관리관은 부산으로 이 주하는 자국민의 정착과 세력 확장을 위한 첨병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개항 초기(1876~1880) 부산주재(釜山駐在) 일본관리관(日本管理官)의 파견,활동과 그 특징

        최보영 ( Bo Young Choi ) 동국사학회 2014 동국사학 Vol.57 No.-

        본 연구는 1876년 10월 일본이 부산에 파견한 釜山駐在 日本管理官의 파견경위와 그들의 활동을 분석해 개항 초기 일본의 대조선 인식과 외교정책의 초기형태를 고찰한 것이다. 관리관은 1880년 2월 부산에 領事가 파견되기 전까지 조선에 상주한 최초의 근대적 외교관이다. 일본은 1871년 영사관제를 마련해 본격적으로 해외 곳곳에 영사를 파견하였다. 부산 개항 이전에 이미 일본은 11개 도시에 영사를 파견할 정도로 영사파견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개항 당시 조선의 대일감정의 악화 등으로 말미암아 근대적 제도인 영사를 파견하지 않고 관리관이라는 새로운 명칭의 외교관을 파견하였다. 관리관은 일본이 오직 부산에만 파견한 독특한 명칭의 외교관인 것이다. 이시기 파견된 관리관은 네 명으로 이들은 모두 해외경험이 있거나 개항 전 조선에서 활동한 적이 있는 인물들이었다. 그리고 이들은 이후 조선의 개항장에 영사로 재부임하는 경우가 많았다. 원산의 초대 총영사와 부산의 초대 영사는 모두 관리관 출신이었던 것이다. 영사에 준하는 관리관은 자국민을 보호하고 무역상 이익을 확장시키는 데 주력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선과의 외교현안을 협의하고 처리하는 등 공사의 대리업무까지 수행하며 실로 다양하게 활동하였다. 개항 초기 파견된 관리관은 부산으로 이주하는 자국민의 정착과 세력 확장을 위한 첨병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던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details of dispatch of the Japanese``s Gwanrigwan to Busan and their activities, and is to consider the recognization of Japan to Chosun and diplomatic policy at the early of Opening of Port. The Japanese``s Gwanrigwan was the first modern diplomat residing in Chosun before the dispatch of Japanese consul in Busan on February 1880. After organizing the system of the Consul in 1871, Japan had sent the consul to abroad. Dispatch a consul was a general practice to Japan that had sent a consul to 11 cities before the Opening of Busan Port. But in those days of Opening of Port, due to the anti-Japanese sentiment Japan had not sent a consul who was a modern diplomat but a Gwanrigwan who was titled newly. Gwanrigwan who was sent only to Busan was an unique official name four men was dispatched at this times, but they had overseas experiences or activities in Chosun. And most of them had restarted for their post as a consul of opening ports in Chosun. The first consul general in Wonsan and Busan was a former Gwanrigwan. Receiving the same treatment of as consul, Gwanrigwan had protected Japanese in Chosun, promoted the interest of their traders, and discussed diplomatic issues with Chosun, and performed the proxy task of diplomatic minister. After all the analysis, the Gwanrigwan who was sent in Chosun at the early of Opening of Port was working as an advance guard for settlement of Japanese in Busan and the extension of their power into Chosu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