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조선족민속연구의 현황과 과제

        최민호(崔敏浩) 한국역사민속학회 2012 역사민속학 Vol.- No.40

        본 논문은 조선족 학자들의 연구논저를 중심으로 중국 조선족민속연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문제점과 과제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중국에서 조선족에 관해 본격적으로 민속연구를 시작한 것은 1980년대인데, 그 시점이 바로 1982년에 출간된 정길운의 『조선족민속』이다. 이 책에서 정길운은 조선족 학자로서는 처음으로 민속연구의 목적과 방법 등에 대해 명확하게 지적하고 있다. 물론 구체적인 내용에 들어가서는 많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으나, 풍속이 아닌 민속학적 차원에서 조선족 민속을 바라보고 연구한 학자로는 정길운이 처음이다. 1985년에 정길운은 연변조선족민속학회를 창립하고 초대 회장에 추대된다. 그 동안 연변조선족 민속학회는 중국조선족사회에 전통문화의 중요성을 알리고 민족 자부심을 키워주는 등의 큰 역할을 해왔다. 이와 동시에 학회를 통해 우수한 민속학자들이 배출되고 이들에 의해 민속 전반에 걸쳐 다양한 연구가 전개되었다. 학회 간행물인 『조선족민속연구』는 현재까지 이미 3권이 출판되었으며, 여기에는 총 66편의 논문이 실려 있는데 이는 지금까지 발표된 조선족민속관련 연구논문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외에도 조선족을 대표하는 민속학자로는 천수산과 허휘훈이 있다. 천수산은 지난 20여 년간 동북3성과 내몽고자치구·하북성 등 지역의 조선족 마을을 현지조사하면서 방대한 양의 민속자료를 수집해 놓았는데, 그 결과물이 바로 2008년에 출판된 『중국조선족풍속백년』이다. 『중국조선족풍속백년』은 지난 한 세기동안 중국조선족이 영위했던 삶의 기록을 집대성한 저서로, 조선족민속연구의 필수 자료로 인정받고 있다. 그리고 허휘훈은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조선족민속의 중국적 특색을 찾고자 많은 노력을 해왔는데 그 대표작이 바로 『中國朝鮮族民俗文化及中國特色』이다. 지금까지 많은 업적을 쌓아왔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족민속학계는 여전히 여러 가지 문제점과 과제를 안고 있다. 현지조사보다는 문헌연구에 치우친다는 점, 공동체와 맥락을 무시하고 텍스트에만 관심을 기울인다는 점, 아마추어적인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외에도 삶의 본질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보다는 민족정체성의 확립이라는 정치성에 치우친다는 점도 풀어야 할 과제이다.

      • KCI등재

        한중수교 이후 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삶과 의식

        최병우 한중인문학회 2012 한중인문학연구 Vol.37 No.-

        조선족들은 이주에 대해 비교적 자유로운 의식을 가지고 있어 한국이나 관내 뿐 아니라 일본이나 미주 나아가 유럽에까지 적지 아니 진출하여 이미 전통적인 조선족 사회는 붕괴되었다는 지적이 등장하고 있다. 물론 연변조선족 자치주 정부와 조선족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조선족 문화의 발굴과 새로운 민족문화의 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한국에서 연변으로 돌아와 기업을 만들어 성공한 조선족들이나 중국 체류 한국인의 가세로 하여 조선족의 미래는 어둡지만은 않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한중수교 이후 나타난 조선족들의 엄청난 규모의 이주는 그들의 의식의 변화를 수반하고 있다. 연변조선족자치주가 성립된 이후 반우파 투쟁기와문화대혁명기를 지나오면서 유지해오던 조선족의 언어와 문화와 그리고 그들 나름의 전통은 점차 그 모습이 약화되어 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한중수교는 조선족들에게 한국의 경제적 발전을 경험하게 해주었고, 한국에서의 경제적인성장 체험은 조선족들의 삶과 의식을 변화시켜 주었다. 한중수교 이후 조선족 소설에는 수교에 따른 조선족의 삶과 의식의 변화가 구체적으로 잘 드러나 있다. 이들 조선족 소설에는 조선족 공동체가 와해되면서 그들의 전통적 가치관의 혼돈을 겪는 양상과 한국에서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민족 정체성보다는 중국 공민으로서의 정체성이 강화되는 양상과 관내로의 이주가 심화되면서 새로운 고향을 만들기 위해 애쓰는 모습들이 잘 드러난다. 이주의 심화로 나타나는 조선족의 삶과 의식에 나타나는 이러한 변화는 이주민들이 가질 수밖에 없는 변화의 한 단면을 여실히 보여준다. There are claims that make a point that the traditional Korean-Chinese society has been already deconstructed as Korean-Chinese people have comparatively free consciousness of migration and hence have moved not only to Korea, Chinese districts, Japan, and America but also Europe. Of course, there are other claims that point out that the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of Yanbian and Korean-Chinese intellectuals make efforts to excavate Korean-Chinese culture and novel formation of national culture, and the future of Korean-Chinese people is not dark with the return of successful Korean-Chinese persons who establish their enterprises at Yanbian and the engagement of China staying Koreans. However, the large scale migration of Korean-Chinese people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reflects changes in their consciousness. It is the case that Korean-Chinese people’s language, culture, and tradition on their own, which they have kept undergoing the periods of the anti-right struggle and the Culture Revolu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in Yanbian is gradually weakening.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llows Korean-Chinese people to experience Korea’s economic development, and their experience of economic growth in Korea has changed their life and consciousness. Korean-Chinese novels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well specifically reveal the changes in their life and consciousness due to the two nations’ diplomatic relation. Korean-Chinese novels well show the aspects of Korean-Chinese people experiencing chaos of their traditional values with the Korean-Chinese community decomposed, the strengthening of their identity as Chinese citizens rather than their identity as Korean nations on the basis of their experiences in Korean, and their efforts to make a novel hometown with the deepening of Korean-Chinese people’s migration into Chinese districts. Such changes shown in Korean-Chinese people’s life and consciousness due to the deepening of migration substantially show certain aspects of changes which migrants cannot help experiencing.

      • KCI등재

        조선족 여성에 대한 한국 상업영화의 민속지적 상상

        조진희 ( Cho Jin Hee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7 현대영화연구 Vol.13 No.3

        이 논문은 <댄서의 순정>, <웨딩 스캔들>, <미씽: 사라진 여자>, <악녀> 등의 네 작품들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한국 영화산업이 조선족 여성들을 재현하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민속지로서의 역할을 논의하고 있다. 대표적 이주 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조선족 여성들은 물리적인 힘에 저항하거나 사회적인 압력에 대항할 능력이 없는 약자로 등장한다. 연민의 대상인 조선족 여성들은 이러한 멜로드라마틱한 설정에서 출발하여 위기에 빠진 그녀들을 구출해낸 남성과 사랑하게 되면서 ‘구출 서사’를 통해 사랑의 대상으로 전환된다. 한편 동정의 대상인 조선족 여성들은 온갖 핍박과 차별의 연속으로 인해서 극단적인 상황에 처하게 되며 마침내는 가해자들에게 복수를 꾀한다는 ‘복수의 서사’를 통해서 범법자로 전환되기도 한다. 충무로 버전 조선족 여성들은 관객들로 하여금 소위 ‘조선족 여성’이라 지칭되는 사람들을 상상할 수 있을 단초를 제공해준다. 조선족 여성들을 친구로 둔다거나 이웃으로 가까이 접해본다거나 디아스포라로서 조선족의 생활상이나 역사에 대한 구체적 지식이 없는 한국인들의 상당수는 영화를 통해서 ‘조선족 여성’이라는 존재와 만나게 되는 것이다. 그 뿐 아니라 그녀를 통해서 ‘조선족 사회’를 엿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대중적인 민속지로서 조선족 여성들을 등장시킨 영화들은 단순히 조선족 여성이라는 정체성과 조선족 사회라고 하는 커뮤니티를 창조해낸다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한국인 여성이나 한국인 사회와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현재 한국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내부적 오리엔탈리즘을 재확인시켜주고 있다. 세계화라는 큰 흐름 속에서 한국 사회도 점차 다문화, 다인종 사회로 변모되어 가면서 새롭게 유입된 이주민들과의 접촉은 늘어나고 있지만 한국인들은 이주 민들의 피부색이나 출신국가에 입각해서 개개인의 행동양식이나 문화수준을 상상하고 이를 기준으로 이주민 집단을 차등하고 있다. 네 작품들을 통해 ‘순수’, ‘자연’, ‘야성’ 과 ‘미개발’ 등을 표상하며 향수를 자극하는 한편 야만적인 ‘동양 속의 동양여성’과 ‘동양속의 동양 사회’는 이들과는 태생적으로 상이한 한국의 헤게모니를 강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way Korean-Chinese female characters have been represented in South Korean popular films. Ever since the mid 2000s, Korean film industry has produced four films in which Korean-Chinese women play central roles. Dancing Princess(2005), Wedding Scandal(2012), Missing(2016) and the most recently The Villainess(2017) introduce heroines as ‘innocent’ and ‘sympathetic’ characters who are destined to face patriarchical oppression, sexual abuse and ethnic discrimination. Depending on genre conventions, these sympathetic women become either lovely bride or ruthless criminals. Korean-Chinese female characters depicted in these films intensify domestic Orientalism perpetuating in South Korean society. Orientalism is the byproduct of Eurocentrism which first emerged as a discursive rational for colonialism. As an ideological substratum common to colonialist, imperialist and racist discourse, Orientalism permeates contemporary practices and representations even after the formal end of colonialism. The contemporary South Korean society must be one of the places where quite intense level of Eurocentric Orientalism can be observed. Koreans demonstrate binary attitude toward the so-called ‘Western’ settlers and the ‘Non-Western’ settlers. By analyzing the way Korean-Chinese women featured in these films reaffirm South Koreans’ Eurocentric Orientalism, this paper criticizes their socio-political function.

      • KCI등재

        조선족 문화변동과 문화정체성

        鄭喜淑(ZHENG XI SHU)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5 No.-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조선족 민족 정체성에 관한 질문에 대해 필자는 그 답을 문화변동이론으로 접근하여 해석하려 한다. 다시 말해, 조선족 문화변동에 따른 조선족의 황무지개간, 벼농사 등 농경문화의 적응, 조선족의 언어, 문학, 음악, 무용, 조선족의 의식주, 의례와 놀이문화사례 등의 관찰을 통해 조선족문화가 한국이나 조선의 문화도 중국의 문화도 아닌 조선족 그 자체 문화임을 설명하고자 한다. 필자는 조선족사회에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조선족문화”설을 <일본조선족문화 심포지엄>에서 경험한 바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조선족문화에 대한 이해가 사회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서술하고, 조선족의 ‘사과배’ 문화와 조선족 언어문화에 대한 규범화에 따른 사례로 ‘조선족문화’란 바로 “조선족 그 자체 문화”라는 황유복의 이론을 확인했다. 나아가 조선족문화도 21세기에 맞는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여야 하며, 그 발전 대책으로 디지털문화콘텐츠산업의 육성을 제안한다. To the question—“Who are we?”—about Chinese Korean national identity, this essay tries to find out the answer through theory of culture change. That is, the present writer explains that ethnic Korean culture in China is the Chinese Korean culture itself, neither Korean nor Chinese culture, by observing and analyzing ethnic Korean cultural cases such as cultivation, rice farming, language, arts, the necessities of life, rituals, pastime culture and so on. Remembering the experience of the emerging issue of Chinese Korean culture at a symposium in Japan, the writer describes social function of understanding the Chinese Korean culture and confirms Youfu Huang's opinion that the Chinese Korean culture is “Chinese Korean its own culture” as a model case for standardization of the ethnic Korean “apple-pear” culture and language culture. In order to establish its identity for the 21st century, Chinese Korean culture should create a new sustainable culture; and the writer suggests promotion of the digital cultural contents industry as measures for its development.

      • KCI등재

        中國 朝鮮族學校 校歌의 亡失과 그 特徵

        안병삼(An Byung-Sam)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한국민족문화 Vol.39 No.-

        본 논문은 중국 길림성 지역의 조선족학교 교가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망실과 현황에 대해 현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는 1900년경 학교 설립과 동시에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일본 강점기 시대를 거쳐 중화인민공화국 시기까지 꾸준히 학생들에 의해 불린 노래이다. 그러나 현재의 조선족학교 교가의 망실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1949년 길림성 소재의 조선족소학교와 조선족중학교를 합하여 702개소의 학교가 있었지만, 지금은 폐교된 학교가 많고, 대부분의 교가도 사라졌다. 조선족학교 교가의 현황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학교에서 교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상당수의 조선족학교는 폐교되어 교가가 흔적없이 사라져 버렸다. 조선족학교 교가는 전문 음악인이 만든 것이 아니라 학교에서 근무하는 조선어 교원이나 교장이 작사를 하고 음악선생님이 작곡을 한 경우가 많았다. 현재는 교가 없는 조선족학교가 늘고 있으며, 교가가 있어도 교가를 알리려는 노력이 부족하였다. 조선족학교 교가는 시대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1945년 이전의 조선족학교 교가는 주로 시대적 상황에 맞게 항일정신과 독립정신, 그리고 대중적 계몽의식과 민족정신을 일깨우는 내용을 담고 있다. 1949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의 조선족학교교가는 주로 각 시기별 정치적 변화에 따라 공산당과 사회주의 찬양, 중화사상, 학교 자랑, 민족정신을 일깨우는 내용 등이 담겨 있다. 지금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에 대한 연구는 한국학의 연구영역 확대라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으며, 동시에 당시의 시대상을 담고 있는 민족문화 중의 하나인 교가를 수집ㆍ발굴한다는 역사적 의미까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on the school song of Chinese-Korean school in China. Now, Many Chinese-Korean schools are at a risk of being closed down due to an insufficient number of students. As a result, The school song of Chinese-Korean school already disappeared into thin air. The recent past, There are many school songs in the Chinese-Korean school. This study investigated Many school songs of Chinese-Korean school. School songs of Chinese-Korean school have some common characteristics. First, Chinese-Korean school neglect the management of school songs. No one could tell when school song was made, Nobody knows where school song is located. Secondly, School song has been written by amateur teacher. Sometimes, The contents of school song changes according to the times. Thirdly, The school song is specially characteristic of the age. Chinese-Korean students sang for the independence of one's country before Korea`s 1945 liberation. Fourth, Not many people konw school song of Chinese-Korean school because it isn't well promoted. Fifth, Some school songs of Chinese-Korean school have another title. For example, Prosperous school, Cradle of happiness, etc.

      • KCI등재

        조선족학교 교사 초청 연수 프로그램 사례 연구

        한혜민,김재욱 한중인문학회 2019 한중인문학연구 Vol.63 No.-

        조선족 학교는 한중 수교 이후 조선족의 대거 이동으로 집거 지역이 해체되면서 학생 수 감소, 교원 감소, 조선어 사용 빈도 감소 등으로 운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 중국으로 이주한 우리 민족이 정착하여 형성된 조선족 집거지에서 여러 방언과 섞여 형성된 조선어는 역사적, 학문적으로 연구 가치가 있다. 조선족학교의 위기와 조선어 사용 감소의 현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조선족학교 교육과정의 개발, 이중언어 교육법 개발, 교사 양성 등의 다양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정부차원에서 조선족학교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2011년부터 실시한 조선족학교 교사 연수의 목표와 내용, 현황 사례 및 연수 평가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2018 조선족학교 교사 초청 연수는 총 58명이 참여하였는데 조선어 교사 42명, 음악 교사 16명이다. 이 연수는 민족 교육 기반 유지, 국내·외 우리말 교육자간 정보 교류 및 네트워크 구축, 조선족학교 교육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체득(이론), 체험(실습), 체화(모의수업)의 세 단계로 구성하였다. 연수 참여자들은 담당 교과에 따라서 공통 영역, 조선어 영역, 음악 영역의 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하였고 교육은 이론과 실습수업이 1:1의 비율이 되도록 진행하였다. 연수 참여자들은 대체로 연수 프로그램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이론보다는 실습위주로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를 바랐으며 초·중·고등학교 수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강의가 더 많았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향후 조선족학교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하여 연수 전 사전 요구의 필요성과 연수 대상자들의 교육 현장에 보다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용을 구성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alties of ethnic Korean society and schools in China and present the case of invitational workshop for ethnic Korean school teachers, which was conducted in 2018. Ethnic Korean society has faced to many difficulties, such as declining the numbers of students and teachers as well as reducing Joseon language use. Since Joseon language has historical and academical value, so it should be kept. To solve these problems, Overseas Koreans Foundation has invited ethnic Korean school teachers to enhance their capability since 2011. In this study, the objectives, processes, participant information, and the details of the workshop were discussed. Total 58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workshop, 42 were Joseon language teachers and 16 were music teachers. This workshop was aimed to maintain ethnic education, establish the network among educators in both internal and external, and enhance competitiveness for ethnic Korean schools. To achieve these goals, this workshop suggested three steps through the whole programme: learning theory, practicing the theory, and demonstrating the theory. Participants showed high satisfaction for the workshop programme, however, they suggested the programme should be focused on practice rather than learning pedagogical theory. Two suggestions were added to improve the workshop for ethnic Korean teachers in China: to conduct needs analysis before the workshop, and to organize the programme contents based on the practice which can be applied immediately for their educational institutes.

      • KCI등재

        중국 조선족학교의 "학교문화" 연구 -교표(校標)를 중심으로-

        안병삼 ( Byung Sam A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3 No.-

        본 논문에서는 중국 조선족학교의 상징체계로서 교표 도안과 그 특징 및 내용을 살펴보았다. 중국 조선족학교는 중국이라는 타국에서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조선족으로서의 민족정체성자각과 학생, 교사 그리고 학부모가 모두 단결할 수 있는 조선족 공동체의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교표를 만들고자 하였다. 중국 조선족학교 교표의 특징과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먼저, 조선족학교 ‘학교문화’중 교표의 특징이다. 첫째, ‘학교문화’ 교표에 대한 기록이 없다. 둘째, ‘학교문화’ 교표에 대한 다양한 사용방법이 강구되지 않고 있으며 점점 중시도(重視度)가 사라져가고 있다. 셋째, ‘학교문화’ 교표 도안에는 도상(圖像)을 자주 사용하였다. 넷째, ‘학교문화’ 교표 도안에는 학교 영문이니셜을 이용한 상징체계로 조선족학교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다. 다섯째, ‘학교문화’ 교표도안에는 색깔마다 각각의 뜻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조선족학교는 교표에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첫째, ‘학교문화’ 교표에는 조선족학교의 민족의식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둘째, ‘학교문화’ 교표에는 교육적ㆍ지역적 특색을 모두 담고 있다. 즉, 해당 조선족학교의 교육적 이념 및 명칭, 그 지역적 특색 등 다양한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셋째, 조선족학교 ‘학교문화’ 교표에는 시련 극복의 메시지를 많이 가지고 있으며, 해석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조선족학교 폐교와 함께 사라져가는 ‘학교문화’ 중 교표(校標)에 관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는 조선족학교가 그동안 창조한 ‘학교문화’의 소실을 극복하는 의미 있는 작업이며 민족문화영역을 한반도 이외의 지역으로 확대하는 작업이다. 중국에서 한민족인 조선족이 그동안 창조한 다양한 ‘학교문화’가 조선족학교의 폐교와 함께 사라지는 것을 막고 보존되기를 바라며, 이 분야의 연구가 앞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바란다. I have studied the designs, the features, and the contents in the School Symbols of Chinese-Korean Schools in China. These schools have intended to make the students realize their own identity, and also make the students, parents, and all the teachers become one through ‘the School Symbol.’ To begin with, about the recent situations of the School Symbols of Chinese-Korean Schools in China, firstly, there are no written data about it. Secondly, there are no motivated intentions to use the school cultured school symbols in diverse ways, and eventually they have not been used. Thirdly, the iconography is often used. Fourthly, the English initials have been used to indicate that they are not Chinese Schools. Fifthly, there are different colours indicating different meanings.Then, I have studied generally in what the meanings of the School Symbols have. Firstly, the cultured school symbols put emphasis on the students being Koreans in diverse ways. Secondly, they contain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and district such as the names and the philosophy. Thirdly, there are the messages of overcoming the hardships and trials which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I do hope that this report would motivate researchers to study more of the vanishing school symbol cultures of the Chinese-Korean Schools in China and to help the fewer number of the Chinese-Korean Schools in China to be successive. We Koreans should extend our school activities from South Korea to the Korean descendants outside of this country.

      • KCI등재후보

        중국조선족문화자원과 관광문화산업 기획 : 연변조선족자치주를 사례로

        鄭喜淑 在外韓人學會 2009 在外韓人硏究 Vol.20 No.-

        중국조선족은 중국토착민족이 아닌 150여 년의 역사를 가진 중국 소수민족으로 조선민족의 전통문화 가운데 우수한 부문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주변 민족들의 문화를 흡수, 소화하면서 주변환경에 알맞은 조선족문화를 창출했다.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최대 관광자원은 조선족의 문화이다. 조선족문화는 민족관광자원의 핵심이다. 관광업의 경쟁은 실질적으로 문화의 경쟁이다. 현재 연변조선족자치주는 관광 경쟁의 잠재력을 구비하고 있다.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자연관광자원과 문화관광자원을 유기적으로 결합해야만 독자적인 관광상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연변조선족자치주만의 브랜드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민족 신분이 관광의 주요한 마크가 되는 관건은 독특한 풍속과 문화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관광문화산업을 발전시키려면 반드시 창신개발로서 문화자원으로부터 문화자원의 시장화, 상품화를 이루어야 한다. 문화자원의 시장화, 상품화는 관광문화산업 생산과정의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에 전 방위적인 문화기획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Ethnic Koreans in China, as a minority that has the history of 150 years or so, have created their own culture by combining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with the neighboring cultures. This culture begins to be thought of as an important tourism asset. Especially the ethnic Korean culture of Yanbian Autonomous Prefecture (Community) is now one of the most promising cultural resources for tourism. In order to be more competitive, the Korean-Yanbianian culture should be developed as a unique tourist product, and it could utilize its unique customs and cultural landscapes for experiential tours. In this context, multilateral culture-planning is crucial in the marketability and commercialization of this culture.

      • KCI등재

        중국 조선족 문학과 중국어 창작 -리근전의 중국어 창작과 번역 발표를 중심으로-

        이해영 한중인문학회 2011 한중인문학연구 Vol.34 No.-

        조선족 문학은 중국의 소수민족 문학이면서도 정작 중국 학계에서는 철저히 외면당해왔으 며 조선족의 작가 중에는 만족, 티베트족, 회족, 몽고족 등 기타 중국 내 소수민족의 작가들처 럼 전국적인 문명을 획득한 작가가 배출되지 못했다. 그 가장 중요한 원인은 중국 조선족 문 학이 중국을 창작환경으로 하면서도 중국의 통용문자인 중국어가 아닌 한국어 내지 조선어로 씌어졌으며 극히 적은 몇 편의 작품만이 특별한 수요에 의해 중국어로 번역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조선족 문학은 지금까지 중국 내 조선족을 그 독자 층으로 상정하고 있었으며 여태 까지 중국 조선족 문학에서 한국어(조선어) 창작의 문제는 지극히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져 왔고, 중국어 창작의 문제는 러시아 고려인 문학, 재일동포문학 등 기타 해외 한민족 문학에서 민족어 창작이냐 거주국 언어 창작이냐의 문제처럼 심각하게 표면화되거나 거론되지 않았다. 그러나 개혁개방과 시장경제의 충격으로 인한 조선족의 민족 집거지의 해체에 따른 생존환경 의 변화와 창작환경의 변화, 중국 문학 속에서 조선족 문학의 위상 정립의 요구 등으로 하여 중국 조선족 문학에서 중국어 창작의 문제는 더는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중국 조선족의 제1세대 작가이자 주로 중국어로 창작하였고 발표는 번역하여 한국어 (조선어)로 하였던 리근전의 중국어 창작과 번역 발표의 의미에 대해 상세히 살펴봄으로써 변 화된 환경에서 조선족 문학의 발전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리근전은 중국 조선족의 제1세대로서 광복 후, 미귀환한 작가이다. 그러나 리근전은 조선 족의 기타 제1세대 작가들과는 달리 조선어보다는 한어에 익숙했으며 한어가 그의 습작기의 제1언어였다. 이는 리근전이 아버지를 따라 이주한 곳이 한족이 대다수 살던 지역이었고 그가 참군을 통해 부대에서 문자를 익혔던 것과 연관된다. 그러므로 리근전에게 있어서 문학창작의 제1언어, 자연스러운 언어는 조선어가 아닌 중국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근전은 자기가 조선어로 창작할 수 없다는 사실을 다른 사람들에게 밝히는 것을 극히 꺼려했고 그의 대표작이자 중국 조선족 문학의 대표작이기도 한 두 편의 장편소설 범바위와 고난의 년대가 중 국어로 창작된 뒤 역자에 의해 조선어로 번역되어 출간된 것임을 끝까지 고백하고 있지 않다. 이는 리근전이 고향이었던 조선 자강도에서부터 몸에 배인 민족성과 또한 조선족 작가라면 당연히 조선어로 창작해야 한다는 리근전 식의 자의식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리 근전에게 있어서 번역발표란 조선족의 삶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로서의 작품의 내용적 측면과, 창작에 앞서 미리 상정한 독자층으로서 조선족 독자대중을 염두에 둔 지극히 당연한 것이고 오히려 조선족 작가로서의 자의식 때문에 감추고 싶은 불편한 부분이었다. 적어도 리근전이 첫 장편소설을 발표하던 1960년대로부터 두번째 장편소설을 발표하던 1980년대, 그리고 지금 에 이르기까지 조선족 문학작품은 조선어로 쓰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졌고 중국어 창작은 전혀 고려되지 않던 부분이었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보다 적극적으로 주위의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고 조선족 문학의 발전 을 모색해야 할 단계에 와 있으며 조선족 문학은 더는 중국어 창작을 외면할 수 없는 단계에 와있다. 그러나 조선족 문학에서 중국어 창작을 적극 추진하는 문제는 해외 한민족 문학의 범 주 설정이라는 대단히 근본적인 문제와 민족어 교육과의 양립이라는 대단히 민감한 문제를 넘어야 한다. 특히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으로 민족어의 습득만 이루어지지 않으면 조선족의 정체성을 기억할 수 없다는 문제는 조선족에게 조선어야말로 기타 민족과의 이질성을 인지시 키고 민족적 정체성을 획득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이자 징표이다. 본고는 민족어 교육과 중국어 창작을 대립항 즉 대타적 차원에서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전 환시키기 위한 환충지대로 번역 발표의 방안을 제시해보았다. Tibetan、Hui people and Mongolian people, there has ever been no well-known Korean-Chinese writer. The main reason is that although literature of Chinese Korean Nationality takes China as the creative background, it doesn't take Chinese which is the most-accepted standard language to do writing. Except a very few works are translated into Chinese for some special reason, other works are totally in Korean. Until now literature of Chinese Korean Nationality still take Korean-Chinese as its reader, so writing in Korean seems to be normal. At the same time, writing in Chinese unlike other overseas literature of Chinese Korean Nationality such as Korean literature in Russia and Korean literature in Japan faces the matter of choosing the national language or the language of the country of residence. However, as Reform and Open Door policy happened in China, also as the impact of market economy, Korean-Chinese national gathering area faces the disintegration and their living environment and authoring environment of Chinese Korean Nationality has been changed. In order to get a steady place in Chinese literature, Chinese writing of Chinese Korean Nationality has risen to an important level which can not be ignored. For this reason, we studied on Li Genquan, one of the first generation Korean-Chinese writers, who did Chinese writing and then translated his works into Korean language. This thesis tried to analyze the meaning of his Chinese writing and translation in detail so as to seek the appropriate way for Korean-Chinese literature to deal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Li Genquan, as the first generation of Chinese Korean Nationality, belonged to “non-returned” writers after National Independence. Different from the other Korean-Chinese writers of the first generation, Li Genquan was more familiar about Chinese language than Korean language and also took Chinese as the first language in his writing. This is indissolubly linked with the fact that he settled down in Han people's gathering area with his father and studied Chinese characters in the troop after he joined the army. With all these reasons, for Li Genquan, the first language of literature creation and the natural language is not Kroean but Chinese. However, Li Genquan had conflict complex about the fact that he himself can not write in Korean language proficiently. As for his representative masterpieces, Tiger Cliff and Hard Age which are also two novels of the representative works in Korean-Chinese literature, he kept silence on the fact that professional translator translated his works into Korean after he wrote them in Chinese. This may be explained by his national consciousness and his self-awareness. He came from Jagang-do and in his blood did national consciousness exist. His self-awareness reminded him that as a Korean-Chinese writer, he should write in Korean language. Because of this, in the translated version of Li Genquan's works, did he try to cover the very natural things that the content of his works was based on the living status of Korean-Chinese and the potential readers were also Korean-Chinese. At least, Li Genquan's first novel in 1960s and his second novel which was published in 1980s and even today's literature works have never considered writing in Chinese but still take the Korean writing for granted. However, nowadays, we need to adapt to the changes surrounding us actively. Besides, we stand at the moment when we can not ignore Chinese writing if we intend to develop the literature of Chinese Korean Nationality. Inevitably, to promote Chinese writing of Korean-Chinese literature has some problems, such as the fundamental issue of setting Korean-Chinese literature category oversea and the hot issue which is opposed to national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because of China's ethnic minority policy, if one doesn't receiv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he or she will probably forget his nationality gradually. This big problem makes Korean-Chinese understand that Korean language is the only way for them to get to know their specificity and their nationality. This thesis aims at conver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national language education and Chinese writing from opposition into mutual complementarity. With regards to this, translated version is suggested to be a way of dealing with this problem.

      • KCI등재

        중국조선족의 영웅 서사적 특징과 역사적 기억

        최향 ( Choi Hyang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8

        중국조선족은 한민족 혈통에 중국 국적을 가진 경계인으로 그들의 삶에 대한 기억을 형상화한 문학도 그 범주가 불명확하다. 그러할수록 조선족 학자들은 조선족문학의 특징을 발굴하여 중국 내외에서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였다. 본고 또한 이와 같은 의지의 표출로 중국조선족의 서사문학, 그 중에서도 그동안 개별 문학 연구 영역으로 다뤄지지 못하였던 조선족 영웅 서사의 특징에 주목하였다. 본고에서는 중국신시기(新時期)에 집중적으로 정리되고 창작되어 활자화된 영웅 서사 중 집단적 이념의 실현을 위해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 영웅의 행적을 서사화한 조선족소설과 연변 지역의 설화를 주요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살펴본 데 의하면 조선족 영웅 서사는 중국 17년(1949-1966) 문학 시기를 비롯한 1950~60년대 북한 문학, 한국에서 전래된 실존 영웅 서사에서 표출된 영웅인물의 이상화 특징보다 중국 80년대 중·후반의 영웅 서사적 특징을 더 많이 보여주었다. 그 중 항일 설화, 지명설화에 녹아든 영웅 서사는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 인물의 이상화와 획일화된 서사구조 및 상세한 묘사적 서술로 인해 고리타분한 느낌을 준다. 그리고 장편으로 된 한국 전래 설화와 역사 소설로 구성된 영웅 서사는 영웅의 범인화·전기화와 함께 조선족의 역사, 풍속, 인정세태 등에 대한 사실과 허구를 결합시켜 서사를 풍부하게 만들었으며 문체에서도 다양성을 보였다. 한편 조선족 영웅 서사를 통해 형성된 한민족의 집단적 기억과 조선족의 역사 적 기억은 조선족공동체 내에서 잘 전승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역사의식을 비롯한 민족문화의 전승은 학교와 가정교육, 사회교육, 이론과 실천의 결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중국 경제가 급속히 발전하고 한국 문화가 대량 유입되면서 조선족 청소년들은 대체로 `중국화`, `한국화` 또는 `서구화`로 나아가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다. 이는 조선족 문화를 전승, 발전시키기 위한 조선족공동체의 과감한 추진력과 각 지역 간의 소통이 결핍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역사적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서사가 부단히 재구성되고 담론화되지 못한 요인이 더 크다고 생각 한다. 조선족 특유의 서사의 재구성을 통한 그들만의 역사적 기억의 연속이 전제되어야 한민족 문학도 참된 의미를 지니게 된다. Korean-Chinese for the memories of their lives as a Border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Nationals so their literature category also unclear to us. Korean-Chinese scholar are focusing their efforts on exploring the character of Korean-Chinese literature for raise awareness both within and outside China. Soon as an expression of such determination this manuscript pay attention Korean-Chinese narrative literature, especially the character of Korean-Chinese hero-narrative that had not treated in as Individual literary areas. Make a choice Among the hero-narrative that creative and organized for text type in China modern, especially Yanbian Area folktale and novels were selected by the main research text. In this text showed hero`s rare movements for the realization of a group ideological. More than in the hero-narrative introduced in China`s 17 (1966-1949) years literature, North Korean literary in 1950s and 60s, and South Korean tradition tale, the hero`s idealization character intensively showed in mid or late` 80s. The hero-narrative which are dissolved in the anti-Japanese tale, a tale of them. The hero-narrative which are dissolved in the anti-Japanese tale and name tale, any tale of them standardized and idealization just the way they don`t hang out duri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by detailed descriptive narrative. Meanwhile, the novel consists of a Korean folk tales and history showed character of commonness and electrification, with ethnic, folk custom, and way of the world, and enrich the narrative through combine the facts and fiction. Meanwhile, the memory of the Korean and Korean-Chinese historical memory were composed by Korean-Chinese hero-narrative. But they can`t played well within the Korean-Chinese community. The historical awareness, including the transmission of national cultures, need schools and social education, upbringing, the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However, developing Chinese economy and growing influx of Korean culture Korean-Chinese teenagers usually grew to `becoming Korean`, `becoming Chinese`, or `becoming more westernized`. It`s because lack of decisive driving force and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area of Korean-Chinese. But bigger is narrative is not constantly reconstructed and discoursed. Korean literature to be true only based on series of historical memory made by Korean-Chinese` own reconstruct ion of the narr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