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박물관 전시를 활용한 통치의 장으로서 식민지 시기 경복궁 개방 공간의 재편 과정

        전가람(Jeon, Ka Ram),성종상(Sung, Jong Sang)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1 서울학연구 Vol.- No.84

        본 연구는 식민지 시기 경복궁 개방의 주된 프로그램 요소로서 박물관과 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전시가 궁궐의 개방이라는 문제에서 어떠한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경복궁을 개방하고 그 프로그램으로 박물관을 도입하는 구상은 사실상 1910년대 당시 조선총독부 청사 건립 계획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당시 박물관 설치 구상은 경복궁 궁역의 재편이 조선총독부에 의해 배타적·폐쇄적으로 점유되는 형태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나마 식민지 사회에 대한 개방을 염두에 둔 것이었을 가능성을 내포한다. 경복궁 내에 박물관이 설치된 최초의 사례는, 1915년에 개관한 조선총독부 박물관이다. 개관 초기(1915~1921 추정)에는 조선총독부가 확보한 유물을 전시하는 동시에, 조선물산공진회의 전시 공간을 재활용·재편한 심세관과 교통관이 박물관 전시를 구성했다. 이는 식민지 초기 식산흥업 정책과 관련이 있는 구성으로 보인다. 이후 1921년 및 1926년의 전시 개편을 거치며 조선총독부 박물관의 전시내용은, 식민 주체의 역사 인식을 유물 전시를 표상하는 것에 집중되었다. 이후 1935년에는 시정 25년 기념 종합박물관 계획이 수립되어, 조선총독부 박물관과 남산의 과학관을 통합 이전한 형태의 미술 박물관 및 과학 박물관과 자원관이 계획되고, 추후 조선총독부 미술관의 건립도 추진된다. 이와 같은 계획은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문화 및 식산흥업 정책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종합박물관 계획에서 실제로 완성된 것은 조선총독부 미술관이 유일하며, 과학 박물관은 전시체제기의 정책적 필요성에 의해 공사가 추진되었으나 해방을 거치며 미완성에 그친다. 상기한 논의를 통해 식민지 시기 박물관 전시를 활용한 경복궁 개방에 대한 두 가지 해석을 제시하였다: 먼저 식민지 시기 박물관과 그 전시를 통한 경복궁의 개방은 조선총독부의 제국주의적 가치관 및 정책적 변화와 밀접하게 연동되어 변화해온 통치의 수단으로서 그 성격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식민지 시기 박물관을 활용한 경복궁 개방은, 해방 이후의 경복궁의 활용 방식에 있어 부분적으로나마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opening of the Gyeongbokgung Palac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terms of the opening of the museum and its space. The idea of opening the Gyeongbokgung Palace and introducing the museum through its program can actually be traced back to the plan to build the building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the 1910s. At that time, the idea of the museum was not only in the form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Gyeongbokgung Palace being exclusively and clos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ut also implied that it was partly intended to open up the colonial society. The first case in which a museum was established inside the Gyeongbokgung Palace was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which opened in 1915. In the early days of its opening(1915-1921 estimation), the museum was exhibited by the Hall of Current Conditions and the Hall of Transportation, which recycled and reorganized the exhibition space of the Joseon Industrial Expo(1915). This seems to be a composition related to the early colonial policy of food production. After the reorganization of the exhibition in 1921 and 1926, the contents of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focused on representing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colonial subjects. In 1935, the plan of the general museum for the 25th anniversary of rule was established, and the history museum, resource museum, and science museum were also designed, with the plan of moving and integration of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and Namsan Science Museum. And in addition to these plans, the plan of the Museum of Arts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was set up. Such plans can be interpreted as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and colonial industry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the 1930s. However, the only museum that was actually completed in the general museum plan was the Museum of Arts of Korean Government General, and the science museum was constructed due to the policy needs of the wartime regime but was not completed until the liberation(1945). As results of this study, Two interpretations of the opening of the Gyeongbokgung Palace using the museum’s exhibi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were presented: the museum and its exhibition were closely linked to the imperial values and policy changes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addition, the opening of the Gyeongbokgung Palace using the museum during the colonial period is likely to be a preliminary form of the use of the Gyeongbokgung Palace after the liberation.

      • KCI등재후보

        1915년 조선총독부박물관 설립에 대한 연구

        김인덕 서울역사편찬원 2008 서울과 역사 Vol.- No.71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역사박물관으로 1915년 설립되었다. 그러나 여기에는 본질적인 문제가 있었다. 첫째, 조선의 박물관제도가 일제의 정책 입안자나 학자들에 의해 임의로 조직된 식민지 문화통치의 산물이었다는 점이다. 둘째는 전시와 소장품들이 고적조사의 성과물과 기탁ㆍ구입품ㆍ기증 자료 등으로 민족의 근원을 밝히기 보다는 왜곡된 역사인식을 위해 준비된 입증자료였다는 점이다. 셋째는 총체적인 역사 문화의 식민지지배를 위한 시스템을 조선총독부박물관이 주도했고, 특히 제도상의 정비와 사업의 본격적인 조직화를 통해 역사왜곡에 있어 실제적인 중심에 있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1915년 설립 때부터 독립된 기관으로 존재하지 않았다. 초창기부터 조선총독부 총무국에 소속되었다. 그 후 소속 부서가 바뀌기는 했으나, 조선총독부 산하 기관이라는 지위에는 변함이 없었다. 그리고 일본의 패전에 의해 폐관될 때까지, 독립된 직제가 없이 조선총독부 소속 사무관이 주임으로서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업무를 총괄했다. 결국 주사 행정을 수행했던 것이 조선총독부박물관이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일상적인 박물관의 업무는 진열·보관·열람·고적조사·유적조사 등의 각종 조사와 매장문화재 취급에 대한 일이었다. 이와 함께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설립 다음해인 1916년부터 고적조사의 중심기관으로 발굴을 계획하고 진행하며, 그 결과를 보고서로 작성하여 역사 왜곡의 내용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여했다. 1915년의 경우도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유물은 공진회 인계물품, 내무부 및 회계과 보관고물, 내무부 편집과 조사 수집품, 참사관 분실 보관품, 고적조사물품, 구입품 등으로, 그 중심은 공진회의 인계물품이었다. 이 가운데 삼국시대의 유물의 비중이 많다. 거기에는 동화주의와 만들어낼 필요가 있는 고대 조선의 모습을 위해서였다. 조선총독부는 침략과 동화라는 이중적인 요소를 통해 식민 지배를 위한 이데올로기의 선전도구로 조선총독부박물관을 만들었던 것이다.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had a plan to build complex museum since 1915 at the time museum established. However, it was just an illusion. The reality was just a place to make the people of Chosun into the subjects of Japanese Empir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classified itself as a historical museum.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essential problem. First of all, Chosun’s museum system made by policy maker or scholars which meant it was product of cultural policy by Japanese imperialism. Second, exhibition and collections could not make its origins clear with outcomes from investigating historical remains, donation, purchased but more like supporting evidence to distort historical understanding. Third,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lead the whole ruling colony with historical culture system. In particular, they were in the middle of historical distorts throughout consolidation and systematization. Since the establishment, in 1915,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did not exist as independent. They were under the general affairs bureau from the beginning. Since then, there had been alternation of position but still they were under bureau. Until the closing because of Japan’s defeat, administrative official from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was the leader of museum and he generalized all the tasks. Eventually, the place did scan and have administration was th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The tasks that normally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did was exhibition, custody, inspection, investigation of historical remains. Those were managing buried cultural assets and various kinds of researches. With this, a year after foundation(1916),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devoted to historical distortion’s basis throughout reports of processing excavation and plan and as a central agency. All the relics from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in 1915 were from GongjinHyoe in large; GongjinHyoe’s hand over things,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and the accounting session’s charged antiquities, the compilation of Ministry of Home Affairs, investigated and collected antiques, missed articles in custody from councilor, articles of the investigating historical remains, and purchased antiquities. Most of these were placed in great deal of weight in the age of Three States. Because there was a purpose for the assimilation and the perversion of the ancient Chosun’s features. Government-General of Chosun built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for two important factors; aggressions and assimilation. It was for ideology’s instrument of propaganda. Henceforth,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had historical limitation.

      • KCI등재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상설 전시와 식민지 조선 문화 -전시 유물을 중심으로-

        김인덕 서울역사편찬원 2010 서울과 역사 Vol.- No.76

        근대 역사학에서 식민지 경험은 각종 현재적 문제를 풀어내는 요소를 제공하며 동시에 발전지상주의적 근대성론이 갖고 있는 정치적 목적지향론에 대한 객관적 시점을 제공한다. 동시에 지역의 다양성에 대한 역사적 경험에 대한 객관화를 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전시는 미학, 흥미위주의 전시와 정보를 제공하는 전시 그리고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전시 등이 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정치적인 의도가 전제된 조직된 왜곡의 현장이었다. 특히 시종일관 관장을 겸임한 藤田亮策과 같이 철저하게 관변학자의 조직적인 지도와 지원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전시학적인 차원에서의 합리적인 전시는 오브제들 사이의 유사성과 유전학적 관계 보편성에 기초한 전시를 시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총독부박물관 전시는 본질을 흐리는 전시로밖에 설명이 불가능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위치상으로 볼 때 국가 조선과 조선 황실의 권위를 의도적으로 축소하는 데서 출발했다. 황실을 전시공간으로 만들고 역사성이 일탈된 공예품적 관점의 전시를 의도한 것이 조선총독부박물관이었다. 실제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전시는 공진회의 미술관을 계승하면서 출발하여 의도된 공간이었다. 조선총독부라는 지배자의 의도가 반영된 전시는 왜곡된 고대사와 축소된 조선시대를 핵심적인 공간으로 했다. 이러한 조선총독부박물관의 본관의 상설전시는 불교, 대외관계, 왜곡된 상징성에 주목하여 한민족 문화의 본질, 시민적 요구, 인간중심주의에 벗어난 식민지적 왜곡을 진행한 ‘식민지 근대’를 보여주는 공간이었다. 핵심적인 전시품은 역사, 문예, 종교, 미술, 공예품과 선사시대의 유물이었는데 비교 전시의 방법을 통해 중국과 인도 및 일본의 유물을 동시에 보여주면서 왜곡된 역사상을 만들어 냈다. 결국 조선총독부박물관의 건립으로 경복궁은 ‘12만여 평의 대박물관’이 되었다. 특히 용도가 바뀐 공진회 미술관을 활용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상설 전시는 전시 기법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적은 공간에 대량의 유물이 무매개적으로 전시되면서 시대별, 종류별, 나열식 비교전시를 했다. 아울러 전시실 구조와 채광, 조명 등의 시설도 절대 문제를 갖고 있었다. 특히 부수적인 전시 공간으로 경복궁 내의 근정전, 사정전, 수정전 등을 사용한 것은 박물관의 조건으로서는 왜곡된 시설의 본보기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전시는 그 내용을 ‘식민 통치 정치’가 장악하여 타율성과 정체성, 일본 문화 중심적 관점의 심미안에 따른 불교 중심의 조선 문화를 강조하는 공간으로 전락했다. Colonial experiences in modern history provide elements solve present problems also provides objectification about political purposeful process that modern doctrine theory’s development for development’ sake included. At the same time, it requests objectification about diversity and historical experiences in region. Exhibitions are displaying esthetics, interests, information, and exhibition that shows ideas.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s the place where involved political purpose and manipulated distorted museum. In particular, this museum was supported and advised by thorough official scholar such as Fujida Ryosaku who had been director for a long time. Rational exhibition in academic could be explained as exhibition based on relationship between similarities and genetics among objects. Exhibitions in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can only be expressed as losing essence. When seeing the locat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t started with intention reduce throne and royal authority. Japanese remodeled imperial rooms as exhibition space where displayed relics which lost historical meaning. Indeed, main building exhibit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as the intended museum that inherit exhibition art gallery. Exhibition in the museum clearly presented ruler’s purpos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as mainly about distorted ancient history and scaled chosun history down. Permanent exhibition in main building of museum took notice of Buddhism, international relations, and distorted symbols so that this was the place for showing distorted colonial era essence of Korean culture, demand as a citizen, anthropocentricism. Essential exhibits were the time of the prehistoric age such as history, religious, fine art, literature, handicrafts. Throughout compare with Chinese, Indian artifacts, Japanese made distorted history. To conclude, since the establishment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Kyung-bok palace became giant museum that involves 98 acre. Especially, there is an exhibit problem that permanent exhibition of main building untilized from art gallery. While many of relics displayed in limited space, they categorized with era, species. Also, structure of exhibition and lightning, skylight had problem as museum. In particular, using Keunjeong-jun, Sajeong-jun, and Sujeong-jun in Kyong-bok palace as displaying space was example of distorting facility and places. Followed exhibition in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eventually determined that Chosun culture as Buddhist in terms of Japanese aesthetic view by colonial ruling in Korea.

      • 조선총독부박물관 전시에 대한 소고

        김인덕(Kim In duck)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1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Vol.2011 No.2

        1915년의 공진회는 만들어진 홍보공간이었다. 빛나는 조선 문화 보다는 열등한 조선 문화, 제국에 눌린 조선의 왕권, 일본자본주의를 학습하는 장소였다. 문제는 공진회의 전시가 기본적으로 역사성과 문화성이 결여되었고, 동시에 비교 전시를 통해 현실의 정치와 문화를 상대화시켰으며, 종국적으로 조선총독부의 효율성을 과시하는 공간이 되어 제국의 ‘목적’에 충실했다는 점이다. 공진회 때의 미술관인 석조 건물은 조선총독부박물관의 본관이 되었다. 개관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은 박물관 건물로 지어진 것은 아니었다. 기능적으로 미술관이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의 1920년대 전시는 1923년의 내용을 우선 확인할 수 있다. 1923년 전시는 공진회 때의 미술관 1층의 전시 내용, 즉 중앙 홀의 경주 남산 약사불, 석굴암 부조 등과 동실의 고기물, 서실의 각종 미술품 등이 부분적으로만 확인된다. 본관 2층의 전시는 공진회 때의 2층 동실의 조선 회화 중심, 2층 서실의 현대 회화 중심의 전시에 변화가 있었다. 변화의 핵심은 본관 1층 동실에 낙랑, 대방 등에서 발굴된 유물이 전시되었다는 것과 수정전 등에 중국 신강성에서 수집하여 온 유물들이 전시되고 있는 사실 정도이다. 본격적인 조선총독부박물관 전시실의 구성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시기는 1926년으로 보인다. 1926년의 전시는 큰 변화가 있다고 할 수 없지만 유물의 시대순 정리와 분류가 분명해졌다. 1930년대의 전시는 1933년과 1936년의 전시 내용을 통해 확인되는데, 1933년의 전시는 기본적으로 1920년대의 공간 구분의 큰 틀은 그대로 유지했으나, 진열장 내부의 전시 유물이 변했다. 특히 1936년 본관 상설 1층 전시는 진전된 연구가 보인다. 아울러 기초한 진열장과 전시 유물의 순서 변화도 보인다. 이상과 같이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전시를 볼 때는 공진회 미술관과 큰 차이가 없었다. 동선도 기본적으로 변화가 없어 건춘문을 지나 본관을 구경하고 사정전, 수정전, 경회루를 지나 탑들을 관람하고 박물관 사무실이 있던 자경전 앞을 지나 다시 본관으로 돌아가는 방식이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 전시의 내용은 부분적으로 개편된 것은 사실이다. 특히 1층 중앙 홀의 진열장의 순서와 벽면을 이용하는 전시 방식의 개편은 확인하는데 어렵지 않다. 그리고 2층 회랑 전시의 경우도 독립장의 수치가 변화되었고, 제6실의 경우는 독립장의 사용방식을 바꾸어 내부에 가림판을 넣어서 활용하다가 통장의 형태로 전열장을 사용했다. 특히 1930년대로 가면 학술 조사의 진전과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고분 발굴품의 전시가 보다 정연해지는 모습도 보인다. 이러한 전시의 변화는 선수유물이 조선총독부박물관에 들어가면서 부득이 하게 진행되거나 아니면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전체 전시의 부분적인 개편 의도가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역사적 진열법’에 의거하고 각 시대의 특질을 보여 주어 ‘문화 발달’의 단계를 인지하는데 편리한 ‘특수 진열법’을 병용하고 있었다. 실제로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식민통치를 위해 존재했기 때문에 이러한 논리는 전시 의도를 통해서도 그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Competitive exhibition in 1915 was formed promoting space where educate interior Chosun culture, oppressed Chosun dynasty, Japanese imperialism rather than excellent Chosun cutlture. The problem was that exhibition was lack of historical and cultural orientation. At the same time, throughout comparative exhibition, which relativizing actual politics and culture. Frequently, exhibition showed the efficien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which was purpose of Japanese imperialism. Museum of art in 1915 competitive exhibition made of stone became main building for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Primary opened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was not originally built for museum but technically art gallery.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s exhibition in 1920s was begun from 1923 display. 1923 display involved 1<SUP>st</SUP>floor in museum of art in 1915 competitive exhibition which was Bhaisajyaguru in Namsan, Kyong-ju and carved part of Seokguram. Second floor of main building was displayed with east side of 1915 competitive exhibition paintings of Chosun, west side filled with modem paintings. The major transition was that east side of main building exhibited by relics from Nangnang, Daebang and artifacts from in Xinjiang, China. Earnest period when are able to figure the display of exhibition is 1926. This is the moment that they classified relics in periodic. Exhibitions in 1930s can be verified by 1933 and 1936’s exhibition. Basically, 1933 was kept 1920s’ space but relics been replaced. In particular, 1936s’ permanent exhibition of main building progressed with display case and formalities. With this, there were no especial changes between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and museum art of competitive exhibition. Also, visitor’s movement was fundamentally same as before; starting from Kunchunmoon and see main building, followed by Sajungjun, Sujungjun, Gyeonghoeru pavilion with pagodas, back to main building in the end. It is true that they reorganized from 1920s. Particularly, orders of display case in main hall on first floor and using the surface of wall were clearly showed their reforming. In add, second floor exhibition differed with the numbers of individual cases. In the case of 6<SUP>th</SUP>room, they utilized whole case which was alternation from previous exhibition using splashback. As time went to 1930s, display of excavations from ancient tomb well-ordered in terms of researches, scientific investigation. These types of transition in exhibition indicate either inevitable effect of new relics or reforming intent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based on historical display principle and showed characters of each period so that using Special display principle jointly which was likely to understand cultural progression. Literally,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was built for ruling colonies. In result, this logic clearly can be comprehended by intention of exhibition.

      • KCI등재

        始政5年 記念 共進會와 미술관 전시에 대한 소고

        김인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4

        공진회는 만들어진 공간이었다. 어떤 물품이 수집되고, 분류되며, 전시되었는가. 그리고 조선인은 여기에서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에 조선총독부는 주목하지 않았다. 그들이 보여주고 싶은 것은 따로 있었던 것이다. 그것은 왜곡된 식민지 조선 문화와 조선 통치의 성과였다. 공진회에는 조선 각처는 말할 것도 없고 일본과 중국 등지에서 온 관람객을 포함하여, 누계 116만여 명이 입장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을 관람했는가는 조선총독부에게는 중요했다. 결국 관제 동원과 조직화된 행정 지원이 이를 위해 작용했던 것이다. 1915년의 공진회는 만들어진 홍보공간이었다. 빛나는 조선 문화 보다는 열등한 조선 문화, 제국에 눌린 조선의 왕권, 일본자본주의를 학습하는 장소였다. 이러한 공진회의 전시장은 총 제13부 이외에 7개의 특별관이 별도로 마련되었다. 문제는 공진회의 전시가 기본적으로 역사성과 문화성이 결여되었고, 동시에 비교 전시를 통해 현실의 정치와 문화를 상대화시켰으며, 종국적으로 조선총독부의 효율성을 과시하는 공간이 되어 ‘제국의 목적’에 충실했다는 점이다. 미술관의 전시는 미술관ㆍ미술 분관이 중심이었다. 여기에 미술과 고고자료가 전시되었다. 미술관 1층은 불교문화로 시작되었다. 역사성이 완전히 무시된 골동품으로 조선의 문화를 전시했다. 공진회가 열렸던 1915년 조선총독부는 ‘조선’ 역사의 설명은 전혀 의도하지 않았다. 미술관 2층은 불교문화의 진수로 대장경을 전시하고, 조선시대 회화를 통해 조선시대 문화를 규정하고자 했다. 그리고 미정리 상태의 활자와 각종 서적 등도 전시에 동원되었다. 물론 고적조사에 기초해 발견된 전국의 주요 대형 유물 등은 무의미하게 미술관 안과 밖으로 옮겨졌다. 이러한 공진회 때의 미술관인 석조 건물은 조선총독부 박물관의 본관이 되었다. 개관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은 박물관 건물로 지어진 것은 아니었다. 기능적으로 엄연히 미술관이었다. 이러한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전시는 1923년의 내용을 우선 확인할 수 있다. 1923년 전시는 공진회 때의 미술관 1층의 전시 내용은 경주 남산 약사불, 석굴암 부조, 각종 발굴품, 미술품 등이 부분적으로만 확인된다. 본관 2층의 전시는 공진회 때의 2층 동실의 조선 회화 중심, 2층 서실의 현대 회화 중심의 전시에 변화가 있었다. 변화의 핵심은 본관 1층 동실에 낙랑, 대방 등에서 발굴된 유물이 전시되었다는 것과 수정전 등에 중국에서 수집하여 온 유물들이 전시되고 있는 정도이다. 이상과 같이 공진회 미술관은 사후를 생각하고 건립 당시부터 조성되었다. 그러나 다른 공진회의 전시 공간과 외형적 차이는 있었으나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았다. 여기에 조선총독부는 무엇이 전시되는지가 중요하지 않았다. 따라서 유물의 역사성의 배제되었고 유물의 주인인 조선인은 철저하게 소외되었다. 이 가운데 본질은 왜곡되어 자연스럽게 일본적 심미안과 불교 중심적 문화재관이 그대로 적용되었다. 특히 여기에는 학문적 성과와 연구자들의 조선 현지 조사가 주요하게 작용했다. 소외된 조선인은 왜곡된 역사관을 전시를 통해 학습을 강요받았다. 이것이 조선총독부가 공진회 미술관에서 의도한 것이었다. 이것은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초기 전시로 그대로 이어졌고, 내용적으로는 세련되었다. 결론적으로 공진회가 조선인과 외국인에게 조선을 식민통치하는 합목적인... Competitive exhibition was manufactured space. Japanese General-Government did not only disdain on the species, classification, display of goods and articles but also what the Korean is in this particular place. They wanted to show people that distorted colonial culture of Korea and outcomes from ruling Korea. Over millions of people who included needless of all over Korea, Japan and China visited this exhibition. The numbers of visitor were extremely significant for Japanese General-Government. Therefore, manufactured mobilizing by government and systematized administrative support played key role of exhibition. Exhibition in 1915 was well-manufactured publicizing space. This was not the place study about splendid culture of Chosun dynasty but Chosun’s inferior quality, suppressed sovereign by imperialism, and Japanese capitalism. The problem was that exhibition was absence of historicity, cultural meanings at the same time, they relativized politic and culture through comparative exhibition. Eventually, this place devoted to Japanese general-government’s efficiency which was purpose of imperialism. Art gallery was mainly about gallery and annex. Fine arts and archeological materials were exhibited in this gallery. Japanese displayed chosun dynasty with antiques lack of historical meaning. At the time of 1915 when exhibition held, Japanese general-government didn’t intend to explain history of chosun. On the second floor,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s placed as essence of Buddhist civilization and paintings of Chosun era which was their definition of chosun culture. Additionally, unclassified printings and many types of book were rallied. Of course that major relics from all over Korea based on studying historical remains moved pointlessly to in and out of gallery. All the artifacts in gallery were the symbol of Japanese general-government’s administrative power. Stone building, art gallery of competitive exhibition, became main building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hen they open the main building, this was not for the building for museum. Functionally, it was art gallery. This exhibition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museum could be certain in 1923. In 1923 exhibition, first floor was displayed by Bhaiṣajyaguru in Namsan, Kyung-ju and seokguram mural, excavation, art works. Change of second floor of main building of museum different with exhibition was that composed with east side-chosun paintings, west-side modern paintings. The core of alternation was that first floor east side exhibited by artifacts excavated and relics from China were displayed in Sujungjeon. Competitive exhibition art gallery was built with the idea of post-exhibition. It did not have many differences with other exhibition spaces but it was not fundamentally different.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idn’t pay attention to the relics that exhibited. Frequently, historical fact were excluded and the owner of these relic, Korean, were completely shunned. With that, Japanese esthetic senses and Buddhist standpoint of cultural assets were naturally applied with distorted essences. Alienated Chosun people were forced to study with distorted historical place. This is what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tended from exhibition gallery. This experiences and know-how were interacted with very first vers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lso sophisticated in contents. To conclude, like exhibition tried to get agreement from Korean (Chosun people) and foreigners with teleological reasons that their colonial ruling, exhibition art gallery was completely distorted. Simultaneously, Japanese industry was transplanting by exhibition art works and the purpose of spreading Japanese culture was realized by art gallery. Distorted historical place mainly about Japanese culture and accepting Japanese culture transplanting started since the competitive exhibition art gal...

      • KCI등재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의 분류 체계에 대한 시론

        오영찬 국립중앙박물관 2019 미술자료 Vol.- No.96

        본고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에 대해 ‘기능적 출처’의 개념에 입각하여 새 로운 분류 체계와 분류 기호를 제시하였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조선총독부에 소속된 기관이므로 조선총독부 공문서 체계에 부합되고 편입이 가능하도록 문서 분류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는 점, 기능 적 출처주의에 입각하여 총독부박물관의 조직과 기능에 부합하는 분류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는 점, 그러한 분류 체계에 기반하여 체계적이고 간명한 분류 기호가 부여됨으로써 문서의 검색과 활용에 편의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조선총독부의 공문서 분류 체계에 맞춰 총독부박물관의 대기능은 학무국으로, 중기능은 학무국 산하의 과 단위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기능별 출처’ 개념에 입각하여 총독부박물관의 업무 기능은 서무, 고사사, 명승천연기념물, 고적, 박물관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계별 문서는 업무 내용에 따라 다시 2차 분류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기능, 중기능, 소기능, 세부기능의 순으로 분류 기호를 설정하였다. 총독부박물관 문서는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분류체계에서 ‘A 학무’에 해당된다. 중기능 분류 기호는 학무국 내 과별 조직의 변천과 기능을 고려하여 학무(01), 편찬(02), 종교(03), 사회교육(04), 박물관(05), 기타(06) 등으로 설정하였다. 소기능은 총독부박물관의 기능을 분석하여 추출하였으며, 2자리 숫자를 부여하 였다. 서무(01), 고사사(02), 명승천연기념물(03), 고적(04), 박물관(05)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계별 업무에 해당된다. 세부 기능과 그 아래 하위 기능은 계 내에서 업무 분장과 연결하여 다시 주제 별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분류 체계가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를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활용 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presents a new classification and code system on the Archives of th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Joseo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ree points were noted that since the Museum belonged to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Archives should be established to comply with the Archives system of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based on the concept of the functional provena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lassific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organization structure of th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Joseon; a systematic and simple classification codes should be give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searching and using the official document.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its code are proposed in the order of major function, medium function, small function, and detailed function. The major function of the Archives is ‘A-Educational affairs’, medium function ‘Museum.’ The small function may be divided into General affairs (01), Temple (02), Scenic Spot and Natural Monument (03), Historical Site (04), and Museum (05). The detailed function and detailed sub-functions are categorized by the various work assignments in each work units. I hope that this new classification system will make a contribution to organizing and utilizing the Archives of th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Joseo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KCI등재

        해방 이후 조선총독부청사의 변천과 그 의미

        정희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4

        After liberation, most colonial architectures have changed and remained in public space. They have been used continuously for practical reason. Retention of colonial architectures does not mean mere continuance of space but symbolism as well. Japanese Government-General Building, built in 1926, was critical architecture that represented colonial power of Japanese imperialism era. Eve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it had been used for 50 years as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Central Government Complex and National Museum of Korea. So far, studies of Japanese Government-General Building were concentrated on certain period– completion and removal. But it is necessary to study changes of colonial architectures after liberation of Korea. This research examines changing processes of the building throughout its existence by focusing on its usage as main government building after liberation. Through this, the study is to find out in what logic that made modern architecture representing colonial power was used and removed. After Korean independence, though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Building was symbol of colonial power, it was kept in use as main office building of government for economical efficiency. It was used as USAMGIK right after liberation, and became the Capitol building after government formation. Its economic feasibility had fell because of damages due to Korean War, still it was more financially better to repair than built new one. After 1980s, as economy grew, ‘Recovery of Ethnicity’ came to the fore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Building was changed to National Museum of Korea. Jeon Doohwan regime, which had lack of political legitimacy, carried out this plan to gain public popularity. Kim Yeongsam government made policy of deconstruction of building as part of ‘Historical Rectification’. Processes change and removal was all for ‘Recovery of National identity’. However, social interest was just focus on visible action and discussion about historical meaning of the architecture was not viewed. Most of modern architectures, existing nowadays, are now facing maintenance or abolition on decision of center or local governments. To maintain modern buildings, it is necessary to avoid from unconditional logic, and make standard to look modern culture heritage in overall and long-term perspective. Korean modern architectures were kept in use after liberation for practical reason and individual of them changed in various way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pply one certain standard on decision on maintenance of them. Each of them were used in different ways depends on situation after liberation, there is need to look at historicity of the building throughout its entire existing period. 해방 이후 식민지 건축물은 대부분 현실적인 이유로 도시공간에 존속하였다. 식민지 건축물의 존속은 단지 물리적 공간의 연속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건물이 가진 상징성 또한 연속되는 것이었다. 1926년 준공된 조선총독부청사는 일제의 식민권력을 상징하는 핵심적인 건축물이었다. 조선총독부청사는 해방 이후에도 군정청, 중앙청, 국립중앙박물관으로 50여 년간 활용되었다. 그동안 조선총독부청사를 다룬 연구는 주로 건물의 준공과 철거라는 특정 시기에 집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식민지 건축물의 변천을 해방 전후에 걸쳐 유기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보고, 해방 이후 조선총독부청사의 활용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식민권력을 상징하는 근대건축물이 해방 이후 어떠한 논리를 통해 활용되고 철거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해방 이후 조선총독부청사는 경제적 효율성이라는 현실적 이유에서 계속 활용되었다. 조선총독부청사는 해방 직후 미 군정청으로 활용되었고, 정부 수립 이후 중앙청이 되었다. 한국전쟁으로 건물이 훼손되면서 조선총독부청사의 경제성이 떨어졌지만, 여전히 대체할 건물을 신축하는 것보다 조선총독부청사를 복구하는 것이 경제적 이점을 가졌다. 1980년대 이후 경제성장과 함께 ‘민족성 회복’의 문제가 사회 전면에 대두되면서 조선총독부청사는 국립중앙박물관으로 개편되었다. 권력획득 과정의 정당성이 취약했던 전두환 정권은 대중적 지지를 유도하기 위해 중앙청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개편하였다. 김영삼 정부는 역사바로세우기 사업의 일환으로 조선총독부청사 철거를 정책적으로 추진하였다. 조선총독부청사의 개편과 철거 과정은 모두 ‘민족성 회복’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건물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논의보다 가시적인 행위에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근대건축물은 중앙 혹은 지방정부의 정책적 판단으로 건물의 존폐가 갈리고 있다. 근대건축물의 보존을 위해서 무조건적인 보존이나 철거 논리에서 벗어나 근대문화유산을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기준을 정립해야한다. 한국의 근대건축물은 해방 이후 현실적 필요에 따라 계속 활용되면서 개별 건축물이 다양하게 변용되었다. 따라서 근대건축물은 보존과 철거 결정에 일괄적인 기준을 적용하기 어렵다. 각각의 근대건축물이 상황에 따라 해방 전후 다양하게 활용되었기 때문에, 건물의 특정 시기에 국한하지 않고 전체 존속 시기를 아울러 해당 건물의 역사성을 살펴보아야한다.

      • KCI등재

        낙랑군 출토 봉니의 진위에 대한 기초적 검토

        오영찬(Youngchan Oh) 한국상고사학회 2015 한국상고사학보 Vol.88 No.-

        낙랑군 유적에서 출토된 봉니는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수집품으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된 99건 197점, 1935년 낙랑토성 발굴 조사에서 출토된 후 도쿄대학에 남겨진 15점, 그리고 1937년과 1938년 두 차례에서 걸쳐 도쿄국립박물관에서 구입한 9점이 전해진다. 낙랑 봉니는 1919년 최초 확인되었는데, 발굴 조사에서 출토된 정식 발굴품이 아니라 식민사학의 불순한 의도 하에 조선총독부박물관 주도로 수집되었기 때문에 진위에 대한 의심이 끊이지 않았다. 이후 계속적으로 확인된 봉니들도 대다수가 발견품으로 신고되어 입수되었거나 고미술상을 통해 구입된 발견품이어서 진위의 논란은 계속되었다. 이러한 연유로 1930년대 위당 정인보는 '낙랑 봉니 위조설'을 제기하였고, 해방 이후 고조선의 재요녕성설에 입각한 북한 학계에서도 '낙랑 봉니 위조설'을 다시 주장하였으며, 1980년대 일본 학계의 반론이 이어지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봉니의 진위는 印文의 내용과 印式의 시대적 특징, 인문의 관명과 印制, 봉니의 형태적 특징 등을 통해 판별이 가능한데, 본고에서는 먼저 봉니의 후면과 측면에 있는 세부 흔적으로 통해 봉함 방식을 복원하고, 이를 진위 판별의 단서로 삼았다. 이 과정에서 1935년 낙랑토성에서 정식 발굴된 봉니들과 그 이전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수집한 봉니를 상호 비교하였다. 현재까지 확인된 대부분의 낙랑 봉니는 檢위에 부착된 것이었다. 낙랑 봉니는 형태에 따라 크게 凹式檢과 箱式檢에서 나온 두 종류로 구분 가능하다. 다음으로는 검 바닥면의 홈이나 돌대의 유무를 두었으며, 마지막으로 끈을 돌리는 방식에 따라 다시 분류하였다. 이러한 낙랑토성 출토품 봉니의 제 형식을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수집한 다수의 봉니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낙랑토성에서 출토된 봉니와 그 이전 시점에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입수한 봉니의 인문 字體를 상호 비교하여 낙랑 봉니의 진위 문제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낙랑토성 발굴품과 1935년 이전 입수된 조선총독부박물관 구입품 사이에 동일한 군명을 공유하고 있는 사례를 파악하여 상호 비교함으로써 진위 여부를 검 토하였다. 그 결과 다수의 수집품 낙랑 봉니들이 진품임이 밝혀졌으며, 일부 진위가 의심스러운 봉니들도 확인되었다.따라서 정인보와 북한학계의 주장처럼 낙랑 봉니가 전부 위조품은 아니었으며, 藤田겮策의 주장대로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구입한 낙랑 봉니에 대해 진위를 의심할 필요가 없는 것도 아니었다. 따라서 낙랑 봉니의 전체에 대한 일방적인 진위 주장을 근거로 낙랑군의 실재나 군현 지배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낙랑 봉니의 경우 개별 유물에 대한 진위 검증을 전제로 역사 자료로 활용되어야 하며, 앞으로 본고에서 제기한 방법론 뿐 아니라 이를 검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e clay seals from Lelang Commandery sites has been stored in three institutions; 197 pieces in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were turn over from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45, 15 pieces in Tokyo National University of Japan that were excavated in 1935, 9 pieces in Tokyo National Museum of Japan which were purchased in 1937 and 1938. The clay seals in Lelang were first found in 1919, of which the authenticity had been suspected continuously, because these were not excavated by the archaeologists but discovered, and collected by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the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Lelang commandery in the northwestern part of Korea, which was the one of intentions of reconstructing Korean history in view of colonial perspective. Jeong Inbo, the famous nationalist historian insisted that the clay seals collected by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ere all forgeries, which was an attempt to deny the existence of Lelang commandery in the northwestern Korea. The scholars in North Korea since 1950s followed Jeong’s opinion, which was linked with the discussion on the capital of Old Joseon, but some Japanese scholars argued back in 1980s. In this article, I try to restore the sealing method with clay seals by looking into the details of the back side and sides of the clay seals in Lelang. Then I compared the clay seals in National Museum of Korea acquire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the clay seals excavated at the Lelang fortress in 1935 which have not been suspected forgeries, in terms of the details of the back and sides, the character shapes and the names of the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imprinted in the clay seals. These surveys are all utilized as the clues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과 기록자료로 본 황해도 성불사(成佛寺)의 불교조각

        허형욱 국립중앙박물관 2024 박물관과 연구 Vol.1 No.-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일제강점기의 유리건판 사진과 조선총독부박물관 공문서는 1950년 한국전쟁으로 북한 지역 소재 문화유산이 큰 피해를 입기 전의 모습을 알려주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이에 최근 유리건판과 총독부박물관 문서를 활용한 북한 지역 불교조각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본고에서는 황해도의 대표적 사찰 중 하나인 황주 성불사의 불교조각에 대해 기존 성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새로운 의견을 개진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기록을 토대로 성불사의 연혁을 정리하고 현황을 짚어본 후, 유리건판 속 존상별 제작시기와 조성배경 등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성불사 불교조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1945년 해방 이전 성불사의 불교조각은 보살상 2건, 여래상 4건, 삼존상 1건의 총 7건이 확인된다. 제작시기에서는 고려 전기 2건, 고려 후기 1건, 조선 전기 3건, 조선 후기 1건의 분포를 보인다. 이 가운데 오늘날 실물이 남아있는 2건이 주목된다. 먼저 성불사 응진전에서 촬영되었다는 고려 전기 석조약사여래좌상이다. 이 상의 당시 대좌 실측도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현재 정방산 내금강 골짜기의 옛 상원암 터에 전하는 머리없는 석조약사여래좌상 및 대좌 부재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 판단이 맞다면 북한 지역에 전하는 고려 전기 불교조각의 작례를 새롭게 확보하는 것으로서 의의가 크다. 다른 하나는 성불사 극락전에서 발견된 조선 1454년(단종2) 작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이다. 이 상은 현재 사리원력사박물관에 보관 중이며 조선 전기 이북 지역에서 확인되는 소형 금동불의 기년작으로서 중요하다. 본고는 성불사라는 단일 사찰에 초점을 맞추어 북한 지역 불교조각을 고찰한 사례 연구이다. 앞으로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 자료가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된다면 우리나라 불교조각사의 연구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Gelatin dry plate photographs dating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official documents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Museum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re significant materials documenting cultural heritage in North Korea before it was severely damaged in 1950 during the Korean War.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recent years in studies of Buddhist sculptures in North Korea based on these photographs and documents. This paper presents some new comments on the Buddhist sculptures at Seongbulsa Temple in Hwangju, one of the most famous temples in Hwanghae-do Province, based on the related existing research outcomes. This paper aims to facilitate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Buddhist sculptures at Seongbulsa Temple by chronicling its history based on historical records, examining its current status, and exploring in detail the production dates and backgrounds of the Buddhist sculptures featured on gelatin dry plates. Prior to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in 1945, Seongbulsa housed at least seven sculptural items: two Bodhisattva statues, four Buddha statues, and a triad. Two items are from the early Goryeo period, one is from the late Goryeo period, three are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and one i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Among them, two surviving items are noteworthy. One is the early Goryeo-era Stone Seated Bhaishajyaguru Buddha photographed in Eungjinjeon Hall at Seongbulsa Temple. A close examination of a schematic drawing of the sculpture’s pedestal made at the time it was photographed reveals that its material accords with the materials used for the headless Stone Seated Bhaishajyaguru Buddha and pedestal currently found in the old Sangwonam Hermitage site in the Inner Geumgang Valley of Jeongbangsan Mountain. This accordance could mean that the statue is a new significant example of early Goryeo Buddhist sculpture in North Korea. The other notable sculpture is the Gilt-bronze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created in 1454 (the second year of the reign of King Danjong) and discovered in Geungnakjeon Hall at Seongbulsa. This statue is currently in the collection of the Sariwon History Museum in Hwanghae-do Province. It is an important example of a dated small gilt-bronze Buddhist statue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found in North Korea. This paper is a case study of Buddhist sculptures in North Korea, focusing on Seongbulsa Temple. Further utiliza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gelatin dry plates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sculpture.

      • KCI등재

        식민지 조선 문화의 지평 넓히기

        김인덕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2 한국문화연구 Vol.42 No.-

        오영찬 교수는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교육과 역사교육전공 교수이다. 한국고대사를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과 영국 브리티시박물관 비지팅 큐레이터를 역임했다. 낙랑군을 중심으로 한 한국 고대사 연구에 주력하고 있으며, 문화유산과 박물관을 활용한 역사교육에 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http://www.ewha.ac.kr) 저서로는 낙랑군 연구(사계절), 조선총독부박물관과 식민주의(사회평론), 역서로는 중국고고학에서 본 낙랑고분(진인진), 한권으로 읽는 박물관학(사회평론) 등이 있다. 주요한 연구실적으로는 「역사교사들의 현장학습 인식과 실천」, (역사교육연구, 2020, no.38.), 「열패한 식민지 문화의 전파-조선총독부박물관의 설립 배경-」,(서울과 역사, 2020.), 「조선총독부박물관 초기 소장품의 형성과 성격」, (역사학보, 2020.), 「민족의 기원을 찾아서–한국 상고 민족 담론의 창안」, (한국문화연구, 2019, v.37.), 「식민지박물관의 역사 만들기-조선총독부박물관 상설 전시의 변천」, (역사와 현실, 2018, v.110.) 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